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3013Y1 - 힙시트 캐리어 세트 - Google Patents

힙시트 캐리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13Y1
KR200473013Y1 KR2020130009776U KR20130009776U KR200473013Y1 KR 200473013 Y1 KR200473013 Y1 KR 200473013Y1 KR 2020130009776 U KR2020130009776 U KR 2020130009776U KR 20130009776 U KR20130009776 U KR 20130009776U KR 200473013 Y1 KR200473013 Y1 KR 200473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and
infant
wearer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섭
Original Assignee
이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4904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7301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섭 filed Critical 이진섭
Priority to KR2020130009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13Y1/ko
Priority to EP14837095.0A priority patent/EP3073870B1/en
Priority to ES14837095.0T priority patent/ES2689098T3/es
Priority to SG11201502153WA priority patent/SG11201502153WA/en
Priority to AU2014321175A priority patent/AU2014321175B2/en
Priority to PL14837095T priority patent/PL3073870T3/pl
Priority to CN201490000264.0U priority patent/CN204813013U/zh
Priority to JP2016600120U priority patent/JP3210531U/ja
Priority to MYPI2015703661A priority patent/MY171253A/en
Priority to PH22015500004U priority patent/PH22015500004Y1/en
Priority to US14/426,587 priority patent/US9596947B2/en
Priority to PCT/KR2014/006810 priority patent/WO2015080363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힙시트 캐리어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유아를 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제 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아기띠; 상기 아기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시트; 및 상기 아기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아의 신체를 받칠 수 있는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포대기를 포함하고, 상기 힙시트와 상기 포대기는 상기 아기띠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힙시트 캐리어 세트{HIP SEAT CARRIER SET}
본 고안은 힙시트 캐리어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를 편안한 자세로 안거나 업을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사용 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기는 백일을 전후해서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첫돌 이전의 유아들의 외출시에,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들을 사용자의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고 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포대기의 경우, 유아의 체중이 어깨벨트를 통하여 보호자의 어깨로 대부분 전달됨은 물론이고, 유아를 안거나 업는 자세에 따라 보호자가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체를 젖히거나 숙이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호자의 척추에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착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포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에 전달되도록 하되 간편하게 아이를 안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캐리어로서 일명 '힙시트'가 제안된 바 있고, 이러한 힙시트는 일반적으로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체를 내장한 시트부의 양측에 결속수단을 갖는 허리밴드를 형성하여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힙시트의 경우,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보호자가 유아의 등이나 배를 한 팔로 감싸 안아야 하므로 보호자가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야외에서 사용함에 있어 유아가 잠든 경우에는 유아를 임의의 장소에 내릴 수 없으므로 보호자의 행동이 더욱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포대기의 하단에 힙시트가 체결되는 제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대기와 힙시트가 체결되는 제품을 이용하여 유아를 안는 경우, 유아가 성장해 감에 따라 체중이 늘어남으로써, 어느 정도 성장한 유아를 안을 때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체력 및 선호하는 자세, 유아의 체격, 사용 목적, 사용 환경 등 상황에 따라 유아의 자세 및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 등 사용 모드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경우 사용 모드가 단일하므로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유아가 성장해 감에 따라 체중이 늘어나더라도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한 하중을 가하지 않을 수 있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착용자의 체력 및 선호하는 자세, 유아의 체격, 사용 목적, 사용 환경 등 상황에 따라 사용 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착용자가 유아를 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제 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아기띠; 상기 아기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시트; 및 상기 아기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아의 신체를 받칠 수 있는 제 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포대기를 포함하고, 상기 힙시트와 상기 포대기는 상기 아기띠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기띠와 상기 포대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때,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제 1 지지부재와 겹쳐지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대기는, 유아의 다리가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하부폭 및 상기 힙시트의 폭보다 더 넓은 하부폭을 갖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기띠는, 착용자가 상기 아기띠를 착용할 