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93129A -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129A
KR20130093129A KR1020137012709A KR20137012709A KR20130093129A KR 20130093129 A KR20130093129 A KR 20130093129A KR 1020137012709 A KR1020137012709 A KR 1020137012709A KR 20137012709 A KR20137012709 A KR 20137012709A KR 20130093129 A KR20130093129 A KR 20130093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emergency stop
wedge
car
bra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요시 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12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승강체에 마련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는 제1 비상 멈춤 기구부와, 제1 비상 멈춤 기구부의 아래쪽에 배치된 제2 비상 멈춤 기구부를 가지고 있다. 제1 비상 멈춤 기구부는 가이드 레일에 접리 가능한 제1 제동체를 가지고, 제1 제동체를 가이드 레일에 접촉시킴으로써 승강체에 제동력을 준다. 제2 비상 멈춤 기구부는 가이드 레일에 접리 가능한 제2 제동체를 가지고, 제2 제동체를 가이드 레일에 접촉시킴으로써 승강체에 제동력을 준다. 가이드 레일에서의 제1 제동체의 접촉위치와, 가이드 레일에서의 제2 제동체의 접촉위치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서로 어긋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체(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이나 균형추 등)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2개의 작은 질량용의 비상 멈춤 장치를 상하에 연결하여 엘리베이터칸에 탑재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를 구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각 작은 질량용의 비상 멈춤 장치는 가이드 레일의 양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서포트와, 각 서포트와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쐐기부재를 각각 가지고 있다. 각 작은 질량용의 비상 멈춤 장치에서 각 쐐기부재가 서포트와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로 파고드는 것(wedging)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에 제동력이 주어진다(특허문헌 1 참조).
또, 종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쐐기부재의 가이드 레일과의 대향면에 복수의 세라믹제의 마찰편을 마련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도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35437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7-4127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소59-768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이 하강하고 있을 때, 상하의 쐐기부재가 가이드 레일에 접촉하면, 하측의 쐐기부재가 슬라이딩한 면을 상측의 쐐기부재가 슬라이딩하므로, 하측의 쐐기부재가 슬라이딩한 후의 가이드 레일의 표면이 고온이 되어, 가이드 레일에 대한 상측의 쐐기부재의 마찰계수가 저하해 버린다. 이것에 의해, 상측의 쐐기부재가 서포트와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로 파고들기 어려워져 버려, 충분한 제동력이 생기기 어려워져 버린다.
또, 특허문헌 2 및 3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에서는, 1개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비상 멈춤 장치의 수가 1개이므로, 엘리베이터칸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승강체에 마련되고, 승강체에 제동력을 주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로서, 가이드 레일에 접리(接離) 가능한 제1 제동체를 가지고, 제1 제동체를 가이드 레일에 접촉시킴으로써 승강체에 제동력을 주는 제1 비상 멈춤 기구부 및 가이드 레일에 접리 가능한 제2 제동체를 가지고, 제1 비상 멈춤 기구부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제2 제동체를 가이드 레일에 접촉시킴으로써 승강체에 제동력을 주는 제2 비상 멈춤 기구부를 구비하고, 가이드 레일에서의 제1 제동체의 접촉위치와, 가이드 레일에서의 제2 제동체의 접촉위치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서로 어긋나(offset)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에서는, 가이드 레일에서의 제1 제동체의 접촉위치와, 가이드 레일에서의 제2 제동체의 접촉위치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서로 어긋나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에 대한 제1 제동체의 슬라이딩면을 피하여, 제2 제동체를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제동체의 슬라이딩에 의해 고온이 된 슬라이딩면상을 제1 제동체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가이드 레일에 대한 제1 제동체의 마찰계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비상 멈춤 기구부에 의한 제동력뿐만이 아니라, 제1 비상 멈춤 기구부에 의한 제동력도 보다 확실히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비상 멈춤 장치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에 각각 접촉하고 있을 때의 상측 쐐기 및 하측 쐐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측 쐐기 및 하측 쐐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측 쐐기 및 하측 쐐기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로의 접촉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에 발생하는 슬라이딩 자국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도시생략)이 상하방향을 따라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칸(승강체)(2)이 배치되며,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균형추(승강체)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는 권상기(卷上機)(구동장치)의 구동 쉬브에 감겨진 도시하지 않은 현적체(懸吊體, suspending body)에 의해 매달려 있다. 현적체로서는, 예를 들면 로프나 벨트 등이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는 권상기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는, 엘리베이터칸(2)이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안내되고, 균형추가 각 균형추 가이드 레일에 안내된다.
