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9593A -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593A
KR20130039593A KR1020110104263A KR20110104263A KR20130039593A KR 20130039593 A KR20130039593 A KR 20130039593A KR 1020110104263 A KR1020110104263 A KR 1020110104263A KR 20110104263 A KR20110104263 A KR 20110104263A KR 20130039593 A KR20130039593 A KR 20130039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chin
caffeine
resin
ethanol
green t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준
한복경
박수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Priority to KR102011010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9593A/ko
Publication of KR2013003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59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8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ion-exchan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8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ad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차 추출물에서 합성 흡착제가 충진된 칼럼을 이용하여 카테킨 및 카페인 복합 용출물을 얻고, 이를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컬럼을 통과시켜 카페인을 제거하는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녹차 추출물로부터 카페인이 선택적으로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카페인의 과잉섭취를 억제하면서 카테킨이 강화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for catechin concentrate with reduced caffeine content}
본 발명은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차 추출물에서 합성 흡착제가 충진된 칼럼을 이용하여 카테킨 및 카페인 복합 용출물을 얻고, 이를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컬럼을 통과시켜 카페인을 제거하는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랜 동안 녹차의 인체에 대한 건강 효능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고, 세계 각국에서 생체 효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녹차에는 알칼로이드, 폴리페놀, 아미노산(theanine), 비타민 등 여러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기능성 물질들은 혈액순환, 항암효과, 항산화 효과, 노화억제, 항당뇨 효과, 항균 효과, 인체 독성 제거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차의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 한국차학회지, 1(1), 175-191(1995)].
다른 식물에 비하여 녹차에는 폴리페놀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일반식물과는 달리 항암효과, 항산화효과, 항균효과 등의 여러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폴리페놀류 중에서 카테킨은 녹차의 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연구에 의해 녹차가 여러 생리활성을 발휘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분이 카테킨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카테킨에는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카테킨는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생리학적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항산화(Joshi S et al., Biomed. Environ. Sci. 17(4):402-409, 2004; Cai Y J et al., Chem. Phys. Lipids 12(1-2):109-117, 2002; Liu ZQ et al., Chem. Phys. Lipids 106(1):53-63, 2000), 항암(Moyers S. B et al., Nutr. Rev. 62(5):204-211, 2004), 항염증(Tedeschi E et al., Ann. NY Acad. Sci. 973:435-437, 2002; Trompezinski S et al., Arch. Dermatol. Res. 295(3):112-116, 2003), 항노화(Cooper R. et al., J. Altern. Complement Med . 11(3):521-528, 2005), 항균 및 항바이러스(Yanagawa Y et al., Curr. Microbiol. 47(3):244-249, 2003; Stapleton P. D. et al., Int. J. Antimicrob. Agents 23(5):462-467, 2004; Fassina G. et al., AIDS 16(6):939-941, 2002)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한편, 녹차의 또 다른 주 성분인 카페인은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중추신경을 흥분시키는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면억제에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카페인을 과잉섭취하는 경우에는 신경과민, 구역질, 불면(Hindmarch, I. et al.,Psychopharmacology, 149(3):203-216, 2000), 임산부의 유산(Giannelli, M et al., Paediatr Perinat Epidemiol., 17(4):316-323, 2003; Rasch, V., Acta Obstet. Gynecol. Scand. 82(2):182-188, 2003)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임산부, 유아, 어린이의 경우에는 카페인의 섭취에 주의가 요망된다.
