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817U - Assembly shelf - Google Patents
Assembly shel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6817U KR20130006817U KR2020120004168U KR20120004168U KR20130006817U KR 20130006817 U KR20130006817 U KR 20130006817U KR 2020120004168 U KR2020120004168 U KR 2020120004168U KR 20120004168 U KR20120004168 U KR 20120004168U KR 20130006817 U KR20130006817 U KR 2013000681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plate
- panel
- accommodating part
- pane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66—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with longitudinal groo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용 조립선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간단한 조립방식으로 수납용 선반을 조립할 수 있는 수납용 조립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은 복수의 패널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폐단면을 이루며 내부공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 제 1 수납부; 제 1 수납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패널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폐단면을 이루며 내부공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 제 2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제 1 수납부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게, 제 1 수납부와 제 2 수납부를 연결하는 기둥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ing shelf for stor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embling shelf for assembling a storage shelf by a simple assembly method using a plurality of panels. An assembly shelf for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having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an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ross-section and an internal space is opene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positioned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having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an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ross-section and an inner space is opened; And a column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 be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납용 조립선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간단한 조립방식으로 수납용 선반을 조립할 수 있는 수납용 조립선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ing shelf for stor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embling shelf for assembling a storage shelf by a simple assembly method using a plurality of panels.
선행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455854호에는 다수의 세로대 일체형 측판을 이용한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Prior art Patent Utility Model No. 20-0455854 discloses a variable prefabricated storage shelf us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integrated side plat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세로대 일체형 측판을 이용한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은 상측에 연결공(11)을, 그 하측엔 끼움돌기(12)를 각각 다수 규칙적으로 반복 형성한 다수의 가로대(1)와, 전면절곡부(21)에 연결공(11)과 끼움돌기(12)의 크기 및 간격에 대응하는 크기와 간격으로 체결공(211)과 끼움공(212)을 다수 반복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에는 일정 크기의 절취부(221)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측벽에는 일정크기의 절취부(221)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하여 다수의 절곡구멍(222)에 의해 절곡되어 고정구멍(223)을 갖는 받침편(22)을 형성하며, 후면 절곡부(23)에는 다수의 체결공(231)을 갖는 연결편(232)을 그 일측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한 측판(2)과, 서로 이웃하는 측판(2)의 연결편(232)에 각각 결합되어 양 측판(2)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체결공(231)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공(31)을 형성한 뒷판(3)으로 구성되어 각각 고정나사(4)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1, the variable assembly storage shelf us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integrated side plates includes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다수의 세로대 일체형 측판을 이용한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은 복수의 측판(2), 뒷판(3) 그리고 받침판(5)이 상호 간에 공간을 구획하도록 연결되는데, 이때, 복수의 측판(2), 뒷판(3) 그리고 받침판(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4)에 의해 결합된다. The variable prefabricated storage shelf using a plurality of vertically integrated side plates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다수의 세로대 일체형 측판을 이용한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은 높이 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일일이 고정나사(4)를 사용하여 복수의 측판(2), 뒷판(3) 그리고 받침판(5)을 조립해야 한다는 점에서 조립과정이 복잡하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의 좌우 간격 또는 높이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측판 테두리 또는 받침판 테두리에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체결공에 고정나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는 점에서 물품의 외관에 대한 사용자의 미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 variable prefabricated storage shelf using a plurality of vertically integrated side plates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1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but a plurality of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패널과 패널 간의 조립이 간단하고, 외관이 미려한 수납용 조립선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shelf with a simple assembly and beautiful appearance between the panel and the panel.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은 복수의 패널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폐단면을 이루며 내부공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 제 1 수납부; 제 1 수납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패널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폐단면을 이루며 내부공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 제 2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제 1 수납부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게, 제 1 수납부와 제 2 수납부를 연결하는 기둥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ssembly shelf for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having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an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ross-section and an internal space is opene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positioned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having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an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ross-section and an inner space is opened; And a column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o be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연결부는 패널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기둥체결부재; 및 복수의 기둥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제 1 수납부와 제 2 수납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connection portion a plurality of pillar fastening members connected to the panel in a sliding manner; And at least one pillar connecting bod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pillar fastening members to connec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연결몸체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중심축을 둘러싸는 복수의 판재; 및 복수의 판재 중 어느 일 판재와 이에 인접한 판재 사이에 체결홈이 형성되게, 중심축과 판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connecting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plate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connecting the central shaft and the plate so that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between any one of the plate and the plate adjacent thereto.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판재는 절곡부를 가진 형상을 가지며, 지지부재는 판재의 절곡부와 중심축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has a shape having a bent portion, the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installed between the bent portion of the pl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axi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연결몸체에는 기둥연결몸체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기둥연결몸체로 삽입되어 기둥연결몸체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기둥연결몸체커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connecting bod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illar connecting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pillar connecting body cover is inserted into the pillar connecting body to cover the open portion of the pillar connecting body.