엘리베이터칸(2)은 엘리베이터칸 본체(3)와, 엘리베이터칸 본체(3)를 둘러싼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 본체(3)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4)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 프레임(4)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주어 엘리베이터칸(2)의 낙하를 저지하는 비상 멈춤 장치(5)가 마련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5)에는 조작 레버(6)가 마련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5)는 조작 레버(6)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파지한다. 엘리베이터칸(2)의 낙하는 비상 멈춤 장치(5)에 의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의 파지에 의해 저지된다.
조작 레버(6)에는 조속기 로프(7)가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7)는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조속기의 조속기 쉬브(도시생략)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칸(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조속기 로프(7)가 엘리베이터칸(2)과 함께 이동되고, 조속기 쉬브가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에 따라 회전된다. 조속기는 조속기 쉬브의 회전속도가 과대하게 되었을 때에, 조속기 로프를 파지한다. 조작 레버(6)는 조속기 로프(7)가 조속기에 의해 파지되어 엘리베이터칸(2)이 조속기 로프(7)에 대해서 변위됨으로써 조작된다.
비상 멈춤 장치(5)는 상측 비상 멈춤 기구부(제1 비상 멈춤 기구부)(8)와, 상측 비상 멈춤 기구부(8)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측 비상 멈춤 기구부(제2 비상 멈춤 기구부)(9)와, 엘리베이터칸 프레임(4)에 고정되고, 상측 비상 멈춤 기구부(8) 및 하측 비상 멈춤 기구부(9)를 지지하는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을 가지고 있다. 즉, 비상 멈춤 장치(5)는 듀프렉스(duplex) 타입의 비상 멈춤 장치로 되어 있다.
상측 비상 멈춤 기구부(8)는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에 수평으로 마련된 상측 회동축(제1 회동축)(11)과, 상측 회동축(11)에 연결 레버(14)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측 회동축(11)의 회동에 의해,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는 한 쌍의 상측 쐐기(제1 제동체)(12)와,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에 고정되고, 상측 회동축(11)의 회동에 의해서 변위되는 상측 쐐기(12)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상측 안내부(제1 안내부)(13)를 가지고 있다.
각 상측 안내부(13)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 상측 안내부(13)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측 안내부(13)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각 상측 쐐기(12)는 각 상측 안내부(13)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상측 쐐기(12)는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에 대해서 위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상측 안내부(13)를 따라서 안내되고,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측 안내부(13)를 따라서 안내된다.
각 상측 쐐기(12)는 상측 안내부(13)를 따라서 안내되면서 위쪽으로 변위됨으로써, 각 상측 안내부(13)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로 파고들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은 각 상측 쐐기(12)가 각 상측 안내부(13)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로 파고드는 것에 의해, 각 상측 쐐기(12) 사이에서 파지된다. 상측 비상 멈춤 기구부(8)는 각 상측 쐐기(12)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파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준다. 즉, 상측 비상 멈춤 기구부(8)는 각 상측 쐐기(12)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준다.
하측 비상 멈춤 기구부(9)는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에 수평으로 마련된 하측 회동축(제2 회동축)(15)과, 하측 회동축(15)에 연결 레버(18)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하측 회동축(15)의 회동에 의해,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는 한 쌍의 하측 쐐기(제2 제동체)(16)와,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에 고정되고, 하측 회동축(15)의 회동에 의해서 변위되는 하측 쐐기(1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하측 안내부(제2 안내부)(17)를 가지고 있다.
각 하측 안내부(17)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 하측 안내부(17)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의 거리는 하측 안내부(17)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각 하측 쐐기(16)는 각 하측 안내부(17)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하측 쐐기(16)는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에 대해서 위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하측 안내부(17)를 따라서 안내되고, 비상 멈춤 장착프레임(10)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측 안내부(17)를 따라서 안내된다.
각 하측 쐐기(16)는 하측 안내부(17)를 따라서 안내되면서 위쪽으로 변위됨으로써, 각 하측 안내부(17)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로 파고들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은, 각 하측 쐐기(16)가 각 하측 안내부(17)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로 파고드는 것에 의해, 각 하측 쐐기(16) 사이에서 파지된다. 하측 비상 멈춤 기구부(9)는 각 하측 쐐기(16) 사이에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파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준다. 즉, 하측 비상 멈춤 기구부(9)는 각 하측 쐐기(1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준다.
