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79119A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119A
KR20130079119A KR1020120097670A KR20120097670A KR20130079119A KR 20130079119 A KR20130079119 A KR 20130079119A KR 1020120097670 A KR1020120097670 A KR 1020120097670A KR 20120097670 A KR20120097670 A KR 20120097670A KR 20130079119 A KR20130079119 A KR 20130079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engine
rotation speed
increase
rotational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847B1 (ko
Inventor
요시히꼬 구로시따
잇세이 다니무라
아끼요시 오노
아쯔시 신까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3007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8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9/00Rotary fluid gearing using pumps and motors of the volumetric type, i.e.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per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hand, foot, or like operator controlled initi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01Infinitely variable gearings
    • B60W10/103Infinitely variable gearings of flui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66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combustion eng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79Control of mechanic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3Controlling the travelling speed of vehicles, e.g. adjusting travelling speed according to implement loads, control of hydrostatic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31Pump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6Automatic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output requirements
    • F16H61/47Automatic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output requirements for achieving a target output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10/00Arrangements, adaptations or methods for cruise controls
    • B60K2310/20Operator actuated switches or levers for cruise control or speed limi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10/00Arrangements, adaptations or methods for cruise controls
    • B60K2310/24Speed sett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엔진에 과잉 부하를 부여하는 일 없이,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로서, 작업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작동유를 공급 가능한 한 충분한 고회전 속도를 얻는 것이다.
액셀러레이터 조작부(37)의 조작에 따른 엔진(5)의 목표 회전 속도를 구하는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38)와,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해서 증가용 회전 속도를 설정 가능한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40)와,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와, 엔진 회전 속도의 증가 지령을 행하는 인위 조작식의 증가 지령 조작부(44)를 구비하고,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는 증가 지령 조작부(44)에 의해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행하고, 증가 지령 조작부(44)에 의해 증가 지령이 지령된 경우에는, 목표 회전 속도와 증가용 회전 속도 중, 고회전 속도측의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증가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차{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주행 차체에 연결된 작업 장치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를 구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업차에서는 주행 차체에 작업 장치를 연결하고, 유압 펌프를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하는 등에 의해, 엔진을 유압 펌프의 구동원으로서 이용하여, 유압 펌프에 의해 작업 오일을 작업 장치에 공급해서 원하는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해서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엔진의 목표 회전 속도를 구하고, 그 구한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엔진을 유압 펌프의 구동원으로 하고 있으므로,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만으로는,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로서, 작업 장치를 적절하게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작동유를 공급 가능한 만큼 충분한 고회전 속도를 얻을 수 없어, 작업 장치를 적절하게 작동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종래,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해서, 목표 회전 속도와는 별도로 미리 설정 회전 속도를 설정해 두고, 작업 내용에 따라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거나, 설정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전환하고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다른 작업차에서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와는 달리 연료 증량 스위치를 구비하고, 그 연료 증량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목표 회전 속도로부터 소정 회전 속도만큼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도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8865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9705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작업차에서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상태로 전환한 경우에, 여전히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므로,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로서 충분한 고회전 속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차에서는, 주행 차체를 주행하기 위한 구동원과 유압 펌프의 구동원을 엔진에 의해 겸용하고 있으므로, 주행 차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목표 회전 속도와 작업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와의 양자를 고려함으로써, 엔진 회전 속도를 적절한 회전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작업차에서는, 단순히 설정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있을 뿐이므로, 목표 회전 속도와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와의 양자를 고려할 수 없어, 결국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로서 충분한 고회전 속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작업차에서는, 연료 증량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 목표 회전 속도로부터 소정 회전 속도만큼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므로,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로서 충분한 고회전 속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목표 