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036A - Slit-shape nozzle, and thi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Slit-shape nozzle, and thi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4036A KR20130094036A KR1020120015364A KR20120015364A KR20130094036A KR 20130094036 A KR20130094036 A KR 20130094036A KR 1020120015364 A KR1020120015364 A KR 1020120015364A KR 20120015364 A KR20120015364 A KR 20120015364A KR 20130094036 A KR20130094036 A KR 201300940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t
- forming step
- silicon layer
- nozzle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4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8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10021421 mono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8 low pressure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20 plasma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2050 hydrofluo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84 ion-beam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ALUPQKJBQVOJV-UHFFFAOYSA-N lithium;oxotin Chemical compound [Li].[Sn]=O HALUPQKJBQVO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279 wet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000617550 Dictyostelium discoideum Presenili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PJSUIGXIBEQAC-UHFFFAOYSA-N n-(2,4-dichloro-5-propan-2-yloxyphen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C(C)OC1=CC(NC(C)=O)=C(Cl)C=C1Cl QPJSUIGXIBEQ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9 wet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201—Structure of print heads with piezoelectric elements
- B41J2/14233—Structure of print heads with piezoelectric elements of film type, deformed by bending and disposed on a diaphrag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76—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of electrostatic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032—Structure of the pressure chamber
- B41J2/1404—Geometrical characterist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088—Structure of heating means
- B41J2/14112—Resistive element
- B41J2/14137—Resistor surrounding the nozzle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33—Structure of nozzle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01—Production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603—Production of bubble jet print heads of the front shooter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07—Production of print heads with piezoelectric elements
- B41J2/161—Production of print heads with piezoelectric elements of film type, deformed by bending and disposed on a diaphrag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4—Manufacturing processes thin film formation
- B41J2/1643—Manufacturing processes thin film formation thin film formation by p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릿형 노즐은 공급되는 잉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챔버;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잉크에 전하를 부여하도록 상기 챔버에 결합되는 도전막; 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어 상기 잉크가 토출되는 슬릿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슬릿의 끝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노즐 막힘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잉크의 토출이 원활하도록 하고, 특히 , 전기수력학 방식의 잉크젯 인쇄에서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노즐의 클리닝이 용이하도록 하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The slit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amber including a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supplied ink, and a dischar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 conductive film coupled to the chamber to impart charge to the ink contain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an applied power sourc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with a slant to form a slit to discharge the ink as well as narrower toward the end of the sl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for producing this .
Thereby, there is provided a slit-type nozzle capable of suppressing or preventing a nozzle clogging phenomenon, facilitating ejection of ink, and particularly increasing its effect in electrohydraulic inkjet print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urther, there is provided a slit-shaped nozzle for facilitating cleaning of a nozz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전기수력학 방식의 잉크젯 인쇄에서 적 잉크젯 장치에서 노즐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노즐 막힘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잉크의 토출이 원활하도록 하며, 노즐의 클리닝이 용이하도록 하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t type nozz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t type nozz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lit type nozzle, To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nozz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잉크젯 인쇄에서 잉크 액적은 잉크젯 프린터에 나란하게 배열된 노즐로부터 용지 등의 기록매체 상에 토출된다. 토출된 잉크 액적은 "도트(dot)" 라고 불리우는 점을 형성하여 문자 및 화상을 기록한다. 잉크젯 인쇄는 다른 인쇄 방법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고, 품질이 높으며, 컬러 화상의 형성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잉크젯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는 수용성 염료 또는 안료를 물 및 수용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조한다.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Generally, in inkjet printing, ink droplets are ejected onto recording media such as paper from nozzles arranged side by side in an inkjet printer. The discharged ink droplets form points called "dots" to record characters and images. Inkjet printing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less expensive than other printing methods, has high quality, and is easy to form color images. The ink used for inkjet printing is prepar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a water-soluble dye or pigment in a solvent containing water and a water-soluble organic solvent. If necessary, an additive such as a surfactant may be added.
여기서 잉크젯 인쇄는, 잉크 액적을 토출시키는 방법에 따라, 압전 (piezoeletric) 소자를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압전 방식, 발열 소자를 이용하여 잉크를 토출시키는 열 방식, 잉크에 전하를 부여하고 전기수력학적(EHD, electrohydrodynamic) 압력을 이용하여 전하를 갖는 잉크가 토출되도록 하는 전기수력학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Here, inkjet printing is classified into a piezoelectric method in which ink is ejected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in accordance with a method of ejecting ink droplets, a thermal method in which ink is ejected using a heating element, And an electrohydraulic method in which an ink having a charge is ejected using an electrohydrodynamic (EHD) pressure.
특히, 전기수력학 방식의 잉크젯 인쇄는 다른 방식의 잉크젯 인쇄에 비해 점도가 높은 잉크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electrohydraulic inkjet printing has an advantage of using an ink having a higher viscosity than other inkjet printing methods.
하지만, 종래의 잉크젯 인쇄에서 보면, 노즐에서 잉크가 토출되는 부분이 관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잉크 토출시 노즐 막힘 현상이 발생되고 잉크의 토출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기수력학 방식의 잉크젯 인쇄에서는 고점도의 잉크를 사용함에 따라 상술한 문제점이 더욱 빈번히 발생되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k-jet printing, there is a problem that clogging of the ink discharge nozzle occurs and discharge of the ink is hindered as a portion in which the ink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is formed in a tube shap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inkjet printing of the electrohydraulic method,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re more frequently caused by using the ink having a high viscosity.
또한, 관 형태의 노즐에서는 노즐의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nozzle cleaning is difficult in a tubular nozzl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즐 막힘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잉크의 토출이 원활하도록 하고, 특히 , 전기수력학 방식의 잉크젯 인쇄에서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k jet printing method capable of suppressing or preventing clogging of nozzles, facilitating ejection of in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노즐의 클리닝이 용이하도록 하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lit-shaped nozzle for facilitating cleaning of the nozz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공급되는 잉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챔버;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잉크에 전하를 부여하도록 상기 챔버에 결합되는 도전막; 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어 상기 잉크가 토출되는 슬릿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슬릿의 끝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노즐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amber comprising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supplied ink, and a dischar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 conductive film coupled to the chamber to impart charge to the ink contain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an applied power source; The discharge unit is achieved by the slit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end of the slit as well as the slit through which the ink is discharg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여기서, 상기 슬릿의 끝단부에서 상기 토출부의 폭은 상기 슬릿의 폭과 같거나 크고, 상기 토출부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ion at the end of the slit is preferab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lit, and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portion.
여기서, 상기 챔버는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바디; 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hamber is a support body coupled to support the body portion;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토출부에서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upport body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ion.
