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93610A -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610A
KR20130093610A KR1020137004901A KR20137004901A KR20130093610A KR 20130093610 A KR20130093610 A KR 20130093610A KR 1020137004901 A KR1020137004901 A KR 1020137004901A KR 20137004901 A KR20137004901 A KR 20137004901A KR 20130093610 A KR20130093610 A KR 20130093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s
coil
assembly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 주오
시우동 탕
페이 성 장
Original Assignee
더 리서치 파운데이션 오브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리서치 파운데이션 오브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filed Critical 더 리서치 파운데이션 오브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Publication of KR2013009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61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accumulating utilisable energy, e.g. compress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6/00Magnetic springs; Fluid magnetic springs, i.e. magnetic spring combined with a flui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60Vehicles using regenerative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Electromagnet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는 전기 저항 재료로 형성된 소정 길이의 중공 튜브의 길이를 따라 외주 둘레에 감겨진 소정 길이의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코일 조립체; 적어도 하나의 환형상인 축선 방향의 자석으로 형성된 자석 유닛; 복수의 자석 유닛들이 장착되는 자기 저항을 나타내는 중앙 샤프트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형상인 축선 방향의 자석의 중앙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중공 튜브의 중앙 공동 내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 조립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자석 유닛들과 결합된 상기 중앙 샤프트; 및 자석 조립체의 종단부에 부착된 제1 단부를 구비한 원통형 쉘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쉘은 자석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쉘은 상기 코일 조립체의 외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ELECTRICITY GENERATING SHOCK ABSORBERS}
이 출원은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제목으로 2010년 7월 29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1/368,846에 대한 우선권 주장 출원이며, 가출원 명세서의 내용 및 개시된 사항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참조하여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에너지 회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재생(regenerative)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기 중의 오염 물질의 모든 원천 중에, 일반적으로 수송 분야가 상당한 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 수송 산업은 원유의 대부분을 소비하며, 그 중의 많은 부분은 자동차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성, 특히 수송 분야에 있어서의 개선은 상응하게 에너지 소비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개선은 에너지 비용을 점증적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청정한 환경과 에너지 독립성 및 안보에도 점증적으로 크게 기여한다.
더욱 양호한 연료 경제성에 대해 높아지는 요구는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차량, 및 연료 전지나 디젤 연료로 구동되는 차량에서의 개선 및 발전으로 이어졌다. 연료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의 노력들에는, 열거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차량 중량의 감소, 향상된 공기역학적인 구조, 능동적 연료 관리, 직접 분사 엔진, 균일한 차지 압축 점화 엔진 및 하이브리드 엔진과 같은 것이 포함되었다. 여전히, 연료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다른 메커니즘, 기술 및 에너지 원천이 계속해서 강구되고 있다.
현재, 자동차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용 연료 에너지의 약 10% 내지 16%는 도로 및 바람으로부터의 마찰과 항력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엔진 사이클 효율 외에, 자동차에서 에너지 손실의 하나의 중요한 메커니즘은 차량 진동 및 이동 중에 운동 에너지의 소산이다. 과거 수 백년 동안, 자동차 산업에서는 제동 장치와 현가 장치의 최적 설계에 의해, 그리고 잠김 방지 제동 시스템이나 능동 현가 장치와 같은 능동 제어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운동 에너지와 진동 에너지를 폐열로 소산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과거 수 십년 동안, 제동으로부터 에너지 회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커다란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연속적인 에너지 회수의 장점을 갖는 재생 차량 현가 장치들은 불충분한 진동 제어, 만족스럽지 못한 에너지 획득, 엄두를 내지 못할 높은 비용, 높은 복잡성, 실제적인 비호환성 및 비효율성과 같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실용화되지 못했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면, 전술한 요인들을 고려한 재생 차량 현가 장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전기 저항 재료로 형성된 소정 길이의 중공 튜브의 길이를 따라 외주 둘레에 감겨진 소정 길이의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코일 조립체; 적어도 하나의 환형상(annular)인 축선 방향의 자석으로 형성된 자석 유닛; 복수의 자석 유닛들이 장착되는 자기 저항을 나타내는 중앙 샤프트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형상인 축선 방향의 자석의 중앙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중공 튜브의 중앙 공동(cavity) 내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 조립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자석 유닛들과 결합된 상기 중앙 샤프트; 및 자석 조립체의 종단부에 부착된 제1 단부를 구비한 원통형 쉘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쉘은 자석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쉘은 상기 코일 조립체의 외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전기 저항을 갖는 중공 튜브 둘레에 적어도 한번 코일을 감고; 자기 저항을 갖는 샤프트에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영구 자석들을 적층하고; 적층된 샤프트를 중공 튜브의 중공 공동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샤프트를 제1 기부에 부착하고; 샤프트 상의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 사이에 투자성의 제1 스페이서에 의해서 자석들을 서로 분리하고;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게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을 정렬시키고; 감겨진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한쪽 단부에서 제1 기부에 부착된 동심의 외부 실린더를 통하여 캡슐화(encapsulat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자석 조립체를 코일 조립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조립체는 전기 저항을 갖고 중공 공동을 구비한 중공 튜브 둘레에 적어도 한번 감긴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 조립체는 자기 저항을 갖는 샤프트에 적층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영구 자석들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제1 기부에 부착되고, 샤프트 상의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 사이에 투자성의 제1 스페이서에 의해서 자석들이 서로 분리되고,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은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게 정렬되고, 그리고 상기 코일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캡슐화하는 동심의 외부 실린더를 포함하며, 실린더는 한쪽 단부에서 제1 