각 상측 안내부(13) 사이 및 각 하측 안내부(17) 사이의 각각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은 공통의 가이드 레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상측 쐐기(12) 및 각 하측 쐐기(16)는 공통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레버(6)는 상측 회동축(1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회동축(11)은 조작 레버(6)의 조작에 따라 회동된다. 상측 회동축(11) 및 하측 회동축(15) 사이에는 상측 회동축(11)과 하측 회동축(15)을 서로 연동시키는 링크 장치(19)가 마련되어 있다. 하측 회동축(15)은 링크 장치(19)에 의한 상측 회동축(11)과의 연동에 의해, 상측 회동축(11)과 동일한 회동 각도로 회동된다. 따라서, 각 상측 쐐기(12) 및 각 하측 쐐기(16)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동시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즉, 상측 비상 멈춤 기구부(8) 및 하측 비상 멈춤 기구부(9)는 조작 레버(6)가 조작됨으로써, 공통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동시에 파지하여,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을 동시에 준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각각 접촉하고 있을 때의 상측 쐐기(12) 및 하측 쐐기(1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측 쐐기(12) 및 하측 쐐기(16)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상측 쐐기(12)는 연결 레버(14)(도 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주철제(鑄鐵製)의 쐐기 본체(제동체 본체)(20)와, 쐐기 본체(20)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하는 세라믹제의 복수의 마찰편(21)을 가지고 있다. 또한, 쐐기 본체(20)를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SS400)제의 부재로 하여도 된다.
쐐기 본체(20)에는 상측 안내부(13)에 따른 경사면(20a)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향하는 레일 대향면(20b)이 마련되어 있다. 각 마찰편(21)은 레일 대향면(20b)에 마련되어 있다. 또, 각 마찰편(21)은 레일 대향면(20b)으로부터 돌출하는 원기둥 모양 부재로 되어 있다. 상측 쐐기(12)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고 있을 때는, 쐐기 본체(20)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각 마찰편(21)만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고 있다.
하측 쐐기(16)는 연결 레버(18)(도 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주철제의 쐐기 본체(제동체 본체)(22)와, 쐐기 본체(22)에 마련되고,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하는 세라믹제의 복수의 마찰편(23)을 가지고 있다. 또한, 쐐기 본체(22)를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SS400)제의 부재로 하여도 된다.
쐐기 본체(22)에는 하측 안내부(17)에 따른 경사면(22a)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향하는 레일 대향면(22b)이 마련되어 있다. 각 마찰편(23)은 레일 대향면(22b)에 마련되어 있다. 또, 각 마찰편(23)은 레일 대향면(22b)으로부터 돌출하는 원기둥 모양 부재로 되어 있다. 하측 쐐기(1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고 있을 때는, 쐐기 본체(22)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각 마찰편(23)만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고 있다.
상측 쐐기(12)의 각 마찰편(21)은 레일 대향면(20b)의 중심선을 경계로 한 좌우 2개의 영역 가운데, 한쪽의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다. 하측 쐐기(16)의 각 마찰편(23)은 레일 대향면(22b)의 중심선을 경계로 한 좌우 2개의 영역 가운데, 다른 쪽의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마찰편(21)이 레일 대향면(20b)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각 마찰편(23)이 레일 대향면(22b)에 배치되어 있는 영역은 수평방향에 대해서 서로 어긋나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고 있을 때의 상측 쐐기(12) 및 하측 쐐기(16)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즉,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보면, 상측 쐐기(12)의 각 마찰편(21)이 하측 쐐기(16)의 각 마찰편(23)을 피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서의 상측 쐐기(12)의 접촉위치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서의 하측 쐐기(16)의 접촉위치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서로 어긋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쐐기 본체(20) 및 쐐기 본체(22)의 각각의 폭치수(레일 대향면(20b, 22b)의 각각의 수평방향에 대한 치수)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쐐기 본체(20) 및 쐐기 본체(22)의 각각의 위치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상측 쐐기(12) 및 하측 쐐기(16)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로의 접촉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발생하는 슬라이딩 자국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시에 상측 쐐기(12) 및 하측 쐐기(1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촉하면, 엘리베이터칸(2)의 관성력에 의해, 상측 쐐기(12) 및 하측 쐐기(1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을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는 상측 쐐기(12)의 슬라이딩에 의한 상측 슬라이딩 자국(24)과, 하측 쐐기(16)의 슬라이딩에 의한 하측 슬라이딩 자국(25)이 발생한다. 상측 슬라이딩 자국(24)과 하측 슬라이딩 자국(25)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의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발생하며, 서로 겹치지 않는다. 즉, 상측 슬라이딩 자국(24)은 하측 슬라이딩 자국(25)의 위치를 피하여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발생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칸(2)이 이동되면, 조속기 로프(7)가 엘리베이터칸(2)과 함께 이동되고, 조속기 쉬브가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에 따라 회전된다. 어떠한 원인으로 엘리베이터칸(2)의 하강 속도가 상승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과속도에 이르면, 조속기에 설치된 과속도 스위치가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을 이동시키는 권상기로의 급전(給電)이 정지되고,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된다.