때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어깨띠; 상측에서 상기 포대기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 및 하측에서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결합부는 상기 포대기와 지퍼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하측 결합부는 상기 포대기 또는 상기 힙시트와 지퍼에 의해 결합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기띠는 상기 포대기와 체결되는 보조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체결부는 버튼으로 구성된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결합부는,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와 상기 아기띠를 연결하는 체결띠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힙시트 및 상기 포대기는, 상기 체결띠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띠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띠에는 벨크로가 제공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힙시트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의 양 측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고,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싼 채로 고정되는 허리띠를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대기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연결되고, 유아의 엉덩이를 받치도록 착용자의 신체를 둘러서 착용되는 골반띠를 더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아의 체중에 따라 힙시트와 포대기를 선택적으로 아기띠에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기띠에 힙시트와 포대기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므로, 착용자의 체력 및 선호하는 자세, 유아의 체격, 사용 목적, 사용 환경 등 상황에 따라 사용 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아의 자세를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유아를 안거나 업었을 때 유아와 착용자가 모두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의 구성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아기띠와 힙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아기띠와 힙시트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아기띠와 포대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아기띠와 포대기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의 구성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는 착용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아기띠(100), 아기띠(100)에 결합되고 유아의 엉덩이를 받치는 힙시트(200) 및 아기띠(100)에 결합되고 유아의 신체를 감싸는 포대기(300)를 포함한다. 아기띠(100), 힙시트(200) 및 포대기(300)는 겉표면이 천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유아와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기띠(100)는 힙시트(200) 또는 포대기(3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어느 것에 결합되느냐에 따라 사용 모드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 모드별로 구성품의 결합 관계 및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2는 도 1의 아기띠와 힙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아기띠와 힙시트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아기띠(100)는 유아의 신체를 받치는 제 1 지지부재(110),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어깨띠(130), 포대기(300)에 체결되는 상측 결합부(120) 및 힙시트(200) 또는 포대기(300)에 체결되는 하측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10)는 유아의 등이 맞닿는 부위는 푹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10)의 상측에는 상측 결합부(120)가 제공될 수 있고, 상측 결합부(120)는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도 5, 320)와 체결되기 위한 지퍼부를 구성하는 지퍼 테이프(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결합부(120)와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가 지퍼를 통해 서로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와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는 지퍼 외의 다른 체결 수단, 가령, 버튼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지지부재(110)의 후면에는 소형의 유아 용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112)가 형성될 수 있다.
어깨띠(130)는 제 1 지지부재(110)의 양 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되어 유아의 하중을 착용자의 어깨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어깨띠(130)에는 보조 체결부(132)가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체결부(132)는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서로 결합될 때 예를 들어 버튼 방식에 의해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착용자의 어깨 부위에서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조 체결부(132)는 어깨띠(130)가 제 1 지지부재(11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어깨띠(130)는 어깨끈(134)을 포함할 수 있고, 어깨끈(134)에 의해 어깨띠(130)와 제 1 지지부재(110)의 테두리 일부가 폐곡선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깨끈(134)은 길이조절부(136)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하측 결합부(140)는 아기띠(100)가 힙시트(200)와 체결되기 위한 지퍼부를 구성하는 지퍼 테이프(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결합부(140)와 힙시트(200)가 지퍼를 통해 서로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와 힙시트(200)는 지퍼 외의 다른 체결 수단, 가령, 버튼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측 결합부(140)는 힙시트(200)와 결합될 때 보조적으로 아기띠(100)와 힙시트(200)를 연결하는 체결띠(14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띠(144)는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접혔을 때 벨크로에 의해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힙시트(200)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부재(210) 및 시트부재(210)의 양 측으로 연장되는 허리띠(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재(210)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었을 때 푹신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재(210)의 상부에는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의 지퍼 테이프(142)와 체결되는 지퍼 테이프(212)가 제공될 수 있고, 아기띠(100)의 체결띠(144)가 통과하는 체결 고리(214)가 제공될 수 있다.
