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526A -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8526A KR20130038526A KR1020110102931A KR20110102931A KR20130038526A KR 20130038526 A KR20130038526 A KR 20130038526A KR 1020110102931 A KR1020110102931 A KR 1020110102931A KR 20110102931 A KR20110102931 A KR 20110102931A KR 20130038526 A KR20130038526 A KR 201300385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jujube
- red ginseng
- essence
- extrac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분 | 성분 | 원료명 | 중량% |
에탄올부분 |
알코올 | 에탄올 | 8.0 |
계면활성제 | Nonoxynol -12 | 0.4 | |
방부제 |
Methyl paraben | 0.1 | |
Propyl paraben | 0.01 | ||
유연제 | Phenyl dimethicone | 0.1 | |
정제수부분 |
정제수 | water | 68.2 |
보습제 |
Glycerine | 6.5 | |
Propylene glycol | 5.5 | ||
Sodium hyaluronnate(1.0%) | 5.0 | ||
점증제 | Carbomer | 0.12 | |
대추추출액 | 3 | ||
홍삼추출액 | 3 | ||
향 | 향 | Perfume | 적당량 |
Claims (7)
- 대추추출물과 홍삼추출물을 중량비로 4~6:6~4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에센스 총중량 기준 5~10중량%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 제 1항에 있어서, 대추추출물과 홍삼추출물은 열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대추추출물은 대추씨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 대추추출물과 홍삼추출물을 중량비로 4~6:6~4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액을 에센스 총중량 기준 5~10중량%를 정제수에 첨가하여 혼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제조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추추출물은 동량의 대추와 홍삼분말에 각 각 10배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90~100℃에서 열수 추출하고, 8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제조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추출물은 동량의 대추와 홍삼분말에 각 각 10배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90~100℃에서 열수 추출하고, 8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제조방법.
-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대추추출물은 대추씨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2931A KR20130038526A (ko) | 2011-10-10 | 2011-10-10 |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2931A KR20130038526A (ko) | 2011-10-10 | 2011-10-10 |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8526A true KR20130038526A (ko) | 2013-04-18 |
Family
ID=4843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2931A Ceased KR20130038526A (ko) | 2011-10-10 | 2011-10-10 |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3852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4574A (ko) | 2018-04-26 | 2019-11-05 |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KR20220118679A (ko) * | 2021-02-19 | 2022-08-26 |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1
- 2011-10-10 KR KR1020110102931A patent/KR20130038526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4574A (ko) | 2018-04-26 | 2019-11-05 |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황금 비율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
KR20220118679A (ko) * | 2021-02-19 | 2022-08-26 |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에센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3857B1 (ko) |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 |
JP2008273875A (ja) |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 |
KR101292837B1 (ko) |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102306737B1 (ko) |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 |
KR102012872B1 (ko) |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 |
KR101609340B1 (ko) |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 피부미백용 조성물 | |
KR0164004B1 (ko) | 항노화성 건강식품 조성물 | |
KR101833776B1 (ko) |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 |
JP2010132632A (ja) | タンパク質糖化抑制剤 | |
KR100937187B1 (ko) |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 |
KR20130038526A (ko) | 대추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및 그 제조방법 | |
KR20140120756A (ko) | 감귤 과피 및 구아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약학 조성물 | |
KR101865142B1 (ko) |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20150145704A (ko) |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JP2011195533A (ja) |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および抗老化剤 | |
KR100826311B1 (ko) | 항암제에 의해 유발되는 간 독성 및 신장 독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갖는 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 |
KR101537293B1 (ko) |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636608B1 (ko) |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 |
JP2013126980A (ja) | 韓薬材混合エキスを含有する抗酸化用又は美白用の化粧料組成物 | |
KR102175244B1 (ko) |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10130857A (ko) | 항산화능, 항알레르기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및 예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한 식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 | |
RU2311917C2 (ru) |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онколо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 |
KR101971986B1 (ko) |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 |
KR20160082568A (ko) |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 |
KR20150120741A (ko) | 감 껍질, 감 과육, 감잎 및 고욤잎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