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체결부재는 일측이 개방된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측의 양종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종단면을 가진 형상이며,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fastening memb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chroic (c) of the open side and ha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is bent so that both ends of the open side facing each other, the sliding groove is preferably formed.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연결부는 기둥연결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암결합부재; 및 기둥체결부재를 관통하여 암결합부재와 나사결합되어 기둥연결몸체와 기둥체결부재를 연결하는 수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connection portion is a female 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pillar connection body; And a male coupling member penetrating the pillar coupling member and screwed with the female coupling member to connect the pillar connection body and the pillar coupling member.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 또는 제 2 수납부는, 가장자리에 제 1 레일홈이 형성된 복수의 제 1 패널과, 가장자리에 제 2 레일홈이 형성되어 기둥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 패널을 구비한 복수의 패널; 제 1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방식으로 복수의 제 1 패널에 설치되어, 복수의 제 1 패널이 상하부가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게 복수의 제 1 패널을 연결하는 수납연결부; 및 제 1 패널과 제 2 패널을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or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nels having a first rail groove formed at an edge thereof, and a second rail groove formed at an edge thereof connected to the column connection part. A plurality of panels with two panels; An accommodating connection part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first panels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first rail grooves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panel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panels are opened; And a coupl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수납연결부는 제 1 패널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체결부재; 및 수납체결부재에 결합되고, 복수의 제 1 패널 중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패널을 기역(ㄱ)자 형태로 연결하는 수납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connection portion at least one accommodating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in a sliding manner; And a storage connection body coupled to the housing fastening member and connecting the at least one first panel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panels in the shape of air force (a).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수납연결몸체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중심축을 둘러싸는 복수의 판재; 및 복수의 판재 중 어느 일 판재와 이에 인접한 판재 사이에 체결홈이 형성되게, 중심축과 판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connecting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plate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connecting the central shaft and the plate so that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between any one of the plate and the plate adjacent thereto.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판재는 절곡부를 가진 형상을 가지며, 지지부재는 판재의 절곡부와 중심축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has a shape having a bent portion, the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installed between the bent portion of the pl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axi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수납체결부재는 일측이 개방된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측의 양종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종단면을 가진 형상이며,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fastening memb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chroic (c) with one side open and has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bent so that both ends of the open side facing each other, the sliding groove is preferably formed. .
본 고안은 패널에 형성된 레일홈을 따라 수납연결부 또는 기둥연결부가 슬라이딩방식으로 설치되어, 복수의 패널을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간단하고 단순한 조립방식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외관이 수려한 수납용 조립선반을 조립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 assembling a plurality of panels, the storage connection portion or the column connection portion is install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rail groove formed in the panel, can be easily assembled in a simple and simple assembly metho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for storage The assembly shelf can be assembl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수의 세로대 일체형 측판을 이용한 가변 조립식 수납선반에 대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의 결합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연결부에 대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연결부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의 결합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prefabricated storage shelf us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 integral side plat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rack for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assembly shel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illar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rack for stor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for the storage assembly shel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1st 실시예Exampl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100)은 제 1 수납부(110), 제 2 수납부(120)와 기둥연결부(15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110)와 제 2 수납부(120)는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제 1 수납부(110)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수납부(120)의 개수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제 2 수납부(12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본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110)는 복수의 패널,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제 1 패널(10)과 제 2 패널(20)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폐단면을 이루며 내부공간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진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패널(10)과 제 2 패널(20), 수납연결부(110a), 그리고 결합부재(110b)를 포함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널(10)은 평평한 플레이트로서, 가장자리에 제 1 레일홈(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패널(10)은 제 1 수납부(110)의 측면을 이루는 패널이다. 복수의 제 1 패널(10)은 수납연결부(110a)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다. 수납연결부(110a)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3, the
제 2 패널(20)은 제 1 패널(10)과 마찬가지로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가장자리에 제 2 레일홈(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패널(20)은 제 1 수납부(110)의 하면을 이루는 패널이다. 제 2 패널(20)은 결합부재(110b)에 의해 수납연결부(110a)에 결합됨으로써, 제 1 패널(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패널(20)의 제 2 레일홈(21)에는 기둥연결부(150)의 기둥체결부재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된다. 기둥연결부(15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Like the
한편, 제 1 수납부(110)의 상부에는 제 3 패널(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 3 패널(30)은 제 1 수납부(110)의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중앙부분이 중공된 사각링 구조를 가지며, 이때 제 3 패널(30)의 가장자리에는 제 3 레일홈(3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제 3 패널(30)은 제 2 패널(20)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 2 패널(2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패널(30)은 결합부재(110b)에 의해 수납연결부(110a)에 결합되어, 제 1 패널(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3 패널(30)의 제 3 레일홈(31)에는 기둥연결부(150)의 기둥체결부재가 슬라이딩방식으로 설치된다.
