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942A - 아기 캐리어 - Google Patents
아기 캐리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2942A KR20130092942A KR1020120139552A KR20120139552A KR20130092942A KR 20130092942 A KR20130092942 A KR 20130092942A KR 1020120139552 A KR1020120139552 A KR 1020120139552A KR 20120139552 A KR20120139552 A KR 20120139552A KR 20130092942 A KR20130092942 A KR 201300929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belt
- sheet
- embrace
- waist be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13 gro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안기에서는 불필요한 허리 벨트를 알맞게 축소할 수 있는 아기 캐리어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기 캐리어는, 유소아의 신체를 세로안기 상태로 지지하는 시트부(11) 및 시트부(11)로부터 늘어나서 세로안기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에 휘감겨지는 허리 벨트(31)를 갖는 세로안기용 시트(10)와, 유소아의 머리, 등 및 엉덩이를 가로안기 상태로 지지하는 시트부(65, 66) 및 시트부(66)로부터 기립하여 유소아의 넙적다리와 대면하는 크로치부(69)를 가지며, 세로안기 시트(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로안기 시트(60)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로안기 시트(60)는, 세로안기 시트(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허리 벨트(31)를 개여서 지지하는 허리 벨트 지지부(62)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로안기(縱抱)에도 가로안기(橫抱)에도 사용 가능한 아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유아는, 생후 얼마되지 않아서는 목을 가누지 못하여 세로안기는 부적합하고, 가로안기의 아기 캐리어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유아가 목을 가누면 유아를 세로안기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사정 때문에,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4-181268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아기 캐리어와 같이, 세로안기와 가로안기를 겸용하는 구성이 종래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아기 캐리어는, 유아를 지지하는 시트형상의 갓난아기 지지 부재와, 아기 캐리어의 착용자가 착용하는 베스트 또는 조끼와 같은 사용자 장착 부재를 구비한다. 갓난아기 지지 부재는 사용자 장착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자 장착 부재는 아기 캐리어의 착용자의 양 어깨에 걸리는 한 쌍의 어깨 벨트와 착용자의 허리에 휘감겨지는 허리 벨트를 갖는다.
또한 일본 특개2007-268074호 공보(특허 문헌 2)에 기재되는 아기 캐리어는, 유아를 세로안기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세로안기용 시트와, 유아를 가로안기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가로안기용 시트를 구비한다.
그런데, 유소아의 성장은 빠르며 그 체중이 부쩍부쩍 증가하여 가기 때문에, 성장하는데 따라서 아기 캐리어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양 어깨에는 큰 부담이 걸리게 된다. 그래서, 유아의 체중을 착용자의 어깨 및 허리에 알맞게 분담하여 지지할 수 있는 아기 캐리어가 선호된다. 유소아의 체중을 포함하는 아기 캐리어의 하중을 착용자의 허리에 착실하게 전달하고, 착용자의 허리에 광범위하게 아기 캐리어의 하중을 분산시켜서 착용자의 피로를 경감하려면, 유아를 지지하는 세로안기용의 시트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어깨 벨트를 결합하고, 이 시트의 하측에 허리 벨트를 결합하고, 허리 벨트의 두께 치수나 폭 치수를 크게 하면 좋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아기 캐리어는 허리 벨트를 갖지 않는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아기 캐리어에서는, 베스트 또는 조끼와 같은 사용자 장착 부재가 허리 벨트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갓난아기 지지 부재가 사용자 장착 부재에 버클이나 파스너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유소아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세로안기 및 가로안기의 쌍방에서 착탈 조작이 번거롭다.
그래서, 유아를 지지하는 세로안기용의 시트에, 두께 및 폭이 크고 세로안기에 알맞은 어깨 벨트 및 허리 벨트를 분리 불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종래보다도 큰 허리 벨트가 시트에 결합한 아기 캐리어를, 이번에는 가로안기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 허리 벨트가 사용되는 일이 없고, 게다가 큰 허리 벨트는 방해가 된다.
그렇다고 해서, 큰 허리 벨트만을 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하면, 하중을 착용자의 허리에 적정하게 분산할 수가 없고, 나아가서는 오사용(誤使用)의 우려나, 분실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세로안기에서는 시트에 결합하는 큰 허리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로안기에서는 허리 벨트를 알맞게 축소할 수 있는 아기 캐리어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아기 캐리어는, 유소아의 신체를 세로안기 상태로 지지하는 시트부, 시트부로부터 늘어나서 세로안기 상태 및 가로안기 상태에서 착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한 쌍의 어깨 벨트, 및 시트부로부터 늘어나서 세로안기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에 휘감겨지는 허리 벨트를 갖는 세로안기용 시트와, 유소아의 머리를 가로안기 상태로 지지하는 헤드 시트부, 유소아의 등 및 엉덩이를 가로안기 상태로 지지하는 백 시트부, 및 백 시트부로부터 기립하여 유소아의 넙적다리와 대면하는 크로치(crotch)부를 가지며, 세로안기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로안기 시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로안기 시트는, 세로안기 시트에 부착된 상태에서, 허리 벨트를 개어서 지지하는 허리 벨트 지지부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소아를 세로안기 및 가로안기 가능한 아기 캐리어에 있어서, 세로안기 시트가 어깨 벨트 및 허리 벨트를 갖기 때문에, 세로안기 상태에서 유소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고, 번잡한 착탈 조작이 경감된다. 그리고 특허 문헌 1과 같은 별체의 베스트 또는 조끼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세로안기 상태에서 시트부의 길이방향 타방단부(他方端部)와 결합하는 허리 벨트를 착용자의 허리에 휘감아서, 유소아의 체중을 착용자의 허리에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가로안기 상태에서 이 허리 벨트를 개어서 축소할 수가 있어서,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게다가, 가로안기 시트에 마련된 허리 벨트 지지부가 시트에 마련된 허리 벨트를 지지하기 때문에, 허리 벨트 지지부는 가로안기 시트를 세로안기 시트에 고정하는 역할을 다할 수 있다.
