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871A - The cargo-working used carrier - Google Patents
The cargo-working used carr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6871A KR20130036871A KR1020110101075A KR20110101075A KR20130036871A KR 20130036871 A KR20130036871 A KR 20130036871A KR 1020110101075 A KR1020110101075 A KR 1020110101075A KR 20110101075 A KR20110101075 A KR 20110101075A KR 20130036871 A KR20130036871 A KR 201300368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go
- lifting
- frame
- link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tiltably-mounte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1)을 하역하여 방향과 이동을 유도하는 바퀴(2)(3)를 구비하는 대차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화물(1)을 수용하도록 프레임(11)을 구비하고, 바퀴(2)(3)에 방향회전을 유도하여 운반하도록 손잡이(12)를 구비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한 쌍의 고정대(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1)와 연동하여 화물(1)을 하역하도록 승하강시키는 리프팅유닛(20); 및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과 리프팅유닛(20)상에 상호 맞물리도록 개재되고, 화물(1)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키는 록킹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의 하중이나 부피에 구애 받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고, 자체 하중을 최소화시켜 운반성과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유도하여 소규모 현장에서도 공수에 따른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ck having wheels (2) (3) for unloading the cargo (1) and inducing direction and movement, and having a frame (11) to receive the cargo (1) as a feature of its construction. And, the main body 10 having a handle (12) to induce the direction of rotation to the wheel (2) (3); A lifting unit (20) having a pair of fixing stands (21) on the frame (11) of the main body (10), and lifting and lowering to unload the cargo (1) in conjunction with the fixing stands (21); And a locking unit 30 interpos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on the frame 11 and the lifting unit 20 of the main body unit 10, and the cargo 1 is automatically fixed in the lifted state. It is don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unloaded with little force, regardless of the load or volume of the cargo by adopting a light and simple structure, by minimizing its own load to maximize transportability and mobi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duce supply at a lower pric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irborne even in a small site.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을 하역하여 방향과 이동을 유도하는 바퀴를 구비하는 대차에 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의 하중이나 부피에 구애 받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고, 자체 하중을 최소화시켜 운반성과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유도하여 소규모 현장에서도 공수에 따른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역용 운반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lley having wheels for unloading cargo and inducing direction and movement. More specifically, the invention employs a light and simple structure, and utilizes the principle of a lever, regardless of the load or volume of the cargo. It can be easily and simply unloaded by force, minimizes its own load, maximizes portability and mobility, reduces manufacturing costs, and induces supply at a lower pric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maneuvering on small sites. It is about a mechanism.
근래에는 유통의 급속한 발전과 다양화 추세에 힘입어 한층 더 복잡하고 다양하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데, 유통의 구조를 살펴보면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하역은 크게 철도, 화물자동차, 항공기 등의 화물에 대한 육운과 선박의 화물에 대한 해운으로 나눌 수가 있고 좁게는 회사 또는 공장 등의 산업현장과 백화점 또는 마트 등의 판매현장으로 나뉠 수가 있다. 종전의 하역은 거의 인력에만 의존하였으나, 대규모의 화물을 취급하는 육운과 해운에서의 하역은 각종 기계 및 컨테이너 등 기기 개발에 따른 하역 체제의 합리화가 이루어져 있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distribution, it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and diversified. Looking at the structure of distribution, the process of unloading cargo is essential. Unloadi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land transportation for cargo such as railroads, trucks, and aircrafts, and shipping for ships' cargo, and narrowly divided into industrial sites such as companies or factories and sales sites of department stores or marts. Previously, unloading was almost dependent on manpower, but unloading in land and sea handling large-scale cargo has rationalized the unloading system by developing various machines and containers.
