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478A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mergency call and wearable phone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mergency call and wearable phone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7478A KR20130047478A KR1020110112532A KR20110112532A KR20130047478A KR 20130047478 A KR20130047478 A KR 20130047478A KR 1020110112532 A KR1020110112532 A KR 1020110112532A KR 20110112532 A KR20110112532 A KR 20110112532A KR 20130047478 A KR20130047478 A KR 201300474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cue
- wireless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device
- location
- request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목이나 팔 등과 같이 신체 일부에 착용하거나 휴대하고 다닐 수 있게 구성된 착용형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긴급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착용형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and method, in particular location-based emergency providing emergency rescue service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to be worn or carried on a body part, such as wrists or arms Rescue system and method and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he same.
위치기반 서비스(LBS)는 이동 통신망이나 위성신호 등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한 후, 그 측정된 위치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해당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망 기술, 위치 추적 기술, 이동통신 기술 및 정보 기술이 통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 기지국이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해 개인이나 차량 등의 위치를 파악하여 친구 찾기, 애인 찾기, 긴급구조, 차량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위치기반 콘텐츠 및 교통정보 등을 서비스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산업뿐만 아니라 전자 상거래, 교통, 환경, 의료 및 행정 등 사회 전 분야의 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Location-based service (LBS) refers to a variety of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measured location after measur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satellite signal, etc. In order to implement the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should be integrated. These location-based services provide services such as finding friends, finding friends, emergency rescue, car navigation, location-based content and traffic information by identifying locations of individuals and vehicle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or global positioning systems (GPS). It is used not on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dustry but also in all industries such as e-commerce, transportation, environment, medical care and administration.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측위 기술은 그 오차가 수십 미터에서 수 킬로미터에 이르기까지 오차 범위가 매우 크며,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GPS를 이용할 경우 그 오차가 수 미터 이내로 줄어들지만, GPS를 이용한 측위 기술은 실내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고층 건물이 많은 복잡한 지형이나 실내의 경우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However, currently available positioning technology has a very large error range ranging from several tens of meters to several kilometers, and when using a GPS that tracks a location using satellite signals, the error is reduced to several meters. Because the technology cannot be used indoors, there are problems with reliability in complex terrain or indoors where many tall buildings do not reach GPS signals.
더욱이,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측위) 수신기는 전력 소모가 많고 주파수 간의 간섭뿐만 아니라 초기 위치 획득 시간이 약 1분 정도로, 이러한 초기 위치 획득 시간은 일반적인 항법 시스템의 응용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긴급구조 요청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Moreover, receivers that use GPS to measure position (location) are very power hungry, and the initial position acquisition time, as well as the interference between frequencies, is about one minute, so this initial position acquisition time is not a problem for general navigation system applications. However, it can be a problem in urgent situations, such as emergency rescue reques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 요청자(사고지점)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하여 구조 요청자와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구조기관에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구조요원이 구조 요청자에게 신속하게 도달하여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착용형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quickly and accurately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rescue requester (accident point) by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to the rescue agency nearest to the rescue request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and method and a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allowing rescue workers to quickly reach a rescue requester and cope with an emergency.
또한, 본 발명은 구조기관뿐만 아니라 구조 요청자 주변의 다른 무선통신장치 사용자에게도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구조요원이 도착하기 전에 또는 구조요원이 상주하고 있지 않은 지역에서도 다른 무선통신장치 사용자가 신속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착용형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rescue request signal not only to a rescue agency but also to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rs around the requester, so that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rs can quickly assist before the arrival of the rescue worker or in an area where the rescue worker is not present. To provide a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and method and a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hi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은,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기 저장된 식별정보가 포함된 구조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통신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를 구조기관 또는 구조신호 수신이 허가된 다른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generating a rescue request signal containing the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input signal for requesting emergency rescue is detected; At least one base station installed in an are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receive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ransmit unique information includ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management server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rescue agency or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permitted to receive the rescue signal; And th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통신장치 또는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는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구조 요청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신체에 착용 가능한 형태이거나 구조 요청자의 의복, 소지품에 탈부착 또는 내장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구조 요청자의 손목 또는 팔에 밴드형태로 착용 가능한 밴드형 휴대 단말기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r th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a form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to be carried by the rescue requeste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or a form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clothing, belongings of the rescue requester. It may be a band-type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worn in the form of a band on the wrist or arm of the rescue reques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전파 도달시간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자신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itself through the radio wave arrival tim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measured distance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It is d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적어도 3개의 상기 기지국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by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real time through the at least three base station information.