기부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제1 케이스는 제1 케이스의 내면에 부착된 랙을 포함하며, 제2 케이스는 제1 기부에 장착된 제1 샤프트를 통하여 제2 케이스의 내면에 부착되고 랙과 접촉하는 피니언, 서로 접촉하는 제1 베벨 기어와 제2 베벨 기어를 포함하는 베벨 기어박스를 포함하며, 제1 베벨 기어는 제1 샤프트에 장착되고, 제2 베벨 기어는 제2 케이스의 내면에 부착된 회전 모터에 연결 장치를 통해서 결합된 제2 샤프트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기계적인 진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자기 저항 재료로 구성된 샤프트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적층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을 포함하는 자석 조립체와 전기 저항을 갖는 중공 튜브 둘레에 감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조립체를 구비한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를 제공하고,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은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게 정렬되고,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 자석 조립체의 삽입 단부는 코일 조립체의 중공 튜브의 개방 단부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동심의 외부 실린더가 코일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캡슐화하고, 실린더는 삽입 단부 반대쪽의 자석 조립체의 기부 단부에 부착되고; 중공 튜브의 폐쇄 단부를 제1 질량부에 연결하고; 자석 조립체의 기부 단부를 제2 질량부에 연결하고,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는 제1 질량부와 제2 질량부 사이에 진동 감쇠를 제공하고; 코일에서 기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자석 조립체와 코일 조립체 간에 상대 운동을 유도하고; 기전력을 수집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조합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선형 전자기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징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자석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징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방사상의 자석들을 구비한 단층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징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복층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실시예를 상징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기어 기반의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징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자기 자석들의 대안적인 배열을 상징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차량은 사람 또는 화물을 수송하도록 설계되거나 사용되는 장치이다, 차량은 버스, 트럭, 기차와 같은 육상 기반의 교통 수단, 또는 배, 보트와 같은 해상 기반의 교통 수단 또는 비행기, 헬리콥터, 우주선과 같은 항공 기반의 교통 수단이 될 수 있다.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충격 흡수 장치는 가속 및 제동 중에 또는 노면의 불규칙함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현가 스프링과 병렬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너지 소산 장치이다.
한편, 단순함 및 명료함을 위해 도면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육상 기반의 교통 수단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이 육상 기반의 교통 수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사람 또는 화물을 수송하기 위하여 설계되거나 사용되는 어떠한 장치로도 실현될 수 있고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선형 전자기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징적으로 도시하며 도 1b는 자석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상징적으로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충격 흡수 장치(100)는 형태적으로 선형 유도 발전기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100)는 코일 조립체(120)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자석 조립체(11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100)는 자석 조립체(1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코일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 조립체(110)와 코일 조립체(120)는 서로에 대하여 모두 이동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100)는 압축 사이클과 확장 사이클의 2 사이클로 작동한다. 코일 조립체(120)가 자동차의 프레임에 부착되고 자석 조립체(110)가 자동차의 현가 장치에 부착되는 예시적인 자동차 실시 형태에서, 압축 사이클은 코일 조립체(120)가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일어나고 확장 사이클은 자석 조립체(110)가 위쪽으로 이동할 때 일어난다(코일 조립체(110)와 자석 조립체(120)의 상대 이동은 상이한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압축 사이클이 차량의 스프링 하 중량의 운동을 제어한다면, 확장 사이클은 더욱 무거운 스프링 하 중량의 운동을 제어한다. 결국, 예를 들면 가속 및 제동 중에 또는 노면 불규칙함으로 인한 사이클들의 교대를 통하여,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격 흡수 장치(100)는 자동차 휠과 스프링 상 질량 간의 현가 장치 진동의 운동 에너지를 유용한 전력으로 변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 조립체(110)는 높은 자기 저항 재료인 샤프트(113) 상에 적층된 고투자율의 링 형상 스페이서(114)들에 의해 분리된 링 형상, 즉 환형상의 영구 자석(111)들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샤프트 재료는 알루미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111)들은 희토류 영구 자석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114)들은 강철 스페이서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 조립체는 12개의 자석(111)들과 13개의 스페이서(114)들을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111)들은 자속을 방사상의 방향으로 다시 보내기 위하여 인접한 자석(111)들의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여 배열된다. 코일을 보호하고 자기 루프의 자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코일에서 자속 밀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즉 자속을 바깥쪽으로 더욱 밀어내기 위하여 고투자율의 재료로 만들어진 동심의 외부 실린더(112)가 사용된다.
코일 조립체(120)는 높은 전기 저항을 갖는 튜브(122) 둘레에 감긴 코일(121)들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121)들은 구리로 만들어지며 튜브(122)는 폴리옥시메틸렌으로 만들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나의 코일의 높이는 자석(111)과 스페이서(114)의 전체 높이의 절반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121)들은 자석 조립체(110)와 정렬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121)들의 전체 수는 16개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121)들은 정류기에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파워는 코일(121)들의 전체 체적과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전압은 튜브(122) 둘레에 코일(121)들의 권선 수와 관련되어 있다. 코일(121)들의 전체 체적이 일정하고 작은 직경의 코일(121)들이 사용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코일(121)들의 많은 권선 수가 예상되며 따라서 높은 전압이 발생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121)들은 250 내지 300 회 범위 내에서 감기며, 약 10 V의 출력 전압을 발생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든 코일들은 0도와 180도 위상에서 최대 양 전압 및 음 전압을 발생시키고 90도 와 270도 위상에서 영 전압을 나타내는 4-상 방식을 형성한다. 각 상의 전압 또는 파워는 자기장에서 코일 조립체(120)의 상대 위치에 의존할 수 있지만, 전체 파워 발생은 코일 조립체의 상대 위치에 의존하지 않는다. 코일(121)들이 자석 조립체(11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에 대하여 진동할 때 기전력이 발생하며, 따라서 전기를 생성한다. 또한, 기전력은 차량 진동을 감소시키는 감쇠력으로 작용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100)는 약 2 인치 내지 약 4 인치 사이에서 운동(압축 및 확장 사이클)을 위한 파워를 발생시키는 일정한 성능을 유지한다.