회전 속도가 원래 고회전 속도라도, 연료 증량 스위치가 조작되면, 그 고회전 속도의 목표 회전 속도로부터 다시 소정 회전 속도만큼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엔진에 대하여 과잉 부하를 부여해 버리게 되어, 엔진의 손상 등의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엔진에 과잉 부하를 부여하는 일 없이,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로서, 작업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작동유를 공급 가능한 한 충분한 고회전 속도를 얻을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특징 구성은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주행 차체에 연결된 작업 장치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를 구비한 작업차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상기 엔진의 목표 회전 속도를 구하는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와,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해서 증가용 회전 속도를 설정 가능한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와,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와, 엔진 회전 속도의 증가 지령을 행하는 인위 조작식의 증가 지령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는 상기 증가 지령 조작부에 의해 상기 증가 지령이 지령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행하고, 상기 증가 지령 조작부에 의해 상기 증가 지령이 지령된 경우에는, 상기 목표 회전 속도와 상기 증가용 회전 속도 중, 고회전 속도측의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증가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작업 장치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운전자가 증가 지령 조작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증가 지령 조작부에 의해 증가 지령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는 경우에는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가 증가 제어를 행하므로, 목표 회전 속도 쪽이 증가용 회전 속도보다도 고회전 속도이면, 그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반대로 증가용 회전 속도 쪽이 목표 회전 속도보다도 고회전 속도이면, 그 증가용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를 과잉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엔진에 대하여 과잉 부하를 부여하는 일 없이, 목표 회전 속도와 증가용 회전 속도 중, 고회전 속도측의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로서 충분한 고회전 속도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증가 지령 조작부에 의해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가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행하므로, 목표 회전 속도보다도 증가시키지 않고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를 함부로 증가시키는 일 없이, 엔진에 대하여 과잉 부하를 부여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변속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서 변속 가능한 주행용의 변속 장치와,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 영역이 고속 영역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엔진 회전 제어부에 의한 상기 증가 제어의 실행을 견제하는 견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운전자가 변속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변속 장치가 고속 영역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증가 지령 조작부에 의해 증가 지령을 행해도, 견제부에 의해 엔진 회전 제어부에 의한 증가 제어의 실행을 견제하여, 엔진 회전 제어부에 의한 증가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다. 이에 의해, 변속 장치를 고속 영역으로 전환하고 있는 경우에는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서, 주행 차체의 속도가 과잉 고속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는, 상기 증가 제어에 있어서, 엔진 회전 속도가 증가하는 증가 속도를 설정 증가 속도보다도 느리게 해서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형태로, 상기 목표 회전 속도와 상기 증가용 회전 속도 중, 고회전 속도측의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가 증가 제어를 행할 경우에,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증가 속도가 빠르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PM)의 배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증가 제어를 행할 경우에, 엔진 회전 속도가 증가하는 증가 속도를 설정 증가 속도보다도 느리게 해서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입자상 물질(PM)의 배출량을 최대한 소량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에 의한 상기 증가 제어가 행해질 경우에, 주행 차체의 차속을 보유 지지하는 차속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증가용 회전 속도 쪽이 목표 회전 속도보다도 고회전 속도일 경우에,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가 증가 제어를 행하면, 엔진 회전 속도가 증가되므로, 그 증가에 수반하여 주행 차체의 차속도 증가해서 급가속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증가용 회전 속도와 목표 회전 속도와의 차가 클 경우에는, 급가속이라고 하는 문제가 현저해진다. 따라서, 차속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에 의한 증가 제어의 실행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가 증가된 경우라도,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에 의한 증가 제어가 실행되기 전의 주행 차체의 차속을 보유 지지해서 급가속이라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경사판 각도를 변경 조정함으로써 변속 가능한 주행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차속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경사판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행 차체의 차속을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따르면, 경사판 각도를 변경 조정함으로써 변속 가능한 주행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차속 보유 지지 수단은 유압 무단 변속 장치에 있어서의 경사판 각도를 제어한다고 하는 간이한 구성에 의해, 주행 차체의 차속의 보유 지지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의 또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작업 장치는 주행 차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론트 로더이며, 그 프론트 로더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그 조작 레버의 그립부에 상기 증가 지령 조작부로서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운전자는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프론트 로더를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조작 레버의 그립부에 증가 지령 조작부로서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운전자는 조작 레버의 조작을 행하면서, 압박 조작 등의 스위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으면서, 증가 지령을 적절한 타이밍에서 지령할 수 있다.
엔진에 과잉 부하를 부여하는 일 없이,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로서, 작업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작동유를 공급 가능한 한 충분한 고회전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개략도.
도 2는 트랙터의 동력 전달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트랙터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조작 레버의 사시도.