따라서, 녹차에서 카페인을 제거하고 카테킨 성분만을 추출해내기 위한 방법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 중 유기용매 또는 열수를 이용하여 상기 커피 또는 녹차에서 추출액을 추출한 후에 흡착제를 사용하여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추출액을 수득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995-0007675호는 녹차를 클로로포름으로 1차 추출한 후, 여과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 물 및 에탄올과 그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 2차 추출하는 방법이고,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5-75349호에는 녹차 추출물에 유기용매 및 물의 중량비가 9/1 내지 1/9인 혼합용액을 혼합하여 용해시킨 후 활성탄 및 산성백토 또는 활성백토와 접촉시킴으로써 카페인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녹차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8-0035729호는 키토산 처리를 통하여 녹차의 카페인 함량을 저감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7-0045137호는 초임계유체에 의해 카페인이 선택적으로 추출된 녹차 분말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로부터 카페인이 선택적으로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카페인의 과잉섭취를 억제하면서 카테킨이 강화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수 또는 1 내지 30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을 용매로 녹차를 추출하여 녹차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녹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수지가 충진된 칼럼에 로딩하고 카테킨 및 카페인 복합 용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카테킨 및 카페인 복합 용출물을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칼럼을 통과시켜 통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통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합성 흡착수지는 HP-20, AB-8 또는 이들을 병용한 합성흡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양이온교환수지는 수소형 또는 나트륨형 양이온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양이온교환수지는 SCR-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녹차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이고, 상기 녹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수지인 HP-20가 충진된 칼럼에 로딩하고, 수지 부피의 2 내지 5 배 부피의 증류수를 용출시켜 증류수 용출 여액을 얻는 단계; 상기 HP-20가 충진된 컬럼에 수지 부피의 3 내지 6 배 부피의 50 내지 95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을 용출시켜 에탄올 용출 여액을 얻는 단계; 상기 50 내지 95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을 용출시켜 얻은 에탄올 용출 여액을 에탄올 함량이 5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상기 희석액을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칼럼을 통과시켜 통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통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통과액과 HP-20가 충진된 컬럼에 증류수를 용출시켜 얻은 증류수 용출 여액을 혼합하여 농축하거나, 또는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통과액과 HP-20가 충진된 컬럼에 증류수를 용출시켜 얻은 증류수 용출 여액을 각각 농축한 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녹차 추출물은 10 내지 15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열수 추출물이고, 상기 녹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수지인 HP-20가 충진된 칼럼에 로딩하고, 수지 부피의 2 내지 5 배 부피의 녹차 추출물을 용출시켜 에탄올 용출 여액을 얻는 단계; 상기 에탄올 용출 여액을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칼럼을 통과시켜 통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통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녹차 추출물로부터 카페인이 선택적으로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카페인의 과잉섭취를 억제하면서 카테킨이 강화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HP-20 및 AB-8 합성흡착수지의 카테킨 및 카페인의 용출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녹차 추출용매의 에탄올 함량을 달리 했을 때의 HP-20 수지가 충진된 컬럼에서 용출용액의 부피에 따른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2에서 HP-20 수지가 충진된 컬럼에 물 추출물을 로딩하고, 고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용출시켰을 때의 용출용액의 부피에 따른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녹차 추출물의 합성흡착수지 및 양이온교환수지 적용에 따른 각 여액별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양이온교환수지(SCR-B) 여액을 회수하여 얻은 카테킨 농축물의 카테킨 및 카페인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물 추출물 용출 여액과 양이온교환수지(SCR-B) 여액을 혼합하여 얻은 카테킨 농축물의 카테킨 및 카페인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녹차잎은 아모레퍼시픽(주)사로부터 구입한 옥록1호 차를 구입하여 이용하였으며, catechin(C), epicatechin(EC),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gallocatechin(GC), gallocatechin gallate(GCG), epigallocatechin(EGC), epicatechin gallate(ECG), caffeine(CF) 의 표준품은 sigma(USA)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양이온교환수지(SCR-B) 및 합성흡착수지(HP-20)은 미쯔비시(Japan)사로부터 구입, 합성흡착수지(AB-8)은 BENGBU TIANXING(Chin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합성흡착수지에 따른 흡착 및 용출 조건
HP-20 및 AB-8 합성흡착수지의 카테킨과 카페인성분 흡착능력 및 용출조건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건조 녹차 시료에 20배의 증류수을 가하여 60℃, 6시간 추출 후 여과하여 획득한 추출액 200 ml을 합성흡착수지 HP-20 및 AB-8이 각각 100ml씩 충진된 컬럼에 통액속도(space velocity; SV) 4로 전개하였다. 이 후 200ml의 증류수를 각 컬럼에 흘려준 후 여액을 회수하여 카테킨 함량을 측정하였고, 50 중량%의 에탄올 함유 수용액 100 ml을 두 차례에 걸쳐 SV 4로 전개하여 각 여액을 회수하여 카테킨 함량을 측정하였다(각각 1st and 2nd bed volume). 이어서 95 중량%의 에탄올 함유 수용액 또한 100ml씩 2차례에 걸쳐 각 컬럼에 SV 4로 전개한 후 여액을 회수, 카테킨 함량을 측정하였다(각각 1st and 2nd bed volume).