예를 들면, 충격 흡수 장치(100)가 자동차 현가 장치에 배치되는 경우, 가속 및 제동 중에 또는 노면 불규칙함으로 인한 현가 장치에서의 진동은 코일 조립체(120)가 자석 조립체(110)에 대하여 이동, 즉 압축 사이클 및 확장 사이클을 야기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데, 기전력은 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피크 출력 전압은 코일(121) 직경의 제곱에 비례하고 피크 출력은 코일에서 전도성 재료의 전체 체적에 의존한다.
도 2는 방사상의 자석들이 자속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단층(single layer)의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징적으로 도시한다.
자동차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22)는 휠과 스프링 상 질량 간의 현가 장치 진동의 운동 에너지를 유용한 전력으로 변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200)는 방향(V)으로 코일 조립체(220)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자석 조립체(21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200)는 방향(V)으로 자석 조립체(2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코일 조립체(22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 조립체(210)와 코일 조립체(220)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 조립체(210)는 자기 저항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진 샤프트(213) 상에 적층된 방사상의 자석(211.a)들과 축선 방향의 자석(211.b)들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샤프트 재료는 알루미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들은 희토류 영구 자석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샤프트(213)는 제1 기부(224)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장착 링(215)이 제1 기부(224)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착 링(215)은 자동차 휠, 즉 스프링 하 중량 부근의 차축에 연결된다.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의 자석(211.a)들과 축선 방향의 자석(211.b)들은 자속을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216)들로 다시 보내기 위하여 인접한 자석(211.a, 211.b)들의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여 배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을 보호하고 자기 루프의 자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코일에서 자속 밀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즉 자속을 바깥쪽으로 더욱 밀어내기 위하여 고투자율의 재료로 만들어진 동심의 외부 실린더(212)가 사용된다.
코일 조립체(220)는 높은 전기 저항을 갖는 튜브(222) 둘레에 감긴 코일(221)들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221)들은 구리로 만들어지며 튜브(222)는 폴리옥시메틸렌으로 만들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튜브(222)는 제2 기부(225)에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장착 링(223)이 제2 기부(225)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장착 링(223)이 자동차 프레임, 즉 스프링 상 중량에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221)들은 정류기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충격 흡수 장치(200)가 자동차 현가 장치에 배치되는 경우, 가속 및 제동 중에 또는 노면 불규칙함으로 인한 현가 장치에서의 진동은 코일 조립체(220)가 자석 조립체(210)에 대하여 이동, 즉 압축 사이클 및 확장 사이클을 야기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데, 기전력은 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대 운동은 교류("AC")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교류는 정류기를 통과하고 정류 과정을 통해 직류("DC")로 변환된다. 그 후, 일반적인 자동차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적합한 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직류 대 직류 변환기와 같은 전력변환장치가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200)는 0.25 - 0.5 m/s RMS 현가 속도에서 약 2 W 내지 약 8 W 사이의 에너지를 얻는데, 이 에너지는 일반적인 자동차 배터리를 약 7.5 시간에 충전한다.
도 3은 복층(double layer)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징적으로 도시한다.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의 자동차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300)는 휠과 스프링 상 질량 간의 현가 장치 진동의 운동 에너지를 유용한 전력으로 변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300)는 방향(V)으로 코일 조립체(320)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자석 조립체(31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 장치(300)는 방향(V)으로 자석 조립체(3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코일 조립체(32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 조립체(310)와 코일 조립체(320)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 조립체(310)는 자기 저항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진 샤프트(313) 상에 적층된 복층(내부 및 외부)의 방사상의 자석(311.a)들과 축선 방향의 자석(311.b)들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샤프트 재료는 알루미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석들은 희토류 영구 자석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샤프트(313)는 제1 기부(324)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장착 링(315)이 제1 기부(324)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착 링(315)은 자동차 휠, 즉 스프링 하 중량 부근의 차축에 연결된다.
복층의 방사상의 자석(311.a)들과 축선 방향의 자석(311.b)들은 자속을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316)들로 다시 보내기 위하여 인접한 자석(311.a, 311.b)들의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여 배열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321)이 복층의 방사상의 자석(311.a)들과 축선 방향의 자석(311.b)들에 대하여 상기 자석들 사이에서 진동할 때,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초과하는 높아진 파워 밀도를 갖는 자속이 발생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을 보호하고 자기 루프의 자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코일에서 자속 밀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즉 자속을 바깥쪽으로 더욱 밀어내기 위하여 고투자율의 재료로 만들어진 동심의 외부 실린더(312)가 사용된다.