허리 벨트 지지부는, 아기 캐리어의 가로안기 상태에서 사용되지 않는 허리 벨트를, 갠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면 좋고 그 구성, 위치, 및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가로안기 시트의 백 시트부는 세로안기 시트의 시트부에 겹쳐지도록 부착되고, 허리 벨트 지지부는 크로치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허리 벨트 지지부가 개어진 허리 벨트를 지지함에 의해 두께를 늘리고, 결과적으로 크로치부의 두께를 크게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허리 벨트 지지부는 크로치부 이외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로서, 허리 벨트 지지부는 개어진 허리 벨트를 수납하는 자루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개어진 허리 벨트를 말끔하게 수납할 수 있다. 자루는 시트의 폭방향 바깥쪽으로부터 허리 벨트에 씌워지는 것이라도 좋고, 시트의 길이방향 일방 또는 타방으로부터 허리 벨트에 씌워지는 것이라도 좋고, 자루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허리 벨트 지지부는, 개어진 허리 벨트를 계지(係止)하는 면(面)파스너나 버튼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허리 벨트를 수납하는 자루는 가로안기 시트의 하측면(下側面)에 마련되어 가로안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는 포켓이다. 포켓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포켓의 출입구가 가로안기 시트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포켓의 속측(奧側)이 포켓 출입구보다도 폭방향으로 넓어져서 형성되어, 개어진 허리 벨트를 포켓 속측에 수납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허리 벨트가 포켓으로부터 생각지 않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포켓의 출입구의 폭방향 치수가 포켓의 속측의 폭방향 치수와 개략 동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가로안기 시트는, 근원(根元)이 백 시트부와 결합하고, 선단이 한 쌍의 어깨 벨트의 일단과 각각 접속하는 한 쌍의 접속 벨트를 또한 갖는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속 벨트와 어깨 벨트를 접속함에 의해, 어깨 벨트를 연장할 수 있고, 어깨 벨트의 길이를 세로안기 상태 및 가로안기 상태의 각각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어깨 벨트의 일단 및 타단이 세로안기 시트와 연결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접속 벨트는 가로안기 상태에서 크로치부에 마련된 벨트 안내부에 통과되어도 좋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허리 벨트 지지부가 가로안기 상태에서 아기 캐리어의 하중을 부담하는 접속 벨트에 따라 지지되기 때문에, 허리 벨트 및 허리 벨트 지지부가 흔들흔들 요동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세로안기 시트는, 세로안기 시트의 시트부 및 한 쌍의 어깨 벨트를 하나로 정리하여 갠 상태로 지지하는 세로안기 시트 지지부를 또한 갖아도 좋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아기 캐리어로 유소아를 지지하지 않는 경우라도, 시트부 및 한 쌍의 어깨 벨트를 하나로 정리하여 갤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허리에 허리 벨트를 휘감고, 시트부 및 한 쌍의 어깨 벨트를 축소한 상태에서, 착용자는 세로안기 시트를 몸에 걸칠 수 있다.
한 실시 형태로서, 세로안기 시트 지지부는, 양단이 허리 벨트와 결합하고, 중간 영역이 시트부 및 한 쌍의 어깨 벨트를 묶는 띠(帶)라도 좋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시트부 및 한 쌍의 어깨 벨트를 축소한 상태를, 띠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띠는 허리 벨트와 시트부의 경계에 마련된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시트부 및 한 쌍의 어깨 벨트를 묶는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세로안기 시트 지지부는, 시트부 및 한 쌍의 어깨 벨트를 수납하는 자루이다.
상술한 자루 내지 포켓 외, 허리 벨트 지지부는, 개어진 허리 벨트를 묶는 띠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안기 상태에서 사용되지 않는 허리 벨트를 개어서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가로안기 상태에서 허리 벨트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게다가 세로안기 상태에서 이 허리 벨트를 착용자의 허리에 휘감아서 아기 캐리어의 하중을 알맞게 분담하고, 게다가 하중을 착용자의 허리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가 되는 아기 캐리어의 세로안기 시트 외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동 실시 형태의 세로안기 시트 내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동 실시 형태의 세로안기 시트가 세로안기 상태로 유아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세로안기 상태에서 사용되는 세로안기 시트의 외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세로안기 시트를 세로안기 상태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세로안기 시트의 외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세로안기 시트의 시트부를 축소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동 실시 형태가 되는 아기 캐리어의 가로안기 시트의 하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가로안기 시트의 상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가로안기 상태로 유아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허리 벨트를 접어 개어서 수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허리 벨트를 접어 개어서 수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가로안기 시트의 접속 벨트를 하나로 정리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가로안기 시트의 접속 벨트를 하나로 정리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가로안기 시트와 세로안기 시트의 접속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아기 캐리어를 가로안기 상태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동 실시 형태의 세로안기 시트 내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동 실시 형태의 세로안기 시트가 세로안기 상태로 유아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세로안기 상태에서 사용되는 세로안기 시트의 외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세로안기 시트를 세로안기 상태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세로안기 시트의 외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세로안기 시트의 시트부를 축소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동 실시 형태가 되는 아기 캐리어의 가로안기 시트의 하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가로안기 시트의 상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가로안기 상태로 유아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허리 벨트를 접어 개어서 수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허리 벨트를 접어 개어서 수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가로안기 시트의 접속 벨트를 하나로 정리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가로안기 시트의 접속 벨트를 하나로 정리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가로안기 시트와 세로안기 시트의 접속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아기 캐리어를 가로안기 상태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아기 캐리어의 세로안기 시트 외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동 실시 형태의 세로안기 시트 내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의 세로안기 시트가 세로안기 상태로 유아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세로안기 상태에서 사용되는 세로안기 시트의 외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아기 캐리어의 착용자가 동 실시 형태의 세로안기 시트를 세로안기 상태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안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설명중에서, 세로안기 상태란, 유소아의 머리를 위로 하고 유소아의 다리를 아래로 하여 지지하는 것을 말하고, 업음 및 안음의 어느 쪽이라도 좋다. 또한 가로안기 상태란, 유소아의 몸을 거의 수평으로 한 것을 말하고, 일반적으로는 유소아의 머리와 다리가 착용자(유소아의 보호자)의 좌우 방향이 되도록, 착용자의 복부에 인접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 설명중에서, 내측면이란 유소아와 접촉하는 면을 말하고, 세로안기 상태에서는 아기 캐리어의 착용자에게 지향하는 면이 된다. 이에 대해 외측면이란, 내측면과는 반대측의 면을 말하고, 세로안기 상태에서는 아기 캐리어의 착용자와 반대측의 면을 말한다.