The
이하에서는 수납연결부(11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본 실시예에서, 수납연결부(110a)는 제 1 레일홈(11)을 따라 슬라이딩방식으로 복수의 제 1 패널(10)에 설치되어, 복수의 제 1 패널(10)이 상하부가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게 복수의 제 1 패널(10)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연결부(110a)는 복수의 제 1 패널(10), 예시적으로 4개의 제 1 패널(10)이 폐단면을 이루도록 연결하기 위해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수납연결부(110a)의 설치개수는 제 1 수납부(110)의 형상 및 복수의 제 1 패널(10)의 개수에 따라 가변가능하므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110)에 설치되는 수납연결부(110a)와 제 2 수납부(120)에 설치되는 수납연결부(120a)의 형상 및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수납부(110)에 설치되는 수납연결부(11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연결부(110a)는 수납연결몸체(111)와 수납체결부재(119)로 이루어진다. 수납연결몸체(111)는 적어도 한 일면에 수납체결부재(119)가 구비되어, 수납체결부재(119)로 하여금 복수의 제 1 패널(10) 중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패널(10)을 기역(ㄱ)자 형태로 연결하는 부재이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4, the
본 실시예에서, 수납연결몸체(111)는 중심축(112), 복수의 판재와 복수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심축(112)에는 중앙홀(112a)이 형성되며, 중앙홀(112a)에는 제 2 패널(20) 또는 제 3 패널(30)을 관통한 결합부재(110b), 예컨대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iving
다음으로, 복수의 판재는 중심축(11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판재는 지지부재에 의해 중심축(112)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판재는 방사형으로 중심축(11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plurality of plate members are arrang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복수의 판재를 제 1 판재(113), 제 2 판재(114), 제 3 판재(115) 및 제 4 판재(116)로 지칭하기로 하며, 아울러 복수의 지지부재를 제 1 지지부재(113a), 제 2 지지부재(114a), 제 3 지지부재(115a) 및 제 4 지지부재(116a)로 지칭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lural plates will be referred to as
제 1 판재 내지 제 4 판재(113, 114, 115, 116)는 절곡부를 가진 형상이다. 이때, 제 1 판재(113)는 ┏ 단면으로 절곡된 형상이고, 제 2 판재(114)는 ┖ 단면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제 3 판재(115)는 ┙단면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제 4 판재(116)는 ┓단면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The first to
한편, 제 1 내지 제 4 판재(113, 114, 115, 116)는 절곡부를 가지되, 내면에 개구홀을 가진 형상일 수 있다. 즉, 제 1 판재(113)는 ┏ 단면으로 절곡된 형상이되 내부에 개구홀이 형성되어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판재(114)는 ┖ 단면으로 절곡된 형상이되, 제 1 판재(113)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개구홀이 형성되어 단면을 가진다. 마찬가지로, 제 3 판재(115)는 개구홀이 형성된 단면을 가진 형상이며, 제 4 판재(116)는 개구홀이 형성된 단면을 가진 형상이다.