허리띠(220, 230)는 시트부재(210)의 우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우측 허리띠(220)와 시트부재(210)의 좌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좌측 허리띠(230)를 포함한다. 허리띠(220, 230)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어 힙시트(200)가 착용자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좌측 허리띠(23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허리띠(220, 230)를 밀착시키는 허리끈(231)이 제공될 수 있으며, 허리끈(231)의 단부에 연결버클(232)이 제공되고, 우측 허리띠(220) 측에 체결버클(222)이 제공되어 연결버클(232)과 체결버클(222)이 서로 체결됨에 따라서 좌측 허리띠(230)와 우측 허리띠(220)가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또한, 허리끈(2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가 제공되어 착용자가 임의로 허리끈(23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의 허리에 허리띠(220, 230)를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허리띠(230)에 허리끈(231)이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허리끈(231)이 우측 허리띠(220)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고, 허리끈(231)이 포함되지 않고 좌측 허리띠(230)와 우측 허리띠(220)가 서로 벨크로 등에 의해 접착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기띠(100)와 힙시트(200)가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유아가 앉은 자세로 착용자에게 안길 수 있다.
한편, 힙시트(200)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착용자가 유아를 단순히 안을 필요만 있는 경우에는 힙시트(200)를 아기띠(10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아기띠(100)에 포대기(300)를 결합시켜서 유아를 편안한 자세로 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결합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4는 도 1의 아기띠와 포대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아기띠와 포대기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아기띠(100)는 포대기(300)와 체결되어 착용자가 유아를 용이하게 안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대기(300)는 아기띠(100)와 결합되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310),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와 체결되는 상측 결합부(320) 및 제 2 지지부재(310)의 하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신체를 둘러서 착용되는 골반띠(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재(310)의 일면에는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와 체결되는 하측 결합부(340)가 제공될 수 있고, 아기띠(100)의 보조 체결부(132)와 체결되는 보조 체결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 하측 결합부(340) 및 보조 체결부(312)는 각각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 하측 결합부(140) 및 보조 체결부(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310)의 하부에는 제 2 지지부재(310)의 양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314)는 유아가 착용자에게 안겼을 때 유아의 양 다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유아의 양 다리가 소정 폭만큼 벌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는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의 지퍼 테이프(122)와 체결되는 지퍼 테이프(322)를 포함할 수 있고, 지퍼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슬라이더가 아기띠(100) 측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포대기(300)의 하측 결합부(340)도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의 지퍼 테이프(142)와 체결되는 지퍼 테이프(3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상측 및 하측 결합부에 제공되는 지퍼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퍼 외에 다른 일반적인 체결수단, 가령, 버튼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포대기(300)의 하측 결합부(340)는 아기띠(100)의 체결띠(144)가 통과되는 체결고리(3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대기(300)의 하측 결합부(340)가 제공되는 면에 보조 체결부(312)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기띠(100)와 포대기(300)에 제공되는 상측 및 하측 결합부와 보조 체결부에 의해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손쉽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합시켰을 때에도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서로 튼튼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한편, 골반띠(330)는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측 골반띠(332)와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우측 골반띠(334)를 포함한다. 골반띠(330)는 유아가 착용자에게 업힌 상태에서 착용자의 골반 또는 허리 부분의 좌측 골반띠(332)와 우측 골반띠(334)를 서로 밀착시키는 골반끈(336)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골반띠(332)에는 연결버클(331)이 제공될 수 있고, 우측 골반띠(334)에는 체결버클(333)이 제공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착용한 후 연결버클(331)과 체결버클(333)을 서로 체결함으로써 유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아기띠(100), 힙시트(200) 및 포대기(300)의 총 3 개의 구성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아기띠(100)에 힙시트(200)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포대기(3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아기띠(100)에 힙시트(20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의 지퍼 테이프(142)를 힙시트(200)의 지퍼 테이프(212)에 체결한 후 슬라이더를 밀어서 지퍼를 이용한 결합을 할 수 있다.