또한, 이 설명중에서, 시트의 폭방향이란, 세로안기 상태에서는 유소아 및 착용자가 보아서 좌우 방향과 같고, 가로안기 상태에서는 유소아가 보아서 좌우 방향과 같음과 함께 착용자가 보아 전후 방향과 같다. 또한 시트의 길이방향이란, 세로안기 상태에서는 유소아 및 착용자가 보아 상하 방향(즉 머리부터 다리까지 신체의 연장 방향)과 같고, 가로안기 상태에서는 유소아가 보아서 머리부터 다리까지 신체의 연장 방향과 같음과 함께 착용자가 보아 좌우 방향과 같다. 즉 길이방향이란 폭방향과 직각의 방향을 말하고, 시트의 길이방향 치수 및 폭방향 치수의 장단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가로안기 상태에서 사용되는 가로안기 시트는, 세로안기 시트의 시트부와 겹쳐지도록 부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로안기 시트의 폭방향이란 유소아가 보아서 좌우 방향과 같다. 또한 가로안기 시트의 길이방향이란, 유소아가 보아서 머리부터 다리까지 신체의 연장 방향과 같다.
본 실시예의 아기 캐리어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세로안기 시트(10) 및 후술하는 가로안기 시트를 구비한다. 세로안기 시트(10)는, 시트부(11)와, 제 1 어깨 벨트(21)와, 제 2 어깨 벨트(22)와, 허리 벨트(31)를 갖는다. 세로안기 시트(10)의 한 쌍의 어깨 벨트가 되는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는, 시트부(11)의 길이방향 일방측의 폭방향 양측과 각각 결합한다. 허리 벨트(31)는 시트부(11)의 길이방향 타방측과 결합하고 폭방으로 늘어난다.
시트부(11)는 세로안기 상태에서 유소아를 직접 지지한다. 또한 시트부(11)는, 후술하는 가로안기 상태에서, 유소아를 지지하는 가로안기 시트를 직접 지지한다. 이 때문에 시트부(11)는, 두께가 큰 시트형상의 봉제(縫製) 부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넓어진다.
시트부(11)의 길이방향 일방단에는 한 쌍의 어깨 벨트가 되는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가 꿰매어 붙여진다. 시트부(11)의 길이방향 타방단에는 허리 벨트(31)가 꿰매어 붙여진다. 또한 시트부(11)의 길이방향 일방단부에는 헤드 커버(12)가 버튼 또는 파스너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헤드 커버(12)는, 두께의 작은 천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부(11)의 길이방향 일방단으로부터 연장한여 나온다. 헤드 커버(12)의 폭방향 양단에는, 한 쌍의 고정띠(留帶)(13)가 각각 마련된다. 고정띠(13)의 근원은 헤드 커버(12)의 길이방향 일방단의 모서리부에 꿰매어 붙여지고, 고정띠(13)의 선단측에는, 복수의 버튼(14, 14)이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시트부(11)의 폭방향 일방측연(緣) 및 폭방향 타방측연에는, 한 쌍의 쿠션통(15, 16)이 꿰매어 붙여저서 결합한다. 쿠션통(15, 16)은 쿠션성의 봉제 부재로 이루어지는 선단 개구의 통이고, 이들의 쿠션통은 내부에 버클을 수납한다. 쿠션통(15, 16) 내의 버클은, 시트부(11)에 각각 꿰매어 붙여져서, 시트부(11)의 길이방향 일방측 근처에 위치한다. 쿠션통(15, 16), 후술하는 쿠션 시트, 및 다른 쿠션통 등을 포함하고, 버클을 포위하는 완충 부재는, 버클이 유소아에게 맞닿는 것을 방지한다.
시트부(11)의 폭방향 일방측연 및 폭방향 타방측연에는, 통기성이 좋은 얇은 천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넙적다리천(11m)이 꿰매어 붙여진다. 넙적다리천(11m)은 쿠션통(15, 16)으로부터 허리 벨트(31)까지 시트부(11)의 길이방향으로 늘어나서 , 유소아의 사타구니와 접촉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11)의 내측면에는 통기성이 좋은 얇은 천으로 이루어지는 넙적다리받침(17)이 마련된다. 넙적다리받침(17)은 T자와 같은 형상이고, 넙적다리받침(17)의 하단연이 시트부(11)의 길이방향 타방단에 꿰매붙여진다. 넙적다리받침(17)의 상단연은 자유단이 된다. 또한 넙적다리받침(17)의 상단연중 폭방향 일방 및 타방에는, 한 쌍의 버클(18)이 각각 마련된다.
제 1 어깨 벨트(21)의 근원은 시트부(11)의 길이방향 일방측에 꿰매어 붙여져서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어깨 벨트(21)는, 시트부(11)의 폭방향 일방측부터 길이방향 일방으로 연장하여 나온다.
제 1 어깨 벨트(21)의 선단에는 접속구(接續具)(21c)가 고정되고, 접속구(21c)에는 제 1 어깨 벨트띠(23)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어깨 벨트띠(23)는 제 1 어깨 벨트(21)의 선단에서 연장하여 나오는 것이고, 제 1 어깨 벨트띠(23)의 선단측에는 버클(25)이 부착된다. 제 1 어깨 벨트띠(23)를 접속구(21c)에 따라 미끄러트림에 의해 접속구(21c)로부터 버클(25)까지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된다.
제 1 어깨 벨트(21)는, 세로안기 상태에서 착용자의 한쪽의 어깨에 걸려진다. 이 때문에 제 1 어깨 벨트(21)는, 통상의 띠보다도 벨트 폭 및 벨트 두께가 큰 봉제 부재로 이루어지고, 아기 캐리어의 하중을 착용자의 어깨에 광범위하게 분산시킨다.
