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083A -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70083A KR20130070083A KR1020110137234A KR20110137234A KR20130070083A KR 20130070083 A KR20130070083 A KR 20130070083A KR 1020110137234 A KR1020110137234 A KR 1020110137234A KR 20110137234 A KR20110137234 A KR 20110137234A KR 20130070083 A KR20130070083 A KR 201300700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xygen
- container
- hole
- bottled water
- bott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2—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생수용기의 주입구에 본체의 하부를 결합하고,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트리지홀더의 내측의 산소가스카트리지를 본체에 설치된 격발침주입구로 산소가스카트리지의 주입구를 개방하여 산소가스를 본체를 통해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생수용기의 내부에 주입하여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소주병 및 소주용기에서는 소주의 알콜농도를 낮추어 소주를 마시고 난다음 숙취해소를 할 수 있고, 생수병 및 생수용기에는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산소수를 생성하여 이를 마실 경우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여 혈액순환이 원활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도록 용기용 산소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용 산소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생수용기의 주입구에 본체의 하부를 결합하고,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트리지홀더의 내측의 산소가스카트리지를 본체에 설치된 격발침주입구로 산소가스카트리지의 주입구를 개방하여 산소가스를 본체를 통해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생수용기의 내부에 주입하여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소주병 및 소주용기에서는 소주의 알콜농도를 낮추고, 생수병 및 생수용기에는 산소의 용존량을 높이도록 한 용기용 산소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주, 맥주 등 주류와 과일 음료, 일반 물 또는 탄산음료의 경우, 이를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 저장하여 보관 및 판매하는 일반적이다.
상기 소주의 소비문화에 대해 다양한 변화가 일어남에 따라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소주로는 알코올 함량을 낮추어 부드러운 맛을 내어 먹기좋게함과 동시에 빠른 숙취해소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개인의 체질에 따라 차이가 나긴 하나, 대부분 알코올 섭취 5분 후부터 혈중 알코올 농도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섭취 후 30 ~ 60분 경과하는 동안 최고치에 이른다.
이러한 알코올은 섭취하게되면 소화과정 없이 위에서 직접 흡수되어 간에서 대부분 산화과정을 거쳐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아세테이트(acetate)의 단계를 거쳐 물(H2O)과 탄산가스(CO2)로 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음주자는 보다 많은 산소를 요구하게 되고, 이에 산소의 공급 정도에 따라서 알코올의 분해정도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술을 마시면 자연적으로 체내 산소량이 감소하여 저산소 상태가 되고, 평소보다 많은 양인, 알코올 1분자당 3 분자의 산소를 필요로 하여 자연적으로 체내 산소량이 감소함으로써 산소를 충분하게 공급하지 못하게 되면 두통 및 구토 등의 숙취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숙취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시간에 순산소가 고농도로 용존되면서 시간이 경과되어도 고농도의 용존산소량이 유지되어 숙취해소가 훨씬 빠른 소주에 산소를 주입하는 장치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생수(물)의 경우 생수병 및 생수용기에 담아 그대로 소비하여 음용할뿐, 생수에 고농도의 용존산소량이 유지되어 인체에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원활하도록 생수병 및 생수용기에 산소를 주입하는 장치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생수용기의 주입구에 본체의 하부를 결합하고,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트리지홀더의 내측의 산소가스카트리지를 본체에 설치된 격발침주입구로 산소가스카트리지의 주입구를 개방하여 산소가스를 본체를 통해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생수용기의 내부에 주입하여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소주병 및 소주용기에서는 소주의 알콜농도를 낮추어 소주를 마시고 난다음 숙취해소를 할 수 있고, 생수병 및 생수용기에는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산소수를 생성하여 이를 마실 경우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여 혈액순환이 원활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도록 한 새로운 용기용 산소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에 결합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의 내측둘레에 용기의 주입구의 외측둘레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어 형성된 연통공을 갖는 