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1983Y1 - A Sectional Furniture - Google Patents

A Sectional Furni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983Y1
KR200481983Y1 KR2020150002356U KR20150002356U KR200481983Y1 KR 200481983 Y1 KR200481983 Y1 KR 200481983Y1 KR 2020150002356 U KR2020150002356 U KR 2020150002356U KR 20150002356 U KR20150002356 U KR 20150002356U KR 200481983 Y1 KR200481983 Y1 KR 200481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base
support plate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3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3645U (en
Inventor
정구집
Original Assignee
정구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구집 filed Critical 정구집
Priority to KR2020150002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983Y1/en
Publication of KR20160003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4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983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제 1 지지판, 제 1 지지판의 일면에 단턱지게 부착된 제 2 지지판과, 제 2 지지판에 대해 T형 구조로 배치되고 제 1 지지판과의 사이에 제 1 끼움홈과 제 2 끼움홈이 마련되게 제 2 지지판에 결합된 세로구획판이 구비된 복수의 세로구획부;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서 돌출된 베이스돌출부가 마련되고, 베이스돌출부가 제 1 끼움홈 또는 제 2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어 세로구획부에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부; 및 베이스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평판형 구조를 가진 구획플레이트와, 구획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구획플레이트에 대해 T형 구조로 돌출된 구획돌출부가 마련되고, 구획돌출부가 구획플레이트에 대해 T형 구조로 돌출되어, 제 1 끼움홈 또는 제 2 끼움홈에 끼움결합되어 세로구획부에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구획부를 포함하고, 세로구획부, 가로구획부와 베이스부는 모듈화된 블럭구조로 상호 간에 블럭쌓기 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in a stepped manner, and a second support plate disposed in a T-shap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mpartment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partition plat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so as to have a fitting groove and a second fitting groove; At least one base portion provided with a base plate and a base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plate, the base protrusion being fitted into the first partition or the second partition; And a partition plate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and parti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in a T-shape to the partition plate, wherein the partition protrusions protrude in a T- And at least one transverse compartment fitted to the first compartment and the second compartment to be assembled in the longitudinal compartment, wherein the longitudinal compartment, the transverse compartment and the base part are assembled in a block- .

Description

조립식 가구{A Sectional Furniture}{A Sectional Furniture}

본 고안은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체결공구 없이 모듈화된 제품의 주요 구성품들을 단순히 서로 끼워 맞추어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urni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furniture that can be assembled by simply fitting the main components of a modularized product without a fastening tool.

일반적으로 조립식 가구는 나사나 못 등의 결합도구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형식이다.따라서, 망치, 드라이버 등의 조립도구가 있어야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고, 가구의 조립 및 분해 시간이 오래 걸리며, 혼자서는 가구 조립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또한, 현재 1인 가구가 급속도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the prefabricated furniture is a type that is assembled using a combination tool such as a screw or a nai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disassemble only with a hammer and a screwdriver, and it takes a long time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furni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rniture assembly is difficult, and the one-person household is rapidly increasing rapidly.

따라서, 혼자 사는 이들은 각자 개인이 가구를 조립하여야 하지만, 조립도구 및 결합도구를 사용하는 조립형 가구를 혼자서 조립하게 되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만 했다. 아울러, 나사와 같은 결합도구를 이용하여 조립된 조립식 가구는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제품의 분해 및/또는 재조립이 불편하다. As a result, individuals living alone must assemble furniture individually, but they have had to invest a lot of time and effort when assembling assembled furniture using assembly tools and joining tools alone. In addition, prefabricated furniture assembled using a coupling tool such as a screw is inconvenient for the consumer to disassemble and / or reassemble the product.