제 1 어깨 벨트(21)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브리지 벨트(41)가 부착되어 있다. 브리지 벨트(41)는 제 1 어깨 벨트(21)로부터 늘어나는 띠이고, 그 선단측에 버클(43)을 갖는다. 버클(43)은 브리지 벨트(41)에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다. 또한 제 1 어깨 벨트(21)의 길이방향 중간 정도에는, 전술한 헤드 커버(12)가 고정띠(13)의 버튼(14)라고 계합하는 복수의 버튼(27)이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제 2 어깨 벨트(22)는, 시트부(11)의 폭방향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가상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제 1 어깨 벨트와 대칭으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시트부(11)의 길이방향 일방단중 폭방향 타방부터 연장하여 나온다. 따라서 도 1에서는, 제 2 어깨 벨트(22)와, 접속구(22c)와, 제 2 어깨 벨트띠(24)와, 버클(26)과, 버튼(28)과, 브리지 벨트(42)와, 쿠션 소재로 이루어지는 쿠션통(45)의 부호만을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선단 개구의 쿠션통(45)은 브리지 벨트(42)의 선단에 마련된 버클을 포위한다. 따라서 브리지 벨트(42)의 선단의 버클은 밖으로 노출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어깨 벨트(21)의 근원에는, 내측면에 따라 쿠션 시트(19)가 마련된다. 쿠션 시트(19)와 제 1 어깨 벨트(21)의 내측면과의 간극은, 제 1 어깨 벨트(21)의 연장 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는 개구가 된다. 그리고 쿠션 시트(19)와 제 1 어깨 벨트의 내측면의 사이에 버클을 수용한다. 쿠션 시트(19)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버클(20)은, 제 1 어깨 벨트(21)에 꿰매어 붙여져서, 밖으로 노출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2 어깨 벨트(22)의 근원에도 쿠션 시트(19) 및 버클(20)(도 15)이 마련된다.
허리 벨트(31)는, 시트부(11)의 길이방향 타방단에 꿰매어 붙여져서 결합한다. 그리고 시트부(11)의 길이방향 타방단과 연속하는 허리 벨트 중앙부(32)와, 폭방향 일방을 향하여 연장하여 나오는 제 1 연출부(33)와, 폭방향 타방을 향하여 연장하여 나오는 제 2 연출부(34)를 갖는다. 제 1 연출부(33)의 선단에는 고무 띠로 이루어지는 허리 벨트띠 통과부(35)와 버클(37)이 마련된다. 허리 벨트띠 통과부(35)는 허리 벨트(3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고리(輪)이다. 제 2 연출부(34)의 선단부터는 허리 벨트띠(36)가 연장하여 나온다. 허리 벨트띠(36)에는 버클(38)이 부착된다. 버클(38)은 허리 벨트띠(36)에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다. 버클(37, 38)을 서로 연결함에 의해, 허리 벨트(31)는, 세로안기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에 휘감겨진다. 이 때문에 허리 벨트(31)는, 통상의 띠보다도 벨트 폭 및 벨트 두께가 큰 봉제 부재로 이루어지고, 아기 캐리어의 하중을 착용자의 허리에 광범위하게 분산시킨다.
착용자가 유소아를 세로안기하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유소아(B)의 머리를 길이방향 일방을 향하게 하고, 유소아(B)의 다리를 길이방향 타방을 향하게 하여, 유소아(B)를 시트부(11)의 내측면에 누이고, 넙적다리받침(17)으로 유소아(B)의 넙적다리를 덮고, 폭방향 일방측의 버클(18)을, 폭방향 일방측의 버클(20)에 연결하고, 폭방향 타방의 버클(18)을, 폭방향 타방의 버클(20)에 연결한다. 이에 의해 유소아(B)는 시트부(11)에 구속된다.
또한, 제 1 어깨 벨트(21)의 버클(25)을 쿠션통(15)중의 버클에 연결하고, 제 2 어깨 벨트(22)의 버클(26)을 쿠션통(16)중의 버클에 연결하여, 착용자의 어깨를 통과시키는 고리를 각각 형성한다. 다음에 착용자가 양팔을 한쪽의 고리 및 다른쪽의 고리에 각각 삽입하여,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를 어깨에 각각 걸음에 의해, 유소아(B)는 착용자에 세로안기가 된다. 그리고 세로안기는 업음이라도 안음이라도 좋다.
다음에 착용자는, 허리 벨트(31)의 제 1 연출부(33) 및 제 2 연출부(34)를 허리의 양측에 각각 걸고, 버클(38)을 허리 벨트띠 통과부(35)에 삽입한 후에 버클(37)에 연결한다. 이에 의해, 유소아(B)의 체중을 포함하는 아기 캐리어의 하중이, 착용자의 어깨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허리에도 분담된다. 그리고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는, 단순한 포제대(布製帶)에 지나지 않는 제 1 어깨 벨트띠(23) 및 제 2 어깨 벨트띠(24)보다도 폭 치수 및 두께 치수가 큰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기 캐리어의 하중을 착용자의 양 어깨에 광범위하게 부드럽게 분산할 수 있다. 또한 허리 벨트(31)도, 단순한 포제대에 지나지 않는 허리 벨트띠(36)보다도 폭 치수 및 두께 치수의 큰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기 캐리어의 하중을 착용자의 허리에 광범위하게 부드럽게 분산할 수 있다.
다음에, 브리지 벨트(41)의 버클(43)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쿠션통(45)의 개구에 삽입하고, 브리지 벨트(42)의 선단의 버클(쿠션통(45) 내)에 연결한다. 이에 의해,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가 서로 접근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자(M)의 양 어깨에 깊게 걸려진다. 본 실시예의 아기 캐리어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작은 유소아(B)를 세로안기할 수 있는 외에,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크게 성장한 유아도 세로안기 가능하다.
또한 착용자(M)는, 필요에 응하여, 헤드 커버(12)를 유소아(B)의 머리에 걸어주면 좋다. 헤드 커버(12)측의 버튼(14)은, 어깨 벨트측의 복수의 버튼(27, 28)과 선택적으로 계합하기 때문에, 헤드 커버(12)의 높이 위치를 조절 가능하다.