권상기로의 급전이 정지된 후에도, 엘리베이터칸(2)의 하강 속도가 더욱 상승하여, 설정과속도보다 높은 비상 멈춤 속도에 이르면, 조속기가 동작되어 조속기 로프(7)가 조속기에 의해 파지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7)의 이동이 정지하며, 엘리베이터칸(2)이 조속기 로프(7)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칸(2)이 조속기 로프(7)에 대해서 이동되면, 조작 레버(6)가 조작되어, 상측 회동축(11)이 회동된다. 이 때, 하측 회동축(15)도 링크 장치(19)에 의해 상측 회동축(11)과 연동하여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각 상측 쐐기(12)가 각 상측 안내부(13)로 안내되면서 위쪽으로 변위됨과 아울러, 각 하측 쐐기(16)가 각 하측 안내부(17)로 안내되면서 위쪽으로 변위되며, 각 상측 쐐기(12) 및 각 하측 쐐기(16)가 공통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 후, 각 상측 쐐기(12) 및 각 하측 쐐기(16)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의 서로 다른 부분을 각각 슬라이딩되면서, 엘리베이터칸(2)이 하강함으로써, 각 상측 쐐기(12)가 각 상측 안내부(13)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로 파고들고, 각 하측 쐐기(16)가 각 하측 안내부(17)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로 파고든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에 제동력이 생겨 엘리베이터칸(2)이 비상 정지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5)에서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서의 상측 쐐기(12)의 접촉위치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서의 하측 쐐기(16)의 접촉위치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서로 어긋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한 하측 쐐기(16)의 슬라이딩면을 피하여, 상측 쐐기(12)를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측 쐐기(16)의 슬라이딩에 의해 고온이 된 슬라이딩면상을 상측 쐐기(12)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한 상측 쐐기(12)의 마찰계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안내부(13)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과의 사이로 상측 쐐기(12)를 쉽게 파고들 수 있어, 하측 비상 멈춤 기구부(9)에 의한 제동력뿐만이 아니라, 상측 비상 멈춤 기구부(8)에 의한 제동력도 보다 확실히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비상 멈춤 장치(5)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하측 쐐기(16)뿐만이 아니라 상측 쐐기(12)도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한 마찰계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상측 쐐기(12) 및 하측 쐐기(16)를 접촉시킬 때의 가압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멈춤 장치(5)의 소형화, 경량화 및 비용의 저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측 쐐기(12) 및 하측 쐐기(16)는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접리하는 세라믹제의 마찰편(21, 23)을 가지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한 슬라이딩시에 상측 쐐기(12) 및 하측 쐐기(16)의 소성변형이나 용융,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5)의 동작의 신뢰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비상 멈춤 장치(5)의 소형화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마찰편(21, 23)의 형상이 원기둥 모양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마찰편(21, 23)의 형상을 예를 들면 직방체나 입방체 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상측 쐐기(12)가 세라믹제의 마찰편(21)을 가지고 있지만, 마찰편(21)은 세라믹제가 아니라도 된다. 예를 들면, 마찰편(21)을 쐐기 본체(20)와 동일한 주철제로 하여 쐐기 본체(20) 및 각 마찰편(21)을 일체 성형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하측 쐐기(16)가 세라믹제의 마찰편(23)을 가지고 있지만, 마찰편(23)은 세라믹제가 아니라도 된다. 예를 들면, 마찰편(23)을 쐐기 본체(22)와 동일한 주철제로 하여 쐐기 본체(22) 및 각 마찰편(23)을 일체 성형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쐐기 본체(20, 22)에 복수의 마찰편(21, 23)이 마련되어 있지만, 쐐기 본체(20, 22)에 마련되는 마찰편(21, 23)의 수는 복수가 아니라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에 대한 접촉 면적이 소정의 값으로 확보되는 크기로 마찰편의 크기가 조정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상측 쐐기(12)의 쐐기 본체(20)와 하측 쐐기(16)의 쐐기 본체(22)가 수평방향에 대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쐐기 본체(20)와 쐐기 본체(22)를 수평방향에 대해서 서로 어긋나게(offset)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쐐기 본체(20)의 레일 대향면(20b)의 전체 영역에 각 마찰편(21)을 배치하고, 쐐기 본체(22)의 레일 대향면(22b)의 전체 영역에 각 마찰편(23)을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비상 멈춤 기구부의 단수(段數)가 상측 비상 멈춤 기구부(8) 및 하측 비상 멈춤 기구부(9)의 2단으로 되어 있지만, 비상 멈춤 기구부의 단수를 3단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비상 멈춤 장치(5)가 엘리베이터칸(2)에 마련되어 있지만, 비상 멈춤 장치(5)를 균형추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비상 멈춤 장치(5)가 균형추 가이드 레일을 파지함으로써, 균형추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1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가이드 레일),
2 엘리베이터칸(승강체), 5 비상 멈춤 장치,
8 상측 비상 멈춤 기구부(제1 비상 멈춤 기구부),
9 하측 비상 멈춤 기구부(제2 비상 멈춤 기구부),
12 상측 쐐기(제1 제동체), 16 하측 쐐기(제2 제동체),
20, 22 쐐기 본체(제동체 본체), 21, 23 마찰편.