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와 힙시트(200)를 지퍼를 이용하여 결합시킨 후에 아기띠(100)의 체결띠(144)를 힙시트(200)의 체결고리(214)에 삽입한 후에 체결띠(144)를 접어서 벨크로를 이용해 접착함으로써 체결고리(214)와 체결띠(14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퍼 및 체결띠(144)를 이용하여 아기띠(100)와 힙시트(200)를 손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띠(100)와 힙시트(200)를 지퍼를 이용해 결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이면 지퍼를 대신해서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아기띠(100)와 힙시트(200)를 체결한 후, 아기띠(100)의 어깨띠(130)를 착용자의 어깨에 멘 후에 힙시트(200)의 연결버클(232)과 체결버클(222)을 서로 체결시켜서 힙시트(200)의 좌측 허리띠(230)와 우측 허리띠(220)를 착용자의 허리를 감싼 상태로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착용자의 허리에 허리띠(220, 23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유아를 힙시트(200)의 시트부재(210)에 앉힘으로써 착용자가 유아를 용이하게 안을 수 있다. 또한,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허리끈(231)의 길이를 알맞게 조절함으로써 유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다. 이때, 유아의 가슴 부분이 아기띠(100)의 제 1 지지부재(110)에 밀착되는 자세로 착용자에게 안길 수 있다.
도 3을 보면, 유아가 안겼을 때 유아의 양 다리가 힙시트(200)의 폭(b)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여기서 힙시트(200)의 폭(b)은 힙시트(200)의 시트부재(210)의 가장 넓은 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부재(110)의 하부폭(a)은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가 제공되는 하측 단부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 1 지지부재(110)의 하부폭(a)이 힙시트(200)의 폭(b)보다 좁게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유아의 양 다리가 아기띠(100)의 양 옆으로 용이하게 빠지게 되어 유아가 편안한 자세로 안길 수 있다.
이렇게 힙시트(200)와 아기띠(100)를 결합하여 착용자가 유아를 안은 경우, 유아의 체중이 힙시트(200)의 시트부재(210)에 집중되고, 시트부재(210)에 집중되는 하중이 어깨띠(130) 및 허리띠(220, 230)에 분산됨으로써 착용자의 어깨 및 허리로 유아의 체중이 분산되고, 이로써 착용자가 큰 힘을 사용하거나, 착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고도 유아를 간편하게 업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유아의 체중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힙시트(200)를 사용하더라도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렇게 유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아기띠(100)에 포대기(300)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하게 쏠리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와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의 지퍼 테이프(122)와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의 지퍼 테이프(322)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와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와 포대기(300)의 하측 결합부(340)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지퍼를 통해 결합하여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상하측에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더불어,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의 체결띠(144)를 포대기(300)의 하측 결합부(340)의 체결고리(344)에 삽입한 후에 체결띠(144)를 접어서 벨크로를 이용해 접착함으로써 체결고리(344)와 체결띠(144)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퍼 및 체결띠(144)를 이용하여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손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기띠(100)의 보조 체결부(132)와 포대기(300)의 보조 체결부(312)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아기띠(100)와 포대기(300)의 상하측뿐만 아니라 측면에 대하여도 체결할 수 있고, 이로써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서로 하나의 유닛처럼 단단하게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아기띠(100)의 어깨띠(130)를 착용자의 어깨에 멘 후에 포대기(300)의 골반띠(330)를 착용자의 골반 또는 허리에 둘러멘 상태에서 체결버클(333)과 연결버클(331)을 서로 체결하여 좌측 골반띠(332)와 우측 골반띠(334)를 둘러멘 상태에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착용자의 신체에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착용시킨 후에 유아를 포대기(300)의 제 2 지지부재(310)와 착용자의 가슴 사이 공간에 위치시키고 유아의 엉덩이가 제 2 지지부재(31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유아를 용이하게 안을 수 있다. 이때, 유아의 가슴 부분이 제 2 지지부재(3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유아의 자세가 설정될 수 있고, 유아의 양 다리가 날개부(314)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보면, 포대기(300)의 날개부(314)는 하부폭(c)이 아기띠(100)의 하부폭(a)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14)의 하부폭(c)이 힙시트(200)의 폭(b)보다도 넓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대기(300)의 날개부(314)의 하부폭(c)이 힙시트(200)의 폭(b)보다도 넓게 제공됨으로써, 힙시트(200)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은 경우보다 포대기(300)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은 경우에 유아의 양 다리가 더 넓게 벌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서 힙시트(200)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하게 무리가 가는 경우에는 힙시트(200) 대신 포대기(300)를 아기띠(100)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의 양 다리가 힙시트(200)를 이용할 때보다 더 넓게 벌어지게 되므로, 유아의 체중에 따른 하중이 힙시트(200)를 이용할 때보다 더 골고루 분산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유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힙시트(200) 대신 포대기(300)를 사용함으로써 착용자의 어깨에 주는 부담을 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사용 모드를 용이하게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편리하게 유아를 업거나 안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0: 아기띠 110: 제 1 지지부재
120: 상측 결합부 130: 어깨띠
140: 하측 결합부 200: 힙시트
210: 시트부재 220: 우측 허리띠
230: 좌측 허리띠 300: 포대기
310: 제 2 지지부재 320: 상측 결합부
330: 골반띠 340: 하측 결합부