이와 더불어, 스테이플 타카로 뒷판이 연결된 제품인 경우에는 분해 조립이 거의 불가능한 관계로 조립된 형태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제품의 일부가 파손고장시 부분적 보수가 용이하지 않고, 제품이 나사철물에 의한 고정연결인 경우에, 제품의 크기를 공간에 맞게 줄이거나 늘리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product is connected to the back plate of the staple tack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product so that the product must be moved to the assembled form. In the case where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not easy, it is not easy to partially repair the product when a part of the product breaks down, and it is inconvenient to reduce or increase the size of the product in accordance with the space when the product is fixedly connected by a screw There was a problem.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0417호에는 조립식 가구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0417 discloses a prefabricated furniture.

본 고안은 체결공구 없이 모듈화 된 제품의 주요 구성품들을 단순히 서로 끼워 맞추어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urniture which can be assembled by simply fitt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modularized product without the fastening tool.

또한, 본 고안은 어떠한 체결공구도 필요 없으며, 경첩이 달린 받침대를 펴서 선반의 뒷판에 끼우는 단순 조립으로,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urniture which does not require any fastening tools and which is simply assembled by fitting a hinged pedestal into a back plate of a shelf, and being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아울러, 본 고안은 각 구성품이 모듈화되어, 재설치 작업시 조립순서 오류로 인한 불편이 없으며, 단순 끼어 맞춤 조립으로 재설치가 편리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urniture in which each component is modularized, there is no inconvenience due to an assembly sequence error in the reinstallation work, and the reinstallation is convenient with simple fitting assembly.

그리고, 본 고안은 각 구성품들이 모듈화 되어 있어, 해당 구성품을 단순 교체하므로써 유지보수가 가능한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urniture in which each component is modularized and can be maintained by simply replac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

또한, 본 고안은 각 공간에 맞게 가구를 높이거나 줄이고자 할 경우, 해당 구성품들을 추가해서 연결하거나 구성품들의 일부를 빼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urniture which, when it is desir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furniture according to each space, can additionally connect the components or subtract a part of the components to adjust the siz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는 제 1 지지판, 제 1 지지판의 일면에 단턱지게 부착된 제 2 지지판과, 제 2 지지판에 대해 T형 구조로 배치되고 제 1 지지판과의 사이에 제 1 끼움홈과 제 2 끼움홈이 마련되게 제 2 지지판에 결합된 세로구획판이 구비된 복수의 세로구획부;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서 돌출된 베이스돌출부가 마련되고, 베이스돌출부가 제 1 끼움홈 또는 제 2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어 세로구획부에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부; 및 베이스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평판형 구조를 가진 구획플레이트와, 구획플레이트의 일측에서 구획플레이트에 대해 T형 구조로 돌출된 구획돌출부가 마련되고, 구획돌출부가 구획플레이트에 대해 T형 구조로 돌출되어, 제 1 끼움홈 또는 제 2 끼움홈에 끼움결합되어 세로구획부에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구획부를 포함하고, 세로구획부, 가로구획부와 베이스부는 모듈화된 블럭구조로 상호 간에 블럭쌓기 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in a stepped manner, and a second support plate disposed in a T-shaped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mpartment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partition plat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so as to have a fitting groove and a second fitting groove; At least one base portion provided with a base plate and a base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plate, the base protrusion being fitted into the first partition or the second partition; And a partition plate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and parti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in a T-shape to the partition plate, wherein the partition protrusions protrude in a T- And at least one transverse compartment fitted to the first compartment and the second compartment to be assembled in the longitudinal compartment, wherein the longitudinal compartment, the transverse compartment and the base part are assembled in a block-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로구획판은 경첩에 의해 제 2 지지판에 접이식으로 연결되고, 제 1 끼움홈은 제 2 끼움홈의 반대편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partition plate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by a hinge, and the first fitt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삭제delete

본 고안은 체결공구 없이 모듈화 된 제품의 주요 구성품들을 단순히 서로 끼워 맞추어 조립할 수 있고, 어떠한 체결공구도 필요 없으며, 칸막이도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칸막이의 공간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경첩이 달린 받침대를 펴서 선반의 뒷판에 끼우는 단순 조립으로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ain components of the modularized product to be assembled by simply fitting them together without any fastening tools, no need for fastening tools, and the partition is not fixed with screws or the like, so that the space of the partition can be freely adjusted,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by simple assembly that spreads out the base and puts it on the back plate of the shelf.

