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921Y1 - 유아용 아기띠 - Google Patents
유아용 아기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3921Y1 KR200473921Y1 KR2020110005603U KR20110005603U KR200473921Y1 KR 200473921 Y1 KR200473921 Y1 KR 200473921Y1 KR 2020110005603 U KR2020110005603 U KR 2020110005603U KR 20110005603 U KR20110005603 U KR 20110005603U KR 200473921 Y1 KR200473921 Y1 KR 20047392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ant
- shoulder
- backrest
- baby
- width adjus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고안의 유아용 아기띠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아기띠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어깨끈과 등받이면의 양측에 설치된 탄성밴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아기띠의 전체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유아용 아기띠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아기띠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아기띠는 등받이면(12)과 안장부(14)와 상기 안장부(14)의 하부에 재봉 처리되어 결속되는 허리 밴드(16)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면(12)의 양끝쪽 상부에는 보호자가 어깨에 멜수 있도록 한쌍의 어깨끈(18a,18b)이 재봉 처리된다.
상기 보호자가 어깨끈(18a,18b)을 메고 허리 밴드(16)를 결착시 보호자는 유아용 아기띠와 결속력을 가지며 상기 유아용 아기띠의 등받이면(12)이 굴곡되게 구부러지면서 아기를 업거나 안을 수 있는 안장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안장부(14)의 양 측면으로는 안장부(14)의 면이 연장형성되어 안장부(14)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편(22a,22b)이 형성된다.
상기 안장부(14)와 폭조절편(22a,22b)이 경계를 이루는 구역에는 유아의 체형에 맞추어 상기 폭조절편(22a,22b)이 원활히 접힐 수 있도록 접힘부(20a,20b)가 재봉 처리된다.
또한, 상기 폭조절편(22a,22b)의 후면에는 허리밴드(16)에 부착된 제1 고정부재(30a,30b)와 접착할 수 있도록 제2 고정부재(24,28)가 재봉 처리되며, 상기 폭조절편(22b)의 상면에는 다른 폭조절편(22a)의 제2 고정부재(24)와 접착할 수 있도록 폭조절용 고정부재(26)가 재봉 처리된다. 즉, 상기 폭조절용 고정부재(26)는 유아의 체형에 맞추어 상기 폭조절편(22a,22b)이 접힘부(20a,20b)를 중심으로 해서 접혀질 때, 접혀진 폭조절편(22a,22b)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폭조절편(22a,22b)이 상기 접힘부(20a,20b)를 중심으로 해서 접혀지면 다른 폭조절편(22a)의 후면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제 2고정부재(24)가 상기 폭조절용 고정부재(26)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서 접혀진 상태의 폭조절편(22a,22b)을 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안장부(14)의 하부에 재봉 처리되어 결속되는 허리밴드(16)는 유아가 허벅지를 얹을시 안락감을 주기 위해 신축성을 가지는 쿠션으로 제작된다. 상기 허리밴드(16)는 보호자가 착용시 허리둘레를 감살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에 따라 허리밴드(16)는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허리밴드(16)에는 아기를 업거나 안을시 다리가 빠져나오는 사이로 허벅지 안치부(32a,32b)가 형성된다. 상기 허벅지 안치부(32a,32b)의 전면에는 전술한 폭조절편(22a,22b)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24, 28)와 접착할 수 있도록 제1 고정부재(30a,30b)가 재봉 처리된다.
한편, 전술한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등받이면(12)의 연결부위에는 탄성밴드(50a,50b)가 부착된다.
첨부된 도 4는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등받이면(12)의 양측에 설치된 탄성밴드(50a,50b)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등받이면(12)의 양측에 각각 재봉 처리되는 어깨끈(18a,18b)의 일단은 주름(19a,19b)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팽창(즉, 유아의 하중으로 어깨끈(18a,18b)이 당겨질 수 있도록 늘어나는 것)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주름부(19a,19b)가 형성된 어깨끈(18a,18b)의 일단 내면과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 내면에는 탄성밴드(50a,50b)의 양단을 재봉 처리하여 유아의 하중으로 어깨끈(18a,18b)이 당겨질 때, 이를 탄력적으로 지탱하도록 한다.
