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62194A -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194A
KR20130062194A KR1020110128666A KR20110128666A KR20130062194A KR 20130062194 A KR20130062194 A KR 20130062194A KR 1020110128666 A KR1020110128666 A KR 1020110128666A KR 20110128666 A KR20110128666 A KR 20110128666A KR 20130062194 A KR20130062194 A KR 20130062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potassium iodide
boric acid
stretching
cont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필주
송재빈
정해룡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194A/ko
Priority to TW101145164A priority patent/TWI525351B/zh
Priority to CN2012105054850A priority patent/CN103135160A/zh
Priority to US13/690,358 priority patent/US20130141787A1/en
Publication of KR20130062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19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편광자는 붕산 및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며, 상기 붕산의 함량(WBA)과 상기 요오드화칼륨의 함량(WKI)의 비(WBA/WKI )가 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POLARIZER HAVING HIGH DUR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붕산 및 요오드화칼륨의 함량을 특정 범위로 조절하여 고온환경에서 광학내구성이 우수하고 색상 변화량이 적은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중 하나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액정 표시 패널의 외측에는 편광판이 구비되어 있다. 편광판은 백라이트로부터 입사되는 빛 및 액정층을 통과한 빛 중 특정 방향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함으로써 편광을 제어할 수 있다.
편광판은 빛을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킬 수 있는 편광자(polarizer) 및 이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통상 2 색성을 갖는 요오드로 염색한 후, 붕산 등으로 가교하여 제조된다.
근래에는 편광자에 대해 높은 광내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US 4,591,512에서는 편광자에 아연이온을 함침시켜 고온에서의 red leakage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편광판의 직교상태에서 단파장 영역의 투과율을 높이게 되어 편광도를 저하시킨다던가 이로 인해 편광판을 bluish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편광자 내부에 요오드(I)/칼륨(K)의 원소 함유량을 조절하여 가열 하에 광학내구성 및 색상 변화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상기 방법은 단순히 편광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KI함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편광자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나치게 KI함량을 줄인다면 색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고 지나치게 많을 경우 표면에 잔존하는 KI에 의해 오히려 내구성면에서는 역효과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환경에서 광내구성이 우수하며, 색상 변화가 적은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광도, 투과율 및 외관이 우수한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편광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자는 붕산 및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며, 상기 붕산의 함량(WBA)과 상기 요오드화칼륨의 함량(WKI)의 비(WBA/WKI )가 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편광자는 상기 붕산 함량과 요오드화칼륨 함량의 비(WBA/WKI )가 6.5 내지 8.5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편광자는 붕산 함량이 18~22 중량%이고, 요오드화 칼륨의 함량이 2~4 중량%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편광자는 하기 식 1에 의한 직교상태의 색좌표 변화량(Δab)이 1 내지 4 일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1

상기에서, ac3 및 bc3은 105 ℃에서 3 시간 방치 후 측정한 직교상태의 색도이고, ac0 및 bc0는 초기 상태의 직교 색도임.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염색조에서 염색하면서 연신하고; 상기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연신조에서 연신하고; 그리고 상기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보색조에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연신조는 붕산 2.5~3.5 중량%, 요오드화 칼륨 2.5~3.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고 온도가 45~65℃ 일 수 있다.
상기 보색조는 붕산 0.8~1.2 중량%, 요오드화 칼륨 3.0~4.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고 온도가 35~45 ℃ 일 수 있다.
상기 염색조에서 누적연신비는 1.5~2.2배이고, 상기 연신조에서 연신비는 2.0~3.2배이고, 상기 보색조에서 총연신비가 5~6.5배가 되도록 연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최소한 일면에 보호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고온환경에서 광내구성이 우수하며, 색상 변화가 적고, 편광도, 투과율 및 외관이 우수한 편광자, 그 제조방법 및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붕산 및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며, 상기 붕산의 함량(WBA)과 상기 요오드화칼륨의 함량(WKI)의 비(WBA/WKI )가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5 일 수 있다. 만일 붕산과 요오드화칼륨의 함량비(WBA/WKI )가 5 미만일 경우 직교상태 색상 변화가 증가하며, 광내구성이 저하된다. 또한 붕산과 요오드화칼륨의 함량비(WBA/WKI )가 10 을 초과할 경우에도 직교상태 색상 변화가 증가하며, 광내구성 및 외관과 투과율이 저하된다.