아울러, 본 고안은 블럭형태로 모듈화되고, 미리 각 부품에 만들어져 있는 홈에 끼워서 조립할 수 있어, 재설치 작업시 조립순서 오류로 인한 불편이 없으며, 단순 끼어 맞춤 조립으로 재설치가 편리하고, 해당 블럭을 단순 교체하므로써 유지보수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odularized into a block shape, and can be assembled in a groove formed in each part in advance,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due to an assembling sequence error in the reinstallation work, and a simple reassembly is convenient for reinstallation, Maintenance is possible by replacing.

또한, 본 고안은 블럭을 추가하면서 여러 단을 수평, 수직으로 계속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각 공간에 맞게 가구를 높이거나 줄이고자 할 경우에 해당 블럭들을 추가해서 연결하거나 블럭의 일부를 빼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e to freely exte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ages while adding blocks.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the furniture by adding the corresponding blocks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blocks.

본 고안은 끼워서 조립하는 형태이어서 끼우는 부분이 자유단(고정시키지 않는 끝)이어서 하중의 상태에 따라 미세하게 움직이며 안정되므로, 종래의 고정단(나사,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킨 끝)에 비해서 사용 과정 중의 변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ssembling by inserting, the part to be fitted is a free end (an end which is not fixed), and it moves finel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load and is stabilized. Therefore,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fixed end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due to deformation of the termina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조립식 가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조립식 가구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구획부의 접혔을 때와 펼쳐졌을 때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조립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조립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조립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furniture assembl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chematically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illustrated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and a deployed state of the vertical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chematically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assembling procedure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조립식 가구(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는 베이스부(110, 120), 세로구획부(130a, 130b, 130c, 130d)와 가로구획부(140)를 포함한다. 조립식 가구(100)는 베이스부(110, 120), 세로구획부(130a, 130b, 130c, 130d)와 가로구획부(140)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하여, 수납장, 옷장, 책장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110, 120, a longitudinal partition 130a, 130b, 130c, 130d, and a lateral partition 140 .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may be used as a cabinet, a closet, a bookcase, etc. by assembling the base portions 110 and 120, the vertical partition portions 130a, 130b, 130c and 130d and the lateral partition portion 140 in various manners .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10, 120)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돌출부로 마련된다. 베이스플레이트는 평판형 구조를 가진다. 베이스돌출부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서 돌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 120)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돌출부가 기역(ㄱ)자 형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portions 110 and 120 are provided with a base plate and a base projection portion. The base plate has a flat plate-like structure. The base projection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base plate. 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portions 110 and 120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rotrus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base shape.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닥면에 접하는 베이스부(110, 120)에 대해 '제 1 베이스부(110)'라 지칭하고, 상부에 위치되는 베이스부(110, 120)에 대해 '제 2 베이스부(120)'라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일 뿐, 그 구조 및 역할은 상호 간에 동일함은 물론이다. In this embodimen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first base portion 110 is referred to as a base portion 110 and the base portions 110 and 12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ill be referred to as " second base portion 120 ". Here, the first base portion 110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0 are separated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structure and roles of the first base portion 110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0 are mutually the same.

이하에서는, 제 1 베이스부(110)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제 1 베이스플레이트(111)'라 지칭하고, 베이스돌출부에 대해 '제 1 베이스돌출부(112)'로 지칭하기로 하며, 제 2 베이스부(120)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제 2 베이스플레이트(121)'라 지칭하고, 베이스돌출부에 대해 '제 2 베이스돌출부(122)'로 지칭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base plate of the first base unit 110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base plate 111' and the base protrusion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base protrusion 112' The second base plate 121 will be referred to as a base plate of the unit 120 and the second base protrusion 122 will be referred to as a base protrusion.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구획부(130a, 130b, 130c, 130d)는 제 1 지지판(131), 제 2 지지판(132)과 세로구획판(133)으로 이루어진다. 2 and 3, the vertical partition 130a, 130b, 130c, and 130d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131, a second support plate 132, and a vertical partition plate 133. [