HP-20 및 AB-8 합성흡착수지의 카테킨 및 카페인의 용출량을 비교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HP-20과 AB-8은 유사한 흡착능력을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흡착성분의 용출 역시 비슷한 조건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흡착수지 모두 증류수를 전개용매로 하였을 시 대부분의 카테킨 및 카페인 성분을 흡착하는 것으로 판단이 되었으며, 50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 조건하에서 흡착된 성분들의 용출이 이루어지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전체적인 흡착능력을 비교하였을 시 AB-8 흡착수지가 HP-20 수지에 비해 조금 뛰어난 흡착능을 갖는 경향을 보였고, AB-8 흡착수지 및 HP-20 흡착수지를 병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보다 뛰어난 흡착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식품소재 생산에 적용가능 여부가 불확실 하여 추 후 각종 녹차추출물의 분리 농축실험에서는 식품소재 생산에 이용 가능한 흡착수지인 HP-20을 활용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실험예 2: 추출용매에 따른 녹차 추출물의 카테킨 성분 변화와 합성흡착수지의 흡착능력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할 때, 상온에서는 에탄올을 30 중량% 함유하는 에탄올 수용액까지는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녹차 추출물의 카테킨 함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합성흡착수지(HP-20)의 카테킨 용출조건 실험결과 전개용액의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수지의 카테킨 흡착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카테킨 최대 추출용매를 활용하여 고농도 카테킨 추출물을 제조 시 별도의 에탄올 제거공정 없이 직접 흡착수지로의 적용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0 ~ 30% 에탄올 농도에서의 합성흡착수지(HP-20)의 catechin 흡착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용매조건에 따른 흡착수지의 흡착한계 역시 평가하였다.
녹차 건조물 4g에 증류수 및 5, 10, 15, 20, 25, 30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을 각각 40 ml씩 가한 후 상온에서 6시간 추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전개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합성흡착레진(HP-20) 10 ml씩 각 컬럼에 충진한 후 용매별 추출액 10 ml씩을 3차례에 걸쳐 각 컬럼에 적용하여 각 단계별 회수되는 여액을 회수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각각 1st, 2nd and 3rd bed volume).
각각의 추출 용매 종류 및 컬럼에 전개하였을 때의 용출용액의 부피에 따른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을 [표 1] 내지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카테킨 및 카페인의 함량은 ㎍/ml로 나타내었다.
DW extract loading 5% EtOH extract loading
구분 Whole Extract 1st bed volume 2nd bed volume 3rd bed volume Whole Extract 1st bed volume 2nd bed volume 3rd bed volume
GC 280.71 57.73 119.54 179.90 271.02 75.08 142.50 198.82
EGC 2142.92 111.05 365.31 662.59 2118.04 196.99 674.79 1047.59
C 387.34 0.00 1.54 12.07 67.03 0.00 12.28 17.08
CF 1486.71 8.96 43.38 78.96 1530.42 22.50 115.64 160.97
EGCG 955.70 24.33 60.07 90.21 1160.82 42.65 150.09 186.46
EC 589.61 15.07 47.82 84.59 613.08 24.72 95.46 140.56
GCG 366.25 34.90 86.83 142.26 360.04 50.89 135.34 192.92
ECG 198.40 8.50 12.67 15.03 243.62 10.37 21.70 22.99
CG 46.34 4.71 7.06 7.16 43.60 5.32 9.83 10.53