하지만, 아직까지도 소규모의 화물을 취급하는 산업현장이나 판매현장에서의 하역은 인력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산업현장이나 판매현장과 같은 곳에서는 화물의 취급이 간헐적이면서 그 규모가 비교적 적기에 하역을 도모하는 지게차와 같은 기계 및 장치를 갖추기엔 이윤에 따른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하역작업을 보다 쉽고 편리한 용이성을 갖추면서도 구조적으로 경박단소한 저렴한 기계 및 장치가 시급하게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unloading at industrial sites or sales sites that still handle small cargoes has a problem that can only depend on manpower. In other words, in an industrial site or a sales site, there is an inefficient problem due to profits to equip a machine and a device such as a forklift truck that is intermittent and relatively small in size to handle unloading.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nexpensive machinery and devices that are light in structure and simple while having easy and convenient handling for unloading.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56374호의 "짐운반용 대차의 포크리프트장치"에 의하면, 대차틀(1)의 중간부 양측에 대향되게 한 쌍의 가이드(2) (2')를 세로로 고정하여 가이드(2)(2')의 안내홈(201)에는 상하 이동자유롭게 리프트프레이트(3)를 끼워 상기의 리프트프레이트(3)의 양측에는 하방에 포크(401) (401')를 고정한 리프트바(4)(4')를 핀(5)으로 유착하여 인장스프링(6)으로 연결하는 한편 링크(7)(7')를 핀(8)으로 유착하여 단부는 연결구(9)에 핀(10)으로 유착하고 대차틀(1)에 고정한 지주(11)에는 작동레버(12)의 긴구멍(12')을 핀(13)으로 유착하여 작동레버(12)의 일단부와 연결구(9)를 핀(14)으로 유착하고 작동레버(12)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고리(15)를 고정하여서 된 짐운반용 대차의 포크리프트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forklift device for a load transport trolley" of Korean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56374, a pair of guides (2) (2 ') are opposed to both sides of the middle part of the trolley frame (1). The
그런데,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면에 놓인 화물을 포크로 들어 올려 운반하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적은 힘을 들여 누구나 손쉽게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하중과 부피에 따른 특정 화물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활용성에 낮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즉, 화물을 승강하는 과정에서 포크가 회전하여 화물의 하부와 지면 사이로 인입되는 작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화물의 하중이 무거우면 인입하기에 상당한 힘이 요구되고, 설령 강제적으로 인입시켜 화물을 승강시키더라도 포크로 인해 화물이 파손될 우려가 상당하다. 아울러, 화물이 놓인 지면이 모레나 흙이 아닌 시멘트와 같은 딱딱한 지면일 경우엔 포크의 회전에 의한 마찰로 인해 손상을 야기시켜 인입과정이 수평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특정 부피를 지닌 화물외에는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가 없는 폐단이 있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prior patent,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to lift the cargo placed on the ground with a fork to carry or unloa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yone can easily unload cargo with little force, while the load and volume Because it is applied only to a specific cargo according to the low usabilit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structural complexity. In other words, during the lifting of the cargo, the fork is rotated to pull in between the bottom of the cargo and the ground. Therefore, when the load of the cargo is heavy, a considerable force is required to pull in the cargo. There is a significant risk that the fork will damage the cargo. In addition, if the ground on which the cargo is placed is hard ground such as cement or not soil, it may cause damage due to friction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fork, so that the retraction process is not performed horizontally. There is no end.