제 1 지지판(131)은 평판형 구조를 가진다. 제 1 지지판(131)의 일면에는 제 2 지지판(132)이 부착된다. 이때, 제 2 지지판(132)은 제 1 지지판(131)에 대해 단턱지게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지지판(132)은 제 1 지지판(131)과 마찬가지로 평판형 구조를 가진다.The first support plate 131 has a flat plate-like structure. A second support plate 132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13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upport plate 132 is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131 in a stepwise manner. The second support plate 132 has a plate-like structure like the first support plate 131.

제 2 지지판(132)의 일면에는 제 1 지지판(131)이 부착되고, 제 2 지지판(132)의 다른 일면에는 세로구획판(133)이 결합된다. 세로구획판(133)은 제 2 지지판(132)의 다른 일면에 대해 T형 구조로 배치된다. A first support plate 131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32 and a vertical partition plate 133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32. The longitudinal partition plate 133 is arranged in a T-shape with respect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32. [

세로구획판(133)은 경첩(135)에 의해 제 2 지지판(132)에 접이식으로 연결된다. 도 3(a)에는 세로구획판(133)이 제 2 지지판(132)에 대해 접혀진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세로구획판(133)이 제 2 지지판(132)에 대해 펼쳐진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The longitudinal partition plate 133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132 by a hinge 135. [ 3 (a)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33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plate 132 and FIG. 3 (b)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33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plate 132 Structure is shown.

세로구획판(133)은 평판형 구조를 가진다. 세로구획판(133)은 제 1 지지판(131)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제 1 베이스플레이트(111), 제 2 베이스플레이트(121) 또는 후술할 구획플레이트(141)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평판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는, 세로구획판(133)은 조립식 가구(100)의 디자인의 특성에 따라 구획플레이트(141)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약간 폭이 좁을 수도 있고 면을 둥글게 만들경우 약간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구획판(133)의 크기 및 모양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하며,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가변가능하다.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33 has a flat plate-like structure.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33 has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support plate 131 and has a flat plate-like structure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first base plate 111, the second base plate 121, . Alternatively, the vertical partitioning plate 133 may be slightly narrower than the partitioning plate 141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or may have a slightly protruding structure when the surface is rounded In this embodiment, the size and shape of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33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a range obvious from the stand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세로구획판(133)은 제 1 지지판(131)과의 사이에 제 1 끼움홈(137)과 제 2 끼움홈(138)이 마련되게 제 2 지지판(132)에 결합된다. 제 1 끼움홈(137)은 제 2 끼움홈(138)의 반대편에 마련된다. 제 1 끼움홈(137) 또는 제 2 끼움홈(138)은 제 1 베이스돌출부(112), 제 2 베이스돌출부(122) 또는 구획돌출부(142)가 끼움결합되는 부분이다.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33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132 so that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are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33 and the first supporting plate 131.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or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is a portion where the first base protrusion 112, the second base protrusion 122, or the compartment protrusion 142 is fitt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는 세로구획판(133)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해, 어떠한 체결공구나,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어떠한 결합부재의 사용없이도,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 사이에 맞물림 결합구조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용이하게 조립된 만큼 분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세로구획부(130a, 130b, 130c, 130d)는 조립식 가구(100)에서 분해된 후에, 접어서 판상 형태로 포개서 적재가능하여, 이동 및/또는 보관이 편리하다.
Because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f the longitudinal partition plate 133, the first base portion 110 (110) can be used without any fastening tool or any joining member for connecting them,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0, and can be easily disassembled as easily assembled. In addition, the vertical dividing sections 130a, 130b, 130c, and 130d having the above structure are disassembled in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and then folded and stacked in a plate form so that they can be easily moved and / or stored.

이하에서는 가로구획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horizontal partition 140 will be described.