구체예에서 상기 편광자는 붕산 함량이 18~22 중량%, 바람직하게는 18.5~21.5 중량% 이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광내구성을 가지면서 색상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신공정에서 파단(필름이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편광도 등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화 칼륨의 함량이 2~4 중량%, 바람직하게는 3~3.8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광내구성을 가지면서 색상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광판의 색상이 bluish해지거나 편광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하기 식 1에 의한 직교상태의 색좌표 변화량(Δab)이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일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2
상기에서, ac3 및 bc3은 105 ℃에서 3 시간 방치 후 측정한 직교상태의 색도이고, ac0 및 bc0는 초기 상태의 직교 색도임.
본 발명의 편광자 제조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염색조에서 염색하면서 연신하고; 상기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연신조에서 연신하고; 그리고 상기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보색조에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편광자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중합도가 1,000~3,500 이고, 비누화도가 99.8 몰%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기 전, 팽윤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팽윤공정은 팽윤조에서 약 22~35℃의 온도에서 수행하고, 필름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거나 염색이 잘 되도록 거치는 공정이다. 상기 팽윤조는 물 또는 염화물, 붕산, 무기산, 유기 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팽윤조의 제조 및 선택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이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팽윤조에서 연신을 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팽윤조에서 누적연신비가 1.1~1.6배가 되도록 한다.
상기 팽윤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염색조에서 염색될 수 있다. 상기 염색조는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요오드 염색조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 약 0.05~0.2 중량부, 요오드화칼륨 약 0.5~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오드 염색은 약 20~4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염색조에서 연신을 할 수 있으며, 누적연신비는 1.5~2.2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연신조에서 연신된다. 상기 연신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연신조에서 연신비가 약 2.0~3.2 배가 되도록 연신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연신조는 붕산 2.5~3.5 중량%, 요오드화 칼륨 2.5~3.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고 온도가 45~65℃ 일 수 있다.
상기 연신조에서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보색조에서 가교 및 연신될 수 있다. 상기 보색조는 붕산 0.8~1.2 중량%, 요오드화 칼륨 3.0~4.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고 온도가 35~45 ℃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색조에서 총연신비가 5~6.5배가 되도록 연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총연신비가 5.8~6.2배, 더 바람직하게는 총연신비가 5.9~6.1배가 되도록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편광자는 두께가 약 0.5∼400㎛, 바람직하게는 약 5∼200㎛의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필름은 위상차 필름, 휘도향상필름, 반사필름, 반투과 반사필름, 확산필름, 광학보상필름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필름이 보호 필름 상에 더 적층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는 50~400 ㎛, 바람직하게는 약 70∼200㎛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보호필름은 편광자에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적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두께가 75㎛인 PVA 필름(VF-PS #7500, KURARAY사: 중합도 2,400, 폭 3,000㎜, 비누화도 99.9몰% 이상) 30℃의 탈이온수로 채워진 팽윤조에서 필름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팽윤조의 누적 연신비가 1.4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요오드/요오드화칼륨이 1/23의 중량비 구성된 30℃의 염착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염착조에서 누적 연신비가 1.7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어서 붕산 3.0 중량%, 요오드칼륨 3.0 중량% 55℃의 연신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한 후 연속해서 붕산 1.0 중량%, 요오드화 칼륨 4.0 중량%로 조성된 40℃ 보색조 수용액에서 총연신비가 6.0배가 되도록 1축 연신하였다. 