즉, 상기 주름부(19a,19b)는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에 재봉(21a,21b)되며, 유아의 하중이 상기 어깨끈(18a,18b)에 전해질 때, 상기 주름부(19a,19b)가 펼쳐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탄성밴드(50a, 50b)가 탄력적으로 늘어남으로써 어깨끈(18a,18b)으로 전해지는 당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밴드(50a, 50b)의 양단은 상기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에 각각 재봉(23a,23b,23c,23d)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주름부(19a,19b)가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어깨끈(18a,18b)을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밴드(50a, 50b)는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어깨끈(18a,18b)의 당김을 탄력적으로 지탱하여 사용자의 어깨에 전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게 된다. 즉, 보호자가 아기띠로 유아를 업게 되면 어깨끈(18a,18b)을 통해 사용자의 어깨로 유아의 하중이 가장 많이 전해지며, 더욱이 보호자가 유아를 업은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면 흔들림으로 인한 유아의 하중이 어깨로 더욱 많이 전해지게 되는 바, 본 고안은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등받이면(12)의 양측을 언급한 바와 같이 탄성밴드(50a,50b)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유아의 하중으로 인해 어깨끈(18a,18b)이 당겨질 때, 상기 탄성밴드(50a,50b)가 어깨끈(18a,18b)의 당김력을 탄력적으로 지탱하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어깨에 전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아기띠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유아용 아기띠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유아의 체형에 맞도록 유아용 아기띠의 안장부(14)의 폭을 줄이거나 늘릴 시 허벅지 안치부(32a,32b)의 상면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30a,30b)와 폭조절편(22a,22b)의 후면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24,28)를 탈착시킨다.
상기 폭조절편(22a,22b)을 탈착시킨 상태에서 안장부(14)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폭조절편(22a,22b)을 안장부(14)의 후면으로 젖히며, 이때, 상기 폭조절편(22a,22b)은 전술한 접힘부(20a,20b)로 인해 원활히 접혀질 수 있다.
또한, 폭조절편(22a,22b)을 안장부(14)의 후면으로 젖힐 시 하나의 폭조절편(22a)은 다른 폭조절편(22b)의 상면에 포개어지며, 이때 하나의 폭조절편(22a)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24)가 다른 폭조절편(22b)의 상면에 재봉 처리되어 있는 폭조절용 고정부재(26)가 접착하면서 조절이 완료된 안장부(14)의 폭을 고정해준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폭조절편(22a,22b)과 허벅지 안치부(32a,32b)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1,2 고정부재(24,28,30a,30b) 그리고 폭조절용 고정부재(26)를 각각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제1,2 고정부재(24,28,30a,30b)와 폭조절용 고정부재(26)는 암수로 이루어진 벨크로테잎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2 고정부재(24,28,30a,30b)와 폭조절용 고정부재(26)는 지퍼나 단추 등과 같이 2가지 소재를 서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수단이면 족하다.
한편, 상기한 유아용 아기띠로 아기를 업게 되면 유아의 하중에 의해 어깨에 매달려 있는 어깨끈(18a,18b)이 당겨지게 되는 데,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등받이면(12)의 양측을 탄성밴드(50a,50b)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유아의 하중으로 인해 어깨끈(18a,18b)이 당겨질 때, 상기 탄성밴드(50a,50b)가 어깨끈(18a,18b)의 당김력을 탄력적으로 지탱하게 됨으로서 사용자의 어깨에 전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도록 한다.