만일, 착용자의 부주의로 허리 벨트의 버클(37, 38)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버클(38)은 허리 벨트띠 통과부(35)에 계지한다. 이에 의해 허리 벨트(31)는 착용자의 허리로부터 생각지 않게 벗겨지는 일이 없다.
아기 캐리어로 유소아를 세로안기도 가로안기도 하지 않는 경우, 착용자는 본 실시예의 아기 캐리어중, 시트부(11),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를 하나로 정리하여 갤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아기 캐리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허리 벨트(31)의 외측면에 띠(51)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띠(51)는, 그 근원에서 허리 벨트 중앙부(32)와 결합한다. 그리고 띠(51)의 선단에는 버튼(52)이 마련된다. 또한, 허리 벨트(31)의 외측면에는, 허리 벨트(31)에 따라, 시트부(11)의 길이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는 포켓(53)이 마련되고, 통상은 띠(51)를 포켓(53)에 수납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를 시트부(11)의 내측면에 겹치도록 접고, 시트부(11)를 길이방향 일방측부터 타방측으로 감아 가면, 시트부(11)는 허리 벨트(31)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축소된다. 다음에 띠(51)를, 감겨진 시트부(11)에 휘감고, 띠(51) 선단의 버튼(52)을, 허리 벨트 중앙부(32)의 내측면에 마련되고, 포켓에 의해 밖으로 노출하지 않도록 된 버튼(54)(도 2)에 계합시킨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11),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를 하나로 정리하여 갠 상태로 지지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사용하지 않는 시트부(11) 등을 축소시킨 채로, 허리 벨트(31)를 착용자의 허리에 휘감아 둠으로써, 세로안기 시트(10)를 컴팩트한 상태로 몸에 걸칠 수 있다.
유소아를 가로안기하는 경우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가 되는 아기 캐리어의 가로안기 시트의 하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가로안기 시트의 상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가로안기 상태로 유아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가로안기 시트(60)는, 헤드 시트부(65), 백 시트부(66), 및 크로치부를 갖는다. 헤드 시트부(65)는 유아의 머리를 아래로부터 지지한다. 헤드 시트부(65)의 길이방향 타방단에는 백 시트부(66)가 접속한다. 백 시트부(66)는 유아의 등 및 엉덩이를 아래로부터 지지한다. 헤드 시트부(65) 및 백 시트부(66)는 연속하여 형성되고, 이들의 내부에 경질의 판재(61)를 포함한다. 파선으로 도시하는 판재(61)는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고, 유아를 가로안기 상태로 안정하게 지지한다. 백 시트부(66)의 길이방향 타방단에는 크로치부(69)가 접속한다. 크로치부(69)는 포제(布製)로 굴곡 가능하고, 백 시트부(66)로부터 기립하여 유아의 넙적다리와 대면한다. 또한, 크로치부(69)의 하측면에는 포켓(62)이 마련되고, 크로치부(69)는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된다. 포켓(62)의 출입구(63)는, 가로안기 시트(60)의 하측면에 위치하고, 가로안기 시트(60)의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포켓(62)은 접어 개어진 허리 벨트(31)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로안기 시트(60)의 길이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켓(62)은 개략 사다리꼴 형상이고, 포켓(62)의 속측이, 포켓(62)의 출입구(63)보다도 폭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폭넓게 형성된다. 또한 출입구(63)는 고무실을 포함하여, 힘을 가하면 크게 개구한다. 크로치부(69)의 하측면, 즉 포켓(62)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벨트 안내부(64)가 마련된다. 벨트 안내부(64)는 가로안기 시트(6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포제의 고리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벨트를 안내한다.
백 시트부(66)의 길이방향 타방단에는, 하측면부터 늘어나는 한 쌍의 접속 벨트(71, 72)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접속 벨트(71)의 근원은, 백 시트부(66)의 폭방향 일방측에 꿰매어 붙여지고, 접속 벨트(72)의 근원은 가로안기 시트(60)의 폭방향 타방측에 꿰매어 붙여진다. 접속 벨트(71, 72)의 선단에는 쿠션통(73, 74)이 각각 마련된다. 쿠션통(73, 74)은 쿠션성의 봉제 부재로 이루어지는 선단 개구의 통이고, 이들의 쿠션통(73, 74)은 내부에 버클을 수용한다. 쿠션통(73, 74) 내의 버클은 접속 벨트(71, 72)의 선단에 각각 꿰매붙여져 있다.
가로안기 시트(60)의 폭방향 양측에는 한 쌍의 버클 통과부(81)가 마련된다. 버클 통과부(81)는 포제의 고리이고, 가로안기 시트(60)의 길이방향 일방측 근처에 배치된다. 헤드 시트부(65)는 판재(61)과 함께 반원형상(半圓狀)이 되고, 이러한 반원호(半圓弧) 형상의 길이방향 일방측연에 따라 헤드 가드부(83)가 접속한다. 헤드 가드부(83)는 헤드 시트부(65)의 상측면으로부터 기립하여, 헤드 시트부(65)의 상측면에 지지되는 유아의 머리를 보호한다.
백 시트부(66)의 상측면에는, 통기성이 좋은 얇은 천으로 이루어지는 넙적다리받침(67)이 마련된다. 넙적다리받침(67)은 T자와 같은 형상이고, 넙적다리받침(67)의 하단연이 백 시트부(660)의 길이방향 타방단부에 꿰매어 붙여진다. 넙적다리받침(67)의 상단연은 자유단이 된다. 넙적다리받침(67)의 하단연은 판재(61)의 길이방향 타방단연과 개략 같은 위치가 된다. 또한 넙적다리받침(67)의 상단연중 폭방향 일방 및 타방에는, 한 쌍의 버클(68)이 각각 마련된다.
착용자가 유소아를 가로안기하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11)의 내측면에 가로안기 시트(60)의 하측면을 면접촉시키고, 길이방향 타방측 및 폭방향 양측에서 세로안기 시트(10)와 가로안기 시트(60)를 서로 연결하고, 가로안기 시트(60)를 세로안기 시트(10)에 겹치도록 부착한다. 다음에 유아(C)를 가로안기 시트(60)의 상측면에 길게 눕혀서, 넙적다리받침(67)으로 유아(C)를 구속한다.