10% EtOH extract loading 15% EtOH extract loading
Whole Extract 1st bed volume 2nd bed volume 3rd bed volume Whole Extract 1st bed volume 2nd bed volume 3rd bed volume
GC 277.16 101.17 165.52 211.22 286.24 112.40 187.23 222.28
EGC 2099.22 367.72 1076.38 1543.38 2185.22 568.55 1406.23 1876.55
C 38.62 2.33 14.93 23.43 27.22 6.82 40.56 71.35
CF 1715.93 66.32 257.09 356.77 1855.98 119.89 385.78 570.03
EGCG 1494.96 95.95 334.77 449.45 1888.84 168.88 609.31 937.66
EC 572.08 48.87 166.71 245.13 585.22 78.33 239.47 362.05
GCG 363.58 79.97 185.44 248.90 370.35 105.27 223.73 288.55
ECG 320.77 15.03 43.81 49.46 414.55 21.46 72.19 113.33
CG 46.13 6.16 13.62 16.27 48.72 8.00 17.19 24.79
25% EtOH extract loading 30% EtOH extract loading
Whole Extract 1st bed volume 2nd bed volume 3rd bed volume Whole Extract 1st bed volume 2nd bed volume 3rd bed volume
GC 278.73 137.42 214.87 245.93 290.34 138.63 212.46 249.83
EGC 2277.28 1059.31 1884.53 2208.72 2426.59 1072.55 2043.87 2331.28
C 75.95 27.32 33.00 50.79 63.56 21.68 32.64 38.07
CF 1936.02 392.77 834.49 1201.18 2038.91 379.60 1120.21 1545.00
EGCG 2506.55 736.31 1592.70 2240.18 3044.66 737.97 2208.38 2875.18
EC 610.67 199.40 402.94 530.26 665.93 194.01 480.66 605.39
GCG 395.02 169.49 295.18 353.72 374.14 167.68 317.71 373.56
ECG 580.40 110.47 230.12 367.23 726.96 93.94 377.71 570.52
CG 52.44 17.03 30.50 41.41 51.14 16.11 38.89 48.92
추출용매의 에탄올함량이 증가할수록 전체적인 카테킨 및 카페인성분의 추출률이 증가함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EGCG성분의 추출률 증가가 현저히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이후 전개용액의 에탄올함량에 따른 카테킨 및 카페인 성분에 대한 HP-20 흡착수지의 흡착능력을 평가한 결과 전개용매의 에탄올농도가 증가할수록 카테킨 및 카페인 성분의 전제척인 흡착률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특히 EGC성분의 경우 5 중량%의 낮은 에탄올농도에서도 용출되어 나오는 사실이 확인됨으로써 EGC 성분에 대한 흡착능이 타 성분들에 비해 현저히 낮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에탄올 농도 10 중량% 및 15 중량%에서의 용출성분을 확인한 결과 EGCG 및 카페인성분의 용출률이 타성분에 비해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10 내지 15 중량%의 에탄올 함유 수용액 용매조건하에서 고농도의 EGCG 성분정제가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물 추출물을 전개용액으로 적용한 컬럼의 경우 전개용액 로딩 후 증류수 10 ml씩을 2차례에 걸쳐 가하여 컬럼을 씻어준 이 후 60 중량%의 에탄올 10 ml씩을 세 차례에 걸쳐 전개하였으며(각각 1st, 2nd and 3rd bed volume), 이어서 95 중량% 에탄올 또한 10 ml씩 2차례에 걸쳐 각 컬럼에 전개함(각각 1st and 2nd bed volume)으로써 흡착된 카테킨 및 카페인의 용출경향을 평가하였다.
물 추출물을 전개용액으로 적용한 후 60 중량% 이상의 에탄올 함유 수용액으로 카페인과 카테킨을 용출시켰을 때의 용출용액의 부피에 따른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을 도 3에 나타내었다.
60 중량% 에탄올 농도에서의 흡착성분의 용출정도를 확인한 결과 카테킨 및 카페인성분 모두 3 bed volume 까지 흡착성분이 용출되어 나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흡착성분의 완전한 용출을 위해서는 용출용매의 양을 3 bed volume 이상으로 증가시키거나 혹은 용출용매의 에탄올 함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였다.