여기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는 공급홀을 형성하는 제1도전부와, 상기 토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릿이 형성되는 제2도전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ductive film may include at least one conductive portion of a first conductive portio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forming a supply hol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conductive portion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ion to form the slit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결정 실리콘과 n-type의 단결정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제1실리콘층을 이용하여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층의 표면에 산화막층이 형성되도록 열을 가하는 산화막형성단계; 상기 산화막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산화막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에칭단계; 상기 에칭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실리콘층 상에 제2실리콘층과 도전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베이스형성단계;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도전층에 공급부과 제1슬릿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1슬릿형성단계; 상기 제1슬릿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2실리콘층에 수용부과 제2슬릿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실리콘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2슬릿형성단계;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남아있는 상기 산화막층을 제거하는 부식단계;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슬릿부 또는 상기 제2슬릿부의 끝단부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2실리콘층과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노즐팁형성단계; 포함하는 슬릿형 노즐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it-type nozzle using a first silicon layer formed of any one of polycrystalline silicon and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An oxide film forming step of applying heat to form an oxide film layer on the substrate; An etch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oxide layer after the oxide film forming step; A base forming step of sequentially laminating a second silicon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silicon layer after the etching step; A first slit form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so as to form a supply part and a first slit part in the conductive layer after the base forming step; A second slit form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second silicon layer so that an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slit part are formed in the second silicon layer after the first slit forming step; A corrosion step of removing the remaining oxide layer after the base forming step; A nozzle tip form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second silicon layer and the conductive layer to narrow the width at an end of the first slit portion or the second slit portion after the base forming step; It is achiev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lit-type nozzle containing.
여기서, 상기 제2실리콘층은 다결정 실리콘과 n-type의 단결정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실리콘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silicon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polycrystalline silicon and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결정 실리콘과 n-type의 단결정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제1실리콘층을 이용하여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실리콘층에 도전층을 적층하는 베이스형성단계;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도전층에 공급부과 제1슬릿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1슬릿형성단계; 상기 제1슬릿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실리콘층에 수용부과 제2슬릿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실리콘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2슬릿형성단계;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슬릿부 또는 상기 제2슬릿부의 끝단부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1실리콘층과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노즐팁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슬릿형 노즐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it-shaped nozzle using a first silicon layer formed of any one of polycrystalline silicon and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 A base forming step of laminat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silicon layer after the processing step; A first slit form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so as to form a supply part and a first slit part in the conductive layer after the base forming step; A second slit forming step of removing a part of the first silicon layer after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o that an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slit part are formed in the first silicon layer; A nozzle tip form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first silicon layer and the conductive layer to narrow the width at an end of the first slit portion or the second slit portion after the base forming step;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it-shaped nozzle.
여기서, 상기 가공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실리콘층을 뒤집는 반전단계; 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version step of inverting the first silicon layer after the processing step;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도전막처리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슬릿형성단계는 상기 도전막처리단계를 거쳐 제거되는 도전층에 따라 공급부와 제1슬릿부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ductive film treatment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after the base forming step; And the first slit forming step may form one of the supplying part and the first slit part according to the conductive layer removed through the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여기서,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개별의 노즐로 분리되도록 상기 제1실리콘층을 절단하는 챔버형성단계; 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hamber forming step of cutting the first silicon layer to be separated into a separate nozzle after the base forming step;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 막힘 현상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잉크의 토출이 원활하도록 하고, 특히 , 전기수력학 방식의 잉크젯 인쇄에서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it-type nozzle capable of suppressing or preventing the clogging of nozzles, facilitating ejection of ink, and particularly increasing its effect in electrohydraulic inkjet print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또한, 노즐의 클리닝이 용이하도록 하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slit-shaped nozzle for facilitating cleaning of a nozz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토출되는 잉크의 액적 크기를 줄이고 인쇄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There is also provided a slit type nozzle capable of reducing the droplet size of ink to be ejected and improving the printing accurac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전기수력학 방식의 잉크젯 인쇄에서 반복되는 잉크 토출에서도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노즐의 끝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There is also provided a slit-type nozzle capable of suppressing or preventing breakage of an end of a nozzle by a power source applied even in ink ejection repeated in an electrohydraulic inkjet print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슬릿만을 형성하므로 노즐을 미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Further, a slit-shaped nozzle capable of finely manufacturing a nozzle is provide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s provided.
또한, 노즐의 제작이 간편하도록 하는 슬릿형 노즐 및 이것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Further, there is provided a slit-shaped nozzle for facilitating the manufacture of the nozz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콘기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화막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칭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슬릿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슬릿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식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팁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t-shaped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ilicon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xide film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tch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se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slit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slit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rros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nozzle tip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노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lit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노즐은 챔버(2)와, 도전막(3)을 포함한다. 여기서 챔버(2)는 지지바디(1)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t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slit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챔버(2)는 공급되는 잉크가 토출될 수 있도록 잉크의 토출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다결정 실리콘(poly-silicon) 또는 n-type의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웨이퍼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챔버(2)는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할 수 있다.The
챔버(2)는 몸체부(21)와 토출부(22)를 포함한다. 몸체부(21)는 공급되는 잉크가 수용되는 수용홈(23)이 형성된다. 토출부(22)는 몸체부(21)에서 연장 형성된다. 토출부(22)는 제공되는 웨이퍼의 일부를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토출부(22)는 수용홈(23)과 연통되어 잉크가 토출되는 슬릿(SP)이 형성됨은 물론 슬릿(SP)의 끝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SL)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Here, the
이때, 슬릿(SP)의 끝단부에서 토출부(22)의 폭(W2)은 슬릿(SP)의 폭(W1)과 같거나 크고, 토출부(22)의 두께(t)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잉크가 토출될 때, 액적의 크기는 슬릿(SP)의 폭(W1)보다는 슬릿(SP)의 끝단부에서 토출부(22)의 폭(W2)에 따라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width W2 of the
도전막(3)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잉크에 전하를 부여하도록 챔버(2)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도전부(31)와 제2도전부(32)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를 포함한다. 제1도전부(31)는 몸체부(21)에 결합되고, 몸체부(21)에 형성되는 수용홈(23)과 연통되는 공급홀(33)을 형성한다. 제2도전부(32)는 토출부(22)에 결합되고, 토출부(22)에 형성되는 슬릿(SP)과 연통되는 슬릿(SP)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전막(3)이 제1도전부(31)와 제2도전부(32)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제1도전부(31)와 제2도전부(32)는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토출부(22)에 제2도전부(32)가 형성되는 경우, 토출부(22)의 두께(t)는 제2도전부(32)의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지지바디(1)는 몸체부(21)를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지지바디(1)는 토출부(22)에서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디(1)는 다결정 실리콘(poly-silicon) 또는 n-type의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웨이퍼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지지바디(1)가 더 형성되는 경우, 챔버(2)는 다결정 실리콘(poly-silicon) 또는 n-type의 단결정 실리콘이 지지바디(1)에 적층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1) is coupled to support the body part (21). The support body 1 may b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다음으로 상술한 구조의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lit-shaped nozzl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첫번째, 제1실리콘층(SB)에 제2실리콘층(PS)이 적층되는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case where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 silicon layer (PS) is laminated on a first silicon layer SB will be described.