본체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결합공을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하부결합공과 연통되고 내부에 산소가스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카트리지홀더와; 상기 연통공의 하부에 삽입설치되고, 스프링이 삽입된 통공이 형성된 연통체와; 상기 연통공의 상부에 삽입되어 하부가 상기 연통체에 형성된 통공에 안착되고 내측에 주입공을 갖는 격발침주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의 외측둘레를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안전핀과, 상기 안전판은 상기 결합구의 외측둘레에 연장되어 형성된 안착턱상에서 상기 카트리지홀더의 하부가 하강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의 하부외측둘레에 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발침주입구의 외측둘레에 가스배출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발침주입구의 하부에 주입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생수용기의 주입구에 본체의 하부를 결합하고,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트리지홀더의 내측의 산소가스카트리지를 본체에 설치된 격발침주입구로 산소가스카트리지의 주입구를 개방하여 산소가스를 본체를 통해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생수용기의 내부에 주입하여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소주병 및 소주용기에서는 소주의 알콜농도를 낮추어 소주를 마시고 난다음 숙취해소를 할 수 있고, 생수병 및 생수용기에는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산소수를 생성하여 이를 마실 경우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여 혈액순환이 원활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결합부의 외측둘레에 안전핀을 설치하여 상기 본체의 결합구와 결합된 카트리지홀더의 결합공이 하강하여 본체에 설치된 격발침주입구가 카트리지홀더에 내장된 산소가스카트리지의 입구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여 산소가스의 방출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발침주입구의 외측둘레에 가스배출오링을 설치하여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및 생수용기에 산소가스를 주입시 주입량이외에 산소가 주입되는 것을 가스배출오링으로 배출하여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및 생수용기가 과용량 산소가스의 주입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개략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개략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개략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산소주입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산소주입장치는 본체(10)와, 카트리지홀더(20)와, 연통체(30)와, 격발침주입구(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결합구(1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결합공(12)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12)과 연통되어 연장형성되게 상기 결합공(12)의 상부에 연통공(13)을 형성하여 준다.
즉,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관통되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2/3지점까지 상기 연통공(13)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13)의 하부와 연통되게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결합공(12)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통공(13)은 상부연통공(13a)과 중부연통공(13b)와 하부연통공(13c)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및 중부연통공(13a,13b)에는 후술되는 격발침주입구(40)의 상부가 안착되고, 상기 하부연통공(13c)에는 후술되는 연통체(30)가 삽입되며, 그 후, 상기 연통체(30)에 형성된 통공(31)에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2)의 내측둘레에 용기의 주입구(100)의 외측둘레가 나사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공(12)의 내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용기의 주입구(10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나사결합되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용기는 소주병 및 소주용기, 생수병 및 생수용기 등으로 구성되나, 산소가 주입하여 산소용존량을 높여 산소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음료수가 수용된 용기를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11)의 외측둘레를 형성된 삽입공(51)에 삽입되는 안전핀(5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전판(50)이 구성되는 것은 상기 결합구(11)의 외측둘레에 연장되어 형성된 안착턱(14)상에서 후술되는 상기 카트리지홀더(20)의 하부가 하강되지 못하도록 구성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용기의 주입구(100)에 산소가스를 주입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홀더(20)가 하강하여 상기 카트리지홀더(20)의 상기 수용부(22)에 수용된 산소가스카트리지(C)의 주입구를 상기 본체(10)의 상기 연통공(13)에 삽입된 격발침주입구(40)가 개방하여 산소가스방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결합구(11)의 하부외측둘레에 오링(6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오링(60)은 상기 