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는 자신의 설정기능 또는 다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구조요청 신호 수신이 허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mitted to receive a rescue request signal using its own setting function or othe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상기 위치정보를 시각정보로써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구조요청 신호 수신시에 진동, 음향, 음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s visual information; And a notification unit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vibration, sound, and voice signals when the rescue request signal is recei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무선통신장치는 긴급상황 발생시 구조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기반 긴급구조를 위한 착용형 무선통신장치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적어도 일단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밴드;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to generate a rescue request signal in case of an emergency, the terminal body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b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terminal body and configured to be worn on a user's body; And a user input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and including a signal input fo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무선통신장치는 긴급상황 발생시 구조요청 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를 위한 착용형 무선통신장치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적어도 일단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밴드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타측에 위치하는 음성 또는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escue request signal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comprising: a terminal body hav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A b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terminal body and configured to be worn on a user's body; A user input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main body, the user input unit including a signal for requesting emergency rescue;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or sou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는 음성, 음향, 물리적 충격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signal for requesting the emergency rescue includes at least one of voice, sound, physical shock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긴급구조 방법은 (a)구조 요청자가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구조요청 신호를 무선통신장치에 입력하는 단계와; (b)상기 구조요청 신호 입력이 감지된 무선통신장치에서, 기 저장된 식별정보가 포함된 구조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c)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d)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관리서버에서,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e)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를 구조기관 또는 구조신호 수신이 허가된 다른 무선통신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a rescue requester inpu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 generating a rescue request signal including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the rescue request signal input is detected; (c) transmitting, at at least on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nique information includ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 at th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e)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rom a rescue agency or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permitted to receive the rescue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자신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상기 무선통신장치와의 거리정보도 함께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자신 간의 전파 도달 시간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장치와 자신 간의 상기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c), the base station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tself and transmits the distance information with the measur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base station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itself is measured by the radio wave arrival time between th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itsel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적어도 3개의 상기 기지국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b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real time through the at least three base st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 수신시에, 상기 구조기관 또는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에서 진동,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step (e), at least one notification of vibration, voice or sound in the rescue agency or th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e)단계 후에 (f)상기 무선통신장치에서 상기 관리서버로 긴급상황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 또는 상기 (f)단계 후에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f)단계에서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한 구조기관 또는 다른 무선통신장치들로 긴급상황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e), (f) the radio server to notify the management server that the emergency has ended, or after the step (f) the management server is the step (f) And notifying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has ended to the rescue agency or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rescue request signal.
본 발명의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착용형 무선통신장치에 의하면, 구조 요청자(사고지점)의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하여 구조 요청자와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구조기관에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구조요원이 구조 요청자에게 신속하게 도달하여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refor, the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detects the location of a rescue requester (accident point) quickly and accurately and transmits a rescue request signal to the rescue agency nearest to the rescue requester. This allows the rescuer to quickly reach the rescue requester and respond to an emergenc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통신장치 착용자에게 긴급상황 발생시 구조기관뿐만 아니라 구조 요청자 주변의 다른 무선통신장치 사용자에게도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구조요원이 도착하기 전에 또는 구조요원이 상주하고 있지 않은 지역에서도 다른 무선통신장치 사용자가 신속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the wear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e rescu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not only to the rescue agency but also to other user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round the requester, even before the arrival of the rescuer or in an area where the rescuer is not resident. Allow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rs to help quickly.