위의 결과들로 미루어 합성흡착수지(HP-20)를 이용한 고농도 녹차 카테킨 제조시 10 내지 15 중량%의 에탄올 함유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한다면 고농도의 에탄올 함유 수용액을 이용한 카테킨 및 카페인의 용출(탈착) 공정 없이 카테킨 및 카페인 복합 용출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1:
건조 녹차 시료 100 g에 증류수 2000 ml을 가한 후 60℃에서 6시간 추출한 후 이를 여과하여 카테킨 추출을 위한 전개용액으로 사용하였다. 합성흡착수지(HP-20) 300 ml을 컬럼에 충진한 후 추출용액 900 ml을 로딩하고 증류수 900 ml을 전개하여 용출된 여액을 회수하였다. 이 후 60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 900 ml을 전개하여 컬럼에 흡착된 카테킨 및 카페인 성분을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여액을 10 % 에탄올 농도가 되도록 6배 희석하여 5400 ml이 되도록 정량한 후 2700 ml씩 두 차례에 걸쳐 양이온교환수지(SCR-B) 300 ml가 충진된 컬럼에 전개하여 용출된 여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SCR-B 수지는 사용 전 5% 염산 수용액을 가하여 수소형으로 전환시켜 사용하거나, 상기 SCR-B 수지를 사용 전에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나트륨으로 전환시킨 후에 사용하였다.
상기 녹차 추출물의 합성흡착수지 및 양이온교환수지 적용에 따른 각 여액별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을 도 4에 나타내었다. 합성흡착수지(HP-20)에 의해 EGC성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catechin 및 카페인 성분이 흡착되었고, 이 후 60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 용액을 전개하여 대부분의 흡착된 카페인 및 카페인성분이 회수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합성흡착수지(HP-20)에 의해 1차 정제된 60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을 희석하여 양이온교환수지(SCR-B)에 전개한 결과 카페인성분만이 특이적으로 제거됨이 확인되었다.
양이온교환수지(SCR-B) 여액을 회수하여 동결건조를 한 결과 획득 수율은 8.05%였으며, 건조물의 카테킨 함량은 49.52%, 카페인함량은 0%, 당 함량은 20.15%, 단백질 함량은 17.68%임이 확인되었고, 카테킨 및 카페인의 함량은 도 5에 나타내었다.
한편 합성흡착수지(HP-20)에 의해 대부분의 catechin 및 카페인 성분이 제거된 합성흡착수지(HP-20) 증류수여액과 양이온교환수지(SCR-B)에 의해 카페인성분만이 특이적으로 제거된 양이온교환수지(SCR-B) 여액을 혼합하여 농축 및 동결건조를 행하여 성분분석을 행한 결과 획득 수율은 10.35%였으며, 건조물의 catechin함량은 21.44%, 카페인함량은 0%, 당 함량은 37.23%, 단백질 함량은 24.36%임이 확인되었고,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은 도 6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 건조물의 카페인제거는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카테킨 함량은 다소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합성흡착수지(HP-20) 증류수여액 중의 당 및 단백질성분이 혼합되어 상대적 카테킨 함량이 낮아진 결과로 사료되었다.

