[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94605A -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 Google Patents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605A
KR20130094605A KR1020120015990A KR20120015990A KR20130094605A KR 20130094605 A KR20130094605 A KR 20130094605A KR 1020120015990 A KR1020120015990 A KR 1020120015990A KR 20120015990 A KR20120015990 A KR 20120015990A KR 20130094605 A KR20130094605 A KR 2013009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hair dye
density polyethylene
lamin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309B1 (ko
Inventor
장욱
김기섭
이용현
송준철
김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20015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3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3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2Nickel or cob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2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중 어느 두 층 사이에 적층된 금속 박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중 염모제와 접촉하는 면에 적층된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70 내지 95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은 열 봉합성이 우수하면서도 염모제의 침투가 최소화되어 층간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LAMINATE FILM FOR FORMING HAIR DYE VESSEL AND VESSEL FOR HAIR DYE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발용 염모제는 내용물의 누출 및 변질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박막 등의 산소 배리어층이 형성된 용기를 사용하여 포장되고 있다.
염모제는 산소에 노출될 경우 산화되기 때문에 일부 사용 후 보관할 경우 용기 입구 부근에 위치한 염모제가 변색되는 문제가 있어, 개봉 시 전량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염모제를 소량으로 나누어 여러 개로 포장한 파우치 형태의 제품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파우치의 제조에는 통상적으로 4 층 이상의 층 구성을 갖는 필름이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인쇄를 위한 표면층, 산소 차단을 위한 금속 박막층, 기계적 물성을 보강하기 위한 중간층, 열봉합을 위한 씰링층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두발용 염모제는 염색성 향상을 위해 통상적으로 암모니아 성분이 첨가되는데, 암모니아 성분은 침투력이 강하기 때문에, 파우치의 경우 구성층에 암모니아 성분이 침투되어 층간 박리 현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열 봉합성이 우수하면서도 염모제에 의한 층간 박리 현상이 최소화된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염모제용 파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2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중 어느 두 층 사이에 적층된 금속 박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중 염모제와 접하는 면에 적층된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70 내지 95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0.940 내지 0.960 g/㎤의 밀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0.05 내지 2 g/10min의 용융지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 박막층은 알루미늄 박막 또는 니켈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 필름은 상기 염모제와 접하는 면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보강층; 상기 금속 박막층; 및 표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보강층 및 표면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염모제용 파우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은 열 봉합성이 우수하면서도 염모제의 침투가 최소화되어 층간 박리가 일어나지 않아, 염모제용 파우치, 튜브 용기 등 각종 용기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형성'되어있다거나 '적층'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어떤 구성요소가 그 다른 구성요소의 표면 상에 직접 부착되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더 존재하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염모제의 용기를 이루고 있는 여러 층 중 염모제와 접촉하는 면에 적층된 층에 염모제가 침투되고, 그에 따라 용기의 박리 현상이 유발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염모제 성분에 대한 용기의 안정성 확보 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염모제와 접촉하는 면에 적층된 층을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형성시킬 경우 열 봉합성이 우수하면서도 염모제의 침투가 최소화되어 층간 박리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2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중 어느 두 층 사이에 적층된 금속 박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중 염모제와 접촉하는 면에 적층된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70 내지 95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구현예에 따른 적층 필름은 2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중 어느 두 층 사이에 적층된 금속 박막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층 필름은 염모제와 접하는 면에 적층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또는 '씰링층'이라 함), 기계적 물성 보강을 위한 보강층(또는 '중간층'이라 함), 및 용기 표면에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표면층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씰링층, 보강층 및 표면층은 각각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 필름은 상기 씰링층과 표면층 사이에 적절히 적층된 금속 박막층(또는 '배리어층'이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적층 필름은 씰링층, 보강층, 금속 박막층, 및 표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으나, 다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 적층 필름에 포함될 수 있는 각 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보강층 및 표면층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이하 '당업계'이라 함)에서 통상적인 소재의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층 및 표면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강층 및 표면층의 두께는 각 층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기계적 물성이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열 봉합의 효율 등을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으므로, 그 두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층 및 표면층의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8 내지 25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 박막층은 외부로부터 용기 내부로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기 위한 층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금속 박막층은 알루미늄 박막 또는 니켈 박막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 박막층의 두께는 5 내지 25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씰링층은 열 봉합에 의해 내부의 염모제를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염모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에 적층된다.