도 5는 메인 제어부 및 엔진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엔진 회전 속도의 변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경사판 각도의 변화, 차속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에 관한 작업자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농업용의 트랙터(1)에 적응되어 있으며, 작업 장치로서, 주행 차체(2)의 전방에 프론트 로더(3)가 연결되어 있다. 이 트랙터(1)는 프론트 로더(3)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토사를 굴착하거나, 그 토사를 트럭 등의 원하는 부위까지 반송해서 이동 탑재하는 작업 등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트랙터(1)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클러치(4)를 거쳐 전달되는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장치로서, 추진용의 주변속 장치로서 기능을 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6)(주행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에 상당함)와 추진용의 부변속 장치로서 기능을 하는 기어식 변속 장치(7)가 구비되어 있다. 기어식 변속 장치(7)의 전륜용 출력축(8)으로부터 취출한 변속 후의 동력을, 전륜 구동용의 동력으로서 전륜용 변속 장치(9)나 전륜용 차동 장치(10) 등을 거쳐 좌우의 전륜(11)에 전달하고 있다. 기어식 변속 장치(7)의 후륜용 출력축(12)으로부터 취출한 변속 후의 동력을, 후륜 구동용의 동력으로서 후륜용 차동 장치(13)나 좌우의 후차축(14) 등을 거쳐 좌우의 후륜(15)에 전달하고 있다. 이에 의해, 트랙터(1)는 좌우의 전륜(11) 및 후륜(15)을 구동하는 4륜 구동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펌프축(16)으로부터의 비변속 동력을, 보조 클러치(17)나 보조 변속 장치(18) 등을 거쳐 동력 취출축(19)에 전달하여, 프론트 로더(3)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20)를 구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프론트 로더(3)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20)는,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구동원으로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는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경사판식 가변 토출형의 유압 펌프(21)와 그 유압 펌프(21)로부터의 유압에 의해 회전해서 동력을 출력하는 유압 모터(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에서는,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이 펌프축(16)에 입력됨으로써, 유압 펌프(21)로부터 유압 모터(22)에 압유가 공급되고, 유압 모터(22)가 유압 펌프(21)로부터의 유압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모터축을 회전시킨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는, HST 조작부(23)(예를 들어, 중립 상태로 복귀 가압 된 HST 페달)의 조작을 기초로 하여, 유압 펌프(21)의 경사판 각도의 변경이 행해진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는 정회전 상태, 역회전 상태 및 정회전 상태와 역회전 상태 사이에 위치하는 중립 상태로 변속되는 동시에, 정회전 상태로 변속된 경우에 있어서도 역회전 상태로 변속된 경우에 있어서도, 유압 펌프(21)의 회전 속도를 무단계로 변경해서 유압 모터(22)의 회전 속도(시간당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경한다.
기어식 변속 장치(7)는 복수의 변속 조작 위치에 조작 보유 지지 가능한 변속 조작부(24)(예를 들어, 변속 레버)의 조작을 기초로 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을 유단 변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어식 변속 장치(7)의 변속 영역으로서는, 저속 영역과 중속 영역과 고속 영역과의 3단계로 설정되어 있고, 변속 조작부(24)의 변속 조작 위치를 기초로 하여, 저속 영역과 중속 영역과 고속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변속 영역으로 변속된다.
또한, 트랙터(1)에는 각종 센서류가 구비되어 있지만, 엔진(5)으로부터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검출해서 엔진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센서(25)와, 기어식 변속 장치(7)에 있어서의 후륜용 출력축(1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해서 주행 차체(2)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26)가 구비되어 있다.
프론트 로더(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2)의 좌우 양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지주(27)와, 대응하는 지주(27)의 상단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한 쌍의 붐(28)과, 그들 붐(28)의 자유단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버킷(29)과, 좌우의 지주(27)에 대하여 대응하는 붐(28)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하는 유압식의 좌우 한 쌍의 붐 실린더(30)와, 좌우의 붐(28)에 대하여 버킷(29)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하는 유압식의 좌우 한 쌍의 버킷 실린더(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 로더(3)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붐 실린더(30)에 대한 작동유의 유동을 제어하는 붐용 제어 밸브(32)와, 좌우의 버킷 실린더(31)에 대한 작동유의 유동을 제어하는 버킷용 제어 밸브(33)와, 붐용 제어 밸브(32)와 버킷용 제어 밸브(33)에 연계된 열십자 요동식으로 중립 복귀형의 조작 레버(34)(도 4 참조)와, 동력 취출축(19)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작동유를 각 제어 밸브(32, 33)를 향해 압송하는 유압 펌프(2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프론트 로더(3)는 조작 레버(34)의 조작에 연동한 각 제어 밸브(32, 33)에 의한 작동유의 유동 제어로 붐(28) 및 버킷(29)이 상하 요동하는 유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좌우의 붐(28)은 조작 레버(34)의 하방으로의 요동 조작으로 상승 요동하고, 조작 레버(34)의 상방으로의 요동 조작으로 하강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킷(29)은, 조작 레버(34)의 좌측으로의 요동 조작으로 상승 요동하고, 조작 레버(34)의 우측으로의 요동 조작으로 하강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프론트 로더(3)에는 붐(28)의 요동각을 검출하는 회전식의 포텐시오미터로 이루어지는 붐 센서나, 버킷(29)의 요동각을 검출하는 회전식의 포텐시오미터로 이루어지는 버킷 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1)에는 엔진 회전 속도를 설정하거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에 있어서의 경사판의 각도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35)와, 그 메인 제어부(35)에 의해 설정된 제어 목표의 엔진 회전 속도로 엔진(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부(36)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 제어부(35)에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37)의 조작에 따른 엔진(5)의 목표 회전 속도를 구하는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38)와, 회전 속도 설정용 조작부(39)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해서 증가용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40)와,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38)에 의해 구한 목표 회전 속도와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40)에 의해 설정된 증가용 회전 속도 중 어느 하나를 제어 목표의 엔진 회전 속도로서 설정하는 엔진 회전 속도 설정부(41)와, HST 조작부(23)의 조작에 따라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경사판 각도를 제어하는 경사판 제어부(42)가 구비되어 있다.