첫번째 방법으로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방법은 산화막형성단계(S1)와, 에칭단계(S2)와, 베이스형성단계(S3)와, 제1슬릿형성단계(S4)와, 제2슬릿형성단계(S5)와, 부식단계(S6)와, 노즐팁형성단계(S7)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전막처리단계(S3-1)와, 챔버형성단계(S3-2)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it nozzle according to a first method includes forming an oxide film S1, an etching step S2, a base forming step S3, a first slit forming step S4, and a second slit forming step S5, a corrosion step S6, and a nozzle tip forming step S7. 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S3-1 and a chamber forming step S3-2.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실리콘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화막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칭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슬릿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슬릿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식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팁형성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silic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silico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xide film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tch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slit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ep of forming a second sl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tch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nozzle tip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첫번째 방법에 따라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경우, 제1실리콘층(SB)은 다결정 실리콘(poly-silicon)과 n-type의 단결정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웨이퍼로 구성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에 사용되는 제1실리콘층(SB)은 n-type의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웨이퍼로 형성될 수 있다. n-type의 단결정 실리콘은 매우 얇고 효율이 높은 웨이퍼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실리콘층(SB)은 가공이 완료되면 상술한 지지바디(1)를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slit-shaped nozzle according to the first method, the first silicon layer SB is composed of a wafer made of either silicon of poly-silicon or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 The first silicon layer SB used in the first method may be formed of a wafer made of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The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can form a very thin and highly efficient wafer. The first silicon layer SB forms the above-described supporting body 1 when the processing is completed.
제1실리콘층(SB)의 두께는 약 300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1실리콘층(SB)의 두께를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공되는 웨이퍼의 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silicon layer SB may be about 300 micrometers.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first silicon layer SB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wafer to be provided.
도 3을 참조하면, 산화막형성단계(S1)는 제1실리콘층(SB)의 표면에 산화막층(TO)이 형성되도록 열을 가한다. 산화막형성단계(S1)는 고온에서 산소나 수증기를 주입시키고 열을 가하여 제1실리콘층(SB) 표면에 얇고 균일한 실리콘산화막(SiO2)을 형성할 수 있다. 산화막형성단계(S1)는 건조한 산소를 주입하여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건조산화(dry oxidation) 방법과, 수증기를 주입하여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습식산화(wet oxidation)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oxide film forming step S1, heat is applied to form an oxide film layer TO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ilicon layer SB. In the oxide film forming step S1, a thin and uniform silicon oxide film (SiO2) can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ilicon layer SB by injecting oxygen or steam at a high temperature and applying heat. The oxide film forming step S1 may be classified into a dry oxidation method of inducing an oxidation reaction by injecting dry oxygen and a wet oxidation method of inducing an oxidation reaction by injecting steam.
건조산화(dry oxidation) 방법은 좋은 품질의 산화막을 형성시킬 수 있고, 습식산화(wet oxidation) 방법은 매우 빠른 속도로 산화막을 성장시킬 수 있다.The dry oxidation method can form a good quality oxide film, and the wet oxidation method can grow the oxide film very rapidly.
산화막층(TO)의 두께는 약 0.2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산화 방법으로 형성되는 산화막층(TO)은 산화막층(TO) 두께의 0.54 배가 성장되고, 산화막층(TO) 두께의 0.46 배는 제1실리콘층(SB)을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layer TO may be about 0.2 micrometer. The oxide film layer TO formed by the oxidation method described above is grown 0.54 times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layer TO and 0.46 times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layer TO can be formed by deforming the first silicon layer SB have.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에칭단계(S2)는 산화막층(TO)의 일부를 제거한다. 에칭단계(S2)에서는 공지된 다양한 에칭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산화막층(TO)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첫번째 방법에서 에칭단계(S2)는 산화막층(TO)에 포토레지스트(PR)를 적층하고, 에칭액을 이용하는 습식에칭(wet etching)의 방법으로 산화막층(TO)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산화막층(TO)의 일부가 제거되고 나면 포토레지스트(PR)를 제거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etching step S2 removes a part of the oxide film layer TO. In the etching step S2, it is sufficient that a part of the oxide film layer TO can be removed by one of various known etching methods. In the first method, the etching step S2 can remove a part of the oxide film layer TO by a method of laminating a photoresist PR on the oxide film layer TO and wet etching using an etching solution. After the oxide film layer TO is partially removed, the photoresist PR is removed.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형성단계(S3)는 에칭단계(S2)를 거친 제1실리콘층(SB) 상에 제2실리콘층(PS)과 도전층(CR)을 차례로 적층한다. 베이스형성단계(S3)는 공지된 다양한 증착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제2실리콘층(PS)과 도전층(CR)을 형성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에서는 저압화학기상증착(LPCVD,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통해 제2실리콘층(PS)과 도전층(CR)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base forming step S3 includes sequentially laminating the second silicon layer PS and the conductive layer CR on the first silicon layer SB through the etching step S2. The base forming step S3 may form the second silicon layer PS and the conductive layer CR by one of various known deposition methods. In the first method, the second silicon layer (PS) and the conductive layer (CR) can be formed through LPCVD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여기서 제2실리콘층(PS)은 다결정 실리콘(poly-silicon)과 n-type의 단결정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실리콘이 제1실리콘층(SB)에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에서 제2실리콘층(PS)은 다결정 실리콘(poly-silicon)이 제1실리콘층(SB)에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실리콘층(PS)은 가공이 완료되면 상술한 챔버(2)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적층되는 제2실리콘층(PS)의 두께에 의해 몸체부(21)와 토출부(22)의 두께가 각각 설정된다. 이때, 제2실리콘층(PS)은 산화막층(TO)에 의해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몸체부(21)에는 수용홈(23)을 형성하고, 토출부(22)에는 슬릿(SP)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잉크가 토출될 때 액적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남아있는 산화막층(TO)에 의해 제2실리콘층(PS)이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silicon layer PS may be formed by stacking one of polysilicon and n-type single-crystal silicon on the first silicon layer SB. In the first method, the second silicon layer (PS) may be such that poly-silicon is deposited on the first silicon layer SB. The second silicon layer (PS) makes it possible to form the above-mentioned