그에 따라, 상기 씰링층은 염모제(특히 염모제에 포함된 암모니아)가 침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적층 필름의 구성 층이 박리되어 용기의 물성이 떨어지고 외관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의 실험 결과, 상기 씰링층에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특정 함량비로 혼합 사용할 경우, 열 봉합성이 우수하면서도 염모제의 침투가 최소화되어 층간 박리가 일어나지 않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상기 씰링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70 내지 95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씰링성을 확보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염모제의 침투에 대한 차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씰링층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첨가에 따른 최소한도의 차단성 확보를 위하여 5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과량으로 첨가할 경우 상기 씰링층의 열 봉합성이 저하되어 염모제를 밀봉하는 과정에서 누액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3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0.940 내지 0.960 g/㎤의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0.05 내지 2 g/10min의 용융지수(ASTM D 1238)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적층 필름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은 각각 인플레이션 방식 또는 익스트루젼_방식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적층 필름은 각 구성층을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 또는 티다이 익스트루젼 방식 등으로 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염모제용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염모제용 용기는 전술한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제외하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형태(파우치 또는 튜브 등) 및 그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염모제를 소량으로 나누어 여러 개로 포장하는데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용기는 파우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의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0 g/㎤, 용융지수 1 g/10min) 95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45 g/㎤, 용융지수 0.17 g/10min) 5 중량%를 혼합하여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두께 약 70 ㎛의 필름(상기 씰링층)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0 g/㎤, 용융지수 1 g/10min) 90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45 g/㎤, 용융지수 0.17 g/10min) 10 중량%를 혼합하여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두께 약 70 ㎛의 필름(상기 씰링층)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0 g/㎤, 용융지수 1 g/10min) 80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45 g/㎤, 용융지수 0.17 g/10min) 20 중량%를 혼합하여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두께 약 70 ㎛의 필름(상기 씰링층)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0 g/㎤, 용융지수 1 g/10min) 70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45 g/㎤, 용융지수 0.17 g/10min) 30 중량%를 혼합하여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두께 약 70 ㎛의 필름(상기 씰링층)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1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0 g/㎤, 용융지수 1 g/10min)을 사용하여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두께 약 70 ㎛의 필름(상기 씰링층)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2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0 g/㎤, 용융지수 1 g/10min) 97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45 g/㎤, 용융지수 0.17 g/10min) 3 중량%를 혼합하여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두께 약 70 ㎛의 필름(상기 씰링층)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3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0 g/㎤, 용융지수 1 g/10min) 65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45 g/㎤, 용융지수 0.17 g/10min) 35 중량%를 혼합하여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두께 약 70 ㎛의 필름(상기 씰링층)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4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0 g/㎤, 용융지수 1 g/10min) 60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45 g/㎤, 용융지수 0.17 g/10min) 40 중량%를 혼합하여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두께 약 70 ㎛의 필름(상기 씰링층)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5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45 g/㎤, 용융지수 0.17 g/10min)을 사용하여 인플레이션 방식으로 두께 약 70 ㎛의 필름(상기 씰링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약 12 ㎛, 표면층), 알루미늄 박막(두께 약 7 ㎛), 나일론 필름(두께 약 15 ㎛, 보강층) 및 제조예 1에 따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약 12 ㎛, 표면층), 알루미늄 박막(두께 약 7 ㎛), 나일론 필름(두께 약 15 ㎛, 보강층) 및 제조예 2에 따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약 12 ㎛, 표면층), 알루미늄 박막(두께 약 7 ㎛), 나일론 필름(두께 약 15 ㎛, 보강층) 및 제조예 3에 따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약 12 ㎛, 표면층), 알루미늄 박막(두께 약 7 ㎛), 나일론 필름(두께 약 15 ㎛, 보강층) 및 제조예 4에 따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약 12 ㎛, 표면층), 알루미늄 박막(두께 약 7 ㎛), 나일론 필름(두께 약 15 ㎛, 보강층) 및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약 12 ㎛, 표면층), 알루미늄 박막(두께 약 7 ㎛), 나일론 필름(두께 약 15 ㎛, 보강층) 및 비교 제조예 2에 따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약 12 ㎛, 표면층), 알루미늄 박막(두께 약 7 ㎛), 나일론 필름(두께 약 15 ㎛, 보강층) 및 비교 제조예 3에 따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약 12 ㎛, 표면층), 알루미늄 박막(두께 약 7 ㎛), 나일론 필름(두께 약 15 ㎛, 보강층) 및 비교 제조예 4에 따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드라이 라미네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약 12 ㎛, 표면층), 알루미늄 박막(두께 약 7 ㎛), 나일론 필름(두께 약 15 ㎛, 보강층) 및 비교 제조예 5에 따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각의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직사각형의 파우치(가로 7cm, 세로 14cm)를 제조하였고, 여기에 암모니아 성분이 함유된 염모제를 충전한 후 열 봉합하여 샘플(각 20 개씩)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파우치의 열 봉합은 온도 180 ℃ 및 압력 2 kgf/㎠의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였고, 각각의 열 봉합 상태를 육안 관찰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리고, 열 봉합 상태가 양호한 샘플 각 10 개씩을 50 ℃의 항온기에서 7일 동안 경시한 후, 샘플을 개봉하여 염모제를 제거하고 적층 필름의 층 박리 여부를 육안 관찰하였다.