다른 일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23787호의 "운반용 대차"에 의하면, 일측방향으로 개방된 결여부(10a)를 갖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결여부(10a)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포크리프트(20)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360°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바퀴(30)와, 상기 프레임(10)의 전단부 중앙에 180°이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 바퀴(40)와, 상기 프레임(10)에서 상기 포크리프트(20)를 승강시키는 잭(50)과, 상기 왕복 이동을 통해 상기 잭(50)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전방 바퀴(40)를 동기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60)을 포함하는 운반용 대차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A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carrying cart" of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0023787, the
그런데,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이 놓인 파렛트에 포크로 들어 올려 운반하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여 적은 힘을 들여 누구나 손쉽게 화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유압을 이용한 장치(잭)를 장착함에 따라 하중이 증가하면서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부품에 의한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즉, 유압잭은 하중이 상당히 무거운 화물도 들어 올릴 수 있는 장치이긴 하나 전반적인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특히, 유압잭 자체의 하중이 상당하기에 운반을 위한 이동성을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prior patent, by using the principle of Pascal to lift the fork to the pallet on which the cargo is pla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yone can easily unload the cargo with little effort, while hydraulic As the device (jack) is mounted, the load is increased, the structural complexity and the cost of the component is increased. In other words, the hydraulic jack is a device that can lift even a heavy load, but acts as a factor to increase the overall cost, and in particular, the hydraulic jack itself has a significant load, which reduces the mobility for transport.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의 하중이나 부피에 구애 받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고, 자체 하중을 최소화시켜 운반성과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유도하여 소규모 현장에서도 공수에 따른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하역용 운반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ndamentally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adopting a light and simple structure,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unloaded with little force regardless of the load or volume of the cargo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unloading transport mechanism that can maximize the transport and mobility by minimizing its own loa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induce supply at a lower pric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irborne even in a small site.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물을 하역하여 방향과 이동을 유도하는 바퀴를 구비하는 대차에 있어서: 상기 화물을 수용하도록 프레임을 구비하고, 바퀴에 방향회전을 유도하여 운반하도록 손잡이를 구비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 상에 한 쌍의 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와 연동하여 화물을 하역하도록 승하강시키는 리프팅유닛; 및 상기 본체부의 프레임과 리프팅유닛 상에 상호 맞물리도록 개재되고, 화물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키는 록킹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uck having a wheel for inducing a direction and movement by unloading a cargo: having a frame for accommodating the cargo, and having a handle for transporting the wheel to guide the rotation. Main body; A lifting unit having a pair of anchors on the frame of the main body unit, the lifting unit lifting and lowering to unload cargo in association with the anchors; And a locking unit interpos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on the frame and the lifting unit of the main body, and for automatically locking the cargo in a lifted state.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프팅유닛은 고정대상에 화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포크와, 상기 포크와 연결되어 화물을 승하강되게 유도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와 링크기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화물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if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ork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cargo to the fixed object, the lifting platform connected to the fork to guide the lifting of the cargo, the platform and the link mechanism by the user's operating forc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operation tabl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go.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프팅유닛의 링크기구는 상기 승강대와 조작대 사이에 힌지핀에 의해 고정대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조작대로부터 발생된 조작력을 배가시켜 화물로 전달하는 제1링크와, 상기 고정대와 승강대 사이에 회전핀에 의해 제1링크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화물을 수직방향으로 안전하게 승하강시키는 제2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nk mechanism of the lif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ixed platform by a hinge pin between the lifting platform and the operating table and the first link for doubling the operating force generated from the operating table to deliver the cargo, and the fixed table And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first link by a rotation pin between the and the platform to safely lift the cargo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록킹유닛은 조작대의 일단에 결합되어 걸림홈을 구비하는 고정판과 함께 본체부의 프레임 상에 회전핀에 의해 회전 가능한 후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에 의해 후크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걸림홈에 결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ok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operating table and the rotating plate on the frame of the main body with a fixing plate having a locking groove, the hook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fixing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to the locking groove.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ordinary sense or in a dictionary, and that the inventors shall not be limited to the concept of a term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역용 운반기구는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의 하중이나 부피에 구애 받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고, 자체 하중을 최소화시켜 운반성과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유도하여 소규모 현장에서도 공수에 따른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light and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unloaded with little force regardless of the load or volume of the cargo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In addition, it minimizes its own load, maximizing portability and mobility, reduces manufacturing costs, and induces supply at a lower price, thereby increasing efficiency due to airborne work on small sit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반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운반기구를 다양한 각도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운반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vey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2 to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transpor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various angles.