첫번째 방법에서 제2실리콘층(PS)에 의해 형성되는 몸체부(21)와 토출부(22)의 두께는 각각 약 4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몸체부(21)의 두께는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공되는 웨이퍼의 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와 토출부(22)는 적층되는 도전층(CR)을 통해 정전기력이 발생될 때, 정전기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In the first method, the thicknesses of the
그리고 도전층(CR)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잉크에 전하를 부여하도록 하는 도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고, 제2실리콘층(PS)에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층(CR)은 공지된 다양한 도전성을 갖는 물질 중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에서 도전층(CR)은 리튬티탄산화물(LTO, lithium tianium oxide)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형성단계(S3)를 거쳐 제2실리콘층(PS)에 적층되는 도전층(CR)은 상술한 도전막(3)을 형성하게 된다. 베이스형성단계(S3)는 제2실리콘층(PS)에 도전층(CR)이 적층됨으로써, 몸체부(21)와 토출부(22)에 모두 도전막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 CR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imparting electric charge to the ink by an applied power source, and may be laminated on the second silicon layer PS. Here, the conductive layer CR may be formed of one of materials having various known conductive properties. In the first method, the conductive layer (CR) may be formed of lithium tin oxide (LTO). The conductive layer CR deposited on the second silicon layer PS through the base forming step S3 forms the
첫번째 방법에서 도전막(3)의 두께는 약 0.8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막(3)의 두께는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용이하게 잉크에 전하를 부여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여기서 토출부(22)에 도전막(3)이 형성되는 경우, 토출부(22)의 두께(t)는 도전막(3)의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first method, the thickness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제1슬릿형성단계(S4)는 베이스형성단계(S3)를 거친 다음 도전층(CR)에 공급부(SU)과 제1슬릿부(SP1)가 형성되도록 도전층(CR)의 일부를 제거한다. 이때, 제1슬릿형성단계(S4)는 공지된 다양한 제거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공급부(SU)와 제1슬릿부(SP1)를 형성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건식에칭(dry etching)을 통해 도전층(CR)에 공급부(SU)와 제1슬릿부(SP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릿형성단계(S4)를 거쳐 도전층(CR)에 형성되는 공급부(SU)와 제1슬릿부(SP1)는 각각 제1도전부(9)에 형성되는 공급홀(33)과 제2도전부(32)에 형성되는 슬릿(SP)을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includes forming a conductive layer CR such that a supply portion SU and a first slit portion SP1 are formed in the conductive layer CR after the base forming step S3, Lt; / RTI > At this time,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may form the supply part SU and the first slit part SP1 by one of various known removing methods. In the first method, a supply portion SU and a first slit portion SP1 can be formed in the conductive layer CR by dry etching using a laser. The supply portion SU and the first slit portion SP1 formed in the conductive layer CR through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are formed in the first conductive portion 9 as shown in Figure 8B, A slit SP formed in the supply hole 33 and the second
첫번째 방법에서 제2도전부(32)에 형성되는 슬릿(SP)의 폭(W1)은 약 1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슬릿(SP)의 폭(W1)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잉크의 점도 또는 잉크가 토출될 때의 액적 크기를 고려하여 슬릿(SP)의 폭(W1)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e first method, the width W1 of the slit SP formed in the second
도 8을 참조하면, 제2슬릿형성단계(S5)는 제1슬릿형성단계(S4)를 거친 다음, 제2실리콘층(PS)에 수용부(AP)과 제2슬릿부(SP2)가 형성되도록 제2실리콘층(PS)의 일부를 제거한다. 이때, 제2슬릿형성단계(S5)는 공지된 다양한 제거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수용부(AP)와 제2슬릿부(SP2)를 형성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에서는 반응이온에칭(RIE, reactive ion etching)을 통해 제2실리콘층(PS)에 수용부(AP)와 제2슬릿부(SP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릿형성단계(S5)를 거쳐 제2실리콘층(PS)에 형성되는 수용부(AP)와 제2슬릿부(SP2)는 각각 몸체부(21)에 형성되는 수용홈(23)과 토출부(22)에 형성되는 슬릿(SP)을 형성하게 된다. 제2슬릿형성단계(S5)의 특성으로 볼 때, 상술한 공급부(SU)가 형성된 부분에서 수용부(AP)가 형성되고, 제1슬릿부(SP1)가 형성된 부분에서 제2슬릿부(SP2)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in the second slit forming step S5, after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the accommodating part AP and the second slit part SP2 are formed in the second silicon layer PS A portion of the second silicon layer (PS) is removed. At this time, the second slit forming step S5 may form the receiving part AP and the second slit part SP2 by one of various known removing methods. In the first method, the accommodating part AP and the second slit part SP2 can be formed in the second silicon layer PS through reactive ion etching (RIE). The receiving portion AP and the second slit portion SP2 formed in the second silicon layer PS through the second slit forming step S5 as shown in Figure 8 (b) The slit SP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23 and the discharging
첫번째 방법에서 토출부(22)에 형성되는 슬릿(SP)의 폭(W1)은 약 1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슬릿(SP)의 폭(W1)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잉크의 점도 또는 잉크가 토출될 때의 액적 크기를 고려하여 슬릿(SP)의 폭(W1)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e first method, the width W1 of the slit SP formed in the
도 9를 참조하면, 부식단계(S6)는 남아있는 산화막층(TO)을 제거한다. 부식단계(S6)는 베이스형성단계(S3)와, 제1슬릿형성단계(S4)와, 제2슬릿형성단계(S5)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거친 다음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부식단계(S6)는 공지된 다양한 제거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남아있는 산화막층(TO)을 제거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에서는 금속세정제인 불산희석액을 사용하여 남아있는 산화막층(TO)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불산희석액은 불산(HF)과 물(H2O)을 1:1 로 혼합한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불산희석액은 산화막층(TO)을 제거하면서 물을 생성하게 된다.(반응식은 4HF + SiO2 --> SiF4 + 2H2O)Referring to FIG. 9, the corrosion step S6 removes the remaining oxide layer TO. The erosion step S6 may be performed after either the base forming step S3,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or the second slit forming step S5. At this time, the corrosion step (S6) can remove the remaining oxide layer (TO) by one of various known removal methods. In the first method, the remaining oxide layer (TO) can be removed using a fluoric acid diluent, which is a metal detergent. Here, a solution of hydrofluoric acid (HF) and water (H2O) in a 1: 1 ratio may be used. The hydrofluoric acid diluent produces water by removing the oxide film layer (TO) (reaction formula: 4HF + SiO 2 -> SiF 4 + 2H 2 O)
남아있는 산화막층(TO)이 제거됨에 따라 제1실리콘층(SB)과 제2실리콘층(PS) 사이에는 간격부(GAP)를 형성하게 된다.