코일 조립체(320)는 높은 전기 저항을 갖는 튜브(322) 둘레에 감긴 코일(321)들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321)들은 구리로 만들어지며 튜브(322)는 폴리옥시메틸렌으로 만들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폴리옥시메틸렌 튜브는 제2 기부(325)에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장착 링(323)이 제2 기부(325)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장착 링(323)이 자동차 프레임, 즉 스프링 상 중량에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일(321)들은 정류기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충격 흡수 장치(300)가 자동차 현가 장치에 배치되는 경우, 가속 및 제동 중에 또는 노면 불규칙함으로 인한 현가 장치에서의 진동은 코일 조립체(320)가 자석 조립체(310)에 대하여 이동, 즉 압축 사이클 및 확장 사이클을 야기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데, 기전력은 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방사상의 자석들과 축선 방향의 자석들의 배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다. 특히, 방사상의 희토류 자석(502)은 도 2a, 도 2b 및 도 3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방사상의 자석들보다 얇게 되어 있다. 방사상의 희토류 자석(502)과 스페이서(504)의 적층된 조립체가 인접한 축선 방향의 자석(506)들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철과 같은 고투자율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 스페이서(504)가 방사상의 희토류 자석(502)들 상에 적층된다. 환언하면, 환형상인 방사상의 자석(502)은 환형상의 내장된 스페이서(504)를 포함한다. 중앙 개구 직경과 조합된 방사상의 자석(502)과 스페이서(504)의 외경이 축선 방향의 자석의 개별적인 직경들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방사상의 자석(502)과 스페이서(504) 조합의 단면은 축선 방향의 자석(506)의 단면과 동일하다.
방사상의 희토류 자석(502)들, 축선 방향의 자석(506)들 및 스페이서(504)들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배열과 유사한 선형으로 배치된 코일(510)들과 알루미늄 샤프트(508) 사이에 위치된다. 게다가, 도 3의 복층의 실시예에서, 양 층에서의 방사상의 희토류 자석들은 도 5에 도시된 적층 조립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방사상의 희토류 자석(502)과 스페이서(504)의 적층 조립체는 상당히 감소된 비용으로 전체 높이의 방사상의 희토류 자석과 유사하거나 심지어 높은 자기 밀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장점은 철이 희토류 영구 자석으로 사용되는 NdFeB와 같은 희토류 재료보다 높은 투자율을 갖기 때문에 얻어진다. 더욱이, 철은 희토류 영구 자석보다 현저히 저렴하다. 따라서,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에서 전체 높이의 방사상의 희토류 자석들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작은 치수의 방사상의 희토류 자석(502)과 스페이서(504)를 사용함으로써 비용 절감이 실현될 수 있다.
도 4는 기어 기반의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징적으로 도시한다. 충격 흡수 장치(400)는 외부 케이스(410)와 내부 케이스(41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케이스(410)는 제1 기부(412)를 통하여 외부 케이스(410)의 내면에 부착된 치형 랙(413)을 포함한다. 제1 장착 링(411)이 외부 케이스(410)의 외면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케이스(420)는 제1 샤프트(423)의 제1 단부 가까이에 장착되고 선형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랙(413)과 맞물리는 치형 피니언(4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 진동이 주기적인 선형 운동이기 때문에 행정의 한계까지 피니언(424)에 대하여 랙(413)의 이동을 통해서 피니언(424)을 피니언의 축선에 대해 회전을 야기하여 진동이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제1 샤프트(423)의 제1 단부는 내부 케이스(420)의 내면에 장착된 기부(422)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벨 기어박스(429) 내에서 베벨 기어(425.a)는 베벨 기어(425.b)와 맞물린다. 베벨 기어(425.a)는 제1 샤프트(423)의 제2 단부에 장착된다. 베벨 기어(425.b)는 회전 모터(428)에 부착된 제2 샤프트(426)의 제2 단부에 장착된다. 베벨 기어(425.a)가 랙(413)과 피니언(424)으로부터 회전 운동을 베벨 기어(426.b)에 전달할 때, 회전 모터(428)는 축선에 대한 제2 샤프트(426)의 회전을 통하여 구동된다. 연결 장치(427)가 모터(428)를 제2 샤프트(426)에 부착한다. 제2 장착 링(421)이 내부 케이스(420)의 외면에 부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회전 모터(428)가 베벨 기어(425.a, 425.b)를 통해 랙(413) 및 피니언(424)에 의해 구동될 때, 회전 모터(428)는 역기전력를 발생시키고, 따라서 전기를 생성한다. 전형적인 충격 흡수 장치에서, 기전력은 진동 에너지를 열로 소산시키는 것에 의해 진동이 완화되므로 감쇠력으로 작용하는 반면에, 충격 흡수 장치(400)에서 진동은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소산시키는 것에 의해서 완화된다.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필요한 현가 장치 감쇠 성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고 운전자의 필요 또는 도로 상태에 따른 현가 장치 감쇠를 조정하는 효과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가 감쇠 또는 제어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역기전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 완화 성능이 유지되거나 향상된다. 또한, 전자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일반적인 승용차에서 정상적인 주행 조건하에 있는 차량 교류 발전기와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는 에너지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생성된 전력은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라이트 또는 라디오와 같은 전기 부속 장치에 공급하거나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휠을 구동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재생 능동 현가 장치 그리고 에너지 획득 및 능동 현가 장치 제어의 조합의 용이한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부가적으로,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개량 가능한 것인데, 이것은 새로운 차량에 사용하거나 현재 차량에 존재하는 종래의 점성 충격 흡수 장치를 단순히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오히려,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는 이 충격 흡수 장치를 작동시키는 데에 충분한 진동력이 존재하는 어떠한 응용에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는 특별한 응용에서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가 받게 되는 하중 및 힘을 수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크기가 되도록 의도한 것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특정한 수치 값들은 단지 예시적인 편의를 위해 의도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허용가능한 전체 범위의 값으로 간주해서는 않된다.
다른 재생 충격 흡수 장치들과 대조적으로,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높은 에너지 밀도, 낮은 중량 및 양호한 소형화의 특성을 나타낸다. 볼-스크루 기반의 시스템과 달리,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또한 차량 주행과 간섭을 크게 일으키지 않는다.