4 and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ranspor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화물(1)을 하역하여 방향과 이동을 유도하는 바퀴(2)(3)를 구비하는 대차와 관련되며, 본체부(10), 리프팅유닛(20), 록킹유닛(30)을 주요구성으로 하는 하역용 운반기구에 관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ck having wheels (2) (3) for guiding the direction and movement by unloading the cargo (1), the
여기서 화물(1)은 특정 형상과 부피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화물(1)이라도 하역이 가능하다. 다만, 통상의 규격화된 파렛트 또는 받침대 상에 안착된 화물(1)에 적용되지만, 이에 대해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힘점과 받침점 및 작용점의 거리조절을 통하여 화물(1)의 하중에 관계없이 하역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운반기구는 2개의 구동바퀴(2)와 1개의 조향바퀴(3)를 지닌 3륜 방식을 기준으로 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는 상기 화물(1)을 수용하도록 프레임(11)을 구비하고, 바퀴(2)(3)에 방향회전을 유도하여 운반하도록 손잡이(12)를 구비한다. 본체부(10)는 소정의 부피를 지닌 화물(1)을 내부로 수용하도록 다수의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1)의 하부에 지면으로부터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구동바퀴(2)와 조향바퀴(3)를 각각 구비한다. 즉,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프레임(11)은 화물(1)을 내부로 수용하도록 전방이 개구된 ㄷ형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구동바퀴(2)를 구비하면서 후측에 조향바퀴(3)를 구비한다.The
여기서, 구동바퀴(2)와 조향바퀴(3)를 기준으로 전측과 후측으로 구분할 때, 조향바퀴(3)가 위치하는 후측에 사용자가 방향 및 이동을 위한 손잡이(12)를 구비한다. 손잡이(12)이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신체의 가장 적합한 위치에 구비하고, 보다 용이한 조작력이 전달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형태이다. 여기서 손잡이(12)는 구동바퀴(2)의 구름력을 조작(정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레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당업자라면 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위해 구동바퀴(2)상에 브레이크장치를 구성하고 이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손잡이(12)에 장착할 수 있다.Here, when divided into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based on the
또,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유닛(20)은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한 쌍의 고정대(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1)와 연동하여 화물(1)을 하역하도록 승하강시킨다. 리프팅유닛(20)은 화물(1)을 하역하도록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한 쌍의 고정대(21)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고정대(21)는 프레임(11)의 상단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구비하여 화물(1)을 승하강시켜 하역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고정대(21)는 화물(1)을 승하강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화물(1)의 하중을 고스란히 전달받는다. 따라서 고정대(21)는 구동바퀴(2)가 위치하는 프레임(11)측으로 각각 구비하여 하중을 분산되도록 구비한다.In addition, the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프팅유닛(20)은 고정대(21)상에 화물(1)의 하부를 지지하는 포크(22)와, 상기 포크(22)와 연결되어 화물(1)을 승하강되게 유도하는 승강대(23)와, 상기 승강대(23)와 링크기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화물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대(25)를 구비한다. 리프팅유닛(20)은 고정대(21)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화물(1)을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화물(1)을 지지하는 포크(22)와, 화물(1)을 승하강되게 유도하는 승강대(23)와, 사용자의 조작력을 부여받는 조작대(25)와,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링크기구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포크(22)는 화물(1)을 안착하는 통상의 파렛트 또는 받침대와 지면의 공간 사이에 인입되어 화물(1)을 승하강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규격화된 파렛트 또는 받침대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1)의 전측으로 각각 구비하고, 승강대(23)는 포크(22)의 일단과 ㄴ형을 이루도록 일체로 연결되어 포크(22)를 승하강되도록 한다. 조작대(25)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본체부(10)의 후측으로 연장되게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력을 부여받아 화물(1)을 승하강되도록 하고, 링크기구는 승강대(23)와 조작대(25) 사이에 고정대(21)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조작대(25)로부터 발생한 사용자의 조작력을 승강대(23)로 전달한다.1 to 3, the