As the remaining oxide layer TO is removed, a gap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ilicon layer SB and the second silicon layer PS.
도 10을 참조하면, 노즐팁형성단계(S7)는 제1슬릿부(SP1) 또는 제2슬릿부(SP2)의 끝단부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제2실리콘층(PS)과 도전층(CR)의 일부를 제거한다. 노즐팁형성단계(S7)는 베이스형성단계(S3)와, 제1슬릿형성단계(S4)와, 제2슬릿형성단계(S5)와, 부식단계(S6)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거친 다음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노즐팁형성단계(S7)는 공지된 다양한 제거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제1슬릿부(SP1) 또는 제2슬릿부(SP2)의 끝단부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에서는 집속이온빔(FIB, focused ion beam)을 이용하여 제1슬릿부(SP1) 또는 제2슬릿부(SP2)의 끝단부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할 수 있다. 노즐팁형성단계(S7)를 거쳐 제2실리콘층(PS)과 도전층(CR)의 일부가 제거됨에 따라 상술한 토출부(22)와 제2도전부(32)에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10, the nozzle tip forming step S7 may include forming the second silicon layer PS and the conductive layer CR such that the width is narrow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slit portion SP1 or the second slit portion SP2, Lt; / RTI > The nozzle tip forming step S7 is performed after either the base forming step S3,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the second slit forming step S5, or the etching step S6 . At this time, the nozzle tip forming step S7 may be performed by narrowing the width of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slit portion SP1 or the second slit portion SP2 by one of various known removal methods. In the first method, the width of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slit portion SP1 or the second slit portion SP2 can be narrowed by using a focused ion beam (FIB). A portion of the second silicon layer PS and the conductive layer CR is removed through the nozzle tip forming step S7 to form the inclined surfaces in the
첫번째 방법에서 제1슬릿부(SP1) 또는 제2슬릿부(SP2)의 끝단부에서 토출부(22)의 폭(W2)은 형성된 슬릿(SP)의 폭(W1)과 같거나 크고, 토출부(22)의 두께(t)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토출부(22)에 도전막(3)을 형성하는 경우, 토출부(22)의 두께(t)는 도전막(3)의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dth W2 of the
여기서 첫번째 방법으로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경우, 도전막처리단계(S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전막처리단계(S3-1)는 몸체부(21)와 토출부(22) 중 어느 하나에 도전막(3)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2실리콘층(PS)에 적층된 도전층(CR)의 일부를 제거한다. 도전막처리단계(S3-1)는 베이스형성단계(S3)를 거친 다음 진행될 수 있다.Here, in the case where the slit nozzle is manufactured by the first method, it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S3-1). The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S3-1 may include a conductive layer CR stacked on the second silicon layer PS so that the
그러면, 제1슬릿형성단계(S4)에서는 도전막처리단계(S3-1)를 거쳐 제거되는 도전층(CR)에 따라 공급부(SU)와 제1슬릿부(SP1)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제1슬릿형성단계(S4)에서는 도전막처리단계(S3-1)에 따라 도전층(CR)이 몸체부(21)에 형성되는 경우, 도전층(CR)에 공급부(SU)가 형성되도록 하고, 도전층(CR)이 토출부(22)에 형성되는 경우, 도전층(CR)에 제1슬릿부(SP1)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슬릿형성단계(S5)에서는 수용부(AP)와 제2슬릿부(SP2)가 모두 형성된다.
Then, in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either the supplying part SU or the first slit part SP1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onductive layer CR removed through the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S3-1 . In other words, in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when the conductive layer CR is formed on the
또한, 첫번째 방법으로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경우, 챔버형성단계(S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챔버형성단계(S3-2)는 개별의 노즐로 분리되도록 제1실리콘층(SB)을 절단한다. 챔버형성단계(S3-2)는 베이스형성단계(S3)와, 도전막처리단계(S3-1)와, 제1슬릿형성단계와, 제2슬릿형성단계(S5)와, 부식단계(S6)와, 노즐팁형성단계(S7)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거친 다음 진행될 수 있다. 챔버형성단계(S3-2)는 하나의 웨이퍼에서 다수의 노즐을 형성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slit nozzle is manufactured by the first method, it may further include a chamber forming step (S3-2). Referring to FIG. 10, the chamber forming step S3-2 cuts the first silicon layer SB so as to be separated into individual nozzles. The chamber forming step S3-2 includes a base forming step S3, a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S3-1, a first slit forming step, a second slit forming step S5, a corrosion step S6, And a nozzle tip forming step (S7). The chamber forming step S3-2 may form a plurality of nozzles in one wafer.
챔버형성단계(S3-2)는 간격부(GAP)에 대응되는 제1실리콘층(SB)을 절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도록 절단할 수 있다.
The chamber forming step S3-2 may cut the first silicon layer SB corresponding to the gap GAP and cut the nozzle to show the planar shape of the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두번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실리콘층(SB)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두번째 방법으로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방법은 가공단계(S1-1)와, 베이스형성단계(S3)와, 제1슬릿형성단계(S4)와, 제2슬릿형성단계(S5)와, 노즐팁형성단계(S7)를 포함한다. 여기서 반전단계(S1-2)와, 도전막처리단계(S3-1)와, 챔버형성단계(S3-2)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econdly, although not shown, the case where only the first silicon layer SB is used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it-shaped nozzle in a second method includes a processing step S1-1, a base forming step S3, a first slit forming step S4, a second slit forming step S5, Forming step S7.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version step (S1-2), a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S3-1), and a chamber forming step (S3-2).
두번째 방법에 따라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경우, 제1실리콘층(SB)은 다결정 실리콘(poly-silicon)과 n-type의 단결정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웨이퍼로 구성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에서 제1실리콘층(SB)은 n-type의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웨이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slit nozzle according to the second method, the first silicon layer SB may be composed of a wafer made of either silicon of poly-silicon or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In the second method, the first silicon layer SB may be formed of a wafer made of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가공단계(S1-1)는 제공되는 제1실리콘층(SB)의 두께를 조절한다. 이때, 제1실리콘층(SB)은 공지된 다양한 에칭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두께를 조절할 수 있고, 여기서 에칭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가공단계(S1-1)를 거치면서 두께가 조절된 제1실리콘층(SB)은 상술한 챔버(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가공단계(S1-1)를 거치면서 제1실리콘층(SB)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몸체부(21)와 토출부(22)의 두께가 각각 설정된다.Processing step S1-1 adjusts the thickness of the provided first silicon layer SB. At this time, the first silicon layer SB can be controlled in thickness by one of various known etching methods, and the etch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silicon layer SB whose thickness has been adjusted through the processing step S1-1 can form the
두번째 방법에서 몸체부(21)와 토출부(22)의 두께는 각각 약 4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의 두께는 약 300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되고 토출부(22)의 두께는 약 4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몸체부(21)의 두께는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공되는 웨이퍼의 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1)와 토출부(22)는 적층되는 도전층(CR)을 통해 정전기력이 발생될 때, 정전기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In the second method, the thicknesses of the
여기서 몸체부(21)에는 수용홈(23)을 형성하고, 토출부(22)에는 슬릿(SP)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잉크가 토출될 때 액적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몸체부(21)의 두께는 토출부(22)의 두께보다 큰 것이 유리하다.