Claims (28)

  1.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에 있어서,
    전기 저항 재료로 형성된 소정 길이의 중공 튜브의 길이를 따라 외주 둘레에 감겨진 소정 길이의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코일 조립체;
    적어도 하나의 환형상인 축선 방향의 자석으로 형성된 자석 유닛;
    복수의 자석 유닛들이 장착되는 자기 저항을 나타내는 중앙 샤프트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환형상인 축선 방향의 자석의 중앙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중공 튜브의 중앙 공동 내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 조립체를 형성하는 복수의 자석 유닛들과 결합된 상기 중앙 샤프트; 및
    자석 조립체의 종단부에 부착된 제1 단부를 구비한 원통형 쉘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쉘은 자석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쉘은 상기 코일 조립체의 외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샤프트에 배치된 인접한 자석 유닛들은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여 놓여있고, 인접한 자석 유닛들은 고투자율의 재료로 형성된 환형상 스페이서에 의해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유닛은 환형상인 방사상의 자석과 적어도 하나의 환형상인 축선 방향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샤프트에 배치된 인접한 자석 유닛들은 서로에 대하여 거울상의 방위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방사상의 자석은 고투자율의 재료로 형성된 환형상의 적층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환형상의 적층된 스페이서 재료는 방사상의 자석과 다른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적어도 일부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은 중공 튜브 둘레에 301회 미만으로 감겨지고 적어도 일부가 구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는 적어도 일부가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조립체의 전도성 재료가 정류기에 작동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 작동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적어도 일부가 투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면은 적어도 일부가 투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은 같은 극들로 정렬된 환형상인 복수의 제2 자석 유닛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조립체의 종단부는 차량 차축에 연결할 수 있는 제1 장착 링에 견고하게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튜브는 자석 조립체 삽입 단부 반대쪽의 중공 튜브의 종단에 견고하게 부착된 제2 장착 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착 링은 차량 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압축 사이클과 확장 사이클 중에 상기 자석 조립체가 코일 조립체 대하여 이동할 때 기전력이 발생하고, 상기 기전력은 진동을 감소시키는 감쇠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14.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전기 저항을 갖는 중공 튜브 둘레에 적어도 한번 코일을 감고;
    자기 저항을 갖는 샤프트에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영구 자석들을 적층하고;
    적층된 샤프트를 중공 튜브의 중공 공동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샤프트를 제1 기부에 부착하고;
    샤프트 상의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 사이에 투자성의 제1 스페이서에 의해서 자석들을 서로 분리하고;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게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을 정렬시키고;
    감겨진 코일의 적어도 일부를, 한쪽 단부에서 제1 기부에 부착된 동심의 외부 실린더를 통하여 캡슐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적어도 일부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은 중공 튜브 둘레에 301회 미만으로 감겨지고 상기 코일은 적어도 일부가 구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는 적어도 일부가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정류기에 연결하는 것을 또한 포함하고,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은 방사상의 자석과 축선 방향의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적어도 일부가 투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과 제1 스페이서는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면은 적어도 일부가 투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은 자속을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보내기 위하여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여 배열된 링 형상의 쌍으로 이루어진 제2 영구 자석들을 포함하며, 쌍으로 이루어진 제2 자석들은 링 형상인 투자성의 제2 스페이서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자석들은 방사상의 자석과 축선 방향의 자석을 또한 포함하고 감겨진 코일은 상기 제1 자석들과 제2 자석들 사이에서 자석들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부를 차량 차축에 연결가능한 제1 장착 링에 부착하는 것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튜브의 한쪽 단부에 제2 기부 및 상기 제2 기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제2 장착 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장착 링은 차량 프레임에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제조 방법.
  19. 기계적인 진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자기 저항 재료로 구성된 샤프트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적층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을 포함하는 자석 조립체와 전기 저항을 갖는 중공 튜브 둘레에 감긴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조립체를 구비한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를 제공하고,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은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게 정렬되고,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 자석 조립체의 삽입 단부는 코일 조립체의 중공 튜브의 개방 단부 내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동심의 외부 실린더가 코일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캡슐화하고, 상기 실린더는 삽입 단부 반대쪽의 자석 조립체의 기부 단부에 부착되고;
    중공 튜브의 폐쇄 단부를 제1 질량부에 연결하고;
    자석 조립체의 기부 단부를 제2 질량부에 연결하고,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는 제1 질량부와 제2 질량부 사이에 진동 감쇠를 제공하고;
    코일에서 기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자석 조립체와 코일 조립체 간에 상대 운동을 유도하고;
    기전력을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진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적어도 일부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은 중공 튜브 둘레에 301회 미만으로 감겨지고 상기 코일은 적어도 일부가 구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는 적어도 일부가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진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정류기에 작동하게 연결되고,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은 방사상의 자석과 축선 방향의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적어도 일부가 투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쌍으로 이루어진 제1 자석들과 제1 스페이서는 환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진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방사상의 자석은 고투자율의 재료로 형성된 환형상의 적층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환형상의 적층된 스페이서 재료는 방사상의 자석과 다른 재료이며, 상기 방사상의 자석과 적층된 스페이서의 결합된 크기는 개별적인 축선 방향의 자석의 크기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진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면은 적어도 일부가 투자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은 자속을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보내기 위하여 같은 극들이 서로 마주하여 배열된 링 형상의 쌍으로 이루어진 제2 영구 자석들을 포함하며, 쌍으로 이루어진 제2 자석들은 링 형상인 투자성의 제2 스페이서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자석들은 방사상의 자석과 축선 방향의 자석을 또한 포함하고 감겨진 코일은 상기 제1 자석들과 제2 자석들 사이에서 자석들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진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단부는 차량 차축에 연결가능한 제1 장착 링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중공 튜브의 폐쇄 단부는 차량 프레임에 연결가능한 제2 장착 링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차량 진동을 감소시키는 감쇠력으로 작용하는 기전력이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의 압축 사이클과 확장 사이클 동안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인 진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법.
