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90518A -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518A
KR20130090518A KR1020120011728A KR20120011728A KR20130090518A KR 20130090518 A KR20130090518 A KR 20130090518A KR 1020120011728 A KR1020120011728 A KR 1020120011728A KR 20120011728 A KR20120011728 A KR 20120011728A KR 20130090518 A KR20130090518 A KR 20130090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stant speed
motor
load
inverter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만
최우주
정춘면
김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0518A/ko
Publication of KR2013009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51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5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for cyclical variation of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3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in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공기 흡입구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유닛과;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유닛과 열교환시킨 후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복수개의 송풍기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송풍기 중 하나는 정속 모터와, 정속 모터에 연결된 제 1 송풍팬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송풍기 중 다른 하나는 인버터 모터와, 인버터 모터에 연결된 제 2 송풍팬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송풍기는 정속 모터가 정지이고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가변되는 저풍량 가변 모드와, 정속 모터가 구동이고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가변되는 고풍량 가변 모드를 갖으며, 전체 실내부하에 대응되는 최적화된 풍량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Air Handing Unit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풍량 가변형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Air Handing Unit)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하는 기기이거나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환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면서 실내의 공기 중 일부를 실외로 배기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가열시키거나 냉각시키는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고,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실내로 토출되게 하는 송풍기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는 복수개가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고장시 고장 나지 않은 다른 하나가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고, 공기 유로에 복수개가 직렬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공기 유로가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송풍기는 일반적으로 정속 모터 두 개를 이용함으로서, 고장 및 점검시 전체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고 어느 하나를 계속하여 구동시키면서 연속 운전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송풍기는 두 개의 정속 모터 중 하나의 정속 모터만을 구동할 경우, 풍량은 정속 모터 두 개를 구동하는 경우의 70%가 될 수 있고, 일반 운전시 정속 모터의 구동 개수에 따라 강풍 모드와 약풍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두 개의 정속 모터가 모두 구동되는 강풍 모드와, 두 개의 정속 모터 중 어느 하나만 구동되는 약풍 모드의 두가지 모드만을 갖을 수 있고, 실내 부하에 따른 최적의 풍량을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유닛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유닛과 열교환시킨 후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복수개의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송풍기 중 하나는 정속 모터와, 상기 정속 모터에 연결된 제 1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송풍기 중 다른 하나는 인버터 모터와, 상기 인버터 모터에 연결된 제 2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송풍기는 상기 정속 모터가 정지이고 상기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가변되는 저풍량 가변 모드와, 상기 정속 모터가 구동이고 상기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가변되는 고풍량 가변 모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저풍량 가변 모드시 실내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가변시켜 풍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고풍량 가변 모드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가변시켜 풍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는 최소 설정 주파수 이상이고 최대 설정 주파수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저풍량 가변 모드에서 고풍량 가변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인버터 모터로 최소 설정 주파수를 입력하고 상기 정속 모터를 기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고풍량 가변 모드에서 저풍량 가변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정속 모터가 정지되고 상기 인버터 모터로 최대 설정 주파수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은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초과이면 제 1 송풍팬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제 2 송풍팬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고풍량 가변 단계와; 상기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이면 제 1 송풍팬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 2 송풍팬을 최대 속도로 회전시키는 풍량 전환 단계와; 상기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미만이면 상기 제 1 송풍팬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송풍팬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저풍량 가변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풍량이 강풍과 약풍의 두가지 모드에 한정되지 않고, 저풍량 가변 모드의 도중에 저풍량이 가변되면서 최적의 저풍량을 공급할 수 있고, 고풍량 가변 모드의 도중에 고풍량이 가변되면서 최적의 고풍량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체 실내부하에 대응하여 최적의 풍량 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실내부하에 따른 인버터 모터의 주파수 변화와, 정속 모터의 구동 및 정지에 따른 풍량의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실내부하에 따른 인버터 모터의 주파수 변화와, 정속 모터의 구동 및 정지에 따른 풍량의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싱(2)과, 열교환기(4)와, 복수개의 송풍기(6)(8)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기계실 또는 지하실에 설치될 수 있고 공조시키고자 하는 실내와 덕트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천장이나 실내에 설치될 수 있고 실내의 공기를 직접 흡입한 후 공조시켜 실내로 직접 토출할 수 있다.