18a,18b: 어깨끈 19a,19b: 주름부
20a: 제1접힘부 20b: 제2접힘부
22a: 제1폭조절편 22b: 제2폭조절편
24: 제2 고정부재 26: 폭조절용 고정부재
28: 제2 고정부재 30a: 제1 고정부재
30b: 제1 고정부재 32a: 제1허벅지 안치부
32b: 제2허벅지 안치부 50a,50b: 탄성밴드
Claims (2)
- 등받이면(12)과 안장부(14) 그리고 상기 안장부(14)의 하부에 결속되는 허리 밴드(16) 및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에 각각 재봉 처리되며 보호자의 어깨에 매달려 지는 어깨끈(18a,18b)을 포함하여 구성한 유아용 아기띠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18a,18b)의 일단에는 주름부(19a,19b)가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주름부(19a,19b)는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에 재봉(21a,21b)되며, 유아의 하중이 상기 어깨끈(18a,18b)에 전해질 때, 상기 주름부(19a, 19b)가 펼쳐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주름부(19a,19b) 아래쪽에는 탄성밴드(50a, 50b)가 위치하며, 상기 탄성밴드(50a, 50b)의 양단은 상기 어깨끈(18a,18b)의 일단과 상기 등받이면(12)의 양측에 각각 재봉(23a,23b,23c,23d) 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주름부(19a,19b)가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어깨끈(18a,18b)을 탄력적으로 지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아기띠.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5603U KR200473921Y1 (ko) | 2011-06-21 | 2011-06-21 | 유아용 아기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5603U KR200473921Y1 (ko) | 2011-06-21 | 2011-06-21 | 유아용 아기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8991U KR20120008991U (ko) | 2012-12-31 |
KR200473921Y1 true KR200473921Y1 (ko) | 2014-08-11 |
Family
ID=5198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560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3921Y1 (ko) | 2011-06-21 | 2011-06-21 | 유아용 아기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392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069U (ko) | 2019-11-08 | 2021-05-18 | 차복희 | 폭 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0984B1 (ko) * | 2019-10-16 | 2019-11-05 | 넥스닷 주식회사 | 아기띠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9576Y1 (ko) * | 2001-10-10 | 2002-01-05 | 정원호 | 유아용 기저귀 |
KR20090008715U (ko) * | 2008-02-26 | 2009-08-31 | 김태헌 | 유아용 아기띠 |
KR20100095837A (ko) * | 2009-02-23 | 2010-09-01 | 오성자 | 포대기 |
-
2011
- 2011-06-21 KR KR2020110005603U patent/KR200473921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9576Y1 (ko) * | 2001-10-10 | 2002-01-05 | 정원호 | 유아용 기저귀 |
KR20090008715U (ko) * | 2008-02-26 | 2009-08-31 | 김태헌 | 유아용 아기띠 |
KR20100095837A (ko) * | 2009-02-23 | 2010-09-01 | 오성자 | 포대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069U (ko) | 2019-11-08 | 2021-05-18 | 차복희 | 폭 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8991U (ko) | 2012-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3013Y1 (ko) | 힙시트 캐리어 세트 | |
KR200447518Y1 (ko) | 유아용 아기띠 | |
KR200477837Y1 (ko) | 힙시트 캐리어 세트 | |
SE0900554A1 (sv) | Barnbärsele vars sittstöds bredd kan ändras. | |
JP6342163B2 (ja) | 子守帯 | |
KR20150053581A (ko) | 유아용 캐리어 | |
KR200473475Y1 (ko) | 아기띠 힙시트 | |
KR20130003372U (ko) | 유아용 아기띠 | |
KR101453460B1 (ko) |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 |
JP6408764B2 (ja) | 子守帯 | |
KR200473921Y1 (ko) | 유아용 아기띠 | |
KR200486269Y1 (ko) |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 |
KR101955476B1 (ko) | 완충 패드를 구비한 힙 시트 캐리어 | |
TW201309239A (zh) | 多功能嬰兒背乘載具 | |
KR20190041209A (ko) | 사용편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 |
KR101502580B1 (ko) | 유아용 힙시트 | |
TWM517571U (zh) | 雙肩背嬰幼兒揹巾 | |
CN104970624B (zh) | 一种婴儿背带 | |
KR20160046224A (ko) | 유아용 캐리어 | |
KR101791471B1 (ko) | 힙시트 허리밴드 구조체 | |
KR20210063868A (ko) | 아기띠 | |
KR20020094618A (ko) | 캐리어 겸용 유아시트 | |
KR200478811Y1 (ko) | 벨트 고리 포대기 | |
KR200465685Y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유아용 캐리어 | |
KR200315982Y1 (ko) | 개량 베이비 슬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62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92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329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309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08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80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9051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