  25.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 및 베벨 기어 박스를 포함하고,
    제1 케이스는 제1 케이스의 내면에 부착된 랙을 포함하며,
    제2 케이스는 제1 기부에 장착된 제1 샤프트를 통하여 제2 케이스의 내면에 부착되고 랙과 접촉하는 피니언을 포함하며,
    베벨 기어박스는 서로 접촉하는 제1 베벨 기어와 제2 베벨 기어를 포함하며, 제1 베벨 기어는 제1 샤프트에 장착되고, 제2 베벨 기어는 제2 케이스의 내면에 부착된 회전 모터에 연결 장치를 통해서 결합되는 제2 샤프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된 제1 장착 링과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된 제2 장착 링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랙은 제1 기부를 통하여 제1 케이스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모터가 정류기에 작동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 작동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KR1020137004901A 2010-07-29 2011-02-14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Withdrawn KR20130093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884610P 2010-07-29 2010-07-29
US61/368,846 2010-07-29
PCT/US2011/024699 WO2012015488A1 (en) 2010-07-29 2011-02-14 Electricity generating shock absorb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610A true KR20130093610A (ko) 2013-08-22

Family

ID=4553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901A Withdrawn KR20130093610A (ko) 2010-07-29 2011-02-14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941251B2 (ko)
EP (1) EP2598773A1 (ko)
KR (1) KR20130093610A (ko)
CN (1) CN103339405A (ko)
AU (1) AU2011283163A1 (ko)
CA (1) CA2806877A1 (ko)
SG (1) SG187234A1 (ko)
WO (1) WO2012015488A1 (ko)
ZA (1) ZA20130075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982B1 (ko) 2015-04-23 2016-08-26 김하얀 차량용 충격흡수 시스템의 에너지 전환 장치
KR20170045235A (ko) * 2014-08-13 2017-04-26 이에스엠 에네르기-운트 쉬빙웅스테크니크 미츠시 게엠베하 진동 흡수기들을 위한 마그네틱 댐퍼
KR20180042588A (ko) * 2016-10-18 2018-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댐퍼
KR20240069077A (ko) * 2022-11-11 2024-05-20 주식회사 코아칩스 상용차의 변위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하베스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1895B2 (en) * 2009-10-05 2013-09-24 Honda Motor Co., Ltd. Energy regenerating damper
JP5530319B2 (ja) * 2010-09-16 2014-06-2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5457986B2 (ja) * 2010-09-21 2014-04-02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CN102562933B (zh) * 2012-03-09 2016-03-16 黑龙江工程学院 振动能量再生的减振器及减振方法
DE102012102833A1 (de) * 2012-04-02 2013-10-02 Contitech Vibration Control Gmbh Aktor zur Dämpfung niederfrequenter Schwingungen
CN102661353B (zh) * 2012-05-30 2013-11-06 石家庄铁道大学 一种线圈组件装拆方便的磁流变阻尼器
JP5927058B2 (ja) * 2012-06-19 2016-05-25 Kyb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溝加工方法
JP5927063B2 (ja) * 2012-06-27 2016-05-25 Kyb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のチューブ組立方法
FR2995561B1 (fr) * 2012-09-18 2015-06-05 Soben Dispositif de suspension a dispositif electromagnetique integre de recuperation d'energie
US8629572B1 (en) * 2012-10-29 2014-01-14 Reed E. Phillips Linear faraday induction generator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al power from ocean wave kinetic energy and arrangements thereof
CN103016589A (zh) * 2012-12-20 2013-04-03 南京航空航天大学 基于Halbach永磁阵列的电磁式馈能减震器
EP2941819B1 (en) * 2012-12-26 2018-03-21 Nulman, Yanir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parasitic energy losses
TW201427849A (zh) * 2013-01-07 2014-07-16 ren-li Liao 車用發電裝置
JP2014167320A (ja) * 2013-02-28 2014-09-1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磁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2014176203A1 (en) * 2013-04-23 2014-10-30 Genneo, Inc. Linear generator
JP5967396B2 (ja) * 2013-06-21 2016-08-10 株式会社レック制御 発電装置及び発電するショックアブソーバ
ITMI20131321A1 (it) 2013-08-02 2015-02-03 Dml Ablogics Ltd Sistema telematico per la raccolta e l'analisi dei dati e dei risultati di saggi auto-diagnostici in una popolazione di utenti, corrispondente metodo, e apparecchiatura elettronica periferica di servizio e kit di auto-diagnostica per un uso in tale s
US20150083438A1 (en) * 2013-09-26 2015-03-26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Downhole tool shock absorber with electromagnetic damping
CN103591202B (zh) * 2013-11-25 2016-02-17 中国农业大学 一种齿轮齿条式旋转发电汽车减振器
WO2015191045A1 (en) * 2014-06-10 2015-12-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Electromagnetic energy transducer
WO2015191047A1 (en) 2014-06-10 2015-12-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chanical amplifier for energy harvester
CN107208727A (zh) * 2014-12-19 2017-09-26 悬挂系统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悬架的再生式液压减振器
EP3250455B1 (en) * 2015-01-27 2020-09-02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Active rotor damping system