Meanwhile, the first to
본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제 4 판재(113, 114, 115, 116)의 연결관계는 다음과 같다. 제 1 판재(113)는 제 2 판재(114)와 제 4 판재(116) 사이에 위치되며, 제 2 판재(114)는 제 1 판재(113)와 제 3 판재(115) 사이에 위치되며, 제 3 판재(115)는 제 2 판재(114)와 제 4 판재(116) 사이에 위치되며, 제 4 판재(116)는 제 3 판재(115)와 제 1 판재(113) 사이에 위치되며, 이들은 상호 간에 각각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o
제 1 판재(113)는 제 1 지지부재(113a)에 의해 중심축(112)에 연결된다. 이때, 제 1 지지부재(113a)는 제 1 판재(113)의 절곡된 부분과 중심축(112)의 외주면을 연결하며, 제 1 지지부재(113a)는 제 1 판재(113)와 중심축(1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다음으로, 제 2 판재(114)는 제 2 지지부재(114a)에 의해 중심축(11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 2 지지부재(114a)는 제 2 판재(114)의 절곡된 부분과 중심축(112)의 외주면을 연결하며, 제 2 지지부재(114a)는 제 2 판재(114)와 중심축(1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Next, the
다음으로, 제 3 판재(115)는 제 3 지지부재(115a)에 의해 중심축(11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 3 지지부재(115a)는 제 3 판재(115)의 절곡된 부분과 중심축(112)의 외주면을 연결하며, 제 3 지지부재(115a)는 제 3 판재(115)와 중심축(1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Next, the
마지막으로, 제 4 판재(116)는 제 4 지지부재(116a)에 의해 중심축(11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 4 지지부재(116a)는 제 4 판재(116)의 절곡된 부분과 중심축(112)의 외주면을 연결하며, 제 4 지지부재(116a)는 제 4 판재(116)와 중심축(1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Finally, the
상술한 구조로 제 1 내지 제 4 지지부재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판재(113, 114, 115, 116)가 중심축(112)에 연결된 경우, 제 1 판재(113)와 제 2 판재(114)에는 제 1 지지부재(113a)와 제 2 지지부재(114a) 사이에 제 1 체결홈(113b)이 형성된다. When the first to
또한, 제 2 판재(114)와 제 3 판재(115)에는 제 2 지지부재(114a)와 제 3 지지부재(115a) 사이에 제 2 체결홈(11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판재(115)와 제 4 판재(116)에는 제 3 지지부재(115a)와 제 4 지지부재(116a) 사이에 제 3 체결홈(115b)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 4 판재(116)와 제 1 판재(113)에는 제 4 지지부재(116a)와 제 1 지지부재(113a) 사이에 제 4 체결홈(116b)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체결부재(119)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수납체결부재(119)는 수납연결몸체(111)의 어느 일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체결부재(119)는 제 1 패널(10)에 형성된 제 1 레일홈(11)을 따라 슬라이딩방식으로 제 1 패널(10)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납체결부재(11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널(10)에 설치되는 부분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본 실시예에서, 수납체결부재(119)는 일측이 개방된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측의 양종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종단면을 가진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수납체결부재(119)에는 슬라이딩홈(119a)이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수납체결부재(119)는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체결부의 양종단이 제 1 레일홈(11)에 삽입되어 제 1 레일홈(11)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슬라이딩홈(119a)이 제 1 패널(10)을 둘러싼 형상으로 수납체결부재(119)가 제 1 패널(10)의 제 1 레일홈(11)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져, 수납체결부재(119)가 제 1 패널(10)에서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receiving
이하에서는, 제 1 수납부(110)와 제 2 수납부(120)를 연결하는 기둥연결부(1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연결부(150)는 제 2 수납부(120)가 제 1 수납부(110)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게, 제 1 수납부(110)와 제 2 수납부(1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100)은 기둥연결몸체(151), 암결합부재(157), 수결합부재(158)와 기둥체결부재(159)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기둥연결몸체(15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납부(120)가 제 1 수납부(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제 1 수납부(110)와 제 2 수납부(120)를 연결할 때 기둥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다만, 본 실시예에서, 기둥연결몸체(151)는 상술한 수납연결몸체(111)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게 위해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기둥연결몸체(151)에는 복수의 기둥체결부재(159)가 설치된다. 이때, 복수의 기둥체결부재(159)는 기둥연결몸체(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둥연결몸체(151)에 연결되어, 제 2 패널(20)의 제 2 레일홈(21) 및/또는 제 3 패널(30)의 제 3 레일홈(31)을 따라 제 1 및 제 2 수납부(120)의 제 2 패널(20) 및 제 3 패널(30)에 설치된다.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체결부재(159)는 양종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종단면을 가진 형상이며, 슬라이딩홈(159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기둥체결부재(159)에는 결합개구(159b)가 형성된다. 이때, 결합개구(159b)는 기둥체결부재(159)가 기둥연결몸체(151)에 연결될 때, 기둥연결몸체(151)의 체결홈과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 5, the