The slit SP is easily formed in the discharging
베이스형성단계(S3)는 가공단계(S1-1)를 거쳐 두께가 조절된 제1실리콘층(SB)에 도전층(CR)을 적층한다. 이때, 베이스형성단계(S3)는 공지된 다양한 증착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적층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에서는 저압화학기상증착(LPCVD,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통해 도전층(CR)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base forming step S3, the conductive layer CR is laminated on the first silicon layer SB whose thickness has been adjusted through the processing step S1-1. At this time, the base forming step S3 may be laminated by one of various known deposition methods. In the second method, the conductive layer (CR) can be formed through 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도전층(CR)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잉크에 전하를 부여하도록 하는 도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층(CR)은 공지된 다양한 도전성을 갖는 물질 중 하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에서 도전층(CR)은 리튬티탄산화물(LTO, lithium tianium oxide)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형성단계(S3)를 거쳐 제1실리콘층(SB)에 적층되는 도전층(CR)은 상술한 도전막(3)을 형성하게 된다. 베이스형성단계(S3)는 거치고 나면 몸체부(21)와 토출부(22)에 모두 도전막(3)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nductive layer CR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which imparts electric charge to the ink by an applied power source. Here, the conductive layer CR may be formed of one of materials having various known conductive properties. In the second method, the conductive layer (CR) may be formed of lithium tin oxide (LTO). The conductive layer CR deposited on the first silicon layer SB through the base forming step S3 forms the
두번째 방법에서 도전막(3)의 두께는 약 0.8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막(3)의 두께는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용이하게 잉크에 전하를 부여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여기서 토출부(22)에 도전막(3)이 형성되는 경우, 토출부(22)의 두께(t)는 도전막(3)의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econd method, the thickness of the
제1슬릿형성단계(S4)는 베이스형성단계(S3)를 거친 다음 도전층(CR)에 공급부(SU)과 제1슬릿부(SP1)가 형성되도록 도전층(CR)의 일부를 제거한다. 이때, 제1슬릿형성단계(S4)는 공지된 다양한 제거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공급부(SU)와 제1슬릿부(SP1)를 형성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건식에칭(dry etching)을 통해 도전층(CR)에 공급부(SU)와 제1슬릿부(SP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슬릿형성단계(S4)를 거쳐 도전층(CR)에 형성되는 공급부(SU)와 제1슬릿부(SP1)는 각각 제1도전부(31)에 형성되는 공급홀(33)과 제2도전부(32)에 형성되는 슬릿(SP)을 형성하게 된다.In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a part of the conductive layer CR is removed so that the supply part SU and the first slit part SP1 are formed in the conductive layer CR after the base forming step S3. At this time,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may form the supply part SU and the first slit part SP1 by one of various known removing methods. In the second method, a supply portion SU and a first slit portion SP1 may be formed in the conductive layer CR by dry etching using a laser. The supply portion SU and the first slit portion SP1 formed in the conductive layer CR through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are formed by the supply hole 33 formed in the first
두번째 방법에서 제2도전부(32)에 형성되는 슬릿(SP)의 폭(W1)은 약 1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슬릿(SP)의 폭(W1)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잉크의 점도 또는 잉크가 토출될 때의 액적 크기를 고려하여 슬릿(SP)의 폭(W1)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e second method, the width W1 of the slit SP formed in the second
제2슬릿형성단계(S5)는 제1슬릿형성단계(S4)를 거친 다음, 제1실리콘층(SB)에 수용부(AP)과 제2슬릿부(SP2)가 형성되도록 제1실리콘층(SB)의 일부를 제거한다. 이때, 제2슬릿형성단계(S5)는 공지된 다양한 제거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수용부(AP)와 제2슬릿부(SP2)를 형성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에서는 반응이온에칭(RIE, reactive ion etching)을 통해 제1실리콘층(SB)에 수용부(AP)와 제2슬릿부(SP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슬릿형성단계(S5)를 거쳐 제1실리콘층(SB)에 형성되는 수용부(AP)와 제2슬릿부(SP2)는 각각 몸체부(21)에 형성되는 수용홈(23)과 토출부(22)에 형성되는 슬릿(SP)을 형성하게 된다. 제2슬릿형성단계(S5)의 특성으로 볼 때, 상술한 공급부(SU)가 형성된 부분에서 수용부(AP)가 형성되고, 제1슬릿부(SP1)가 형성된 부분에서 제2슬릿부(SP2)가 형성된다.In the second slit forming step S5, after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the first silicon layer SB is formed with the first silicon layer SB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AP and the second slit portion SP2 are formed. SB) is removed. At this time, the second slit forming step S5 may form the receiving part AP and the second slit part SP2 by one of various known removing methods. In the second method, the accommodating part AP and the second slit part SP2 may be formed in the first silicon layer SB through reactive ion etching (RIE). The receiving portion AP and the second slit portion SP2 formed in the first silicon layer SB through the second slit forming step S5 are formed by the receiving groove 23 formed in the
두번째 방법에서 토출부(22)에 형성되는 슬릿(SP)의 폭(W1)은 약 1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슬릿(SP)의 폭(W1)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급되는 잉크의 점도 또는 잉크가 토출될 때의 액적 크기를 고려하여 슬릿(SP)의 폭(W1)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e second method, the width W1 of the slit SP formed in the
노즐팁형성단계(S7)는 제1슬릿부(SP1) 또는 제2슬릿부(SP2)의 끝단부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제1실리콘층(SB)과 도전층(CR)의 일부를 제거한다. 노즐팁형성단계(S7)는 베이스형성단계(S3)와, 제1슬릿형성단계(S4)와, 제2슬릿형성단계(S5)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거친 다음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노즐팁형성단계(S7)는 공지된 다양한 제거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제1슬릿부(SP1) 또는 제2슬릿부(SP2)의 끝단부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할 수 있다. 두번째 방법에서는 집속이온빔(FIB, focused ion beam)을 이용하여 제2슬릿부(SP2)의 끝단부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할 수 있다. 노즐팁형성단계(S7)를 거쳐 제1실리콘층(SB)과 도전층(CR)의 일부가 제거됨에 따라 상술한 경사면(SL)을 형성하게 된다.The nozzle tip forming step S7 removes a part of the first silicon layer SB and the conductive layer CR so that the width is narrow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slit portion SP1 or the second slit portion SP2. The nozzle tip forming step S7 may be performed after either the base forming step S3,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or the second slit forming step S5. At this time, the nozzle tip forming step S7 may be performed by narrowing the width of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slit portion SP1 or the second slit portion SP2 by one of various known removal methods. In the second method, the width at the end of the second slit part SP2 can be narrowed by using a focused ion beam (FIB). The first silicon layer SB and the conductive layer CR are partially removed through the nozzle tip forming step S7 to form the inclined plane SL described above.