Claims (2)

  1.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승강체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체에 제동력을 주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리(接離) 가능한 제1 제동체를 가지고, 상기 제1 제동체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승강체에 제동력을 주는 제1 비상 멈춤 기구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리 가능한 제2 제동체를 가지고, 상기 제1 비상 멈춤 기구부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제동체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승강체에 제동력을 주는 제2 비상 멈춤 기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의 상기 제1 제동체의 접촉위치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의 상기 제2 제동체의 접촉위치는 수평방향에 대해서 서로 어긋나(offset)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동체 및 상기 제2 제동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동체 본체와, 상기 제동체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리하는 세라믹제의 마찰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KR1020137012709A 2010-10-20 2010-10-20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Ceased KR201300931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68486 WO2012053073A1 (ja) 2010-10-20 2010-10-20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129A true KR20130093129A (ko) 2013-08-21

Family

ID=4597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709A Ceased KR20130093129A (ko) 2010-10-20 2010-10-20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31208A1 (ko)
JP (1) JPWO2012053073A1 (ko)
KR (1) KR20130093129A (ko)
CN (1) CN103201206A (ko)
WO (1) WO2012053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3111B (zh) * 2012-08-28 2016-07-2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的紧急制动装置以及电梯
EP3909898B1 (en) * 2020-05-15 2023-11-08 KONE Corporation An apparatus for actuating a safety gear associated with an elevator ca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682A (ja) 1982-07-07 1984-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非常止め装置
KR870000232A (ko) * 1985-06-06 1987-02-17 시기 모리야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JPH02295873A (ja) * 1989-05-09 1990-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JP2803974B2 (ja) 1993-07-30 1998-09-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GB2296487B (en) * 1994-12-27 1996-12-04 Hitachi Ltd Elevator apparatus
JP3338326B2 (ja) * 1997-03-17 2002-10-2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非常停止装置用ブレーキシュー、エレベータ用非常停止装置および非常停止機能を有するエレベータ
JP2001192184A (ja) * 2000-01-11 2001-07-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非常止め装置
JP2001354373A (ja) 2000-06-14 2001-12-2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ー非常止め装置
EP1826168B1 (en) * 2004-12-15 2013-04-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3073A1 (ja) 2012-04-26
CN103201206A (zh) 2013-07-10
JPWO2012053073A1 (ja) 2014-02-24
EP2631208A1 (en)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0717B2 (en) Emergency brake apparatus of elevator
KR1015129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37846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멈춤장치
JP411376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9747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776355B1 (en) Elevator system
JP6818909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CN104583111B (zh) 电梯的紧急制动装置以及电梯
JP569372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KR101227639B1 (ko) 승강기용 비상정지장치
JP2015151230A (ja) エレベータ用主ロープ振れ止め装置
KR20130093129A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JP2014114130A (ja) エレベータ
JP5081137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JP2013129493A (ja) エレベータの移動ケーブル装置
JP518903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JP2018111570A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CN109952262B (zh) 电梯的紧急停止装置的检查方法
JP201105173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26599B2 (ja) エレベータ
JP550656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091938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060005999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6023020A (ja) エレベータ装置
HK1141501B (en) Braking device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6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