Claims (11)

  1. 착용자가 유아를 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제 1 지지부재와 착용자가 아기띠를 착용할 때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어깨띠를 포함하는 아기띠;
    상기 아기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싼 채로 고정되는 허리띠를 포함하고,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시트; 및
    상기 아기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아의 신체를 받칠 수 있는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하측에 연결되고, 유아의 엉덩이를 받치도록 착용자의 신체를 둘러서 착용되는 골반띠를 포함하는 포대기를 포함하고,
    사용모드에 따라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가 상기 아기띠에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띠와 상기 포대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때,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제 1 지지부재와 겹쳐지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기는,
    유아의 다리가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지지부재의 하부폭 및 상기 힙시트의 폭보다 더 넓은 하부폭을 갖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띠는,
    상측에서 상기 포대기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 및
    하측에서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결합부는 상기 포대기와 지퍼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하측 결합부는 상기 포대기 또는 상기 힙시트와 지퍼에 의해 결합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띠는 상기 포대기와 체결되는 보조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체결부는 버튼으로 구성된 힙시트 캐리어 세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결합부는,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와 상기 아기띠를 연결하는 체결띠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힙시트 및 상기 포대기는,
    상기 체결띠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띠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띠에는 벨크로가 제공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띠는 상기 시트부재의 양 측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11. 삭제
KR2020130009776U 2013-11-27 2013-11-27 힙시트 캐리어 세트 Expired - Lifetime KR200473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776U KR200473013Y1 (ko) 2013-11-27 2013-11-27 힙시트 캐리어 세트
PCT/KR2014/006810 WO2015080363A1 (en) 2013-11-27 2014-07-25 Hip seat carrier set
US14/426,587 US9596947B2 (en) 2013-11-27 2014-07-25 Hip seat carrier set
AU2014321175A AU2014321175B2 (en) 2013-11-27 2014-07-25 Hip seat carrier set
ES14837095.0T ES2689098T3 (es) 2013-11-27 2014-07-25 Conjunto de soporte de asiento de cadera
SG11201502153WA SG11201502153WA (en) 2013-11-27 2014-07-25 Hip seat carrier set
EP14837095.0A EP3073870B1 (en) 2013-11-27 2014-07-25 Hip seat carrier set
PL14837095T PL3073870T3 (pl) 2013-11-27 2014-07-25 Zestaw nośny siedziska biodrowego
CN201490000264.0U CN204813013U (zh) 2013-11-27 2014-07-25 臀部座椅支座装置
JP2016600120U JP3210531U (ja) 2013-11-27 2014-07-25 ヒップシートキャリアセット
MYPI2015703661A MY171253A (en) 2013-11-27 2014-07-25 Hip seat carrier set
PH22015500004U PH22015500004Y1 (en) 2013-11-27 2014-07-25 Hip seat carrier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776U KR200473013Y1 (ko) 2013-11-27 2013-11-27 힙시트 캐리어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13Y1 true KR200473013Y1 (ko) 2014-06-27