액셀러레이터 조작부(37)는, 소정의 조작 범위 내에서 조작 위치를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페달 혹은 핸드 액셀러레이터 조작부로 구성되어 있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액셀러레이터 조작부(37)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 정보가 메인 제어부(35)에 입력된다. 액셀러레이터 조작부(37)의 조작 위치와 목표 회전 속도와의 관계는 맵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고,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38)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맵을 사용하여 액셀러레이터 조작부(37)의 조작 위치에 따라서 목표 회전 속도를 구하고 있다.
회전 속도 설정용 조작부(39)는, 예를 들어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된 미터 내에 구비한 터치 패널식의 스위치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스위치부를 조작함으로써,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40)가 증가용 회전 속도를 원하는 회전 속도로 변경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터 내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증가용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스위치부를 소정 시간 이상 길게 누름으로써, 그 표시부의 화면이 변경 설정 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표시부를 변경 설정 화면으로 전환한 상태에 있어서, 스위치부를 누름 조작할 때마다 증가용 회전 속도를 원하는 양만큼 증가시키는 형태로, 증가용 회전 속도를 설정 범위 내의 원하는 회전 속도로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증가용 회전 속도에 대해서는, 800 내지 2600rpm의 설정 범위 내에서 200rpm마다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HST 조작부(23)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중립 상태로 복귀 가압 된 HST 페달 의해 구성되어 있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HST 조작부(23)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의 검출 정보가 메인 제어부(35)에 입력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HST 조작부(23)에 대해서는 HST 페달에 한정되지 않고, 액셀러레이터 페달에 연동한 것이라도 좋다. HST 조작부(23)의 조작 위치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경사판 각도와의 관계는 맵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다. 경사판 제어부(42)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맵을 이용하여, HST 조작부(23)의 조작 위치에 따른 목표 경사판 각도를 구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경사판 각도를 검출하는 경사판 센서(43)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경사판 각도가 구한 목표의 경사판 각도가 되도록,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경사판 각도를 제어하고 있다.
엔진(5)은, 예를 들어 코먼 레일식의 디젤 엔진이며, 연료의 분사량이나 분사 타이밍을 전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 제어부(36)는 엔진 회전 속도 설정부(41)에 의해 설정된 제어 목표의 엔진 회전 속도의 지령을 받으면, 회전 속도 센서(25)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연료의 분사량이나 분사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그 설정된 제어 목표의 엔진 회전 속도로 엔진(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석 근방에는 프론트 로더(3)의 붐(28)이나 버킷(29)을 상하 요동시키기 위해서 조작 레버(34)가 구비되어 있고, 이 조작 레버(34)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회전 속도의 증가 지령을 행하는 인위 조작식의 증가 지령 조작부(44)가 구비되어 있다. 이 증가 지령 조작부(44)는, 조작 레버(34)의 그립부(34a)에 구비되어 있고, 운전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있는 동안만큼 증가 지령을 행하는 모멘터리식의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증가 지령 조작부(44)가 그립부(34a)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운전자는 조작 레버(34)를 조작하는 손을 조작 레버(34)로부터 떼는 일 없이, 증가 지령 조작부(44)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증가 지령 조작부(44)에 대해서는, 모멘터리식의 스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올타네이트식의 스위치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고, 기타 각종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5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메인 제어부(35) 및 엔진 제어부(36)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38)는 액셀러레이터 조작부(37)의 조작 위치에 따라서 목표 회전 속도를 구하고 있고, 이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38)에 의한 목표 회전 속도의 연산은, 상시 반복하여 행해지고 있다.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40)는, 회전 속도 설정용 조작부(39)의 조작에 의해 증가용 회전 속도를 원하는 회전 속도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40)는, 한번 증가용 회전 속도를 설정하면, 키 오프(OFF) 조작되어도, 그 증가용 회전 속도가 기억 보유 지지되어 있고, 다시 키 온(ON) 조작된 경우에는, 그 기억 보유 지지되어 있는 증가용 회전 속도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40)는 회전 속도 설정용 조작부(39)의 조작에 의해 증가용 회전 속도가 변경 설정되면, 변경 후의 증가용 회전 속도를 기억 보유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38)에 의한 목표 회전 속도의 연산 및, 회전 속도 설정용 조작부(39)의 조작을 기초로 하는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40)에 의한 증가용 회전 속도의 설정이 행해진 경우에, 증가 지령 조작부(44)에 의해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1의 아니오인 경우), 엔진 회전 속도 설정부(41)가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38)에 의해 구한 목표 회전 속도를 제어 목표의 회전 속도로 설정하고, 엔진 제어부(36)가 그 제어 목표의 회전 속도가 되도록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행한다(스텝 #2).