가로구획부(14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이상의 구조를 조립할 때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구획부(140)는 구획플레이트(141)와 구획돌출부(142)로 이루어진다. 구획플레이트(141)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평판형 구조를 가진다. The lateral partition 140 is used to assemble a structure having two or more stages, as shown in FIG. 2 and FIG. As shown in FIG. 2, the lateral partition 140 includes a partition plate 141 and a partition projection 142. The partition plate 141 has a flat plate-lik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구획플레이트(141)의 일측에서는 구획돌출부(142)가 마련된다. 구획돌출부(142)는 구획플레이트(141)에 대해 T형 구조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구획돌출부(142)는 제 1 끼움홈(137) 또는 제 2 끼움홈(138)에 끼움결합되는 부분이다.
At on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141, a partition projection 142 is provided. The partition projection 142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partition plate 141 in a T-shaped structure. Here, the partition protrusion 142 is a portion that is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or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단층구조를 가진 조립식 가구(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층구조를 가진 조립식 가구(1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제 1 베이스부(110), 복수의 세로구획부(130a, 130b)와 제 2 베이스부(120)로 이루어진다.4, in order to assemble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a first base 110,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mpartments 130a and 130b, and a second base 120 are assembled.

여기서, 제 1 베이스부(110)는 바닥면에 설치된다. 제 1 베이스부(110)의 제 1 베이스돌출부(112)는 상부를 향해 위치된다. 제 1 베이스돌출부(112)에는 세로구획부(130a, 130b)의 제 1 끼움홈(137)이 끼움결합된다. Here, the first base portion 1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base protrusion 112 of the first base portion 110 is positioned toward the top. The first base protrusion 112 is fitted in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of the vertical partition 130a or 130b.

복수의 세로구획부(130a, 130b) 각각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제 1 베이스부(110)에 결합된다. 이때, 세로구획부(130a, 130b)의 세로구획판(133)은 제 1 베이스플레이트(111)에 맞닿게 위치된다. 그리고, 세로구획부(130a, 130b)의 제 1 지지판(131)은 제 1 끼움홈(137)에 제 1 베이스돌출부(112)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 1 베이스돌출부(112)와 맞닿게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partitions 130a and 130b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first base part 110. [ At this time, the vertical partitioning plates 133 of the vertical partitioning parts 130a and 130b are positioned to abut the first base plate 111. [ The first support plate 131 of the vertical partitioning parts 130a and 130b is formed so as to abut against the first base protrusion 112 in a state where the first base protrusion 112 is fitted in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desirable.

세로구획부(130a, 130b)의 제 2 끼움홈(138)에는 제 2 베이스부(120)의 제 2 베이스돌출부(122)가 끼움결합된다. 제 2 베이스부(120)는 제 1 베이스부(110)의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제 1 베이스부(110)와 나란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베이스부(120)의 세로구획부(130a, 130b)의 결합구조는 제 1 베이스부(110)와 세로구획부(130a, 130b)의 결합구조와 동일하다. The second base protrusions 122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0 are fit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s 138 of the vertical partition portions 130a and 130b. The second base portion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ase portion 110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se portion 110.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vertical partitions 130a and 130b of the second base part 120 is the same as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base part 110 and the vertical partitions 130a and 130b.

도 4에서는 2 개의 세로구획부(130a, 130b)가 사용되어,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 사이 공간을 구획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구조에 불과하며, 조립식 가구(100)의 크기 및 사용자가 원하는 구조에 따라 설치개수가 가변될 수 있다.
Although two longitudinal dividing sections 130a and 130b are used in FIG. 4 to divide a space between the first base section 110 and the second base section 120, this is only an exemplary structure, And the number of the installation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ired by the user.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단 적층구조를 가진 조립식 가구(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abricated furniture 100 having a multi-layer laminat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5. FIG.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2단 구조를 가진 조립식 가구(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2단구조를 가진 조립식 가구(100)는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 사이에 가로구획부(140)가 더 설치된 것이다. 여기서, 가로구획부(140)는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 사이의 공간을 가로로 구획하기 위한 것이다. First, a prefabricated furniture 100 having a two-tier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having a two-stage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with a lateral partition 140 between the first base portion 110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0. Here, the lateral partition 140 is for horizontally partition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ase 110 and the second base 120.