케이싱(2)은 공기 흡입구(12)와 공기 토출구(14)가 형성된다. 공기 흡입구(12)에는 공조시키고자 하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덕트가 연결될 수 있다. 공기 토출구(14)에는 공조시키고자 하는 실내로 케이싱(2)을 통과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 덕트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2)에는 공기 흡입구(12)로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16)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16)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정화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필터(16)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공기 흡입구(12)와 열교환기(4)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흡입구(12)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16)에 의해 정화된 후 열교환기(4)와 열교환될 수 있고, 공기 토출구(14)로 토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공기 흡입구(12)로 공기가 열교환된다. 케이싱(2)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12)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 토출구(14)로 토출되기 전에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냉매가 통과하고 냉매 배관이 연결되는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열교환기(4)는 물이나 부동액 등의 작동유체가 통과하고 수배관이 연결되는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갖는 냉동 사이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냉동 사이클 회로의 압축기와 팽창기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응축기로 구성되거나 냉동 사이클 회로의 팽창기구와 압축기의 사이에 설치되는 증발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의 냉동 사이클 회로가 열교환기(4)와 별도로 설치되고, 열교환기(4)가 냉동 사이클 회로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와 수배관으로 연결되며, 물이 응축기와 증발기 중 하나와 열교환기(4)를 순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의 냉동 사이클 회로가 열교환기(4)와 별도로 설치되는 냉동 사이클 유닛을 구성할 수 있고, 케이싱(2)과 열교환기(4)와 복수개의 송풍기(6)(8)가 냉동 사이클 유닛과 별도로 설치되는 에어 핸들링 유닛(Air handin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4)가 냉동 사이클 유닛의 응축기와 증발기 중 하나와 수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기(6)(8)는 공기 흡입구(12)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유닛(4)과 열교환시킨 후 공기 토출구(14)로 토출시킨다. 복수개의 송풍기(6)(8)는 케이싱(2) 내부의 공기 유로에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기(6)(8)는 어느 하나가 구동되고, 다른 하나가 정지일 때, 공기가 구동인 송풍기로 흡인되어 송풍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기(6)(8)는 모두 구동될 때, 공기가 복수개의 송풍기(6)(8)로 분산되어 흡인된 후 송풍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기(6)(8)는 어느 하나가 풍량 고정형 송풍기(6)이고, 다른 하나가 풍량 가변형 송풍기(8)로 구성될 수 있다. 풍량 가변형 송풍기(8)는 최대 풍량을 발생시킬 경우, 풍량 고정형 송풍기(6)의 풍량과 동일한 풍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풍량 고정형 송풍기(6)가 구동되고, 풍량 가변형 송풍기(8)가 최대 풍량으로 구동될 때의 풍량을 100% 풍량이라 할 때, 풍량 고정형 송풍기(6)가 구동되고 풍량 가변형 송풍기(8)가 정지일 때의 전체 풍량은 풍량 고정형 송풍기(6)가 구동되고, 풍량 가변형 송풍기(8)가 최대 풍량으로 구동될 때의 70% 풍량이 될 수 있고, 풍량 고정형 송풍기(6)가 정지이고, 풍량 가변형 송풍기(8)가 최대 풍량으로 구동될 때의 전체 풍량은 풍량 고정형 송풍기(6)가 구동되고, 풍량 가변형 송풍기(8)가 최대 풍량으로 구동될 때의 70% 풍량이 될 수 있다. 즉, 풍량은 케이싱(2) 내부의 저항에 영향 받을 수 있는데, 풍량 고정형 송풍기(6) 또는 풍량 가변형 송풍기(8)의 단독 구동시 풍량은 풍량 고정형 송풍기(6)와 풍량 가변형 송풍기(8) 동시 구동시 풍량의 70%에 이를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기(6)(8) 중 하나(6)는 정속 모터(22)와, 정속 모터(22)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송풍팬(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송풍팬(24)은 정속 모터(22)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정속 모터(22)의 회전축에 풀리와 벨트 등의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정속 모터(22)의 구동시 제 1 송풍팬(24)은 일정 속도로 회전될 수 있고, 정속 모터(22)의 정지시 제 1 송풍팬(24)은 정지될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기(6)(8) 중 다른 하나(8)는 인버터 모터(32)와, 상기 인버터 모터(32)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송풍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송풍팬(34)은 인버터 모터(32)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인버터 모터(32)의 회전축에 풀리와 벨트 등의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가변되면 제 2 송풍팬(34)의 회전 속도는 가변될 수 있다.