상기 열 봉합 상태 및 층 분리 여부에 대한 관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적층 필름 씰링층 열 봉합 상태
(불량수/시료수)
층 박리 여부
(박리 발생수/시료수)
실시예 1 제조예 1
(LLDPE: HDPE = 95:5)
0 / 20 1 / 10
실시예 2 제조예 2
(LLDPE: HDPE = 90:10)
0 / 20 0 / 10
실시예 3 제조예 3
(LLDPE: HDPE = 80:20)
0 / 20 0 / 10
실시예 4 제조예 4
(LLDPE: HDPE = 70:30)
0 / 20 0 / 10
비교예 1 비교 제조예 1
(LLDPE: HDPE = 100:0)
0 / 20 9 / 10
비교예 2 비교 제조예 2
(LLDPE: HDPE = 97:3)
0 / 20 5 / 10
비교예 3 비교 제조예 3
(LLDPE: HDPE = 65:35)
2 / 20 0 / 10
비교예 4 비교 제조예 4
(LLDPE: HDPE = 60:40)
7 / 20 0 / 10
비교예 5 비교 제조예 5
(LLDPE: HDPE = 0:100)
14 / 20 0 / 10
상기 표 1에 나타낸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적층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열 봉합 상태가 우수하면서도 층 박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비하여, 염모제와 접하는 면에 적층된 층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지 않는 필름(비교예 1)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는 필름(비교예 2 내지 4)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만으로 이루어진 필름(비교예 5)을 사용한 경우에는 각각 열 봉합 상태가 불량하거나 층 박리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7)

  1. 2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중 어느 두 층 사이에 적층된 금속 박막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중 염모제와 접촉하는 면에 적층된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70 내지 95 중량%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0.940 내지 0.960 g/㎤의 밀도를 갖는 적층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0.05 내지 2 g/10min의 용융지수를 갖는 적층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층은 알루미늄 박막 또는 니켈 박막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모제와 접하는 면에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보강층; 상기 금속 박막층; 및 표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보강층 및 표면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
  7. 제 1 항에 따른 적층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염모제용 파우치.
KR1020120015990A 2012-02-16 2012-02-16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Active KR101917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990A KR101917309B1 (ko) 2012-02-16 2012-02-16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990A KR101917309B1 (ko) 2012-02-16 2012-02-16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605A true KR20130094605A (ko) 2013-08-26
KR101917309B1 KR101917309B1 (ko) 2018-11-09

Family

ID=4921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990A Active KR101917309B1 (ko) 2012-02-16 2012-02-16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3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886A (ja) * 1992-12-28 1994-09-06 Mitsui Petrochem Ind Ltd 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JP2002362596A (ja) * 2001-06-04 2002-12-18 Hoyu Co Ltd チューブ容器
JP2004236870A (ja) * 2003-02-06 2004-08-26 Takeuchi Press Ind Co Ltd エアゾール容器の内筒
JP2005231644A (ja) * 2004-02-17 2005-09-02 Toyo Seikan Kaisha Ltd 染毛剤における二重構造エアゾール缶容器及びエアゾール缶容器に収納される内装パウチ
JP2010137886A (ja) * 2008-12-11 2010-06-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ラミネート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886A (ja) * 1992-12-28 1994-09-06 Mitsui Petrochem Ind Ltd 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JP2002362596A (ja) * 2001-06-04 2002-12-18 Hoyu Co Ltd チューブ容器
JP2004236870A (ja) * 2003-02-06 2004-08-26 Takeuchi Press Ind Co Ltd エアゾール容器の内筒
JP2005231644A (ja) * 2004-02-17 2005-09-02 Toyo Seikan Kaisha Ltd 染毛剤における二重構造エアゾール缶容器及びエアゾール缶容器に収納される内装パウチ
JP2010137886A (ja) * 2008-12-11 2010-06-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ラミネートチュー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309B1 (ko) 201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3307B2 (ja) 無延伸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
EP2837578B1 (en) Cover material for packaging container for retortion
US8877308B2 (en) Easily opened multilayer laminated package
JP6798967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袋
CN103347692B (zh) 氧吸收性膜、氧吸收性层积体、由氧吸收性层积体构成的氧吸收性包装材料以及氧吸收性树脂组合物
JP2009096155A (ja) 多層積層フィルム
CN109291597A (zh) 一种耐介质的软包装复合膜及其制备方法
JP6933282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包装材及び包装袋
KR102207230B1 (ko) 주류 포장용 파우치 필름
US20240425254A1 (en) Printed layered body for packaging
JPH0686109B2 (ja) レトルト殺菌包装材料用複合フィルム積層体
EP4461534A1 (en) Packaging bag laminate, packaging bag, spouted packaging bag, and content-filled spouted packaging bag
KR20130094605A (ko) 염모제 용기 형성용 적층 필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용기
JP2020128069A (ja) 包装材用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CN105252840A (zh) 一种真空压缩袋及其制备方法
CN211764021U (zh) 一种可追溯的高阻隔农药包装膜、由其构成的包装袋
JP2015048094A (ja) 遮光包装袋
CN209320423U (zh) 一种软包装复合膜
JP6035765B2 (ja) 自立性包装袋
JPH0234032Y2 (ko)
KR20110027892A (ko) 의료 수액백용 2차 파우치
EP4461533A1 (en) Layered body for packaging bag, packaging bag, packaging bag with spout, and packaging bag with contents and spout
CN104816525A (zh) 一种高阻隔、易撕裂性塑料软包装复合材料
CN220841722U (zh) 一种铝箔袋
KR102470420B1 (ko) 식품 포장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0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