한편, 조작대(25)는 본체부(10)로부터 일방향의 인장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5a)과 연결되어 지속적인 승강상태를 유지한다. 즉, 사용자가 조작대(25)를 하측으로 조작력을 부여하면, 링크기구가 조작대(25)로부터 발생한 조작력을 승강대(23)로 전달하여 포크(22)를 승강시키고,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25a)에 의해 상승되어 포크(22)를 하강시킨다. 물론, 화물(1)과 함께 포크(22) 및 승강대(23)의 자체적인 하중에 의해 별도의 스프링(25a)을 장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table 25 is connected to the spring (25a) to give a tension force in one direction from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리프팅유닛(20)의 링크기구는 상기 승강대(23)와 조작대(25) 사이에 힌지핀(26a)(26b)에 의해 고정대(21)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조작대(25)로부터 발생된 조작력을 배가시켜 화물(1)로 전달하는 제1링크(26)와, 상기 고정대(21)와 승강대(23) 사이에 회전핀(27a)(27b)에 의해 제1링크(26)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화물(1)을 수직방향으로 안전하게 승하강시키는 제2링크(27)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리프팅유닛(20)의 링크기구는 승강대(23)와 조작대(25) 사이에 고정대(21)와 연동하도록 연결된 것으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력을 배가시키면서 화물(1)을 수직방향으로 안전하게 승하강되게 유도하는 제1링크(26)와 제2링크(27)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link mechanism of the lifting
그리고 제1링크(26)는 승강대(23)와 조작대(25) 사이에 고정대(21)와 연동되도록 힌지핀(26a)(26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1링크(26)의 일단엔 승강대(23)와 힌지핀(26a)으로 연결되고, 타단엔 고정대(21)와 힌지핀(26b)으로 연결됨과 함께 조작대(25)가 일체로 연결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대(25)가 하강하게 되면, 고정대(21)의 힌지핀(26b)을 기준으로 제1링크(26)가 회전하게 되고, 힌지핀(26a)에 의해 승강대(23)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제1링크(26)는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된 것으로, 조작대(25)는 힘점이 되고, 고정대(21)는 받침점이 되며 승강대(23)는 작용점이 된다. 즉, 사용자가 조작대(25)상으로 소정의 조작력을 부가하면 제1링크(26)의 지렛대원리를 통하여 승강대(23)의 조작력을 수배 이상으로 배가시켜 준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제2링크(27)는 제1링크(26)의 하단에 고정대(21)와 승강대(23) 사이에 제1링크(26)와 연동되도록 회전핀(27a)(2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1링크(26)와 같이, 제2링크(27)의 일단엔 승강대(23)와 회전핀(27a)으로 연결되고, 타단엔 고정대(21)와 회전핀(27b)으로 연결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대(25)가 하강하게 되면, 제1링크(26)에 의해 승강대(23)가 상승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고정대(21)의 회전핀(27b)을 기준으로 회전핀(27a)에 의해 제2링크(27)가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제2링크(27)는 제1링크(26)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하게 회전하여 승강대(23)를 수직방향으로 안전하게 승하강 시켜준다.And the
한편, 제2링크(27)를 구비하지 않고 제1링크(26)만을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경우 힌지핀(26a)에 의해 승강대(23)가 회전되어 포크(22)의 일단이 지면과 슬립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특히, 화물(1)을 승강시킨 상태에서 이동중 정지하게 되면 가속도에 의해 포크(22)로부터 화물(1)이 이탈되어 안전상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제2링크(27)를 대신하여 승강대(23)를 직선 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제1링크(26)의 회전반경으로 인해 승강대(23)가 미세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1링크(26)와 연동되지 않는 부적합한 구조이다. 따라서 제2링크(27)는 제1링크(26)와 연동하여 승강대(23)를 직선 운동되도록 유도하는 매우 중요한 필수요소 중에 하나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use only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록킹유닛(30)은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과 리프팅유닛(20)상에 상호 맞물리도록 개재되고, 화물(1)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킨다. 록킹유닛(30)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화물(1)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킴과 함께 화물(1)을 복귀되도록 해제시킨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록킹유닛(30)은 본체부(10)의 손잡이(12)가 위치하는 후측 프레임(11)과 리프팅유닛(20)의 조작대(25)가 상호 맞물리도록 각각 구비한다. 즉, 조작대(25)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하강한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록킹유닛(30)에 의해 화물(1)을 지속적인 승강상태로 고정시켜주고 이 상태에서 조작대(25)를 다시 하강시키면 자동으로 화물(1)을 하강상태로 복귀시켜 준다.In addition, the locking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록킹유닛(30)은 조작대(25)의 일단에 결합되어 걸림홈(31a)을 구비하는 고정판(31)과 함께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회전핀(32a)에 의해 회전 가능한 후크(3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1)에 의해 후크(32)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걸림홈(31a)에 결착되어 고정된다. 록킹유닛(30)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화물(1)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킴과 함께 화물(1)을 하강되도록 복귀시키는 것으로, 본체부(10)의 손잡이(12)가 위치하는 후측 프레임(11)과 리프팅유닛(20)의 조작대(25)가 상호 맞물리도록 각각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록킹유닛(30)은 원터치 방식이 적용되도록 조작대(25)와 프레임(11)상에 고정판(31)과 후크(32)를 각각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locking