Family

ID=5149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776U Expired - Lifetime KR200473013Y1 (ko) 2013-11-27 2013-11-27 힙시트 캐리어 세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596947B2 (ko)
EP (1) EP3073870B1 (ko)
JP (1) JP3210531U (ko)
KR (1) KR200473013Y1 (ko)
CN (1) CN204813013U (ko)
AU (1) AU2014321175B2 (ko)
ES (1) ES2689098T3 (ko)
MY (1) MY171253A (ko)
PH (1) PH22015500004Y1 (ko)
PL (1) PL3073870T3 (ko)
SG (1) SG11201502153WA (ko)
WO (1) WO201508036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837Y1 (ko) * 2014-06-09 2015-07-29 이진섭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180062711A (ko) * 2016-12-01 2018-06-11 윤강림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KR20200142225A (ko) 2019-06-12 2020-12-22 정효진 유아 보조 지지 장치
KR20210130370A (ko) * 2020-04-22 2021-11-01 이진섭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9922C2 (en) * 2016-05-20 2018-01-16 Najell Ab Baby seat carrier
KR200483268Y1 (ko) * 2016-09-07 2017-04-20 차복희 무소음 탈착이 가능한 아기띠 벨트
US10349754B2 (en) * 2016-09-28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by carrier
US10532242B2 (en) 2016-11-06 2020-01-14 Fit Family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with a child attached to the legs
US10300327B2 (en) * 2016-11-06 2019-05-28 Fit Family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with a child attached to the legs
US10300325B2 (en) * 2016-11-06 2019-05-28 Fit Family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ing with a child attached to the legs
USD849397S1 (en) * 2017-04-05 2019-05-28 Overtea Sagl Infant carrier with seat
WO2020102152A1 (en) * 2018-11-12 2020-05-22 Sandra Manouchehri Baby carrier wrap
US11357338B2 (en) * 2020-05-31 2022-06-14 Paul Anthony Fulcher, JR. Wearable baby carriers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and baby support systems comprising such wearable baby carriers
USD976012S1 (en) 2020-09-16 2023-01-24 Overtea Sa Infant carrier with three-dimensional seat
US11304540B1 (en) * 2021-05-12 2022-04-19 Tamara Edlin Rant Baby carrier device
KR102684472B1 (ko) * 2021-11-05 2024-07-11 박선아 아기띠
US11712070B1 (en) * 2022-01-27 2023-08-01 Amy Cutler Foldable nursing cover
USD990867S1 (en) * 2023-03-27 2023-07-04 Lilong Luo Baby carrier hipseat
USD1024542S1 (en) * 2023-09-03 2024-04-30 Dalian Kollite Business Information Co., Ltd. Hip seat baby carrier
US20250143482A1 (en) * 2023-11-02 2025-05-08 Naomi Cammarata Baby Carrier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539Y1 (ko) * 2009-11-20 2012-04-04 김찬수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KR200459659Y1 (ko) * 2011-06-08 2012-04-04 신고은 유아용 힙시트
KR200459848Y1 (ko) * 2009-09-03 2012-04-19 채병식 다기능 아기 포대기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160Y2 (ja) * 1990-10-08 1996-12-25 すみ子 山口 ウエストバッグ兼用幼児抱き具
US5224637A (en) * 1991-08-30 1993-07-06 Colombo Margaret A Waist-mounted infant carrier
US5205450A (en) * 1991-11-12 1993-04-27 Derosier Daniel P Child carrier
US5657912A (en) * 1994-05-20 1997-08-19 Nakayama; Kuniko Waist bag usable as a baby holder
US5492256A (en) * 1995-02-01 1996-02-20 Ive; Ronald A. Infant hip carrier with storage capability
SE510036C2 (sv) * 1995-07-03 1999-04-12 Baby Bjoern Ab Barnbärsele
US5522528A (en) * 1995-07-10 1996-06-04 Petricola; John L. Baby carrier apparatus
AU696981B2 (en) * 1995-09-11 1998-09-24 Aprica Kassai Kabushiki Kaisha Baby holder
US5678739A (en) * 1995-09-21 1997-10-21 Fisher-Price, Inc. Infant carrier with harness and detachable shell
US5685466A (en) * 1996-01-11 1997-11-11 An Tien Enterprise Co., Ltd. Multifunctional safety infant carrying bag structure
US5641101A (en) * 1996-01-30 1997-06-24 Lucky Industry Company, Ltd. Waist bag usable as a baby holder
JP3148150B2 (ja) * 1997-05-22 2001-03-19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US6186381B1 (en) * 1998-11-17 2001-02-13 Anne Kernkamp Child carrier
US6325259B1 (en) * 2000-05-13 2001-12-04 Arms Reach Concepts, Inc. Hip pouch baby carrier