상술했듯이, 가로구획부(140)는 구획플레이트(141)와 구획돌출부(142)가 T형 구조로 결합된 것이다. 여기서, 구획플레이트(141)는 제 1 베이스플레이트(111)와 제 2 베이스플레이트(121)와 동일한 면적을 가진 평판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구획플레이트(141)의 면적이 반드시 제 1 베이스플레이트(111)와 제 2 베이스플레이트(121)와 동일한 면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이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설계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ateral partition 140 is formed by combining the partition plate 141 and the partition projection 142 in a T-shaped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plate 141 has a plate-like structure having the same area as the first base plate 111 and the second base plate 121. However, it is not necessary for the area of the partition plate 141 to have the same area as that of the first base plate 111 and the second base plate 121, and the design can be changed within a range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be.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로구획부(130a, 130b, 130c, 130d)에 대해 제 1 세로구획부(130a), 제 2 세로구획부(130b), 제 3 세로구획부(130c)와 제 4 세로구획부(130d)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and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are form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artition 130a, 130b, 130c, and 130d, And a fourth vertical partition 130d.

여기서, 제 1 세로구획부(130a)와 제 2 세로구획부(130b)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제 1 세로구획부(130a)의 제 1 끼움홈(137)과 제 2 세로구획부(130b)의 제 1 끼움홈(137)이 제 1 베이스돌출부(112)에 맞물려결합되는 방식으로 제 1 베이스부(110)에 연결된다.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and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and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of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The first base portion 110 is coup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of the first base portion 110 is engaged with the first base projection portion 112. [

제 1 세로구획부(130a)의 제 2 끼움홈(138)과 제 2 세로구획부(130b)의 제 2 끼움홈(138)에는 가로구획부(140)의 구획돌출부(142)가 맞물려 결합된다. 여기서, 가로구획부(140)의 구획플레이트(141)는 제 1 베이스플레이트(111)와 평행하게 마주보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tition protrusion 142 of the horizontal partition 140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of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of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plate 141 of the lateral partition 14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se plate 111. [

구획플레이트(141)의 하부에는 제 1 세로구획부(130a)와 제 2 세로구획부(130b)가 위치되고, 구획플레이트(141)의 상부에는 제 3 세로구획부(130c)와 제 4 세로구획부(130d)가 위치된다.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and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are positioned below the partition plate 141 and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and the fourth vertical partition 130b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plate 141. [ The portion 130d is located.

이때, 제 3 세로구획부(130c)의 제 1 끼움홈(137)과 제 4 세로구획부(130d)의 제 1 끼움홈(137)은 구획플레이트(141)의 상부로 돌출된 구획돌출부(142)에 맞물려 결합된다. 그리고, 제 3 세로구획부(130c)의 제 2 끼움홈(138)과 제 4 세로구획부(130d)의 제 2 끼움홈(138)에는 제 2 베이스부(120)의 제 2 베이스돌출부(122)가 끼움결합된다. 이때, 제 2 베이스플레이트(121)는 구획플레이트(141)와 상부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주보게 위치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of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and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of the fourth vertical partition 130d are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projection 141 .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of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of the fourth vertical partition 130d are provided with a second base protrusion 122 of the second base 120 ). At this time, the second base plate 121 is spaced upward from the partition plate 141 and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plate 141.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100)는 가로구획부(140)와 세로구획부(130a, 130b, 130c, 130d)를 다양하게 가변하여, 도 5에 도시된 같은 3단 적층구조를 가진 수납장으로 조립될 수도 있고,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레고방식으로 수평으로 확장 또는 수직으로 확장된 조립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조립하는 자의 미적감각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조립식 가구(100)는 수납장, 테이블, 옷장, 책장 등 다양한 목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abinet having the same three-tiered laminated structure shown in Fig. 5 by varying the lateral partition 140 and the longitudinal partition 130a, 130b, 130c and 130d May be assembled and may have an assembled structure that extends horizontally or vertically in a Lego fashion,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by way of example. Accordingly, the prefabricated furniture 100 can be assembl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cabinet, a table, a wardrobe, a bookcase,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aesthetics of the person to be assembled or the purpose of us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a prefabricated furni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이스플레이트(111)와 제 1 베이스돌출부(112)가 마련된 제 1 베이스부(110)가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후, 제 1 세로구획부(130a)가 제 1 베이스부(1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세로구획부(130a)의 제 1 끼움홈(137)이 제 1 베이스돌출부(112)에 끼움결합된다. 제 1 세로구획부(130a)의 세로구획판(133)은 제 1 베이스플레이트(111)의 폭방향으로 놓인다.First, as shown in FIG. 6 (a), a first base 110 having a first base plate 111 and a first base protrusion 112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after,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110. [ Specifically,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of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is fitted to the first base protrusion 112. As shown in FIG.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133 of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li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ase plate 111. [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세로구획부(130b)가 제 1 세로구획부(130a)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 1 베이스부(110)에 결합된다. 이때, 제 2 세로구획부(130b)의 제 1 베이스부(110)와의 결합방식은 제 1 세로구획부(130a)와 제 1 베이스부(110)와의 결합방식과 동일하다.Next, as shown in FIG. 6 (b),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is coupled to the first base 1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o. At this time, the coupling method of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with the first base 110 is the same as that of coupling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and the first base 110.