그 후 50℃에서 4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가 28㎛인 요오드계 편광자를 제조하였다.제조된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두께가 80㎛이며 표면에 비누화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후지태크 T80UNL, 후지사진필름㈜)을 접합하고 60℃에서 5분 동안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두께가 75㎛인 PVA 필름(VF-PS #7500, KURARAY사: 중합도 2,400, 폭 3,000㎜, 비누화도 99.9몰% 이상) 30℃의 탈이온수로 채워진 팽윤조에서 필름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팽윤조의 누적 연신비가 1.4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요오드/요오드화칼륨이 1/23의 중량비 구성된 30℃의 염착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염착조에서 누적 연신비가 1.7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어서, 붕산 3.0 중량% , 요오드칼륨 3.0 중량% 54℃의 연신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한 후 연속해서 붕산 1.0 중량%, 요오드화 칼륨3.0 중량%로 조성된 40℃ 보색조 수용액에서 총연신비가 6.0배가 되도록 1축 연신하였다. 그 후 50℃에서 4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가 28㎛인 요오드계 편광자를 제조하였다.제조된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두께가 80㎛이며 표면에 비누화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후지태크 T80UNL, 후지사진필름㈜)을 접합하고 60℃에서 5분 동안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두께가 75㎛인 PVA 필름(VF-PS #7500, KURARAY사: 중합도 2,400, 폭 3,000㎜, 비누화도 99.9몰% 이상) 30℃의 탈이온수로 채워진 팽윤조에서 필름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팽윤조의 누적 연신비가 1.4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요오드/요오드화칼륨이 1/23의 중량비 구성된 30℃의 염착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염착조에서 누적 연신비가 1.7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어서 붕산 3.2 중량%, 요오드칼륨 3.0 중량% 53℃의 연신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한 후 연속해서 붕산 1.0 중량%, 요오드화 칼륨 3.0 중량%로 조성된 40℃ 보색조 수용액에서 총연신비가 6.0배가 되도록 1축 연신하였다. 그 후 50℃에서 4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가 28㎛인 요오드계 편광자를 제조하였다.제조된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두께가 80㎛이며 표면에 비누화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후지태크 T80UNL, 후지사진필름㈜)을 접합하고 60℃에서 5분 동안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두께가 75㎛인 PVA 필름(VF-PS #7500, KURARAY사: 중합도 2,400, 폭 3,000㎜, 비누화도 99.9몰% 이상) 30℃의 탈이온수로 채워진 팽윤조에서 필름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팽윤조의 누적 연신비가 1.4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요오드/요오드화칼륨이 1/23의 중량비 구성된 30℃의 염착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염착조에서 누적 연신비가 1.7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어서 붕산 3.5 중량% , 요오드칼륨 3.0 중량% 60℃의 연신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한 후 연속해서 붕산 1.0 중량%, 요오드화 칼륨 4.0 중량%로 조성된 40℃ 보색조 수용액에서 총연신비가 6.0배가 되도록 1축 연신하였다. 그 후 50℃에서 4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가 28㎛인 요오드계 편광자를 제조하였다.제조된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두께가 80㎛이며 표면에 비누화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후지태크 T80UNL, 후지사진필름㈜)을 접합하고 60℃에서 5분 동안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두께가 75㎛인 PVA 필름(VF-PS #7500, KURARAY사: 중합도 2,400, 폭 3,000㎜, 비누화도 99.9몰% 이상) 30℃의 탈이온수로 채워진 팽윤조에서 필름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팽윤조의 누적 연신비가 1.4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요오드/요오드화칼륨이 1/23의 중량비 구성된 30℃의 염착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염착조에서 누적 연신비가 1.7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어서 붕산 2.0 중량%, 요오드칼륨 3.0 중량% 60℃의 연신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한 후 연속해서 붕산 1.0 중량%, 요오드화 칼륨 4.0 중량%로 조성된 40℃ 보색조 수용액에서 총연신비가 6.0배가 되도록 1축 연신하였다. 