그리고 고정판(31)은 사용자가 조작력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면적을 지니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된 걸림홈(31a)을 구비하는 것으로, 조작대(25)의 일단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일체로 구비한다. 후크(32)는 일단에 걸고리(32b)를 지니면서 타단에 작동편(32c)을 지니는 V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회전핀(32a)에 의해 프레임(11)상에서 회전되도록 구비한다. 이때, 후크(32)는 프레임(11)상에서 걸고리(32b)의 자체적인 중력에 의해 회전핀(32a)을 중심으로 걸고리(32b)측 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상태를 지닌다.In addition, the fixing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작동에 있어서, 조작대(25)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고정판(31)의 걸림홈(31a)상으로 후크(32)가 인입됨과 함께 후크(32)의 작동편(32c)을 가압하게 되어 회전핀(32a)을 중심으로 작동편(32c)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걸고리(32b)가 걸림홈(31a)에 맞물리게 되어 조작대(25)상에 사용자의 조작력을 부여하지 않아도 지속적으로 하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4 and 5, when the operating table 25 is lowered by the user's operating force, the
여기서, 사용자가 조작대(25)를 다시 하강시키면 후크(32)는 걸고리(32b)의 자체적인 중력에 의해 회전핀(32a)을 중심으로 걸고리(32b)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홈(31a)으로부터 이탈되고 조작대(25)를 초기상태인 승강상태로 복귀시킨다. 물론, 조작대(25)를 하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정판(31)을 한계범위까지 완전히 하강시켜야 되고, 조작대(25)를 승강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고정판(31)을 초기 또는 중간범위 내로 하강시켜야 된다.Here, when the user lowers the operating table 25 aga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경박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면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의 하중이나 부피에 구애 받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하역할 수 있고, 자체 하중을 최소화시켜 운반성과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시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유도하여 소규모 현장에서도 공수에 따른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light and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unloaded with little force regardless of the load or volume of the cargo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maximizes the transportability and mobility by minimizing its own loa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duce supply at a lower pric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irborne even in a small sit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화물 2,3: 바퀴
10: 본체부 11: 프레임
12: 손잡이 20: 리프팅유닛
21: 고정대 22: 포크
23: 승강대 25: 조작대
25a: 스프링 26: 제1링크
26a,26b: 힌지핀 27: 제2링크
27a,27b: 회전핀 30: 록킹유닛
31: 고정판 31a: 걸림홈
32: 후크 32a: 회전핀
32b: 걸고리 32c: 작동편1:
10: main body 11: frame
12: handle 20: lifting unit
21: holder 22: fork
23: platform 25: control panel
25a: spring 26: first link
26a, 26b: hinge pin 27: second link
27a, 27b: rotary pin 30: locking unit
31: fixing
32:
32b:
Claims (4)
상기 화물(1)을 수용하도록 프레임(11)을 구비하고, 바퀴(2)(3)에 방향회전을 유도하여 운반하도록 손잡이(12)를 구비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한 쌍의 고정대(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1)와 연동하여 화물(1)을 하역하도록 승하강시키는 리프팅유닛(20); 및
상기 본체부(10)의 프레임(11)과 리프팅유닛(20)상에 상호 맞물리도록 개재되고, 화물(1)이 승강상태에서 자동으로 고정시키는 록킹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 운반기구.In a truck having wheels (2) (3) for unloading cargo (1) to direct its direction and movement:
A main body portion 10 having a frame 11 to receive the cargo 1 and a handle 12 to guide and transport the wheels 2 and 3 in a directional rotation;
A lifting unit (20) having a pair of fixing stands (21) on the frame (11) of the main body (10), and lifting and lowering to unload the cargo (1) in conjunction with the fixing stands (21); And