이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구획부(140)가 제 1 세로구획부(130a)와 제 2 세로구획부(130b)를 연결토록 제 1 세로구획부(130a)와 제 2 세로구획부(130b)에 조립된다. 이때, 가로구획부(140)의 구획돌출부(142)는 제 1 세로구획부(130a)의 제 2 끼움홈(138)과 제 2 세로구획부(130b)의 제 2 끼움홈(138)에 끼움결합된다. 구획플레이트(141)는 제 1 베이스플레이트(111)와 평행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6 (c), the horizontal partition 140 connects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and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to connect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and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2 vertical partition portion 130b. At this time, the partition protrusion 142 of the lateral partition 1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of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of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 The partition plate 141 is preferably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se plate 111.

다음으로, 도 6(d)과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구획부(140)의 상부로 제 3 세로구획부(130c)와 제 4 세로구획부(130d)가 조립된다. 이때, 제 3 세로구획부(130c)는 제 1 세로구획부(130a)의 상부에 놓이고, 제 4 세로구획부(130d)는 제 2 세로구획부(130b)의 상부에 놓인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3 세로구획부(130c)와 제 4 세로구획부(130d) 사이에는 또 다른 세로구획부(130a, 130b, 130c, 130d)가 더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3 세로구획부(130c)의 제 1 끼움홈(137)가 제 4 세로구획부(130d)의 제 1 끼움홈(137)은 구획돌출부(142)에 끼움결합된다. Next, as shown in FIG. 6 (d) and FIG. 6 (e),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and the fourth vertical partition 130d are assembl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140. At this time,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vertical partition 130a, and the fourth vertical partition 130d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vertical partition 130b.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nother longitudinal partition 130a, 130b, 130c, and 130d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and the fourth vertical partition 130d .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of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and the first fitting groove 137 of the fourth vertical partition 130d are fitted into the partition projection 142. [