그 후 50℃에서 4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가 28㎛인 요오드계 편광자를 제조하였다.제조된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두께가 80㎛이며 표면에 비누화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후지태크 T80UNL, 후지사진필름㈜)을 접합하고 60℃에서 5분 동안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두께가 75㎛인 PVA 필름(VF-PS #7500, KURARAY사: 중합도 2,400, 폭 3,000㎜, 비누화도 99.9몰% 이상) 30℃의 탈이온수로 채워진 팽윤조에서 필름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팽윤조의 누적 연신비가 1.4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요오드/요오드화칼륨이 1/23의 중량비 구성된 30℃의 염착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염착조에서 누적 연신비가 1.70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어서 붕산 3.5중량%, 요오드칼륨 3.0 중량% 50℃의 연신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한 후 연속해서 붕산 1.0 중량%, 요오드화 칼륨 4.0 중량%로 조성된 40℃의 보색조 수용액에서 총연신비가 6.0배가 되도록 1축 연신하였다. 그 후 50℃에서 4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가 28㎛인 요오드계 편광자를 제조하였다.제조된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두께가 80㎛이며 표면에 비누화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후지태크 T80UNL, 후지사진필름㈜)을 접합하고 60℃에서 5분 동안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두께가 75㎛인 PVA 필름(VF-PS #7500, KURARAY사: 중합도 2,400, 폭 3,000㎜, 비누화도 99.9몰% 이상) 30℃의 탈이온수로 채워진 팽윤조에서 필름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팽윤조의 누적 연신비가 2.3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요오드/요오드화칼륨이 1/23의 중량비 구성된 30℃의 염착용 수용액으로 채워진 염착조에서 누적 연신비가 2.8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어서 붕산 3.0 중량%, 요오드칼륨 3.0 중량%, 54℃의 연신조 수용액에서 2.0배 연신한 후 연속해서 붕산 1.0 중량%, 요오드화 칼륨 3.0 중량%로 조성된 40℃의 보색조 수용액에서 총연신비가 6.0배가 되도록 1축 연신하였다. 그 후 50℃에서 4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가 28㎛인 요오드계 편광자를 제조하였다.제조된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두께가 80㎛이며 표면에 비누화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후지태크 T80UNL, 후지사진필름㈜)을 접합하고 60℃에서 5분 동안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표 1에 실시예 1~4와 비교예 1~3의 연신조의 온도와 붕산함량과 보색조에서의 요오드화칼륨 함량 조건을 나타내었다.
구분 연신조 보색조
온도 붕산함량(중량%) 연신비 요오드화칼륨 함량(중량%)
실시예 1 55℃ 3.0 2.5 4.0
실시예 2 54℃ 3.0 2.5 3.0
실시예 3 53℃ 3.2 2.5 3.0
실시예 4 60℃ 3.5 2.5 4.0
비교예 1 60℃ 2.0 2.5 4.0
비교예 2 50℃ 3.5 2.5 4.0
비교예 3 54℃ 3.0 2.0 3.0
물성평가방법
(1)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KI)의 함량 : 편광자 1g과 탈이온수 50g을 비이커에 넣고 가열하여 완전 용해 시킨후 Manitol용액(Manitol:증류수=1:7 중량비)용액 10g을 혼합한 용액으로 0.1N NaOH 수용액으로 적정하여 붕산함량(WBA)을 측정하였다. 또한, 편광자 1g과 탈 이온수50g을 비이커에 넣고 가열하여 완전 용해 시킨후 0.1N AgNO3 수용액으로 적정하여 요오드화 칼륨(KI) 함량(WKI)을 측정하였다. 상기 얻어진 붕산함량(WBA)과 요오드화 칼륨(KI) 함량(WKI)에 대해 함량비(WBA/WKI )를 구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2) 직교 상태 색상 변화(Δab)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샘플을 무알칼리 글라스에 합지한 후, JASCO사(日) 분광광도계 V-7100을 사용하여 편광판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런 후 각각의 샘플을 105℃ 오븐에 넣고 3시간동안 가열한 후 다시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특성을 측정하였다. Hunter 색좌표를 통해 편광판 초기의 직교 색도(ac0 bc0), 105 ℃에서 3 시간 방치 후의 직교 색도 (ac3, bc3) 를 측정하고, 하기 식 1에 의해 구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식 1]
Figure pat00003
상기에서, ac3 및 bc3은 105 ℃에서 3 시간 방치 후 측정한 직교상태의 색도이고, ac0 및 bc0는 초기 상태의 직교 색도임.