US7037155B2 (en) * 2002-07-30 2006-05-02 Freeman Jeffrey G Personal flotation devices
US6789710B1 (en) * 2003-07-03 2004-09-14 Arthur Szatkowski Body carried baby seat
US7255620B1 (en) * 2004-09-30 2007-08-14 Amy Shepherd Child carrier and swimming aid
US7614533B2 (en) * 2005-04-08 2009-11-10 Boal Kimi L Combination diaper bag and infant carrier
US20060261104A1 (en) 2005-05-19 2006-11-23 Zambrzycki John V Multiply configurable load carrying apparatus
US7686195B2 (en) * 2006-04-05 2010-03-30 Bangert John G Child carrier
US7575136B2 (en) * 2006-04-20 2009-08-18 Anne Kernkamp Child carrier belt
US20080047987A1 (en) * 2006-08-26 2008-02-28 Christine Price Child carrier
US9545159B2 (en) * 2010-05-27 2017-01-17 Suling Wang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KR200467950Y1 (ko) * 2011-08-04 2013-07-12 차복희 힙시트가 구비된 유아용 포대기
KR20130003372U (ko) * 2011-11-29 2013-06-07 이유리 유아용 아기띠
KR200469068Y1 (ko) * 2012-06-26 2013-09-17 차복희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
US20140231472A1 (en) * 2013-02-21 2014-08-21 Steve Cha Strap-on child carrier with support seating element
US9877595B2 (en) * 2013-03-20 2018-01-30 Suling Wang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US9144322B2 (en) * 2013-12-11 2015-09-29 Infant Guard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fant stabilization
US20150282636A1 (en) * 2014-04-02 2015-10-08 Yongmei Wang Baby Carrier
US9314112B2 (en) * 2014-04-08 2016-04-19 Khai Gan Chuah Baby carrier with removable seat
KR101521766B1 (ko) * 2015-02-05 2015-05-19 백효정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CN204617687U (zh) * 2015-04-21 2015-09-09 浙江奇迹科技有限公司 一种婴儿腰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48Y1 (ko) * 2009-09-03 2012-04-19 채병식 다기능 아기 포대기
KR200459539Y1 (ko) * 2009-11-20 2012-04-04 김찬수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KR200459659Y1 (ko) * 2011-06-08 2012-04-04 신고은 유아용 힙시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837Y1 (ko) * 2014-06-09 2015-07-29 이진섭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180062711A (ko) * 2016-12-01 2018-06-11 윤강림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KR102028090B1 (ko) * 2016-12-01 2019-10-02 윤강림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KR20200142225A (ko) 2019-06-12 2020-12-22 정효진 유아 보조 지지 장치
KR20210130370A (ko) * 2020-04-22 2021-11-01 이진섭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KR102392453B1 (ko) 2020-04-22 2022-04-28 이진섭 다리폭 조절 기능을 갖는 아기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363A1 (en) 2015-06-04
PL3073870T3 (pl) 2018-11-30
ES2689098T3 (es) 2018-11-08
PH22015500004U3 (en) 2016-03-28
SG11201502153WA (en) 2015-07-30
EP3073870A1 (en) 2016-10-05
EP3073870A4 (en) 2017-07-05
US9596947B2 (en) 2017-03-21
AU2014321175A1 (en) 2015-06-18
JP3210531U (ja) 2017-06-01
PH22015500004U1 (en) 2016-06-15
AU2014321175B2 (en) 2016-07-28
EP3073870B1 (en) 2018-08-29
PH22015500004Y1 (en) 2016-06-15
CN204813013U (zh) 2015-12-02
US20160255968A1 (en) 2016-09-08
MY171253A (en)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13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US10130190B2 (en) Ergonomic twin baby carrier
US6409060B2 (en) Child carrier with enhanced back and shoulder support and retractable infant seat
US11202520B2 (en) Baby carrier
KR200447518Y1 (ko) 유아용 아기띠
KR101359888B1 (ko) 힙시트캐리어
KR200481152Y1 (ko) 유아용 캐리어
CN114376375B (zh) 抱婴带
US20230190008A1 (en) Baby carrier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CA1332928C (en) Baby carrier
CN205410570U (zh) 双肩背婴幼儿背巾
KR20130003372U (ko) 유아용 아기띠
KR200312695Y1 (ko) 조끼형 아기포대기
KR101453460B1 (ko)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
KR102684472B1 (ko) 아기띠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TWM517571U (zh) 雙肩背嬰幼兒揹巾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20210063868A (ko) 아기띠
KR200478811Y1 (ko) 벨트 고리 포대기
KR200315982Y1 (ko) 개량 베이비 슬링
KR200416491Y1 (ko) 벨트심 아기띠 포대기
KR200483195Y1 (ko) 힙시트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1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217