또한, 운전자가 증가 지령 조작부(44)를 조작함으로써 증가 지령 조작부(44)에 의해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고(스텝 #1의 예인 경우), 게다가 기어식 변속 장치(7)의 변속 영역이 고속 영역 이외의 속도 영역일 경우(스텝 #3의 아니오인 경우)에는, 엔진 회전 속도 설정부(41)가,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38)에 의해 구한 목표 회전 속도와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40)에 의해 설정된 증가용 회전 속도 중, 고회전 속도측의 회전 속도를 제어 목표의 회전 속도로 설정하고, 엔진 제어부(36)가 그 제어 목표의 회전 속도가 되도록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증가 제어를 행한다(스텝 #4).
즉, 증가 제어에서는 엔진 회전 속도 설정부(41)는,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38)에 의해 구한 목표 회전 속도와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40)에 의해 설정된 증가용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어느 쪽이 고회전 속도일지를 판별하여, 고회전 속도측의 회전 속도를 제어 목표의 회전 속도로 설정한다. 그리고 엔진 회전 속도 설정부(41)는, 제어 목표의 회전 속도를 설정하면, 그 제어 목표의 회전 속도를 엔진 제어부(36)에 지령하고, 엔진 제어부(36)가 그 제어 목표의 회전 속도가 되도록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메인 제어부(35) 및 엔진 제어부(36)는, 상술한 스텝 #1 내지 #4의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고 있고, 증가 제어의 실행 중에 증가 지령이 지령되지 않게 되면, 증가 제어를 정지해서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반대로, 메인 제어부(35) 및 엔진 제어부(36)는 액셀러레이터 제어의 실행 중에, 증가 지령이 지령되면,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정지해서 증가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증가 지령 조작부(44)를 모멘터리식의 스위치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는, 그 모멘터리식의 스위치가 운전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있는 동안만, 증가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증가 지령 조작부(44)에 의해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행하고, 증가 지령 조작부(44)에 의해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는 경우에 증가 제어를 행하는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가, 엔진 회전 속도 설정부(41) 및 엔진 제어부(3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조작부(24)의 변속 위치에 대해서는, 도시는 생략한 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있으며, 그 센서의 검출 정보가 메인 제어부(35)에 입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 제어부(35)에서는 변속 조작부(24)의 변속 위치에 의해 기어식 변속 장치(7)의 변속 영역이, 고속 영역, 중속 영역, 저속 영역 중, 어떤 변속 영역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제어부(35)에는 기어식 변속 장치(7)의 변속 영역이 고속 영역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에,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에 의한 증가 제어의 실행을 견제하는 견제부(47)가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견제부(47)에 의해, 증가 지령 조작부(44)에 의해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는 경우(스텝 #1의 예인 경우)에, 변속 조작부(24)의 조작 위치가 고속 영역이면, 증가 제어를 행하지 않고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행하고, 반대로 변속 조작부(24)의 조작 위치가 고속 영역 이외이면(스텝 #3의 아니오인 경우), 증가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주행 등, 운전자가 증가 지령 조작부(44)를 조작하지 않고, 증가 지령 조작부(44)에 의해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행함으로써, 액셀러레이터 조작부(37)의 조작 위치에 따른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주행 차체(2)의 차속을 액셀러레이터 조작부(37)의 조작에 따른 차속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로더(3)를 사용한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증가 지령 조작부(44)를 조작해서 증가 지령 조작부(44)에 의해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어식 변속 장치(7)의 변속 영역이 고속 영역 이외로 전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다음, 증가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증가 제어에서는, 목표 회전 속도와 증가용 회전 속도 중, 고회전 속도측의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프론트 로더(3)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20)의 회전 속도로서 충분한 고회전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를 과잉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엔진(5)에 대하여 과잉 부하를 부여하는 일 없이, 프론트 로더(3)에 공급하는 작동유가 부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프론트 로더(3)를 사용한 작업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가 증가 제어를 행함으로써, 엔진(5)에 과잉 부하를 부여하는 일 없이,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셈이지만,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는 증가 제어에 있어서,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하는 증가 속도를 설정 증가 속도보다도 느리게 해서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형태로, 목표 회전 속도와 증가용 회전 속도 중, 고회전 속도측의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있다. 설정 증가 속도에 대해서는, 디젤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PM)의 배출량이 설정 허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는 증가 제어에 있어서, 증가 속도가 설정 증가 속도보다도 느린 미리 설정된 지연용 설정 증가 속도에 의해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입자상 물질(PM)의 배출량이 설정 허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가 증가 제어를 행함으로써, 엔진 회전 속도가 증가되므로, 그 증가에 수반하여 주행 차체(2)의 차속도 증가해서 급가속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가 증가 제어를 행하는 데 있어서, 주행 차체(2)의 차속을 보유 지지하는 차속 보유 지지 수단(48)이 구비되어 있다. 이 차속 보유 지지 수단(48)은, 경사판 제어부(4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경사판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주행 차체(2)의 차속을 증가 제어가 행해지기 전의 차속으로 보유 지지하는 차속 보유 지지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5의 스텝 #4).