또한, 본 발명의 착용형 무선통신장치에 의하면, 긴급상황 발생시 무선통신장치 착용자가 긴급 버튼을 누르거나 소리를 지르거나 착용한 무선통신장치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는 등의 간단한 동작을 통해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구조기관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wearer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esses an emergency button, yells, or applies a physical shock to the wor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simple operation such as a rescue request signal. You can ask for help from the rescue agency or by people around you.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무선통신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 밴드형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nd-type portable terminal showing an embodiment of a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precedent.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First,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1)은 무선통신장치(100)와, 기지국(200)과, 관리서버(300)와, 구조기관(400) 및 다른 무선통신장치들(400-1, 401-2, 401-3, ..., 400-n)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무선통신장치(100)는 구조 요청자가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로써 긴급상황 발행시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300)로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구조요청 신호에는 무선통신장치(100)의 식별 및 확인을 위한 고유 데이터인 식별정보가 포함되며, 식별정보는 단말기의 고유번호일 수 있다. The
이러한 무선통신장치(100)는 휴대가 용이하고 긴급 상황에서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조 요청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 또는 의복이나 소지품에 탈부착 또는 내장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무선통신장치(100)는 긴급 상황에서 구조 요청자가 단순한 조작, 예를 들면, 버튼이나 스위치를 누르는 행동을 통해 구조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소리를 지르거나, 손을 흔드는 등의 동작을 통해 무선통신장치(100)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또한, 상기 무선통신장치(100)는 긴급상황 발행시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함은 물론 다른 무선통신장치들(400-1, 401-2, 401-3, ..., 400-n)로부터 전송되는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관리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 구조요청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구조 요청자가 소지한 무선통신장치(100)의 위치를 통해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검출하고 구조 요청자의 현재 위치 주변의 구조기관(400) 또는 다른 무선통신장치(400-1, 401-2, 401-3, ..., 400-n)로 구조요청 신호 및 해당 구조 요청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When the rescu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여기서, 관리서버(300)는 통신망을 구성하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위치정보, 무선통신장치(100)와 기지국 또는 중계기 간의 거리를 통해 구조 요청자(무선통신장치(100))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Here, the
상기 구조기관(400)은 관리서버(300)의 요청에 따라 검출된 위치로 이동하여 구조 요청자를 구조하기 위해서 투입되는 인력과 장비를 포함한다. The
또한, 상기 다른 무선통신장치(400-1, 401-2, 401-3, .., 400-n)는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장치 설정 기능을 통해 임의의 또는 특정(사전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의 구조 요청신호 수신이 허가된(설정된) 무선통신장치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무선통신장치들(400-1, 401-2, 401-3, ..., 400-n)은 전술한 무선통신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무선통신장치(100)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무선통신장치로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400-1, 401-2, 401-3, ..., 400-n are random or specific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through the Internet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etting func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긴급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사고지점 인근의 구조기관(100)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무선통신장치(400-1, 401-2, 401-3, ..., 400-n)를 소지한 사람들에게도 구조를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r with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00, 400-1, 401-2, 401-3, ..., 400-n)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요청신호 송신 및 수신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구성을 기반으로 설명할 것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00)는 제어부(110)와, 통신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 및 알림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통신장치(100)와 관리서버(200)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The
상기 통신부(120)는 송신장치(121) 및 수신장치(122)를 포함하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구조요청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무선통신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20)의 수신장치(122)를 통해 수신한 구조요청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 출력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알림부(140)는 진동장치(141) 또는 스피커(142)를 포함하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구조요청 신호 수신시 진동 또는 음성, 음향 메시지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100, 400-1, 401-2, 401-3, ..., 400-n)의 구현예를 나타낸 것으로, 손목에 밴드식으로 착용 가능한 밴드형 휴대 단말기(100)를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0, 400-1, 401-2, 401-3, ..., 400-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rn on the wrist band A possible band-typ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밴드형 휴대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01)가 외면에 배치된 단말기 본체(102)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본체(102)의 일단은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밴드(10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밴드(103)는 단말기 본체(102)의 양단에 연결되어 손목을 모두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가죽이나 고무 등 신축성이 있는 소재 또는 플라스틱 등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3, the band-type
상기 단말기 본체(102)의 일측에 긴급구조 요청 신호 등의 명령 신호를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10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본체(102)의 타측에는 음성 또는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A
이에 따라, 밴드형 휴대 단말기(100)를 손목에 착용하고 다니는 도중 위기상황 발생시 단말기 본체(102)의 일측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04)의 버튼이나 스위치를 누르는 행동을 통해 긴급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Accordingly, an emergency rescue may be requested by pressing a button or a switch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전원부(310)와, 제어부(320)와, 통신부(330)와, 서버(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제어부(320)는 관리서버(300)와 무선통신장치(100) 및 기지국(200)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하는 관리서버(3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The
