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77928A -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928A
KR20130077928A KR1020110146599A KR20110146599A KR20130077928A KR 20130077928 A KR20130077928 A KR 20130077928A KR 1020110146599 A KR1020110146599 A KR 1020110146599A KR 20110146599 A KR20110146599 A KR 20110146599A KR 20130077928 A KR20130077928 A KR 2013007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ballast water
ship
storage tank
pump roo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갑
이병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7928A/ko
Publication of KR2013007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92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설계 및 건조된 선박에서 추가 변경 없이 밸러스트 수처리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공수 절감 및 파이프 라인의 자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갑판(10) 하부 중앙에는 다수의 펌프가 설치되어지는 펌프룸(20)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펌프룸(20) 양측에는 연료유 보관탱크(30)가 대칭형태로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연료유 보관탱크(30)의 외측 및 펌프룸(20) 하부에는 밸러스트수가 보관되는 밸러스트 보관탱크(40)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갑판(10) 상부에는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밸러스트 처리부(50)가 구성되는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룸(20)에는 밸러스트 보관탱크(40)의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처리부(50)로 이송파이프(46)를 통해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밸러스트 펌프(45)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펌프룸(20)의 상부 일측에는 밸러스트 처리부(50)와 연결되어지는 이송파이프(46)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덕트부(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러스트수의 처리를 위한 수처리 시설의 설치 및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소형 선박과는 다르게 대형 선박이 빈 배로 운항할 경우, 무게중심이 위쪽에 있어 앞뒤 좌우로 심하게 흔들려 전복할 위험이 있고, 프로펠러가 잠기지 못해 추진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선체 밑바닥과 좌우에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라는 별도의 탱크를 설치하고, 여기에 물을 담는데, 이를 밸러스트 수, 또는 평형수 라고 한다. 장난감 오뚝이처럼 무게중심을 아래로 쏠리게 하여 선박이 적당한 수면에서 복원력과 추진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이다.
밸러스트 탱크를 만들 수 없었던 20세기 중반 이전의 목선에는 모래주머니 또는 자갈을 깔아서 배의 평형을 유지했는데,‘밸러스트’의 원뜻은‘까는 자갈(모래주머니)’에서 유래 된 것이다.
빈 배로 항해해야 하는 경우, 평형수는 그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대략 3분의 1까지 채울 수 있도록 설계하는데, 30만톤(GT)급 원유 운반선이라면 밸러스트 탱크의 용량이 10만톤이 된다는 얘기다. 출항하는 항구에서 목적지까지 화물을 실으러 빈 배로 출발할 때에는 밸러스트 탱크에 바닷물을 넣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화물을 실으면 밸러스트 탱크의 바닷물을 항구에 버리는데, 전 세계의 바다 위에서 이렇게 이동하는 평형수는 매년 1백억톤에 이른다.
한편, 이러한 밸러스트수에는 밸러스트수를 유입한 지역의 해수에 존재하는 각종 해양 생물이 포함되어 있어, 선박이 이동하고 난 후 밸러스트수를 타지역에서 방출하면 타지역의 해양 생물이 해당 생태계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미국에서는 1996년 국가 침입종 법률을 제정하여 외래종을 침입자로 규정, 밸러스트수에 대한 관리와 통제를 의무화하였으며, 호주에서는 검역법을 개정하여 밸러스트수를 검역대상이 되는 수입화물로 규정하고 직접 검역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2004년 2월 국제협약을 체결하여 2009년부터 순차적으로 밸러스트 살균처리부를 선박에 탑재하도록 하여 위반시 해당 선박의 입항을 전면 금지하도록 하였다. 본 협약의 발효 시기는 상선 선복량의 합계가 총 톤수로 세계 상선 선복량의 35% 이상이 되는 30개국 이상의 국가가 당사국이 되는 날로부터 12개월 후이다.
예를 들면, 2012년 이후 킬 레잉(keel laying)되는 5000m3 이상의 발라스트탱크를 보유한 모든 선박에 밸러스트 처리부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운항중인 선박들도 발라스트 처리부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선박의 설계 및 배치 측면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VLCC(Very Large Crude oil Carrier; 초대형 원유운반선)와 같은 선박의 경우 오랜 경험을 통해 축적되어 최적화된 선체 배치를 적용하고 있는데, 새로 이 밸러스트 처리부를 설치하면, 설치 공간 확보를 위해 거주구 및 유조 탱크를 포함한 관련부위 전체의 배치 및 설계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배치 및 설계 변경에 의해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도 만만치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 선박의 선체 배치 및 설계를 그대로 유지하는 가운데 밸러스트의 처리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설치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갑판 하부 중앙에는 다수의 펌프가 설치되어지는 펌프룸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펌프룸 양측에는 연료유 보관탱크가 대칭형태로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연료유 보관탱크의 외측 및 펌프룸 하부에는 밸러스트수가 보관되는 밸러스트 보관탱크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갑판 상부에는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밸러스트 처리부가 구성되는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펌프룸에는 밸러스트 보관탱크의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처리부로 이송파이프를 통해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밸러스트 펌프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펌프룸의 상부 일측에는 밸러스트 처리부와 연결되어지는 이송파이프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덕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 설계 및 건조된 선박에서 추가 변경 없이 밸러스트 수처리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공수 절감 및 파이프 라인의 자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밸러스트 펌프와 연결되는 파이프가 연료유 보관탱크 내를 통과하지 않는 배치구조를 이룸으로서 최적의 배치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가 적용된 선박의 단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가 적용된 선박 구조를 살펴보면, 선박의 갑판(10) 하부 중앙에는 다수의 펌프가 설치되어지는 펌프룸(20)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펌프룸(20) 양측에는 연료유 보관탱크(30)가 대칭형태로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연료유 보관탱크(30)의 외측 및 펌프룸(20) 하부에는 밸러스트수가 보관되는 밸러스트 보관탱크(40)가 선체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갑판(10) 상부에는 밸러스트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시설인 밸러스트 처리부(50)가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펌프룸(20)에 밸러스트 보관탱크(40)의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처리부(50)로 이송파이프(46)를 통해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밸러스트 펌프(45)가 설치되어지며, 펌프룸(20)의 상부 일측에는 밸러스트 처리부(50)와 연결되어지는 이송파이프(46)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덕트부(21)가 구성되어지게 된다.
즉, 안내덕트부(21)는 연료유 보관탱크(30)측으로 돌출 구비되도록 함으로서 이송파이프(46)가 연료유 보관탱크(30) 속을 통과하지 않는 가운데, 최적의 배치형태를 이루도록 하였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1은 밸러스트 보관탱크(40)의 좌,우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격벽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의 배치 구조를 이루게 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의 설치를 위해서는 갑판(10)에 밸러스트 처리부(50)를 설치해야 하는데, 펌프룸(20) 상부구역에는 의장품이 돌출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연료유 보관탱크(30)의 상부구역에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연료유 보관탱크(30) 상부구역에 밸러스트 처리부(50)를 설치하게 되면, 밸러스트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파이프(46)가 연료유 보관탱크(30) 내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함으로 배치작업이 어렵고 파이프라인의 자재가 과다하게 소비될 수 있는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펌프룸(20) 상부 일측에 밸러스트 처리부(50)와 연결되어지는 이송파이프(46)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덕트부(21)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배치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갑판 11 : 환풍구역
20 : 펌프룸 21 : 안내덕트부
30 : 연료유 보관탱크 40 : 밸러스트 보관탱크
45 : 밸러스트 펌프 46 : 이송파이프
50 : 밸러스트 처리부