세로안기 시트(10)와 가로안기 시트(60)를 서로 연결하는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트부(11)의 내측면에 가로안기 시트(60)를 겹쳐서 실은 상태에서, 우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허리 벨트(31)를 포켓(62)의 속측의 폭방향 치수와 개략 같게 되도록 접어 갠다. 여기서는, 허리 벨트 중앙부(32)의 내측면에, 제 1 연출부(33)와, 제 2 연출부(34)와, 허리 벨트띠(36)를 겹쳐 가도록 접어 개면 좋다.
다음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어 갠 허리 벨트(31)를 시트부(11)의 내측면에 근접하도록 일으키고, 포켓(62)을 하방(시트부(11)측)을 향하여, 접어 갠 허리 벨트(31)를 포켓(62)의 출입구(63)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어 개어진 허리 벨트(31)는 포켓(62)에 수납된다. 포켓(62)은, 도 8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입구(63)보다도 속측이 폭넓게 되도록 개략 사다리꼴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어 개어진 허리 벨트(31)가 포켓(62)으로부터 용이하게 튀어나오는 일은 없다.
다음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벨트(71, 72)를 벨트 안내부(64)에 통과시킨다. 도 14는 도 10의 XⅣ로 나타내는 개소를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접속 벨트(71, 72)는, 길이방향 일방측에서 타방측에 통과되어, 포켓(62)의 폭방향 일방측 및 폭방향 타방측에 각각 걸려진. 접속 벨트(71, 72)를 이와 같이 벨트 안내부(64)에 통과시킴에 의해, 접속 벨트(71, 72)는 포켓(62)에 따라 경사 방향으로 늘어난다. 이에 의해, 포켓(62)의 폭방향 일방단이 한쪽의 접속 벨트(71)를 넘어서 폭방향 일방으로 비어져 나옴과 함께, 포켓(62)의 폭방향 타방단이 타방의 접속 벨트(72)를 넘어서 폭방향 타방으로 비어져 나오고, 접속 벨트(71, 72)는 포켓(62)을 포함하는 크로치부(69)를 상방으로 기립시키면서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어깨 벨트띠(23)의 버클(25)을 쿠션통(73)의 개구에 삽입하고, 접속 벨트(71) 선단의 버클(쿠션통(73) 내)에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어깨 벨트띠(24)의 버클(26)을 쿠션통(74)의 개구에 삽입하고, 접속 벨트(72) 선단의 버클(쿠션통(74) 내)에 연결한다. 이에 의해, 제 1 어깨 벨트(21) 및 접속 벨트(71)가 연결되고 가로안기에 적합한 길이의 고리가 된다(도 10). 마찬가지로, 제 2 어깨 벨트(22) 및 접속 벨트(72)가 연결되어 가로안기에 적합한 길이의 고리가 된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11)측의 넙적다리받침(17)의 한 쌍의 버클(18)을, 폭방향 같은측의 버클 통과부(81)에 각각 통과시키고, 폭방향 같은측의 쿠션 시트(19)와 어깨 벨트와의 사이에 각각 삽입하고, 폭방향 같은측의 버클(20)에 각각 연결한다. 또한 버클(20)은 쿠션 시트(19)에 덮여 있고 밖으로 노출하지 않는다. 도 15는 도 10의 XV로 나타내는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한 쌍의 버클( 18, 20)의 연결 조작과, 허리 벨트(31)를 포켓(62)에 수납하는 조작과, 접속 벨트(71, 72)를 벨트 안내부(64)에 통과하는 조작에 의해, 가로안기 시트(60)는 세로안기 시트(10)에 단단히라고 부착된다(도 10).
설명을 도 10으로 되돌리면, 착용자가 유소아를 가로안기하려면, 유아(C)의 머리를 길이방향 일방을 향하게 하고, 유아(C)의 양다리를 길이방향 타방을 향하게 하여, 헤드 시트부(65) 및 백 시트부(66)의 상측면에 유아(C)를 위를 향하게 하여 길게 눕힌다. 크로치부(69)는 유아(C)의 양다리의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에, 넙적다리받침(67)으로 유아(C)의 가랑이부를 위에서 덮고, 폭방향 일방측의 버클(68)을, 폭방향 일방측의 쿠션통(15) 내의 버클에 연결하고, 폭방향 타방의 버클(68)을, 폭방향 타방의 쿠션통(16) 내의 버클에 연결한다. 이에 의해 유아(C)는 가로안기 시트(60)에 구속된다.