상기 통신부(330)는 송신장치(331) 및 수신장치(332)를 포함하며,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무선통신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구조 요청자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상기 서버(340)는 인터넷 무선통신장치 설정기능을 통해 등록된 구조 요청신호 수신이 허가된 무선통신장치들에 대한 정보 및 기지국 정보를 관리한다. The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관심지점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using the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긴급구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긴급 상황 발생시 구조 요청자는 무선통신장치(11)를 동작시켜 구조요청 신호를 발생시킨다(S510). 여기서, 최초 1회의 구조요청 신호는 기지국(20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되고, 이후에는 무선통신장치(100)에서 지속적으로 구조요청 신호가 발신될 수 있다. 여기서, '지속적'이라 함은 연속적으로 신호를 송출하는 것은 물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를 단속적으로 송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구조기관(400) 또는 다른 무선통신장치(400-1, 401-2, 401-3, ..., 400-n) 사용자가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찾고 구조 요청자를 구조할 때까지 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조요청 신호에는 무선통신장치(100)의 식별 및 확인을 위한 고유 데이터인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1 and 5,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rescue requester oper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1 to generate a rescue request signal (S510). Here, the first rescu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다음으로, 무선통신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기지국(200)에서 무선통신장치(100)에서 전송된 구조요청 신호를 관리서버(300)로 전달한다(S520).Next, the
다음으로, 관리서버(300)는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무선통신장치(100)의 위치(구조 요청자의 현재 위치)를 중계기나 기지국(200) 등으로부터 획득한다(S530). Next, the
다음으로, 관리서버(300)는 검출된 구조요청자의 현재 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구조신호 수신이 허가된 다른 무선통신장치(400-1, 401-2, 401-3, ..., 400-n)를 검색한다(S540). 여기서, 관리서버(300)는 검색된 구조신호 수신이 허가된 다른 무선통신장치(400-1, 401-2, 401-3, ..., 400-n)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예를 들면, 3개)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540) 기설정된 기준 개수에 미만이면 S540, S550을 재수행할 수 있다(S560). 여기서, 다른 무선통신장치(400-1, 401-2, 401-3, ..., 400-n)는 사용자들은 사전에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장치 설정 기능을 통해 임의의 또는 특정(사전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무선통신장치(100)로부터의 구조 요청신호 수신을 수락한다(S610) Next, the
다음으로, 관리서버(300)는 해당 기지국을 통해 수신 허가된 다른 무선통신장치로 구조신호 및 구조요청자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570). 여기서, 관리서버(300)는 상기 S560 즉, 검색된 구조신호 수신이 허가된 다른 무선통신장치(400-1, 401-2, 401-3, ..., 400-n)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예를 들면, 3개)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540 ) 기설정된 기준 개수에 미만이면 S56을 재수행하는 동작을 S570 이후에 할 수 있다. 즉, 검색된 구조신호 수신이 허가된 다른 무선통신장치(400-1, 401-2, 401-3, ..., 400-n)의 개수가 기설정된 기준 개수인 3개에 못 미치더라도 구조신호를 먼저 전송한 다음 검색범위를 확대하여 추가적으로 검색하는 것이 긴급구조 서비스 측면에서 더 바람직할 것이다. Next, the
다음으로, 구조기관(400) 또는 다른 무선통신장치들(400-1, 401-2, 401-3, ..., 400-n)은 기지국을 통해(S580)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 요청자의 위치정보를 영상정보 등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해당 구조기관 또는 무선통신장치 사용자가 구조에 나설 수 있도록 한다(S590).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사고 현장으로 이동하기 위한 최적의 이동경로를 탐색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Next, the
또한, 상기 S590 이후에 상기 무선통신장치(100)에서 상기 관리서버(300)로 긴급상황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300)가 상기 S570 단계에서 구조신호를 전송한 다른 무선통신장치들로 긴급상황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Further, after the step S590,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기반 긴급구조 방법에 의하면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사고지점 인근의 구조기관(100) 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무선통신장치(400-1, 401-2, 401-3, ..., 400-n)를 소지한 사람들에게도 구조를 요청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curate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rescue requester b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other rescue devices (not just th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not only the claims below but also equivalents thereof.
1 :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100 : 착용형 무선통신장치 101, 130 : 디스플레이부
102 : 단말기 본체 103 : 밴드
104 : 사용자 입력부 110, 320 : 제어부
120, 330 : 통신부 121, 331 : 송신장치
122, 332 : 수신장치 140 : 알림부
141 : 진동장치 142 : 스피커
200 : 기지국 300 : 관리서버
340 : 서버 400 : 구조기관
400-1, 401-2, 400-n : 구조 요청신호 수신이 허가된 다른 무선통신장치 1: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100: wearable
102: terminal body 103: band
104:
120, 330:
122, 332: Receiver 140: Notification unit
141: vibration device 142: speaker
200: base station 300: management server
340: server 400: rescue agency
400-1, 401-2, 400-n: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ermitted to receive rescue request signals
Claims (16)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를 제2 무선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제2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generating a rescue request signal including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an input signal for requesting emergency rescue is detected;
At least one base station installed in an are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receive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ransmit unique information includ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management server for identifying a loca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nd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구조 요청자의 손목 또는 팔에 밴드형태로 착용 가능한 밴드형 휴대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type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worn in the form of a band on the wrist or arm of the rescue requester.
전파 도달시간을 통해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 자신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상기 거리에 대한 정보와 상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e station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own through the radio wave arrival tim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measured distance and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적어도 3개의 상기 기지국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real time through the at least three base station information.