(3) 편광도 : 1매의 편광판을 상기의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0도 90도에서 각각 평행투과율 및 직교투과율을 측정하여 하기의 식 2로부터 편광도를 계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식 2]
Figure pat00004
상기에서, Tp는 평행투과율, Tc는 직교투과율(2도 시야(C광원)에 의한 시감도 보정 Y값
(4) 투과율 : JASCO사(日) 분광광도계 V-7100을 이용하여 1장의 편광판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편광판의 투과율은 JIS Z8701의 2도 시야(C광원)에 의한 시감도 보정을 실시한 Y값 이다.
(5) 외관 및 목시평가 : 85℃ 오븐에 넣고 500시간 가열한 후 평가하였다. 색상의 붉은 정도를 0수준~4수준으로 구분하고, 붉은 정도가 심할수록 숫자를 높게 책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붕산함량(중량%) KI함량(중량%) 붕산함량/KI함량비(WBA/WKI )
실시예 1 18.5 3.4 5.4
실시예 2 21.5 2.6 8.3
실시예 3 22.0 3.0 7.3
실시예 4 18.0 3.0 6.0
비교예 1 17.5 4.5 3.9
비교예 2 22.5 2.0 11.3
비교예 3 24.0 1.8 13.3
구분 직교 상태
색상 변화(Δab)
편광도(%) 외관 목시평가
초기 105도3시간
실시예 1 1.7 99.99 99.96 양호 0
실시예 2 1.4 99.98 99.96 양호 0
실시예 3 1.6 99.97 99.97 양호 1
실시예 4 1.8 99.98 99.97 양호 0
비교예 1 4.8 99.97 99.93 양호 4
비교예 2 4.5 99.98 99.92 양호 4
비교예 3 5.0 99.95 99.90 양호 4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붕산의 함량(WBA)과 상기 요오드화칼륨의 함량(WKI)의 비(WBA/WKI )가 5 내지 10의 범위인 실시예 1~4는 고온환경에서 광학내구성이 우수하고 색상 변화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WBA/WKI 가 5 미만이거나 10 초과인 비교예 1~3은 색상변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9)

  1. 붕산 및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며,
    상기 붕산의 함량(WBA)과 상기 요오드화칼륨의 함량(WKI)의 비(WBA/WKI )가 5 내지 10인 편광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상기 붕산 함량과 요오드화칼륨 함량의 비(WBA/WKI )가 6.5 내지 8.5 인 편광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붕산 함량이 18~22 중량%이고, 요오드화 칼륨의 함량이 2~4 중량%인 편광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하기 식 1에 의한 직교상태의 색좌표 변화량(Δab)이 1 내지 4 인 편광자:

    [식 1]
    Figure pat00005

    상기에서, ac3 및 bc3은 105 ℃에서 3 시간 방치 후 측정한 직교상태의 색도이고, ac0 및 bc0는 초기 상태의 직교 색도임.

  5.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염색조에서 염색하면서 연신하고;
    상기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연신조에서 연신하고; 그리고
    상기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및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보색조에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자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조는 붕산 2.5~3.5 중량%, 요오드화 칼륨 2.5~3.5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고 온도가 45~65℃ 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색조는 붕산 0.8~1.2 중량%, 요오드화 칼륨 3.0~4.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고 온도가 35~45 ℃ 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조에서 누적연신비는 1.5~2.2배이고, 상기 연신조에서 누적연신비는 2.0~3.2배이고, 상기 보색조에서는 총연신비가 5~6.5배가 되도록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의 편광자의 최소한 일면에 보호필름이 적층된 편광판.