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는 최소 설정 주파수(fmin) 이상이고 최대 설정 주파수(fmax) 이하일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기(6)(8)는 정속 모터(22)가 정지이고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가변되는 저풍량 가변 모드를 갖을 수 있다. 복수개의 송풍기(6)(8)는 정속 모터(22)가 구동이고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가변되는 고풍량 가변 모드를 갖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저풍량 가변 모드시 실내부하의 크기에 따라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가변시켜 풍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설정 부하 미만인 범위 내에서 실내부하가 증대되면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증대시킬 수 있고, 설정 부하 미만인 범위 내에서 실내부하가 감소되면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고풍량 가변 모드시 실내부하의 크기에 따라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가변시켜 풍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설정 부하 이상인 범위 내에서 실내부하가 증대되면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증대시킬 수 있고, 설정 부하 이상인 범위 내에서 실내부하가 감소되면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T1)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센서(42)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급공기의 온도(T2)를 감지하는 공급공기 온도센서(4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희망온도(T3)를 입력할 수 있는 온도 입력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부하에 따라 인버터 모터(32)를 가변 제어함과 아울러 정속 모터(22)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부하는 실내의 온도(T1)와 공기조화기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급공기의 온도(T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48)는 실내 온도센서(42)에서 감지된 실내의 온도(T1)와 공급공기 온도센서(44)에서 감지된 공급공기의 온도(T2)의 차에 의해 실내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는 실내의 온도(T1)와 공급공기의 온도(T2)의 차가 설정 온도차이면 설정 부하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는 실내의 온도(T1)와 공급공기의 온도(T2)의 차가 설정 온도차 미만이면 설정 부하 미만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는 실내의 온도(T1)와 공급공기의 온도(T2)의 차가 설정 온도차 초과이면 설정 부하 초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는 실내의 온도(T1)와 공급공기의 온도(T2)의 차가 클수록 실내부하가 큰 것으로 감지할 수 있고, 실내의 온도(T1)와 공급공기의 온도(T2)의 차가 작을수록 실내부하가 작은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실내부하는 실내의 온도(T1)와 실내의 희망온도(T3)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48)는 실내 온도센서(42)에서 감지된 실내의 온도(T1)와 온도 입력부(46)에서 입력된 실내의 희망온도(T3)의 차에 의해 실내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는 실내의 온도(T1)와 실내의 희망온도(T3)의 차가 설정 온도차이면 설정 부하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는 실내의 온도(T1)와 실내의 희망온도(T3)의 차가 설정 온도차 미만이면 설정 부하 미만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는 실내의 온도(T1)와 실내의 희망온도(T3)의 차가 설정 온도차 초과이면 설정 부하 초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48)는 실내의 온도(T1)와 실내의 희망온도(T3)의 차가 클수록 실내부하가 큰 것으로 감지할 수 있고, 실내의 온도(T1)와 공급공기의 온도(T2)의 차가 작을수록 실내부하가 작은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T1)와 공급공기의 온도(T2)에 의해 실내부하를 감지하거나, 실내의 온도(T1)와 실내의 희망온도(T3)에 의해 실내부하를 감지하는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실내부하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미만인 상태에서 설정 부하 이상으로 커지면, 저풍량 가변 모드의 도중에 고풍량 가변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이상인 상태에서 설정 부하 미만으로 작아지면, 고풍량 가변 모드의 도중에 저풍량 가변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저풍량 가변 모드에서 고풍량 가변 모드로 전환될 때, 인버터 모터(32)로 최소 설정 주파수를 입력하고 정속 모터(22)를 기동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고풍량 가변 모드에서 저풍량 가변 모드로 전환될 때, 정속 