다음에 착용자가 자신의 한쪽의 팔을, 제 1 어깨 벨트(21) 및 접속 벨트(71)의 고리와, 제 2 어깨 벨트(22) 및 접속 벨트(72)의 고리에 삽입하고,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를 자신의 한쪽의 어깨에 각각 어깨띠 걸기 함에 의해, 유아(C)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자(M)에 가로안기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때 브리지 벨트(41) 선단의 버클(43)과 브리지 벨트(42) 선단의 버클(쿠션통(45) 내)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접속 벨트(71, 72)에는 아기 캐리어의 하중이 걸려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접어 갠 허리 벨트(31)를 수납한 포켓(62) 및 크로치부(69)도, 백 시트부(66)에 대해 일어선다. 크로치부(69) 및 포켓(62)은, 출입구(63)측의 폭방향 치수가 포켓 속측의 폭방향 치수보다도 좁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아(C)의 양각을 크로치부(69) 폭방향 바깥쪽에 우회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아(C)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크로치부(69)와 헤드 가드부(83)의 사이에서 지지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아기 캐리어에 의하면, 세로안기 시트(10)에 가로안기 시트(60)를 부착한 상태에서, 크로치부(69)는 허리 벨트(31)를 개어서 지지하는 포켓(62)을 갖기 때문에, 가로안기 상태에서 사용되지 않는 허리 벨트(31)를 방해가 되지 않도록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아기 캐리어에 의하면, 포켓(62)의 출입구(63)가 가로안기 시트(6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포켓(62)의 속측이 포켓(62)의 출입구(63)보다도 폭방향으로 넓어져서 포켓(62)이 형성되고, 개어진 허리 벨트(31)를 포켓 속측에 수납하기 때문에, 허리 벨트(31)가 포켓(62)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가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아기 캐리어에 의하면, 한 쌍의 접속 벨트(71, 72)의 근원이 백 시트부(66)와 결합하고, 접속 벨트(71, 72)의 선단이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와 각각 접속하기 때문에,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를 가로안기에 적합한 길이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아기 캐리어에 의하면, 접속 벨트(71, 72)는 가로안기 상태에서 벨트 안내부(64)에 통과되기 때문에, 접속 벨트(71, 72)가 포켓부(62)에 걸려진다. 따라서 크로치부(69)가 가로안기 상태에서 흔들흔들 요동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크로치부(69)가 백 시트부(66)의 상측면에 대해 기립하고, 백 시트부(66)의 상측면에 뉘여지는 유아(C)의 넙적다리를 보호하여, 유아(C)의 길이방향 일방측으로의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아기 캐리어에 의하면, 시트부(11), 제 1 어깨 벨트(21), 제 2 어깨 벨트(22)를 하나로 정리하여 갠 상태로 지지하는 띠(51)를 또한 구비하기 때문에, 아기 캐리어에 유소아를 지지하지 않는 경우라도,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부(11),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를 하나로 정리하여 갤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허리에 허리 벨트(31)를 휘감아서, 시트부(11), 제 1 어깨 벨트(21), 및 제 2 어깨 벨트(22)를 축소한 상태에서, 착용자는 세로안기 시트(10)를 몸에 걸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되는 아기 캐리어는, 육아 기구에서 유리하게 이용된다.
10 : 세로안기 시트
11 : 시트부
12 : 헤드 커버
13 : 고정띠
14 : 버튼
15, 16 : 쿠션통
17 : 넙적다리받침
18 : 버클
20 : 버클
21 : 제 1 어깨 벨트
22 : 제 2 어깨 벨트
23 : 제 1 어깨 벨트띠
24 : 제 2 어깨 벨트띠
25, 26 : 버클
27, 28 : 버튼
31 : 허리 벨트
32 : 허리 벨트 중앙부
33 : 제 1 연출부
34 : 제 2 연출부
35 : 허리 벨트띠 통과부
36 : 허리 벨트띠
37, 38 : 버클
41, 42 : 브리지 벨트
43 : 버클
45 : 쿠션통
51 : 띠
60 : 가로안기 시트
61 : 판재
62 : 포켓
63 : 출입구
64 : 벨트 안내부
65 : 헤드 시트부
66 : 백 시트부
67 : 넙적다리받침
68 : 버클
71, 72 : 접속 벨트
73, 74 : 쿠션통
81 : 버클 통과부
83 : 헤드 가드부
11 : 시트부
12 : 헤드 커버
13 : 고정띠
14 : 버튼
15, 16 : 쿠션통
17 : 넙적다리받침
18 : 버클
20 : 버클
21 : 제 1 어깨 벨트
22 : 제 2 어깨 벨트
23 : 제 1 어깨 벨트띠
24 : 제 2 어깨 벨트띠
25, 26 : 버클
27, 28 : 버튼
31 : 허리 벨트
32 : 허리 벨트 중앙부
33 : 제 1 연출부
34 : 제 2 연출부
35 : 허리 벨트띠 통과부
36 : 허리 벨트띠
37, 38 : 버클
41, 42 : 브리지 벨트
43 : 버클
45 : 쿠션통
51 : 띠
60 : 가로안기 시트
61 : 판재
62 : 포켓
63 : 출입구
64 : 벨트 안내부
65 : 헤드 시트부
66 : 백 시트부
67 : 넙적다리받침
68 : 버클
71, 72 : 접속 벨트
73, 74 : 쿠션통
81 : 버클 통과부
83 : 헤드 가드부
Claims (10)
- 유소아의 신체를 세로안기 상태로 지지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로부터 늘어나서 세로안기 상태 및 가로안기 상태에서 착용자의 어깨에 걸리는 한 쌍의 어깨 벨트, 및 상기 시트부로부터 늘어나서 세로안기 상태에서 착용자의 허리에 휘감겨지는 허리 벨트를 갖는 세로안기용 시트와,
유소아의 머리를 가로안기 상태로 지지하는 헤드 시트부, 유소아의 등 및 엉덩이를 가로안기 상태로 지지하는 백 시트부, 및 상기 백 시트부로부터 기립하여 유소아의 넙적다리와 대면하는 크로치부를 가지며, 상기 세로안기 시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로안기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안기 시트는, 상기 세로안기 시트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허리 벨트를 개어서 지지하는 허리 벨트 지지부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캐리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안기 시트의 백 시트부는 상기 세로안기 시트의 시트부에 겹쳐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허리 벨트 지지부는 상기 크로치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캐리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 지지부는 개어진 상기 허리 벨트를 수납하는 자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캐리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상기 가로안기 시트의 하측면에 마련되어 가로안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출입되는 포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캐리어.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출입구가 상기 가로안기 시트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포켓의 속측이 포켓 출입구보다도 폭방향으로 넓어져서 형성되고, 개어진 상기 허리 벨트를 포켓 속측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캐리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안기 시트는, 근원이 상기 백 시트부와 결합하고, 선단이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의 일단과 각각 접속하는 한 쌍의 접속 벨트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캐리어.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벨트는 가로안기 상태에서 상기 크로치부에 마련된 벨트 안내부에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캐리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안기 시트는, 상기 세로안기 시트의 시트부 및 한 쌍의 어깨 벨트를 하나로 정리하여 갠 상태로 지지하는 세로안기 시트 지지부를 또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캐리어.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안기 시트 지지부는, 양단이 상기 허리 벨트와 결합하고, 중간 영역이 상기 시트부 및 상기 한 쌍의 어깨 벨트를 묶는 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캐리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 지지부는 개어진 상기 허리 벨트를 묶는 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028536 | 2012-02-13 | ||