Claims (2)

  1. 선박의 갑판(10) 하부 중앙에는 다수의 펌프가 설치되어지는 펌프룸(20)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펌프룸(20) 양측에는 연료유 보관탱크(30)가 대칭형태로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연료유 보관탱크(30)의 외측 및 펌프룸(20) 하부에는 밸러스트수가 보관되는 밸러스트 보관탱크(40)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갑판(10) 상부에는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밸러스트 처리부(50)가 구성되는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룸(20)에는 밸러스트 보관탱크(40)의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 처리부(50)로 이송파이프(46)를 통해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밸러스트 펌프(45)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펌프룸(20)의 상부 일측에는 밸러스트 처리부(50)와 연결되어지는 이송파이프(46)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덕트부(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덕트부(21)는 연료유 보관탱크(30)측으로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
KR1020110146599A 2011-12-30 2011-12-30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 Ceased KR20130077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599A KR20130077928A (ko) 2011-12-30 2011-12-30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599A KR20130077928A (ko) 2011-12-30 2011-12-30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928A true KR20130077928A (ko) 2013-07-10

Family

ID=4899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599A Ceased KR20130077928A (ko) 2011-12-30 2011-12-30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79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7516A (zh) * 2016-02-22 2016-08-17 南通蓝岛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甲板落水系统
KR102107675B1 (ko) 2018-12-07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부 평형수 처리용 선박
CN113525588A (zh) * 2021-08-31 2021-10-22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舱柜装置及检修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7516A (zh) * 2016-02-22 2016-08-17 南通蓝岛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甲板落水系统
KR102107675B1 (ko) 2018-12-07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부 평형수 처리용 선박
CN113525588A (zh) * 2021-08-31 2021-10-22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舱柜装置及检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3964B (zh) 船舶结构
KR20190026143A (ko) Lng 연료 추진선박
KR102627020B1 (ko) 해수 밸러스트가 없는 운송 선박의 트림을 제어하는 방법
JP4550842B2 (ja) 液体貨物輸送船の貨物倉構造
JP3172935U (ja) 船舶
KR20130077928A (ko) 선박 밸러스트 수처리 장치
JP2010269690A (ja) コンテナ船における排ガス設備及びコンテナ船
CN106005794B (zh) 用于浮式储油装置单元的货油舱
KR101191242B1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밸러스트 운용 방법
JP5798797B2 (ja) 液化燃料輸送船及び船舶の改造方法、船舶並びに液化燃料輸送船
KR100971895B1 (ko) 해양 선박 및 해양 선박용 가스 팽창 트렁크
KR101938918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KR20090072055A (ko)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분할 시스템
KR20120035564A (ko) 선박의 연료탱크 배치구조
KR20110139920A (ko) 컨테이너 선박용 해치커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686907B1 (ko) 액화연료가스로 추진하는 광물 운반선
WO2014013584A1 (ja) 船舶
KR101334325B1 (ko) 화물창을 구비하는 선박
JP6992942B2 (ja) ばら積み貨物船
CN107776827A (zh) 一种货物运输船
US2979009A (en) Tankers or like ships
KR20120093018A (ko) 선박용 발라스트 탱크 배치구조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CN207644565U (zh) 一种货物运输船
KR101411494B1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6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