본 실시예에서, 기둥체결부재(159)는 암결합부재(157)와 수결합부재(158)에 의해 기둥연결몸체(151)에 연결된다. 여기서, 암결합부재(157)는 기둥연결몸체(151)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기둥연결몸체(151)의 체결홈(151a)에 위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암결합부재(157)에는 수결합부재(158)이 삽입되는 암결합개구(201)가 형성된다. 암결합개구(201)의 내주면에는 나사홈(157a)이 형성된다. 수결합부재(158)가 암결합부재(157)에 삽입될 때, 수결합부재(158)는 암결합부재(157)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기둥체결부재(159)는 암결합부재(157)와 수결합부재(158)에 의해 기둥연결몸체(151)에 결합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기둥체결부재(159)가 기둥연결몸체(151)에 설치되는 방향은 기둥연결몸체(151)의 4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립물품의 형상에 따라 가변가능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체결부재(159)의 설치 위치 및 기둥연결몸체(151)에 설치되는 설치개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즉,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둥체결부재(159)는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방향이 상기 기둥연결몸체(151)의 체결홈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기둥연결몸체(151)에 설치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둥체결부재(159)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방향이 상기 기둥연결몸체(151)의 체결홈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프로파일을 제작할 필요없이 동일 구조의 상기 기둥체결부재(159)로써 설치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하여 조립이 가능하므로 프로파일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100)은 기둥연결몸체(151)와 기둥체결부재(159)에 의해 복수 개의 패널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다양한 물품이 조립된 경우에 기둥연결몸체(151)의 개방된 상부를 기둥연결몸체커버(155)를 사용하여 막아 물품의 미관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연결몸체커버(155)의 전면은 평평하고 기둥연결몸체(151)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기둥연결몸체(151)에 형성된 체결홈을 덮도록 기둥연결몸체(151)에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5, the front surface of the pillar
본 실시예에서, 기둥연결몸체커버(155)의 후면에는 기둥연결몸체(151)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는 중앙지지봉(155a)과 복수의 가이드지지봉(155b)이 구비된다. 여기서, 중앙지지봉(155a)은 기둥연결몸체(151)의 중심홀로 삽입되는 것이고, 복수의 가이드지지봉(155b)은 기둥연결몸체(151)의 인접한 체결홈과 체결홈 사이에 설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side of the pillar
기둥연결몸체커버(155)는 기둥연결몸체(151)에 설치된 후에는 중앙지지봉(155a)과 가이드지지봉(155b)에 의해 강제로 기둥연결몸체커버(155)를 기둥연결몸체(151)에서 분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둥연결몸체(151)에서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다.After the pillar
복수의 가이드지지봉(155b)의 형상 및 설치개수는 지지부재의 형상 및 설치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도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가변가능하다. Since the shape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plurality of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둥연결부(150)는 기둥연결몸체(151)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대(156)를 통해, 제 1 수납부(110)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받침대(156)는 기둥연결몸체(151)의 중앙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받침대(156)는 수납용 조립선반(100)이 바닥면에 설치될 때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수납용 조립선반(1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받침대(156)의 재질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가변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제 2 Second 실시예Exampl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6, it will be described for the storage assembly shel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조립선반(200)은 제 1 수납부(210), 제 2 수납부(220)와 기둥연결부(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수납부(210)와 제 2 수납부(250)는 물품이 수납되는 공간이다. As shown in FIG. 6, the
제 1 수납부(210)와 제 2 수납부(220)는 상술한 제 1 패널(10)과 제 2 패널(20)이 기둥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면서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수납부(210)와 제 2 수납부(22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패널(10, 20)이 수납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기둥연결부(250)에 의해 복수의 패널(10, 20)이 연결되어 형성된 것이다.The first
본 실시예에 따른 기둥연결부(250)는 기둥연결몸체(251)과 기둥체결부재(259)로 이루어지며, 이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둥연결부(15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기둥연결몸체(251)과 기둥체결부재(259)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다만, 본 실시예에서, 기둥체결부재(259)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둥연결몸체(251)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 1 패널의 제 1 레일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간편하고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짧은 길이 타입(259a)일 수도 있다. 그리고, 기둥체결부재(259)는 상기 제 2 패널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견고한 긴 길이 타입(259b)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짧은 길이 타입의 기둥체결부재(259)를 단기둥체결부재(259a)라 하고, 긴 길이 타입의 기둥체결부재(259)를 장기둥체결부재(259b)라 지칭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hort length type