AMND Amendment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0419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3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9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0419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7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5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0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140529

Request date: 20200918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10830

Appeal identifier: 2018100004062

Request date: 2020012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00814

Appeal identifier: 2018100004062

Request date: 2019052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91223

Appeal identifier: 2018100004062

Request date: 20181206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90118

Appeal identifier: 2018100004062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4062;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1206

U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U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190118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8100004062

Decision date: 20210830

Request date: 20200918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Appeal identifier: 2018100004062

Decision date: 20200814

Request date: 2020012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18100004062

Decision date: 20191223

Request date: 2019052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18100004062

Decision date: 20190118

Request date: 20181206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905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140529

Request date: 20200918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10830

Appeal identifier: 2019100001642

Request date: 2020012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00814

Appeal identifier: 2019100001642

Request date: 2019052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91223

Appeal identifier: 2019100001642

Request date: 20181206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90118

Appeal identifier: 201910000164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164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529

Effective date: 20191223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91223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19100001642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10830

Request date: 20200918

Appeal identifier: 2019100001642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200814

Request date: 20200121

Appeal identifier: 2019100001642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91223

Request date: 20190529

Appeal identifier: 2019100001642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90118

Request date: 20181206

U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191223

Patent event code: UJ20011S05I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Decision date: 20210830

Appeal identifier: 2020200001441

Request date: 20200918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00814

Appeal identifier: 2020200001441

Request date: 2020012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91223

Appeal identifier: 2020200001441

Request date: 2019052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90118

Appeal identifier: 2020200001441

Request date: 20181206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UJ0202 Trial for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200918

Patent event code: UJ02021E01I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9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89

Request date: 20200918

Decision date: 20210830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89

Request date: 20200121

Decision date: 2020081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89

Request date: 20190529

Decision date: 20191223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89

Request date: 20181206

Decision date: 20190118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1441;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0918

U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201005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UJ13021S01D

Request date: 20200918

Decision date: 20210830

Appeal identifier: 2020200001441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200121

Decision date: 20200814

Appeal identifier: 202020000144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90529

Decision date: 20191223

Appeal identifier: 202020000144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81206

Decision date: 20190118

Appeal identifier: 202020000144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5000089; WITHDRAWAL OF TRIAL FOR CORRECTION REQUESTED 20200918

Effective date: 20210830

U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U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210830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89

Decision date: 20210830

Request date: 20200918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89

Decision date: 20200814

Request date: 2020012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89

Decision date: 20191223

Request date: 2019052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0105000089

Decision date: 20190118

Request date: 20181206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