이 차속 보유 지지 제어에 대해서, 도 6의 그래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이 도 6의 그래프에서는, 횡축을 경과 시간으로 하고, 종축을 엔진 회전 속도로 한 것을 도 6의 (a)로 하고, 종축을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경사판 각도로 한 것을 도 6의 (b)로 하고, 종축을 차속으로 한 것을 도 6의 (c)로 하고 있다.
경사판 제어부(42)는 차속 센서(26)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주행 차체(2)의 차속을 감시하고 있고,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가 증가 제어를 행하는 데 있어서, 그 증가 제어의 개시 시점(T1)에 있어서의 주행 차체(2)의 차속을 보유 지지하도록,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경사판 각도를 제어하고 있다. 즉,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가 증가 제어를 행함으로써, 엔진 회전 속도가 증가하므로, 경사판 제어부(42)는 차속 센서(26)에 의해 검출한 차속이 증가 제어의 개시 시점(T1)에 있어서의 차속이 되도록,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경사판 각도를 감소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경사판 제어부(42)가 차속 보유 지지 제어를 행함으로써,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차체(2)의 차속을 증가 제어의 개시 시점(T1)에 있어서의 주행 차체(2)의 차속으로 보유 지지하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가 증가 제어를 행하는 데 있어서, 주행 차체(2)의 차속을 보유 지지하는 차속 보유 지지 수단(48)을 구비하고 있다. 이 대신에, 예를 들어 견제부(47)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의 경사판 각도가 중립 상태 이외의 각도로 제어되고 있는 경우에,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46)에 의한 증가 제어의 실행을 견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증가용 회전 속도에 대해, 설정 범위 내의 원하는 회전 속도로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증가용 회전 속도를, 엔진(5)으로서 허용 가능한 최대 회전 속도의 일정한 회전 속도로 할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가 제어에 있어서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때의 증가 속도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조작부(37)의 조작이나 증가 제어를 정지해서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행할 경우 등, 엔진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때의 감소 속도보다도 증가 속도를 늦어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 장치로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6)와 기어식 변속 장치(7)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와 유성 기어 기구를 조합해서 구성된 HMT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각종 변속 장치를 적응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차로서 농업용의 트랙터(1)를 예시했지만, 그 밖의 각종 작업차에 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주행 차체에 연결된 작업 장치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를 구비하고, 엔진에 과잉 부하를 부여하는 일 없이, 유압 펌프의 회전 속도로서, 작업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작동유를 공급 가능한 한 충분한 고회전 속도를 얻을 수 있는 각종 작업자에 적응할 수 있다.
2 : 주행 차체
3 : 프론트 로더(작업 장치)
5 : 엔진
6, 7 : 변속 장치
6 :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유압 무단 변속 장치)
20 : 유압 펌프
24 : 변속 조작부
34 : 조작 레버
34a : 그립부
35 : 메인 제어부
37 : 액셀러레이터 조작부
38 :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
40 :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
41 : 엔진 회전 속도 설정부
44 : 증가 지령 조작부
46 :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
47 : 견제부
48 : 차속 보유 지지 수단

Claims (6)

  1. 엔진과,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주행 차체에 연결된 작업 장치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를 구비한 작업차이며,
    액셀러레이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상기 엔진의 목표 회전 속도를 구하는 목표 회전 속도 연산부와,
    엔진 회전 속도에 대해서 증가용 회전 속도를 설정 가능한 증가용 회전 속도 설정부와,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와,
    엔진 회전 속도의 증가 지령을 행하는 인위 조작식의 증가 지령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는, 상기 증가 지령 조작부에 의해 상기 증가 지령이 지령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목표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액셀러레이터 제어를 행하고, 상기 증가 지령 조작부에 의해 상기 증가 지령이 지령된 경우에는 상기 목표 회전 속도와 상기 증가용 회전 속도 중, 고회전 속도측의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증가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변속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서 변속 가능한 주행용의 변속 장치와,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 영역이 고속 영역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엔진 회전 제어부에 의한 상기 증가 제어의 실행을 견제하는 견제부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는 상기 증가 제어에 있어서, 엔진 회전 속도가 증가하는 증가 속도를 설정 증가 속도보다도 느리게 해서 엔진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형태로, 상기 목표 회전 속도와 상기 증가용 회전 속도 중, 고회전 속도측의 회전 속도로 엔진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회전 속도 제어부에 의한 상기 증가 제어가 행해질 경우에, 주행 차체의 차속을 보유 지지하는 차속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
  5. 제4항에 있어서, 경사판 각도를 변경 조정함으로써 변속 가능한 주행용의 유압 무단 변속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차속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유압 무단 변속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경사판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행 차체의 차속을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는 주행 차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론트 로더이며, 그 프론트 로더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그 조작 레버의 그립부에 상기 증가 지령 조작부로서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작업차.