CN104626912A (zh) * 2015-02-02 2015-05-20 江苏大学 一种液电一体式车辆悬架阻抗控制装置
FR3032686B1 (fr) * 2015-02-18 2017-03-10 Messier Bugatti Dowty Atterrisseur d'aeronef comprenant une tige lineaire telescopique
CN104864022B (zh) * 2015-05-11 2017-01-25 三明学院 一种减震器的能量回收装置
GB201511013D0 (en) 2015-06-23 2015-08-05 Rolls Royce Plc Damper
ES2703452T3 (es) * 2015-09-23 2019-03-08 Mag Soar Sl Amortiguador de vibraciones magnético mejorado con emparejamiento de impedancia mecánica
US9765850B2 (en) 2015-10-13 2017-09-19 Goodrich Corporation Saturation-controlled variable damper systems and methods
US9732818B2 (en) 2015-10-13 2017-08-15 Goodrich Corporation Axial engagement-controlled variable damper systems and methods
CN105252987A (zh) * 2015-10-21 2016-01-20 天津大学 一种汽车悬架系统振动能量回收装置
WO2017084747A1 (de) * 2015-11-17 2017-05-26 Esm Energie- Und Schwingungstechnik Mitsch Gmbh Selbstzentrierende rollenführung
ITUB20159167A1 (it) * 2015-12-17 2017-06-17 Davide Carini Sospensione ottimizzata di veicoli, e relativo kit
DE102015225864A1 (de) * 2015-12-18 2017-06-22 Robert Bosch Gmbh Absaugvorrichtung für eine tragbare Werkzeugmaschine
CN106080079B (zh) * 2016-05-16 2018-12-11 吉林大学 回收汽车减振器振动能量装置
CN106385156A (zh) * 2016-11-29 2017-02-08 崔同锁 车辆行驶振动发电机
CN106438179B (zh) * 2016-11-29 2021-09-07 崔同锁 浪涌发电机
US10583748B2 (en) * 2016-12-05 2020-03-10 Sanskar Agrawal Magnetic system for an automobile for increasing fuel efficiency
WO2018232578A1 (zh) * 2017-06-20 2018-12-27 宇生自然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高磁通磁组装置
CN107701644A (zh) * 2017-09-29 2018-02-16 福州大学 一种自供能磁流变阻尼器及其工作方法
US10364860B2 (en) * 2017-12-08 2019-07-30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ampening dynamic loading
TWI671977B (zh) * 2017-12-13 2019-09-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共構式發電裝置
US20190234480A1 (en) * 2018-01-31 2019-08-01 Suhder Ind Co., Ltd. Magnetic suspension shock absorber
CN108343694A (zh) * 2018-03-07 2018-07-31 武汉理工大学 一种采用双环串接式永磁铁的混合型动力吸振器
JP7064426B2 (ja) * 2018-10-26 2022-05-10 Kyb株式会社 筒型リニアモータ
EP3680511A1 (de) * 2019-01-08 2020-07-15 MML Solutions GmbH Energierückgewinnungssystem
EP3712462A1 (de) * 2019-03-19 2020-09-23 Integrated Dynamics Engineering GmbH Schwingungsisolationssystem mit einem magnetaktor
US11532970B2 (en) 2019-03-27 2022-12-20 Richard A. Schulman Energy conversion systems and methods
US20210044191A1 (en) * 2019-08-07 2021-02-11 Linear Labs, Inc. Linear machine
CN111082630B (zh) * 2019-12-19 2021-03-3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振动装置
JP7054714B2 (ja) * 2020-02-17 2022-04-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0210257896A1 (en) * 2020-02-17 2021-08-19 Dan Haronian Movement and Vibration energy harvesting
CN112503136B (zh) * 2020-11-11 2022-03-18 江苏大学 一种馈能式混合电磁减振系统
WO2022137981A1 (ja) * 2020-12-25 2022-06-3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DE102021102352A1 (de) * 2021-02-02 2022-08-04 Aud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wenigstens eines elektromechanischen Aktors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EP4056868A1 (de) * 2021-03-11 2022-09-14 Siemens Mobility Austria GmbH Dämpfungsvorrichtung für ein schienenfahrzeug
US11890931B2 (en) * 2021-04-27 2024-02-06 Luis Marcial Medina Suspension power electric generator
US11936269B2 (en) * 2021-09-22 2024-03-19 Apple Inc. Haptic engine based on angular resonant actuator with pivot axis and mass center that differ
JP7558135B2 (ja) 2021-11-08 2024-09-30 日立Astemo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装置
DE102021132806A1 (de) 2021-12-13 2023-06-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Induktive Magnetanordnung für eine 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s, Radaufhängung und Kraftfahrzeug
US11716003B1 (en) * 2022-03-08 2023-08-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lectromagnetic arrays
CN114665685B (zh) * 2022-03-14 2023-11-14 东北电力大学 平面二维随机振动能量回收装置
CN114754096B (zh) * 2022-05-09 2023-03-10 保定市东利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磁感线圈能量回收的减震器
DE102022113582A1 (de) 2022-05-30 2023-11-30 Luca Ahrenbeck Vorrichtung zur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aus einem Bauelement wie ein Stoßdämpfer sowie ein Nachrüstset umfassend eine solche Vorrichtung
CN114962516A (zh) * 2022-05-31 2022-08-30 中车制动系统有限公司 涡流结构吸能式缓冲器
US20240198751A1 (en) * 2022-12-20 2024-06-20 Guident Lt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 regenerative device
US12097734B2 (en) * 2022-12-30 2024-09-24 Karma Automotive Llc Hybrid planar active electromagnetic suspension