KR1020110128666A 2011-12-02 2011-12-02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Ceased KR20130062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66A KR20130062194A (ko) 2011-12-02 2011-12-02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TW101145164A TWI525351B (zh) 2011-12-02 2012-11-30 偏振器及其製造方法
CN2012105054850A CN103135160A (zh) 2011-12-02 2012-11-30 具有高耐久性的偏振器及其制造方法和偏振板
US13/690,358 US20130141787A1 (en) 2011-12-02 2012-11-30 Polarizer having high durabilit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66A KR20130062194A (ko) 2011-12-02 2011-12-02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847A Division KR20150103349A (ko) 2015-08-07 2015-08-07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94A true KR20130062194A (ko) 2013-06-12

Family

ID=4849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666A Ceased KR20130062194A (ko) 2011-12-02 2011-12-02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41787A1 (ko)
KR (1) KR20130062194A (ko)
CN (1) CN103135160A (ko)
TW (1) TWI5253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08A (ko) * 2018-03-28 2022-02-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428B1 (ko) * 2012-12-17 2016-06-08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5860448B2 (ja) * 2013-11-14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JP5860449B2 (ja) 2013-11-14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JP6215864B2 (ja)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14594B2 (ja) *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4062291B (zh) * 2014-06-23 2016-09-14 深圳市盛波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ki和h3bo3混合溶液中ki浓度的测定方法
JP6215261B2 (ja)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子、長尺状の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713189B2 (ja) 2014-06-27 2020-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フィルム積層体
SG11201706552PA (en) * 2014-09-30 2017-09-28 Nitto Denko Corp One-side-protected polarizing film,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same
SG11201706374RA (en) 2014-09-30 2017-09-28 Nitto Denko Corp Polarizing film,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6152127B2 (ja) 2015-02-1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163000B2 (ja) 2015-06-25 2022-10-31 日東電工株式会社 非偏光部を有する偏光子
JP6422415B2 (ja) 2015-09-28 2018-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619619B2 (ja) * 2015-11-04 2019-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偏光子の製造方法
CN110785685A (zh) * 2017-06-23 2020-02-11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膜、包含该偏振膜的偏振片、以及包含该偏振片的车载用图像显示装置
WO2020204330A1 (ko)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적층체
JP7335047B2 (ja) * 2019-03-29 2023-08-2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光学積層体
JP7390799B2 (ja) * 2019-04-17 2023-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8344A (ja) * 2001-09-20 2003-04-03 Nitto Denko Corp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043263B2 (ja) * 2002-03-18 2008-02-0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651643B2 (en) * 2003-04-21 2010-01-26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method for producing same,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WO2005029143A1 (ja) * 2003-09-19 2005-03-31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偏光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70146882A1 (en) * 2003-12-18 2007-06-28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CN100445780C (zh) * 2004-06-29 2008-12-24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镜及其制造方法、偏振片、光学薄膜和图像显示装置
JP5034600B2 (ja) * 2007-03-29 2012-09-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260515B1 (ko) * 2009-01-30 2013-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편광소자,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및 편광소자 제조방법
KR101613596B1 (ko) * 2009-06-16 2016-04-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자, 이의 제조방법, 이것이 구비된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1293786B1 (ko) * 2009-12-31 2013-08-06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08A (ko) * 2018-03-28 2022-02-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25351B (zh) 2016-03-11
CN103135160A (zh) 2013-06-05
US20130141787A1 (en) 2013-06-06
TW201326923A (zh)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2194A (ko)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518495B1 (ko) 광내구성을 향상시킨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76932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I469870B (zh) 偏光片、其製備方法和裝備有該偏光片的偏光板
KR101628428B1 (ko)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TWI565975B (zh) 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518871A (ja) 色補正偏光子に関連する応用技術
KR20120076186A (ko) 편광판, 광학장치 및 편광판 제조방법
KR20140080421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9780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70339A (ko)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
KR102715185B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740835B1 (ko)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20076888A (ko)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32049B1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150103349A (ko)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1302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9158050B2 (en) Polarizer having high durabilit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640641B1 (ko) 편광판용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JPWO2020031784A1 (ja) 積層体、液晶表示装置、有機電界発光装置
KR101595622B1 (ko) 편광판용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20240082026A (ko)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KR20060073275A (ko) 내구성이 향상된 편광자의 제조방법, 편광자 및 이를구비한 광학필터
KR101362874B1 (ko)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및 편광판 제조방법
KR20140093908A (ko) 편광판, 광학장치 및 편광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5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507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4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40324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80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8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