모터(22)가 정지되고 인버터 모터(32)로 최대 설정 주파수를 입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설정 부하일 때, 인버터 모터(32)로 최소 설정 주파수가 입력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는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미만일 때 정속 모터(22)가 정지이고 그 때의 실내부하에 따라 인버터 모터(32)로 최소 설정 주파수와 최대 설정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가 가변 입력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일 때, 정속 모터(22)가 기동되고, 인버터 모터(32)가 최소 설정 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초과일때, 정속 모터(22)가 구동되고, 인버터 모터(32)가 그 때의 실내부하에 따라 인버터 모터(32)로 최소 설정 주파수와 최대 설정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가 가변 입력될 수 있다. 설정 부하는 정속 모터(22)가 기동되고 인버터 모터(32)로 최소 설정 주파수가 입력되는 부하일 수 있고, 저풍량 가변 모드와 고풍량 가변 모드가 전환되는 부하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는 운전시, 압축기는 구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4)에는 냉동 사이클 회로의 응축기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온수가 통과하거나 냉동 사이클 회로의 증발기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냉수가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온수가 통과할 경우, 실내에서 케이싱(2)으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4)의 온수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냉수가 통과할 경우 실내에서 케이싱(2)으로 흡입된 공기가 냉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제 1 송풍팬(24)과 제 2 송풍팬(34)은 함께 회전되거나 둘 중 제 1 송풍팬(24)이 정지되고 제 2 송풍팬(34)만 회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초과이면 제 1 송풍팬(24)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제 2 송풍팬(34)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고풍량 가변 단계(S1)(S2)와;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이면 제 1 송풍팬(24)을 정지시키고 제 2 송풍팬(34)을 최대 속도로 회전시키는 풍량 전환 단계(S3)(S4)와;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미만이면 제 1 송풍팬(24)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 2 송풍팬(24)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저풍량 가변 단계(S5)(S6)를 포함한다.
고풍량 가변 단계(S1)(S2)는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초과이면, 정속 모터(22)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인버터 모터(32)로 최소 설정 주파수와 최대 설정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를 입력할 수 있다. 인버터 모터(32)는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초과일 경우 최소 설정 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고, 실내부하가 최대 부하일 경우 최대 설정 주파수로 구동될 수 있다. 정속 모터(22)의 구동시 제 1 송풍팬(24)은 일정 속도로 회전될 수 있고, 인버터 모터(32)는 입력되는 주파수에 따라 제 2 송풍팬(34)의 회전 속도가 상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클수록 제 2 송풍팬(34)은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작을수록 제 2 송풍팬(34)은 저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송풍팬(24)과 제 2 송풍팬(34)의 회전시, 실내에서 케이싱(2)으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가열 또는 냉각되고, 이후 제 1 송풍팬(24)과 제 2 송풍팬(34)으로 분산되어 흡인될 수 있고, 제 1 송풍팬(24)에서 송풍된 공기와 제 2 송풍팬(34)에서 송풍된 공기는 공기 토출구(14)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실내의 공기는 점차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고, 실내부하는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보다 높은 상태에서 점차 감소되면,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는 점차 감소될 수 있고, 제 2 송풍팬(34)은 회전 속도가 점차 감소될 수 있다.
풍량 전환 단계(S3)(S4)는 고풍량 가변 단계(S1)(S2)의 도중에 실내부하가 감소되어 설정 부하로 낮아지면 실시될 수 있다. 고풍량 가변 단계(S1)(S2)의 도중에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가 되면, 풍량 전환 단계(S3)(S4)시 정속 모터(22)는 정지될 수 있고, 인버터 모터(32)로 최대 설정 주파수를 입력될 수 있다. 정속 모터(22)의 정지시, 열교환기(4)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더 이상 제 1 송풍팬(24)으로 흡인되지 않고, 열교환기(4)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제 2 송풍팬(34)으로 모두 흡인되어 공기 토출구(14)로 토출될 수 있다.