JP2012028536A JP5480313B2 (ja) | 2012-02-13 | 2012-02-13 | 子守帯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2942A true KR20130092942A (ko) | 2013-08-21 |
Family
ID=4891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9552A Withdrawn KR20130092942A (ko) | 2012-02-13 | 2012-12-04 | 아기 캐리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480313B2 (ko) |
KR (1) | KR20130092942A (ko) |
CN (1) | CN103239062B (ko) |
TW (1) | TW20133246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27111B2 (ja) | 2013-03-13 | 2017-11-08 | ザ エルゴ ベビー キャリ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チャイルドキャリア |
JP6261344B2 (ja) * | 2014-01-10 | 2018-01-17 |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 子守帯 |
JP6408764B2 (ja) * | 2014-01-14 | 2018-10-17 | ピジョン株式会社 | 子守帯 |
JP6342163B2 (ja) * | 2014-01-14 | 2018-06-13 | ピジョン株式会社 | 子守帯 |
JP6408765B2 (ja) * | 2014-01-14 | 2018-10-17 | ピジョン株式会社 | 子守帯 |
CN103932538A (zh) * | 2014-05-04 | 2014-07-23 | 曹石鼓 | 婴幼儿下肢支撑件以及可支撑婴幼儿下肢的穿戴式婴幼儿携带装置 |
JP6465267B2 (ja) * | 2014-06-18 | 2019-02-06 | ピジョン株式会社 | 横抱き用子守帯 |
CN105411275B (zh) * | 2014-09-16 | 2020-08-04 |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 带肩带的儿童保持具与带座位的育儿器具的组合构造 |
US10426275B2 (en) | 2015-10-30 | 2019-10-01 | The Ergo Baby Carrier, Inc. | Adjustable child carrier |
KR102479617B1 (ko) | 2016-10-28 | 2022-12-20 |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 다중 운반 배향을 갖는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
US10264894B2 (en) * | 2017-02-10 | 2019-04-23 | The Boppy Company, Llc | Baby carrier system |
SE542422C2 (en) * | 2017-12-14 | 2020-04-28 | Babybjoern Ab | Baby carrier with adjustable head support |
CA3120946A1 (en) | 2018-11-26 | 2020-06-04 | The Ergo Baby Carrier, Inc. |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enhanced freedom of movement |
EP4292479A1 (en) | 2020-06-19 | 2023-12-20 | The Ergo Baby Carrier, Inc. |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
CN114304986B (zh) * | 2020-10-09 | 2024-07-12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抱婴背带 |
JP7693384B2 (ja) | 2021-05-07 | 2025-06-17 |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育児関連器具 |
JP7701187B2 (ja) | 2021-05-07 | 2025-07-01 |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育児関連器具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4676U (ko) * | 1989-10-02 | 1991-05-27 | ||
JP3054676U (ja) * | 1998-06-04 | 1998-12-08 | 長沢幸株式会社 | 子守バンド |
JP2000225041A (ja) * | 1999-02-08 | 2000-08-15 | Aprica Kassai Inc | 乳幼児キャリア用ヘッドサポ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乳幼児キャリア |
JP2001070107A (ja) * | 1999-09-01 | 2001-03-21 | Lucky Kogyo Kk | パッド付ベビーキャリア |
JP2001078857A (ja) * | 1999-09-13 | 2001-03-27 | Lucky Kogyo Kk | ベビーホルダー |
JP2005118472A (ja) * | 2003-10-20 | 2005-05-12 | Combi Corp | 子守帯 |
WO2005037026A1 (ja) * | 2003-10-20 | 2005-04-28 | Combi Corporation | 子守帯 |
JP2004181268A (ja) * | 2004-03-29 | 2004-07-02 | Aprica Kassai Inc | 子守帯および使用者装着部材 |
JP4391347B2 (ja) * | 2004-07-12 | 2009-12-24 |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 子守帯 |
CN200994602Y (zh) * | 2007-02-03 | 2007-12-26 | 比卡诺(厦门)婴儿用品有限公司 | 婴儿抱背袋 |
-
2012
- 2012-02-13 JP JP2012028536A patent/JP5480313B2/ja active Active
- 2012-12-04 KR KR1020120139552A patent/KR20130092942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
- 2013-01-29 CN CN201310034248.5A patent/CN10323906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1-30 TW TW102103454A patent/TW201332466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480313B2 (ja) | 2014-04-23 |
JP2013162974A (ja) | 2013-08-22 |
CN103239062A (zh) | 2013-08-14 |
TW201332466A (zh) | 2013-08-16 |
CN103239062B (zh) | 2017-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92942A (ko) | 아기 캐리어 | |
KR100386650B1 (ko) | 대면·정면안기 겸용 베이비 캐리어 | |
CN101044945B (zh) | 幼儿背负装置 | |
KR101426751B1 (ko) | 유아용 포대기 | |
KR200447518Y1 (ko) | 유아용 아기띠 | |
JP2019188140A (ja) | チャイルドキャリア | |
KR20150053581A (ko) | 유아용 캐리어 | |
JP3161851U (ja) | ベビーキャリア | |
KR20090010149U (ko) | 하방 받침 기능을 가지는 아기띠 | |
JP6105503B2 (ja) | 子守帯 | |
RO134871A2 (ro) | Sistem de purtat copiii care cuprinde un sistem de prindere şi ajustare progresivă simultană a lăţimii şi lungimii panoului de susţinere dorsală | |
KR20190041209A (ko) | 사용편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 |
KR200473921Y1 (ko) | 유아용 아기띠 | |
CN203226532U (zh) | 一种多功能婴儿背带 | |
US20100065070A1 (en) | Safety bandage with thigh cuffs | |
GB2550613A (en) | Garment | |
JP3131283U (ja) | ベビーキャリア | |
KR100531611B1 (ko) | 유아용 포대기 | |
CN104970624B (zh) | 一种婴儿背带 | |
EP4051058A1 (en) | Baby carrier | |
NL2014948B1 (en) | Sling type child carrier. | |
KR20160046224A (ko) | 유아용 캐리어 | |
JP3128596U (ja) | 折畳み式抱っこ紐 | |
CA2619634A1 (en) | Infant carrier | |
KR101493030B1 (ko) | 쌍둥이용 캐리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