본 실시예에서, 제 1 패널(10)은 수납용 조립선반의 측면의 이루는 패널을 지칭하고, 제 2 패널(20)은 수납용 조립선반(200)의 상면 또는 하면을 이루는 패널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패널(10)과 제 2 패널(20)은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 1 패널(10)에는 제 1 레일홈이 형성되고, 제 2 패널(20)에는 제 2 레일홈이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제 1 패널(10)의 제 1 레일홈에는 단기둥체결부재(259a)가 슬라이딩방식으로 설치되고, 제 2 패널(20)의 제 2 레일홈에는 장기둥체결부재(259b)가 슬라이딩방식으로 설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hort term fastening member 259a is installed in the first rail groove of the
여기서, 단기둥체결부재(259a)는 장기둥체결부재(259b)에 간섭되지 않게 기둥연결몸체(2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둥연결몸체(251)에 설치되어, 제 1 패널(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장기둥체결부재(259b)는 단기둥체결부재(259a)에 간섭되지 않게 기둥연결몸체(25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기둥연결몸체(251)에 결합되어, 제 2 패널(2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기둥체결부재(259a)와 장기둥체결부재(259b)는 제 1 실시예에 상술한 방식으로 기둥연결몸체(251)에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short term fastening member 259a is installed on the
한편, 제 1 실시예에서 상술했듯이, 기둥연결몸체(251)의 상부에는 기둥연결몸체커버(255)가 설치될 수 있고, 기둥연결몸체(251)의 하부에는 받침대(256)가 설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lumn connect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0, 200: 수납용 조립선반 110, 210: 제 1 수납부
120, 220: 제 2 수납부 150, 250: 기둥연결부100, 200:
120, 220: 2nd accommodating
Claims (12)
상기 제 1 수납부의 상부에 위치되며, 복수의 패널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폐단면을 이루며 내부공간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 제 2 수납부; 및
상기 제 2 수납부가 상기 제 1 수납부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게, 상기 제 1 수납부와 상기 제 2 수납부를 연결하는 기둥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an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ross-section and an inner space is opene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positioned o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having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an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ross-section, and an inner space is opened; And
A pillar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such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ssembly shelf for storage comprising a.
상기 패널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기둥체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기둥체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수납부와 상기 제 2 수납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lumn connection portion
A plurality of pillar fastening members connected to the panel in a sliding manner; And
And at least one pillar connecting bod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pillar fastening members to connec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중심축을 둘러싸는 복수의 판재; 및
상기 복수의 판재 중 어느 일 판재와 이에 인접한 판재 사이에 체결홈이 형성되게, 상기 중심축과 상기 판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illar connecting body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spaced apart from a central axi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rround the central axis; And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connecting the central shaft and the plate so that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betwe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 members and a plate adjacent thereto.
상기 판재는 절곡부를 가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판재의 절곡부와 상기 중심축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ate has a shape having a bent portion,
The support member is a storage assembly shelf,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between the bent portion of the pl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axis.
상기 기둥연결몸체에는 상기 기둥연결몸체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둥연결몸체로 삽입되어 상기 기둥연결몸체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기둥연결몸체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illar connecting bod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illar connecting body, the storage assembly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lar connecting body cover is inserted into the pillar connecting body to cover the open portion of the pillar connecting body is installed. .