Claims (7)

  1. 열수 또는 1 내지 30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을 용매로 녹차를 추출하여 녹차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녹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수지가 충진된 칼럼에 로딩하고 카테킨 및 카페인 복합 용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카테킨 및 카페인 복합 용출물을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칼럼을 통과시켜 통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통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흡착수지는 HP-20 흡착수지, AB-8 흡착수지 또는 이들을 병용한 흡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교환수지는 수소형 또는 나트륨 양이온교환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교환수지는 SCR-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이고,
    상기 녹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수지인 HP-20가 충진된 칼럼에 로딩하고, 수지 부피의 2 내지 5 배 부피의 증류수를 용출시켜 증류수 용출 여액을 얻는 단계;
    상기 HP-20가 충진된 컬럼에 수지 부피의 3 내지 6 배 부피의 50 내지 95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을 용출시켜 에탄올 용출 여액을 얻는 단계;
    상기 50 내지 95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을 용출시켜 얻은 에탄올 용출 여액을 에탄올 함량이 5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상기 희석액을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칼럼을 통과시켜 통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통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통과액과 HP-20가 충진된 컬럼에 증류수를 용출시켜 얻은 증류수 용출 여액을 혼합하여 농축하거나, 또는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통과액과 HP-20가 충진된 컬럼에 증류수를 용출시켜 얻은 증류수 용출 여액을 각각 농축한 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은 10 내지 15 중량% 에탄올 함유 수용액열수 추출물이고,
    상기 녹차 추출물을 합성 흡착수지인 HP-20가 충진된 칼럼에 로딩하고, 수지 부피의 2 내지 5 배 부피의 녹차 추출물을 용출시켜 에탄올 용출 여액을 얻는 단계;
    상기 에탄올 용출 여액을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칼럼을 통과시켜 통과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양이온교환수지 통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KR1020110104263A 2011-10-12 2011-10-12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Ceased KR20130039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263A KR20130039593A (ko) 2011-10-12 2011-10-12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263A KR20130039593A (ko) 2011-10-12 2011-10-12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593A true KR20130039593A (ko) 2013-04-22

Family

ID=4843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263A Ceased KR20130039593A (ko) 2011-10-12 2011-10-12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95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9169A (zh) * 2019-05-22 2019-08-16 遵义医科大学 降低蒸馏型茶酒中咖啡因含量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694B1 (ko) * 1990-02-21 1993-06-24 태평양화학주식회사 천연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JP2006230218A (ja) * 2005-02-22 2006-09-07 Kao Corp 非重合体カテキン類組成物の製造方法
JP4242877B2 (ja) * 2006-04-04 2009-03-25 花王株式会社 緑茶抽出物の製造法
KR20100017132A (ko) * 2007-05-24 2010-02-16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정제 녹차 추출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694B1 (ko) * 1990-02-21 1993-06-24 태평양화학주식회사 천연 항산화제의 제조방법
JP2006230218A (ja) * 2005-02-22 2006-09-07 Kao Corp 非重合体カテキン類組成物の製造方法
JP4242877B2 (ja) * 2006-04-04 2009-03-25 花王株式会社 緑茶抽出物の製造法
KR20100017132A (ko) * 2007-05-24 2010-02-16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정제 녹차 추출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242877호(2009.03.25.)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9169A (zh) * 2019-05-22 2019-08-16 遵义医科大学 降低蒸馏型茶酒中咖啡因含量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3808B2 (ja) エピガロカテキンガレートの製造方法
JP4571701B1 (ja) 水性液のシュウ酸除去方法、これを用いた茶飲料の製造方法、茶抽出組成物及び茶飲料
JPH06142405A (ja) カフェイン含有水溶液のカフェイン除去方法
US7763291B2 (en) Tea polyphenol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1019508A (ja) 水性液のシュウ酸除去方法、これを用いた茶飲料の製造方法、茶抽出組成物及び茶飲料
KR20090010172A (ko) 녹차 종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방법
US10792319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enriched natural antioxidant mixture from a single source plant
JP2004222719A (ja) カフェイン含有カテキン類組成物の脱カフェイン方法
CN101798355A (zh) 一种综合分离提取茶多糖、茶氨酸、茶多酚和咖啡因的方法
KR101072447B1 (ko) 녹차로부터 카테친의 추출방법
JP5816096B2 (ja) 茶ポリフェノ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808494B2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高含有物の製造方法
KR20140068352A (ko)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JP4181863B2 (ja) カフェイン含有カテキン類組成物の脱カフェイン方法
CN102127048B (zh) 一种从夏秋绿茶中制备茶多酚与茶氨酸的方法
KR20150039643A (ko) 갈조류로부터 플로로탄닌 정제물의 제조방법
KR20130039593A (ko) 카페인이 제거된 카테킨 농축물의 제조방법
CN109965049B (zh) 一种从绿茶中分离提取有效成分的制备方法
US7863466B2 (en) Method of producing proanthocyanidin-containing material
CN101804129A (zh) 一种提取天然茶多酚的方法
KR100418605B1 (ko) 녹차 추출물 유래의 고순도 EGCg 분리 방법
JP4694920B2 (ja) 容器詰紅茶飲料
JP2010207172A (ja) テアニン含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208122B (zh) 绿原酸提取物的制备方法
JP4838999B2 (ja) 非重合体カテキン類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