자신의 설정기능 또는 다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구조요청 신호 수신이 허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ption of the rescue request signal using its own set-up function or other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의 상기 위치정보를 시각정보로써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구조요청 신호 수신시에 진동, 음향, 음성 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s visual information; And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system comprising a notification unit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vibration, sound, voice signal upon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구조요청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적어도 일단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밴드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긴급구조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단말기 본체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조요청 신호가 전송됨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무선통신장치.
A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rescue request signal when an emergency occurs,
A main body hav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b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end of the terminal body and configured to be worn on a user's body;
A user input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main body, the user input unit including a signal for requesting emergency rescue; 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erminal body,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at the rescu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음성, 음향, 물리적 충격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무선통신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put signal fo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voice, sound, physical shock signal.
(b)상기 구조요청 신호 입력이 감지된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에서, 기 저장된 식별정보가 포함된 구조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c)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구조요청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고유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d)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관리서버에서,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e)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를 제2 무선통신장치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방법.
(a) a rescue requester inpu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to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 generating a rescue request signal including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the rescue request signal input is detected;
(c) transmitting, at at least one base station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nique information includ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 identifying, by the management serve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the location of the first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e)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t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 자신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의 거리정보도 함께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step (c) the base station is
And measuring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tself and transmitt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 자신 간의 전파 도달 시간을 통해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와 자신 간의 상기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ase station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tself through a radio wave arrival time betwee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tself.
적어도 3개의 상기 기지국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determine the location in real time through the at least three base station information.
상기 구조요청 신호 및 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의 위치정보 수신시에, 상기 구조기관 또는 상기 제2 무선통신장치에서 진동,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step (e)
When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location-based emergency,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t least one notification signal of vibration, voice or sound in the rescue agency or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scue method.
(f)상기 제1 무선통신장치에서 상기 관리서버로 긴급상황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fter step (e)
and (f) informing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emergency situation 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d)단계에서 구조요청 신호를 전송한 상기 제2 무선통신장치들로 긴급상황이 종료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긴급구조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fter step (f)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notifying the second emergency communication to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sent the rescue request signal in the step (d), the location-based emergency rescue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2532A KR20130047478A (en) | 2011-10-31 | 2011-10-31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mergency call and wearable phone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2532A KR20130047478A (en) | 2011-10-31 | 2011-10-31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mergency call and wearable phone for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7478A true KR20130047478A (en) | 2013-05-08 |
Family
ID=4865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2532A Withdrawn KR20130047478A (en) | 2011-10-31 | 2011-10-31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mergency call and wearable phone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47478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2580A (en) * | 2013-11-06 | 2015-05-14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health monitor |
CN107133899A (en) * | 2017-03-29 | 2017-09-05 | 暨南大学 | A kind of daily emergent calling method based on random sequence sort algorithm |
-
2011
- 2011-10-31 KR KR1020110112532A patent/KR20130047478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52580A (en) * | 2013-11-06 | 2015-05-14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health monitor |
CN107133899A (en) * | 2017-03-29 | 2017-09-05 | 暨南大学 | A kind of daily emergent calling method based on random sequence sort algorith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79262B2 (en) |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multiple active elements for guiding user to moving target | |
KR10091388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527506B1 (en) | guiding and displaying method of smart device based location for traffic facilities and safety equipment | |
US20120077437A1 (en) | Navigation Using a Headset Having an Integrated Sensor | |
KR20050095615A (en) | A method for activating a location-based function, a system and a device | |
KR101628265B1 (en) | Call Service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 | |
CN107077774B (en) |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leaving monitoring area | |
CN106921943A (en) | A kind of realization method and system of fence | |
KR10166865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issing terminal using ultra wide band | |
JP2013251718A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 |
JP2017101942A (en) | Altitude measuring system and altitude measuring method | |
TWI534411B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navigating | |
KR20130047478A (en) |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emergency call and wearable phone for the same | |
CN100442910C (en) | Location reminder method | |
KR101122889B1 (en) |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613022B1 (en) | Wearable Haptic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walking guidan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JP2008306676A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hort-range communicating party searching method | |
JP6775143B2 (en) | Warning system and warning method | |
JP2017047741A (en) | Train approach warning system | |
JP2003244739A5 (en) | ||
KR20080017189A (en) | Disaster Disaster Search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20130047477A (en) | Wearable phone, method and system for servace using mobile wireless communicaiton system | |
JP2002350171A (en) | Relative position management method and relative position management system | |
JP6537588B1 (en) | Search system and method | |
US8718597B2 (en) | Mobile phone search device and search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