Interposed on the frame 11 and the lifting unit 20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 locking unit 30 for automatically fixing the cargo (1) in the lifted state; Carrying equipment for unloading.
상기 리프팅유닛(20)은 고정대(21) 상에 화물(1)의 하부를 지지하는 포크(22)와, 상기 포크(22)와 연결되어 화물(1)을 승하강되게 유도하는 승강대(23)와, 상기 승강대(23)와 링크기구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화물(1)을 승하강시키는 조작대(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 운반기구.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ing unit 20 has a fork 22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argo 1 on the fixed base 21, and a lift table 23 connected to the fork 22 to guide the cargo 1 to be lowered. And, the lifting platform 23 and the unloading transpor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linkage mechanism (25)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go (1) by the user's operating force.
상기 리프팅유닛(20)의 링크기구는 상기 승강대(23)와 조작대(25) 사이에 힌지핀(26a)(26b)에 의해 고정대(21)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조작대(25)로부터 발생된 조작력을 배가시켜 화물(1)로 전달하는 제1링크(26)와, 상기 고정대(21)와 승강대(23) 사이에 회전핀(27a)(27b)에 의해 제1링크(26)와 연동되도록 연결시켜 화물(1)을 수직방향으로 안전하게 승하강시키는 제2링크(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 운반기구.The method of claim 2,
The link mechanism of the lifting unit 20 is connected to the fixed base 21 by the hinge pins 26a and 26b between the lifting platform 23 and the operating table 25, and is generated from the operating table 25. The first link 26, which doubles the operating force and transfers to the cargo 1, and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link 26 by the rotation pins 27a, 27b between the fixing base 21 and the platform 23. Carrying mechanism for unloa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link (27) for connecting the cargo (1) to safely lift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록킹유닛(30)은 조작대(25)의 일단에 결합되어 걸림홈(31a)을 구비하는 고정판(31)과 함께 본체부(10)의 프레임(11)상에 회전핀(32a)에 의해 회전 가능한 후크(3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1)에 의해 후크(32)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걸림홈(31a)에 결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 운반기구.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unit 3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operating table 25 by a rotating pin 32a on the frame 11 of the main body 10 together with a fixing plate 31 having a locking groove 31a. It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hook 32,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32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fixing plate 31 is fixed to the locking groove (31a),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ort mechanis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075A KR20130036871A (en) | 2011-10-05 | 2011-10-05 | The cargo-working used carr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1075A KR20130036871A (en) | 2011-10-05 | 2011-10-05 | The cargo-working used carr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6871A true KR20130036871A (en) | 2013-04-15 |
Family
ID=4843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1075A Ceased KR20130036871A (en) | 2011-10-05 | 2011-10-05 | The cargo-working used carr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36871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0067B1 (en) * | 2014-07-10 | 2014-09-17 | 이장섭 | Brick transport cart that contains the cover for the material transport of powdery |
CN108297915A (en) * | 2018-03-22 | 2018-07-20 |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 A kind of adjustable tote cart |
CN110027597A (en) * | 2019-03-12 | 2019-07-19 | 顺丰科技有限公司 | The cage vehicle of a kind of united equipment and the application united equipment hangs together system |