CN221305610U (zh) * 2023-11-03 2024-07-09 湖北省钻马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振动马达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7570A (en) * 1923-08-02 1925-10-20 Eckman George Means for charging the storage batteries of wheeled vehicles
US2845503A (en) * 1955-07-19 1958-07-29 Durand Francois Power means for driving a rotary shaft
US3559027A (en) * 1967-09-27 1971-01-26 Harold B Arsem Electric shock absorber
US3861487A (en) * 1973-05-16 1975-01-21 Walter L Gill Electric power means for vehicles
US4032829A (en) * 1975-08-22 1977-06-28 Schenavar Harold E Road shock energy converter for charging vehicle batteries
US4090413A (en) * 1976-10-29 1978-05-23 Ford Aerospace & Communications Corp. Cyclic motion generator
US4387781A (en) * 1981-02-02 1983-06-14 Ezell Harry E Electrical generating system for vehicles
JPS6287675A (ja) * 1985-10-14 1987-04-22 Shinichi Konya エネルギ−変換装置
JPS6489947A (en) * 1987-09-30 1989-04-05 Aisin Seiki Generating set for vehicle
JPH05131832A (ja) 1991-11-14 1993-05-28 Honda Motor Co Ltd 走行車両の緩衝装置
US5347186A (en) * 1992-05-26 1994-09-13 Mcq Associates, Inc. Linear motion electric power generator
US5775469A (en) * 1996-04-15 1998-07-07 Kang; Song D. Electrodynamic strut with associated bracing mechanism
CN2440684Y (zh) * 2000-09-18 2001-08-01 张俊杰 车辆避振发电装置
US6952060B2 (en) * 2001-05-07 2005-10-04 Trustees Of Tufts College Electromagnetic linear generator and shock absorber
CN2486370Y (zh) * 2001-06-24 2002-04-17 李辉 电磁减振器
CN2526528Y (zh) * 2002-03-25 2002-12-18 赵东风 一种振动能回收装置
JP2004011750A (ja) * 2002-06-06 2004-01-15 Kayaba Ind Co Ltd 電磁緩衝器
JP2004215375A (ja) * 2002-12-27 2004-07-29 紘二 ▲吉▼岡 発電ダンパ装置
US6914351B2 (en) * 2003-07-02 2005-07-05 Tiax Llc Linear electrical machine for electric power generation or motive drive
JP2006161881A (ja) 2004-12-03 2006-06-22 Toyota Motor Corp 車両懸架装置、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CN100457495C (zh) * 2006-11-24 2009-02-04 温子荣 避震式震动发电机系统
JP2008222112A (ja) * 2007-03-14 2008-09-25 Damper Seigyo:Kk エネルギー回生ダンパ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回生ダンパシステム
GB2465423A (en) * 2008-11-21 2010-05-26 Harel Shachar Regenerative shock absorber comprising electromagnetic linear generator or mechanical movement converter
CN101567613A (zh) * 2009-01-22 2009-10-28 东南大学 直线永磁发电机
CN101550979A (zh) * 2009-05-05 2009-10-0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回收震动能量的汽车减震器
TWI469884B (zh) * 2010-05-17 2015-01-21 Univ Nat Taiwan 雙向避震系統能量回收設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235A (ko) * 2014-08-13 2017-04-26 이에스엠 에네르기-운트 쉬빙웅스테크니크 미츠시 게엠베하 진동 흡수기들을 위한 마그네틱 댐퍼
KR101649982B1 (ko) 2015-04-23 2016-08-26 김하얀 차량용 충격흡수 시스템의 에너지 전환 장치
KR20180042588A (ko) * 2016-10-18 2018-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댐퍼
KR20240069077A (ko) * 2022-11-11 2024-05-20 주식회사 코아칩스 상용차의 변위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하베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87234A1 (en) 2013-02-28
ZA201300757B (en) 2014-03-26
US20130127175A1 (en) 2013-05-23
US8941251B2 (en) 2015-01-27
CN103339405A (zh) 2013-10-02
CA2806877A1 (en) 2012-02-02
US20150090545A1 (en) 2015-04-02
WO2012015488A1 (en) 2012-02-02
AU2011283163A1 (en) 2013-02-28
EP2598773A1 (en)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3610A (ko) 전기 발생 충격 흡수 장치
US3559027A (en) Electric shock absorber
US6952060B2 (en) Electromagnetic linear generator and shock absorber
ES2291704T3 (es) Sistema para el almacenamiento de potencia.
US20020172060A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vibration energy into electric power
US7994648B1 (en) Mechanical continuous supply of electrical current from the motion of suspension components
US8766493B2 (en) Magnetic stator assembly
CN203082102U (zh) 基于Halbach永磁阵列的电磁式馈能减震器
CN102761228A (zh) 汽车减震器发电装置
US20070175716A1 (en) Shock absorber generator
US20120180468A1 (en) Automobile energy absorbing and actuat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2009247102A (ja) 低エネルギー車
CN201245053Y (zh) 车载减震式颠簸能发电装置
US20220149698A1 (en) Regenerative energy system
GB2465423A (en) Regenerative shock absorber comprising electromagnetic linear generator or mechanical movement converter
CN104553782B (zh) 一种主动轮内直线电机式减振器
CN100350717C (zh) 一种飞轮发电系统
KR102133971B1 (ko) 차량용 배터리의 보조 충전 장치
CN221145154U (zh) 一种车用双筒式对称型大推力电磁馈能减振器
RU2462373C2 (ru) Блок энергетический для электромобилей
Shen et al. Double-stator air-core tubular permanent magnet linear motor for vehicle active suspension systems
KR20190116156A (ko) 매그너스 효과를 이용하는 자가 발전형 모터
CN1808864B (zh) 汽车颠簸能发电装置
CN112503133B (zh) 一种多功能混合电磁减振系统
US20240270078A1 (en) Recovering energy from a rotating vehicle wheel and device, method and disc rotor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