두번째 방법에서 제1슬릿부(SP1) 또는 제2슬릿부(SP2)의 끝단부에서 토출부(22)의 폭(W2)은 형성된 슬릿(SP)의 폭(W1)과 같거나 크고, 토출부(22)의 두께(t)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토출부(22)에 도전막(3)을 형성하는 경우, 토출부(22)의 두께(t)는 도전막(3)의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dth W2 of the
여기서 두번째 방법으로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경우, 반전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전단계(S1-2)는 두께가 조절된 제1실리콘층(SB)을 뒤집는다. 반전단계(S1-2)는 가공단계(S1-1)를 거친 다음 진행될 수 있다. 반전단계(S1-2)는 두께가 조절된 제1실리콘층(SB)에서 몸체부(21)와 토출부(22)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면, 제2슬릿형성단계(S5)에서 수용부(AP)와 제2슬릿부(SP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Here, in the case where the slit nozzle is manufactured by the second method, it may further include an inversion step (S1-2). The inversion step S1-2 reverses the thickness-adjusted first silicon layer SB. The inversion step S1-2 may be performed after the machining step S1-1. The inversion step S1-2 is advantageously applied to a case where the thicknesses of the
또한, 두번째 방법으로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경우, 도전막처리단계(S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전막처리단계(S3-1)는 몸체부(21)와 토출부(22) 중 어느 하나에 도전막(3)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실리콘층(SB)에 적층된 도전층(CR)의 일부를 제거한다. 도전막처리단계(S3-1)는 베이스형성단계(S3)를 거친 다음 진행될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slit nozzle in the second method, it may further include a conductive film treatment step (S3-1). The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S3-1 may include a conductive layer CR stacked on the first silicon layer SB so that the
그러면, 제1슬릿형성단계(S4)에서는 도전막처리단계(S3-1)를 거쳐 제거되는 도전층(CR)에 따라 공급부(SU)와 제1슬릿부(SP1)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제1슬릿형성단계(S4)에서는 도전막처리단계(S3-1)에 따라 도전층(CR)이 몸체부(21)에 형성되는 경우, 도전층(CR)에 공급부(SU)가 형성되도록 하고, 도전층(CR)이 토출부(22)에 형성되는 경우, 도전층(CR)에 제1슬릿부(SP1)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슬릿형성단계(S5)에서는 수용부(AP)와 제2슬릿부(SP2)가 모두 형성된다.
Then, in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either the supplying part SU or the first slit part SP1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onductive layer CR removed through the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S3-1 . In other words, in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4, when the conductive layer CR is formed on the
또한, 두번째 방법으로 슬릿형 노즐을 제조하는 경우, 챔버형성단계(S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챔버형성단계(S3-2)는 개별의 노즐로 분리되도록 제1실리콘층(SB)을 절단한다. 챔버형성단계(S3-2)는 베이스형성단계(S3)와, 도전막처리단계(S3-1)와, 제1슬릿형성단계(S4)와, 제2슬릿형성단계(S5)와, 노즐팁형성단계(S7)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거친 다음 진행될 수 있다. 챔버형성단계(S3-2)는 하나의 웨이퍼에서 다수의 노즐을 형성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slit nozzle is manufactured by the second method, it may further include a chamber forming step (S3-2). The chamber forming step S3-2 cuts the first silicon layer SB so as to be separated into individual nozzles. The chamber forming step S3-2 includes a base forming step S3, a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S3-1, a first slit forming step S4, a second slit forming step S5, Forming step S7, and the like. The chamber forming step S3-2 may form a plurality of nozzles in one wafer.
챔버형성단계(S3-2)는 간격부(GAP)에 대응되는 제1실리콘층(SB)을 절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도록 절단할 수 있다.
The chamber forming step S3-2 may cut the first silicon layer SB corresponding to the gap GAP and cut the nozzle to show the planar shape of the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which can be modified.
1: 지지바디 2: 챔버 21: 몸체부
22: 토출부 23: 수용홈 3: 도전막
31: 제1도전부 32: 제2도전부 33: 공급홀
SP: 슬릿 SL: 경사면 TO: 산화막층
SB:제1실리콘층 PR: 포토레지스트 PS:제2실리콘층
CR: 도전층 SU: 공급부 SP1: 제1슬릿부
AP: 수용부 SP2: 제2슬릿부 GAP: 간격부
W1: 슬릿의 폭 W2: 토출부의 폭 t: 토출부의 두께
S1: 산화막형성단계 S2: 에칭단계 S3: 베이스형성단계
S4: 제1슬릿형성단계 S5: 제2슬릿형성단계 S6: 부식단계
S7: 노즐팁형성단계 S7-1: 챔버형성단계 S1-1:가공단계
S1-2: 반전단계 S3-1: 도전막처리단계1: Support body 2: Chamber 21: Body part
22: discharging portion 23: receiving groove 3: conductive film
31: first conductive portion 32: second conductive portion 33: supply hole
SP: slit SL: inclined surface TO: oxide film layer
SB: first silicon layer PR: photoresist PS: second silicon layer
CR: conductive layer SU: supply part SP1: first slit part
AP: receiving part SP2: second slit part GAP:
W1: width of slit W2: width of discharge portion t: thickness of discharge portion
S1: Oxidation film forming step S2: Etching step S3: Base forming step
S4: First slit forming step S5: Second slit forming step S6: Corrosion step
S7: nozzle tip forming step S7-1: chamber forming step S1-1: machining step
S1-2: Inversion Step S3-1: Conductive Film Treatment Step
Claims (11)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잉크에 전하를 부여하도록 상기 챔버에 결합되는 도전막; 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어 상기 잉크가 토출되는 슬릿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슬릿의 끝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노즐.A chamber including a body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accommodating supplied ink, and a dischar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 conductive film coupled to the chamber to impart charge to the ink contain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an applied power source; / RTI >
Slit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discharge portion is communicated with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ink is discharged is formed as well as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of the slit.