산소가스카트리지(C)의 산소가스를 상기 격발침주입구(40)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상기 결합공(12)에 결합된 상기 용기의 주입구(100)에 산소가스를 외부로 누출없이 주입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카트리지홀더(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홀더(20)의 하부에 하부결합공(2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결합공(21)의 상부와 연통되게 산소가스카트리지(C)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2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산소가스카트리지(C)는 1회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체(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통공(13)의 상기 하부연통공(13c)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통체(30)에는 통공(3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31)내에는 스프링(32)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통공(31)에는 후술되는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격발침주입구(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격발침주입구(40)는 상기 연통공(13)의 상기 상부중부연통공(13a,13b)에 삽입되는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하부가 상기 연통체(30)에 형성된 통공(31)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32)의 상부에 안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내측에는 산소가스가 통과하는 주입공(4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외측둘레에 가스배출오링(60a)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스배출오링(60a)은 상기 산소가스카트리지(C)의 주입구를 통해 상기 격발침주입구(40)로 산소가스를 상기 연통체(30)를 통해 상기 결합공(12)에 결합된 상기 용기의 주입구(100)를 주입시 상기 용기의 주입구(100)를 통해 용기(101)에 내에 주입되는 산소가스가 과충진시, 과충된 산소가스는 상부로 상승되고, 상승되는 산소가스는 상기 가스배출오링(60a)의 외측둘레를 들뜨게해서 상기 외측둘레를 통해 상기 연통공(13)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스배출오링(60a)은 상기 용기(101)에 산소가스를 과충전시 상기 용기(101)의 파손 및 변형을 막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하부에 주입관(7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주입관(70)을 더 구성하는 것은 상기 격발침주입구(40)를 통해 산소가스를 상기 용기(101)의 내부에 수용된 용액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작용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카트리홀더(20)의 하부를 상기 본체(10)의 상부에서 위로 상승시켜준 다음, 상기 안전핀(50)을 제거하고, 상기 카트리지홀더(20)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하면 상기 카트리지홀더(20)의 상기 수용부(22)에 수용된 상기 산소가스카트리지(C)의 주입구는 하부로 하강되어지고, 이러하게 하강되는 상기 산소가스카트리지(C)의 하부는 상기 본체(10)의 상기 연통공(13)에 설치된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상부가 개방시켜 산소가스를 방출한다.
한편,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하부는 상기 연통체(30) 상기 통공(31)내에 삽입되어 그 하부는 상기 스프링(32)의 탄발력으로 하강되었다가 상승되어 진다.
이러하게 방출되는 산소가스를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상기 주입공(41)을 통해 공급하여준다.
이때,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하부와 연결된 상기 연통체(30)를 통해 산소가스가 공급되어진다.
한편, 상기 연통체(30)는 상기 본체(10)의 상기 결합공(12)에 결합된 상기 용기의 주입구(100)를 갖는 용기(101)내에 설치된 상기 주입관(70)에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상기 주입공(41) 및 상기 연통체(30)를 통해 산소가스를 공급하여주면, 상기 산소가스는 상기 주입관(70)을 통해 상기 용기(101)에 수용된 용액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급되어 상기 용기(101)내에 산소용존량의 수치를 올리도록 한다.
이러하게 상기 용기(101)내에 산소가스를 공급하면 상기 용기(101)내에 수용된 용액이 소주일 경우 소주용액에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소주의 알콜농도를 낮추어 소주를 마시고 난 다음 숙취해소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용기(101)내의 용액이 생수일 경우 생수용액에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산소수를 생성하여 이를 마실 경우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여 혈액순환이 원활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본체 11: 결합구
12: 결합공 13: 연통공
14: 안착턱 20: 카트리지홀더
21: 결합공 22: 수용부
30: 연통체 31: 통공
32: 스프링 40: 격발침주입구
41: 주입공 50: 안전핀
51: 삽입공 60: 오링
60a: 가스배출오링 70: 주입관
C: 산소가스카트리지
12: 결합공 13: 연통공
14: 안착턱 20: 카트리지홀더
21: 결합공 22: 수용부
30: 연통체 31: 통공
32: 스프링 40: 격발침주입구
41: 주입공 50: 안전핀
51: 삽입공 60: 오링
60a: 가스배출오링 70: 주입관
C: 산소가스카트리지
Claims (5)