상기 기둥체결부재는 일측이 개방된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측의 양종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종단면을 가진 형상이며,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illar fastening memb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chroic (c) with one side open and having a longitudinal section bent to face both ends of the open side facing each other, the storage assembly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상기 기둥연결몸체의 내부에 삽입된 암결합부재; 및
상기 기둥체결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암결합부재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기둥연결몸체와 상기 기둥체결부재를 연결하는 수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lumn connection portion
A female 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pillar connecting body; And
And a male coupling member penetrating the pillar coupling member and screwed with the female coupling member to connect the pillar connection body and the pillar coupling member.
가장자리에 제 1 레일홈이 형성된 복수의 제 1 패널과, 가장자리에 제 2 레일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 패널을 구비한 상기 복수의 패널;
상기 제 1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제 1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패널이 상하부가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게 상기 복수의 제 1 패널을 연결하는 수납연결부; 및
상기 제 1 패널과 상기 제 2 패널을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housing or the second housing,
A plurality of panels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panels having a first rail groove formed at an edge thereof, and a second panel having a second rail groove formed at an edge thereof connected to the column connecting portion;
An accommodating connection part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first panels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first rail groove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panel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panels are opened; And
And a coupl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상기 제 1 패널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체결부재; 및
상기 수납체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패널 중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패널을 기역(ㄱ)자 형태로 연결하는 수납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orage connection portion
At least one accommodating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in a sliding manner; And
And a storage connection body coupled to the storage fastening member and configured to connect at least one first panel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panels in the shape of an air force (a). shelf.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중심축을 둘러싸는 복수의 판재; 및
상기 복수의 판재 중 어느 일 판재와 이에 인접한 판재 사이에 체결홈이 형성되게, 상기 중심축과 상기 판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ceiving connecting body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spaced apart from a central axi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rround the central axis; And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connecting the central shaft and the plate so that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betwe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 members and a plate adjacent thereto.
상기 판재는 절곡부를 가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판재의 절곡부와 상기 중심축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late has a shape having a bent portion,
The support member is a storage assembly shelf,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between the bent portion of the pl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axis.
상기 수납체결부재는 일측이 개방된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측의 양종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종단면을 가진 형상이며,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조립선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orage fastening memb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chroic (c) with one side open and ha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that is bent so that both ends of the open side facing each other, the storage assembly shelf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168U KR20130006817U (en) | 2012-05-18 | 2012-05-18 | Assembly shel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168U KR20130006817U (en) | 2012-05-18 | 2012-05-18 | Assembly shel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817U true KR20130006817U (en) | 2013-11-27 |
Family
ID=5243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4168U Ceased KR20130006817U (en) | 2012-05-18 | 2012-05-18 | Assembly shel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6817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393B1 (en) * | 2014-08-20 | 2014-12-26 | 박영기 | multi layered type container |
-
2012
- 2012-05-18 KR KR2020120004168U patent/KR20130006817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393B1 (en) * | 2014-08-20 | 2014-12-26 | 박영기 | multi layered type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7375B1 (en) | A modular apparatus for realization of wardrobes provided with plastic structure | |
KR20150035373A (en) | Modular flooring system | |
KR20130125982A (en) | Plate assembly profile | |
US20130336718A1 (en) | Pillar for assembly type furniture | |
JP2010196427A (en) | Frame structure of partition wall and partition wall | |
KR200473255Y1 (en) | A constructing type furniture | |
KR101377755B1 (en) | Shelf module assembly | |
KR200470013Y1 (en) | Fabricated bookshelf | |
JP5419552B2 (en) | Unit bookcase | |
KR20130006817U (en) | Assembly shelf | |
US20070145864A1 (en) | Modular furniture system | |
KR20080097612A (en) | Adjustable cabinet | |
JP2008055032A (en) | Simple kit-shelf | |
KR20140014507A (en) | Assembly profile | |
KR20130051593A (en) | Self assembly storage goods for drawer | |
KR200482453Y1 (en) | Charnel house Having a improved prefabricated structure and front closed structure | |
KR200460603Y1 (en) | Variable rack | |
CN204169339U (en) | Modular combined cabinet and supporting construction thereof | |
KR102187533B1 (en) | Honeycomb chest of drawers | |
CN102748348A (en) | Connecting piece section bar | |
KR101385118B1 (en) | Supporting structure assemble of bookstand | |
KR101393691B1 (en) | Iron furniture | |
KR20110137019A (en) | sectional | |
CN105054598A (en) | Cantilever type storage rack | |
KR200481983Y1 (en) | A Sectional Furni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51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604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1224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