상기 슬릿의 끝단부에서 상기 토출부의 폭은 상기 슬릿의 폭과 같거나 크고, 상기 토출부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노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discharge portion at the end of the sl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lit an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챔버는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바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노즐.The method of claim 1,
The chamber includes a support body coupled to support the body portion; Slit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토출부에서 이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노즐.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 body is a slit nozz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도전막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는 공급홀을 형성하는 제1도전부와, 상기 토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릿이 형성되는 제2도전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노즐.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nductive film may include at least one conductive part selected from a first conductive part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forming a supply hol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conductive part coupled to the discharge part to form the slit Features a slit-shaped nozzle.
상기 제1실리콘층의 표면에 산화막층이 형성되도록 열을 가하는 산화막형성단계;
상기 산화막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산화막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에칭단계;
상기 에칭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실리콘층 상에 제2실리콘층과 도전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베이스형성단계;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도전층에 공급부과 제1슬릿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1슬릿형성단계;
상기 제1슬릿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2실리콘층에 수용부과 제2슬릿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실리콘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2슬릿형성단계;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남아있는 상기 산화막층을 제거하는 부식단계;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슬릿부 또는 상기 제2슬릿부의 끝단부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2실리콘층과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노즐팁형성단계; 포함하는 슬릿형 노즐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it-type nozzle using a first silicon layer formed of any one of polycrystalline silicon and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An oxide film forming step of applying heat to form an oxide film layer on the surface of the first silicon layer;
An etch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oxide layer after the oxide film forming step;
A base forming step of sequentially laminating a second silicon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silicon layer after the etching step;
A first slit form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so as to form a supply part and a first slit part in the conductive layer after the base forming step;
A second slit form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second silicon layer so that an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slit part are formed in the second silicon layer after the first slit forming step;
A corrosion step of removing the remaining oxide layer after the base forming step;
A nozzle tip form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second silicon layer and the conductive layer to narrow the width at an end of the first slit portion or the second slit portion after the base forming step; Method for producing a slit nozzle comprising.
상기 제2실리콘층은 다결정 실리콘과 n-type의 단결정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노즐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silicon layer is formed of one of polycrystalline silicon and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상기 제1실리콘층의 두께를 조절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실리콘층에 도전층을 적층하는 베이스형성단계;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도전층에 공급부과 제1슬릿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1슬릿형성단계;
상기 제1슬릿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실리콘층에 수용부과 제2슬릿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실리콘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제2슬릿형성단계;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슬릿부 또는 상기 제2슬릿부의 끝단부에서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제1실리콘층과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노즐팁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슬릿형 노즐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it-type nozzle using a first silicon layer formed of any one of polycrystalline silicon and n-type single crystal silicon,
A processing step of adjusting a thickness of the first silicon layer;
A base forming step of laminating a conductive layer on the first silicon layer after the processing step;
A first slit form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so as to form a supply part and a first slit part in the conductive layer after the base forming step;
A second slit forming step of removing a part of the first silicon layer after the first slit forming step, so that an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slit part are formed in the first silicon layer;
A nozzle tip forming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first silicon layer and the conductive layer to narrow the width at an end of the first slit portion or the second slit portion after the base forming step; Wherein the slit-shaped nozzle has a slit-like shape.
상기 가공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1실리콘층을 뒤집는 반전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노즐의 제조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An inversion step of inverting the first silicon layer after the processing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slit-shaped nozzle.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도전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도전막처리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슬릿형성단계는 상기 도전막처리단계를 거쳐 제거되는 도전층에 따라 공급부와 제1슬릿부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노즐 제조방법.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A conductive film treatment step of removing a portion of the conductive layer after the base forming step;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slit forming step forms one of the supply part and the first slit part according to the conductive layer removed through the conductive film processing step.
상기 베이스형성단계를 거친 다음, 개별의 노즐로 분리되도록 상기 제1실리콘층을 절단하는 챔버형성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노즐의 제조방법.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After the base forming step, the chamber forming step of cutting the first silicon layer to be separated into a separate nozzl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slit-shaped nozz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5364A KR101439816B1 (en) | 2012-02-15 | 2012-02-15 | slit-shape nozzle, and this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5364A KR101439816B1 (en) | 2012-02-15 | 2012-02-15 | slit-shape nozzle, and this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4036A true KR20130094036A (en) | 2013-08-23 |
KR101439816B1 KR101439816B1 (en) | 2014-09-11 |
Family
ID=4921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5364A Active KR101439816B1 (en) | 2012-02-15 | 2012-02-15 | slit-shape nozzle, and this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9816B1 (e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70057A (en) * | 2001-06-13 | 2002-12-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Extrusion type nozzle and coating device |
JP2004114375A (en) * | 2002-09-24 | 2004-04-15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Inkjet recording device |
-
2012
- 2012-02-15 KR KR1020120015364A patent/KR101439816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9816B1 (en) | 2014-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97604B1 (en) | Bubble-jet type ink-jet print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10118392B2 (en) | Fluid feed slot for fluid ejection device | |
EP2202076B1 (en) | Liquid discharge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quid discharge head | |
KR20080033111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ink jet print head and ink jet print head | |
KR101941168B1 (en) | Inkjet rinting device | |
KR100374788B1 (en) | Bubble-jet type ink-jet printhea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jection method of the ink | |
US6930055B1 (en) | Substrates having features formed therein and methods of forming | |
TW201410484A (en) | Controlling adhesives between substrates and carriers | |
US20110049092A1 (en) | Inkjet printhead bridge beam fabrication method | |
KR101439816B1 (en) | slit-shape nozzle, and this manufacturing method | |
KR101426176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for liquid discharge head | |
WO2016158917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ejection head nozzle plate, liquid ejection head nozzle plate, and liquid ejection head | |
US7338611B2 (en) | Slotted substrates and methods of forming | |
US20160082731A1 (en) | Liquid ejection head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cessing silicon substrate | |
JP4003917B2 (en) | Droplet discharge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EP2814671A1 (en) | Printhead with recessed slot ends | |
US8820892B2 (en) | Inkjet printing head substrate, inkjet printing head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 |
WO2008075715A1 (en) | Method of producing nozzle plate for liquid discharge head, nozzle plate for liquid discharge head, and liquid discharge head | |
JP4074784B2 (en) | Inkjet head manufacturing method | |
JP4611045B2 (en) | Inkjet printhead manufacturing method | |
KR20070060924A (en) | Silicon wet etching method using paraline mask and nozzle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inkjet printhead using this method | |
KR100421216B1 (en) | Bubble-jet type ink-jet print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09119773A (en) | Nozzle plate for liquid discharging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3883096B2 (en) | Droplet discharge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400229B1 (en) | Bubble-jet type inkjet print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rer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