- 상부에 결합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 결합공(1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2)의 내측둘레에 용기의 주입구(100)의 외측둘레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결합공(12)과 연통되어 형성된 연통공(13)을 갖는 본체(10)와;
상기 결합구(1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결합공(21)을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하부결합공(21)과 연통되고 내부에 산소가스카트리지(C)가 수용되는 수용부(22)를 갖는 카트리지홀더(20)와;
상기 연통공(13)의 하부에 삽입설치되고, 스프링(32)이 삽입된 통공(31)이 형성된 연통체(30)와;
상기 연통공(13)의 상부에 삽입되어 하부가 상기 연통체(30)에 형성된 통공(31)에 안착되고 내측에 주입공(41)을 갖는 격발침주입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1)의 외측둘레를 형성된 삽입공(51)에 삽입되는 안전핀(50)과, 상기 안전판(50)은 상기 결합구(11)의 외측둘레에 연장되어 형성된 안착턱(14)상에서 상기 카트리지홀더(20)의 하부가 하강되지 못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1)의 하부외측둘레에 오링(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외측둘레에 가스배출오링(60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침주입구(40)의 하부에 주입관(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7234A KR20130070083A (ko) | 2011-12-19 | 2011-12-19 |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7234A KR20130070083A (ko) | 2011-12-19 | 2011-12-19 |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0083A true KR20130070083A (ko) | 2013-06-27 |
Family
ID=4886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7234A Abandoned KR20130070083A (ko) | 2011-12-19 | 2011-12-19 |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70083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33096A (ja) * | 2018-08-31 | 2020-03-05 | 李 粲淑 | 液体酸素カプセ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体酸素注入装置 |
KR102693437B1 (ko) | 2023-11-01 | 2024-08-07 | 이송정 | 기밀성이 향상된 고농축 산소를 포함한 기체 주입기 |
-
2011
- 2011-12-19 KR KR1020110137234A patent/KR20130070083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033096A (ja) * | 2018-08-31 | 2020-03-05 | 李 粲淑 | 液体酸素カプセ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体酸素注入装置 |
WO2020045687A1 (ja) * | 2018-08-31 | 2020-03-05 | 李 粲淑 | 液体酸素カプセ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体酸素注入装置 |
KR102693437B1 (ko) | 2023-11-01 | 2024-08-07 | 이송정 | 기밀성이 향상된 고농축 산소를 포함한 기체 주입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265991A (en) | Process for producing carbonated beverages | |
US921594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eer and other alcoholic beverages | |
US20100260914A1 (en) | Method for producing carbonated beverages | |
US20050001340A1 (en) |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liquids for the dispense of beverages | |
US7858136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ure oxygen—containing diluted soju | |
TW201540239A (zh) | 碳酸飲料製造方法及其使用的碳酸飲料製造機 | |
CN1107627C (zh) | 能单独盛装流动物并在需要时允许流动物混合的容器 | |
KR20130070083A (ko) | 용기용 산소주입장치 | |
JP2008280057A (ja) | 容器入り飲料水及び容器に飲料水を充填する方法。 | |
UA77050C2 (en) | Method and device of industrial production of bubbly alcohol-containing beverages (variants) | |
KR101144182B1 (ko) | 산소 및 탄산음료 제조기 | |
JP2010158207A (ja) | 果実酒およびその製造法 | |
US12209234B2 (en) | Nitrogen infused sparkling wine and methods of making same | |
US11384323B2 (en) | Method of making sparkling beverage with reduced carbon footprint | |
KR101898024B1 (ko) | 탄산이 포함된 음료 배출 장치 | |
KR20170022004A (ko) | 휴대용 탄산 음료수병 | |
KR200471144Y1 (ko) | 산소주 제조기 | |
KR200486416Y1 (ko) | 탄산 및 질소 음료 제조용 장치 | |
CN101254016A (zh) | 茶可乐 | |
JP2014132865A (ja) | 発酵容器を兼ねたバッグインボックス型液体容器および酒類の製造法 | |
KR20190141354A (ko) | 탄산수 제조가 가능한 텀블러 | |
US20230166221A1 (en) | Effervescent beverage in valveless container aerated with sparingly soluble gases, an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 |
KR20130002995U (ko) | 휴대용 산소주 제조기 | |
KR20110027870A (ko) | 탄산음료의 탄산가스 누출방지용 거치대 | |
JP2006176148A (ja) | ボトル入飲料サーバ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