KR1020120097670A 2011-12-26 2012-09-04 작업차 Active KR101338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3985A JP5871612B2 (ja) 2011-12-26 2011-12-26 作業車
JPJP-P-2011-283985 2011-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119A true KR20130079119A (ko) 2013-07-10
KR101338847B1 KR101338847B1 (ko) 2013-12-06

Family

ID=4680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670A Active KR101338847B1 (ko) 2011-12-26 2012-09-04 작업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25364A1 (ko)
EP (1) EP2610408B1 (ko)
JP (1) JP5871612B2 (ko)
KR (1) KR101338847B1 (ko)
CN (1) CN1031745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4479A (ja) * 2014-05-28 2015-12-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CN104002674B (zh) * 2014-06-10 2016-10-05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动力传动系统、控制方法及单发式汽车起重机
KR102127624B1 (ko) * 2014-10-16 2020-06-29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JP6879677B2 (ja) * 2016-05-26 2021-06-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6804999B2 (ja) * 2017-01-20 2020-12-2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走行管理システム
JP7267849B2 (ja) * 2019-06-14 2023-05-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油圧変速装置の設定値決定方法および診断方法、並びに設定値決定装置および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9852A (en) * 1974-11-11 1980-06-24 Hyatt Gilbert P Signal processing and memory arrangement
JPS58204940A (ja) * 1982-05-24 1983-11-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の燃料噴射ポンプ制御装置
US7164117B2 (en) * 1992-05-05 2007-01-16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restraint system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ple optical imagers
JPS59192845A (ja) * 1983-04-14 1984-11-01 Yanmar Diesel Engine Co Ltd 電子制御式内燃機関のアクセル装置
JPS60189644A (ja) * 1984-03-07 1985-09-27 Toyoda Autom Loom Works Ltd 荷役車両における走行制御装置
JPS60189642A (ja) * 1984-03-07 1985-09-27 Toyoda Autom Loom Works Ltd 荷役車両における原動機の回転数制御装置
JPS60189643A (ja) * 1984-03-07 1985-09-27 Toyoda Autom Loom Works Ltd 荷役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S61193935A (ja) * 1985-02-21 1986-08-28 Tadano Tekkosho:Kk 車輌の速度制限装置
JPH0679886B2 (ja) * 1987-03-23 1994-10-12 日立建機株式会社 自走式車輛の最高速度制限装置
US5307631A (en) * 1991-01-28 1994-05-0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hydraulic construction machine
JP3050061B2 (ja) * 1994-10-25 2000-06-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US7832762B2 (en) * 1995-06-07 2010-11-16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ular bus including crash sensor or occupant protection system control module
US7147246B2 (en) * 1995-06-07 2006-12-12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airbag inflation control
NL1000679C2 (nl) * 1995-06-28 1996-12-31 Arie Van Wieringen Video Film Bewegingseditor/samensteleenheid.