CN119408916A (en) * | 2025-01-07 | 2025-02-11 | 北京晶品特装科技股份有限公司 | An emergency material transport robot |
-
2011
- 2011-10-05 KR KR1020110101075A patent/KR2013003687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0067B1 (en) * | 2014-07-10 | 2014-09-17 | 이장섭 | Brick transport cart that contains the cover for the material transport of powdery |
CN108297915A (en) * | 2018-03-22 | 2018-07-20 |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 A kind of adjustable tote cart |
KR20200123801A (en) * | 2018-03-22 | 2020-10-30 | 지앙수 보케이셔널 칼리지 오브 애그리컬쳐 앤드 포레스트리 | Adjustable turnover car |
CN110027597A (en) * | 2019-03-12 | 2019-07-19 | 顺丰科技有限公司 | The cage vehicle of a kind of united equipment and the application united equipment hangs together system |
CN110027597B (en) * | 2019-03-12 | 2024-02-02 | 顺丰科技有限公司 | Coupling device and cage vehicle coupling system using same |
CN119408916A (en) * | 2025-01-07 | 2025-02-11 | 北京晶品特装科技股份有限公司 | An emergency material transport rob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06706B2 (en) |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 |
JP2008266011A (en) | Dolly with very small lifting loading stage and multistory storage shelf | |
JPH11199058A (en) | Fork drive type cargo handling device and cargo handling method | |
CN104150405B (en) | A kind of pallet fork and the fork truck using this pallet fork | |
CN115402393A (en) | Trolley for conveying gas container | |
KR20130036871A (en) | The cargo-working used carrier | |
JP2005170669A (en) |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for both drum and load | |
JPH11130268A (en) | Movable fork type cargo handling device and cargo handling method | |
CN105752882A (en) | A multifunctional lifting platform device | |
CN216549209U (en) | Unloading equipment for efficient logistics container | |
CN111516764B (en) | Vertical self-lifting separable explosion-proof container and inflammable and explosive dangerous article transportation system | |
CN212832614U (en) | Portable hand electric fork-lift | |
CN210286531U (en) | Steel coil ferry railcar | |
JP6587876B2 (en) | Handling equipment | |
CN102336207A (en) | Manual carriage trolley capable of crossing obstacles | |
CN202164079U (en) | A hydraulic cargo platform height adjustment device | |
CN205294749U (en) | Positive pole hanger elevating gear | |
KR20160115123A (en) |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having vaccum suction part and high degrees of freedom joint | |
KR20100000909U (en) | Large pipe conveying bogie | |
KR20170001825U (en) | Medium and large battlefield equipment installation lifting device | |
JP2017190174A (en) | Pallet with caster | |
KR200457846Y1 (en) | Leveling rear lift device for truck mounted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 |
JP3050678U (en) | Fork movable cargo handling equipment | |
CN112722610A (en) | Walking control method of container cover lifting machine | |
CN212174373U (en) | Full-automatic high lift truck of fork is cut to intellig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9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3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0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5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30327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3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40122 Appeal identifier: 2013101008387 Request date: 20131128 |
|
J801 | Dismissal of trial |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128 Effective date: 20140122 |
|
PJ0801 | Rejection of trial |
Patent event date: 20140122 Patent event code: PJ08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Decision date: 20140122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3101008387 Request date: 201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