저풍량 가변 단계(S5)(S6)는 인버터 모터(32)의 단독 구동시,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미만으로 낮아지면 실시될 수 있고, 정속 모터(22)가 계속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인버터 모터(32)로 최대 설정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가 입력될 수 있다. 실내부하가 계속 낮아질수록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감소될 수 있고, 제 2 송풍팬(34)의 회전수는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인버터 모터(32)의 단독 구동시, 실내부하가 다시 설정 부하 이상으로 상승되면, 정속 모터(22)는 다시 구동될 수 있고, 인버터 모터(32)로 최소 설정 주파수가 입력된 후 실내부하의 변동에 따라 정속 모터(22)와 인버터 모터(32)가 구동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는 실내부하의 크기에 따라, 정속 모터(22)를 구동시키면서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고풍량 가변 모드와, 정속 모터(2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인버터 모터(32)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저풍량 가변 모드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체 실내부하에 최적화된 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2: 케이싱 4: 열교환기
6,8: 송풍기 22: 정속 모터
24: 제 1 송풍팬 32: 인버터 모터
34: 제 2 송풍팬

Claims (6)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유닛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유닛과 열교환시킨 후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복수개의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송풍기 중 하나는 정속 모터와, 상기 정속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송풍기 중 다른 하나는 인버터 모터와, 상기 인버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송풍기는 상기 정속 모터가 정지이고 상기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가변되는 저풍량 가변 모드와,
    상기 정속 모터가 구동이고 상기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가 가변되는 고풍량 가변 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저풍량 가변 모드시 실내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가변시켜 풍량을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고풍량 가변 모드시 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를 가변시켜 풍량을 가변시키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모터로 입력되는 주파수는 최소 설정 주파수 이상이고 최대 설정 주파수 이하이며,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저풍량 가변 모드에서 고풍량 가변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인버터 모터로 최소 설정 주파수를 입력하고 상기 정속 모터를 기동시키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고풍량 가변 모드에서 저풍량 가변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정속 모터가 정지되고 상기 인버터 모터로 최대 설정 주파수를 입력하는 공기조화기.
  6.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초과이면 제 1 송풍팬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제 2 송풍팬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고풍량 가변 단계와;
    상기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이면 제 1 송풍팬을 정지시키고 상기 제 2 송풍팬을 최대 속도로 회전시키는 풍량 전환 단계와;
    상기 실내부하가 설정 부하 미만이면 상기 제 1 송풍팬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 송풍팬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저풍량 가변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방법.
KR1020120011728A 2012-02-06 2012-02-06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Ceased KR20130090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728A KR20130090518A (ko) 2012-02-06 2012-02-06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728A KR20130090518A (ko) 2012-02-06 2012-02-06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518A true KR20130090518A (ko) 2013-08-14

Family

ID=4921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728A Ceased KR20130090518A (ko) 2012-02-06 2012-02-06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0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969A (zh) * 2019-09-12 2019-12-0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定频空调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N114216188A (zh) * 2021-11-30 2022-03-22 山东师范大学 一种可保持恒净恒压的空气过滤装置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847A (ja) * 1997-02-06 1998-08-21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4263922A (ja) * 2003-02-28 2004-09-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アコン室内機
KR100644761B1 (ko) * 2006-04-17 2006-11-15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복수의 송풍팬이 구비된 저소음 고효율 공기조화기 및복수의 송풍팬의 풍량 제어 방법
KR200442683Y1 (ko) * 2007-08-17 2008-12-02 주식회사 세원기연 복수의 송풍기에 역류방지 댐퍼를 구비한 에너지 절감형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0847A (ja) * 1997-02-06 1998-08-21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4263922A (ja) * 2003-02-28 2004-09-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アコン室内機
KR100644761B1 (ko) * 2006-04-17 2006-11-15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복수의 송풍팬이 구비된 저소음 고효율 공기조화기 및복수의 송풍팬의 풍량 제어 방법
KR200442683Y1 (ko) * 2007-08-17 2008-12-02 주식회사 세원기연 복수의 송풍기에 역류방지 댐퍼를 구비한 에너지 절감형 공기 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9969A (zh) * 2019-09-12 2019-12-0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定频空调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N114216188A (zh) * 2021-11-30 2022-03-22 山东师范大学 一种可保持恒净恒压的空气过滤装置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793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532895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298816B1 (ko) 환기장치
EP3040651B1 (en) Variable refrigerant flow system operation in low ambient conditions
JP2008101894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676675B (zh) 热泵干衣机及热泵干衣机的控制方法
CN104220816A (zh) 空调机
JPWO2021176637A5 (ko)
KR20130112335A (ko) 실외기 없는 냉,난방 공조시스템
KR20180078833A (ko)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96671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2184886A (ja) 空気調和機
US11204192B2 (en) Adjustable duct for HVAC system
KR2013009051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JP201120288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7813468B (zh) 空调装置
JP2017172939A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0012895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JP5069952B2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3576340B2 (ja) 空気調和機
JP6745895B2 (ja) 空調システム
JPH06265199A (ja) 空気調和機の送風制御装置
JP2003262383A (ja) 空気調和装置
JP3144885B2 (ja) 空気調和機
JP201813221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4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