JPH0988650A (ja) * 1995-09-14 1997-03-3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におけるエンジン回転数切換え装置
US20030154017A1 (en) * 1996-09-25 2003-08-14 Ellis Christ G.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counting, tracking and tagging
GB2318651A (en) * 1996-10-23 1998-04-29 New Holland Integrated vehicle control system
JP2000097056A (ja) * 1998-09-16 2000-04-04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回転数制御装置
US6794728B1 (en) * 1999-02-24 2004-09-21 Advanced Safety Concepts, Inc. Capacitive sensors in vehicular environments
JP4064019B2 (ja) * 1999-09-27 2008-03-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00400500B1 (ko) * 2000-08-21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징 벡터 데이터 공간의 인덱싱 방법
US6801662B1 (en) * 2000-10-10 2004-10-05 Hrl Laboratories, Llc Sensor fusion architecture for vision-based occupant detection
JP2004019835A (ja) * 2002-06-18 2004-01-22 Yanmar Co Ltd 油圧式無段変速機及び動力伝達装置
JP2004019836A (ja) * 2002-06-18 2004-01-22 Yanmar Co Ltd 油圧式無段変速機及び動力伝達装置
US6785674B2 (en) * 2003-01-17 2004-08-31 Intelitrac, Inc. System and method for structuring data in a computer system
JP3876838B2 (ja) * 2003-01-17 2007-0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高加速時変速制御装置
CN1455133A (zh) * 2003-01-21 2003-11-12 姜亮华 一种液压无级变速器
US6721642B1 (en) * 2003-02-20 2004-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generating a calibration crash sensor output pulse
JP2005054862A (ja) * 2003-08-01 2005-03-03 Smc Corp アクチュエータ
DE10360893A1 (de) * 2003-12-19 2005-07-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Personenschutzmitteln
JP2005330726A (ja) * 2004-05-20 2005-12-02 Iseki & Co Ltd フロントローダの操作装置
JP2005344634A (ja) * 2004-06-03 2005-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制御装置
US7590589B2 (en) * 2004-09-10 2009-09-15 Hoffberg Steven M Game theoretic prioritization scheme for mobile ad hoc networks permitting hierarchal deference
US7597172B1 (en) * 2005-04-22 2009-10-06 Parker-Hannifin Corporation Gear box for hydraulic energy recovery
DE102006048198A1 (de) * 2005-12-16 2007-07-12 Bosch Rexroth Ag Hydrostatischer Antrieb und Verfahren zum Abbremsen eines hydrostatischen Antriebs
WO2007097665A1 (en) * 2006-02-20 2007-08-3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 method for optimizing operation of a work vehicle
DE102006038151B4 (de) * 2006-08-16 2020-06-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von Personenschutzmitteln
US20080059027A1 (en) * 2006-08-31 2008-03-06 Farmer Michael E Methods and apparatus for classification of occupancy using wavelet transforms
JP2008121659A (ja) * 2006-10-20 2008-05-29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
JP4827714B2 (ja) * 2006-12-14 2011-11-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WO2008090650A1 (ja) * 2007-01-23 2008-07-31 Yanmar Co., Ltd. Hstを備える作業車両
JP4922881B2 (ja) * 2007-09-19 2012-04-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エンジンの制御装置
EP2211042B1 (en) * 2007-10-24 2016-12-14 KCM Corporation Engine control device for working vehicle
US20100162693A1 (en) * 2008-12-31 2010-07-01 Michael Paul W Method of reducing torque ripple in hydraulic motors
JP5164933B2 (ja) * 2009-06-19 2013-03-2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制御装置
US8295610B1 (en) * 2010-01-06 2012-10-23 Apple Inc. Feature scaling for face detection
KR101224751B1 (ko) * 2010-01-21 2013-01-2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의 차속 제어 구조, 작업차의 정보 표시 구조 및 작업차의 변속 조작 구조
CN102052205B (zh) * 2010-11-05 2013-04-10 北京工业大学 一种混合氢气与氧气的压燃式柴油内燃机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0408B1 (en) 2019-08-28
CN103174530B (zh) 2016-05-25
KR101338847B1 (ko) 2013-12-06
EP2610408A2 (en) 2013-07-03
US20130225364A1 (en) 2013-08-29
JP5871612B2 (ja) 2016-03-01
EP2610408A3 (en) 2017-04-12
CN103174530A (zh) 2013-06-26
JP2013133737A (ja)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847B1 (ko) 작업차
KR101956959B1 (ko) 단일 입력을 사용해서 리프트 스피드의 전체 범위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US80414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achine
JP5049284B2 (ja) 多数のポンプ用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02362105B (zh) 建筑车辆
JP5092060B1 (ja)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制御方法
JP6823127B2 (ja) 油圧駆動式建設機械の走行制御機構及び走行制御方法
JP6707514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JP6198846B2 (ja) ホイールローダ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60167647A1 (en) Work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3429935B (zh) 轮式装载机及轮式装载机的控制方法
CN104822922A (zh) 轮式装载机及轮式装载机的控制方法
US20140069092A1 (en) Traction Control System for a Hydrostatic Drive
JP2017180033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CN1680701B (zh) 静压式变速车辆及静压式变速器的控制器
KR102433160B1 (ko) 휠식 작업 차량
CN104290731A (zh) 作业车辆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JPWO2018179113A1 (ja) 作業車両
US9383002B2 (en) Operation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US7685900B2 (en) Vehicle mounted with continuous stepless transmission
JP4376009B2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US20240076852A1 (en) Utility Vehicle with Automatic Shift Control
JP4376018B2 (ja) 作業車両の制御装置
KR20130087167A (ko) 건설기계 상체의 독립적인 선회를 위한 유압장치
KR20160133322A (ko) 휠 로더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