그리고,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부(120)는 제 2 베이스돌출부(122)가 제 3 세로구획부(130c)의 제 2 끼움홈(138)과 제 4 세로구획부(130d)의 제 2 끼움홈(138)에 끼움결합되어, 제 3 세로구획부(130c)와 제 4 세로구획부(130d)를 연결한다. 제 2 베이스부(120)의 제 2 베이스플레이트(121)는 구획플레이트(14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2단 수납장을 조립할 수 있다.
6 (f), the second base portion 120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base projection portion 122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of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portion 130c and the fourth vertical portion And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and the fourth vertical partition 130d are engaged with the second fitting groove 138 of the second partition 130d. The second base plate 121 of the second base unit 12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artition plate 141, so that the two-stage storage unit can be assembl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가구의 조립방법은 제 2 베이스부(120)가 제 3 세로구획부(130c)와 제 4 세로구획부(130d)를 연결하기 전에, 도 6(c) 내지 도 6(e)의 과정을 반복한 후에 도 6(f)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하여, 다단 적층구조를 가진 수납장을 조립할 수 있다. 6 (c), before the second base portion 120 connects the third vertical partition 130c and the fourth vertical partition 130d,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6 (e), and then the process shown in FIG. 6 (f) is performed to assemble a cabinet having a multi-layered laminated structure.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되는 조립가구는 가로구획부(140)와 세로구획부(130a, 130b, 130c, 130d)의 설치개수를 가변시켜, 조립가구의 구조를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계속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고, 가로구획부(140)와 세로구획부(130a, 130b, 130c, 130d)가 제 1 베이스부(110)와 제 2 베이스부(120)에 대해 나사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칸막이 공간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The assembled furniture assembled in the above manner can vary the number of the horizontal partition 140 and the vertical partition 130a, 130b, 130c, and 130d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assembled furniture can be freely extend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the lateral partition 140 and the longitudinal partition 130a, 130b, 130c and 130d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base portions 110 and 120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The cubicle space can be freely adjusted as desired by the user.

본 고안은 체결공구 없이 모듈화된 제품의 주요 구성품들을 단순히 서로 끼워 맞추어 조립할 수 있고, 어떠한 체결공구도 필요 없으며, 칸막이도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칸막이의 공간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경첩(135)이 달린 받침대를 펴서 선반의 뒷판에 끼우는 단순 조립으로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ain components of the modularized product to be assembled by simply fitting them together without any fastening tools and without any fastening tools and since the partition is not fixed with screws or the like, the space of the partition can be freely adjusted, ) Is mounted on the back plate of the shelf. It is very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아울러, 본 고안은 블럭형태로 모듈화되고, 미리 각 부품에 만들어져 있는 홈에 끼워서 조립할 수 있어, 재설치 작업시 조립순서 오류로 인한 불편이 없으며, 단순 끼어 맞춤 조립으로 재설치가 편리하고, 해당 블럭을 단순 교체하므로써 유지보수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odularized into a block shape, and can be assembled in a groove formed in each part in advance,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due to an assembling sequence error in the reinstallation work, and a simple reassembly is convenient for reinstallation, Maintenance is possible by replacing.

또한, 본 고안은 블럭을 추가하면서 여러 단을 수평, 수직으로 계속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각 공간에 맞게 가구를 높이거나 줄이고자 할 경우에 해당 블럭들을 추가해서 연결하거나 블럭의 일부를 빼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e to freely exte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tages while adding blocks.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the furniture by adding the corresponding blocks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blocks.

본 고안은 끼워서 조립하는 형태이어서 끼우는 부분이 자유단(고정시키지 않는 끝)이어서 하중의 상태에 따라 미세하게 움직이며 안정되므로, 종래의 고정단(나사,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킨 끝)에 비해서 사용 과정 중의 변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ssembling by inserting, the part to be inserted is a free end (an end that is not fixed), and it moves finel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load and is stable. Therefore,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fixed end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due to deformation of th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조립식 가구 110: 제 1 베이스부
111: 제 1 베이스플레이트 112: 제 1 베이스돌출부
120: 제 2 베이스부 121: 제 2 베이스플레이트
122: 제 2 베이스돌출부 130a, 130b, 130c, 130d: 세로구획부
131: 제 1 지지판 132: 제 2 지지판
133: 세로구획판 135: 경첩
137: 제 1 끼움홈 138: 제 2 끼움홈
140: 가로구획부 141: 구획플레이트
142: 구획돌출부
100: prefabricated furniture 110: first base part
111: first base plate 112: first base protrusion
120: second base part 121: second base plate
122: second base protrusions 130a, 130b, 130c, 130d:
131: first support plate 132: second support plate
133: longitudinal partition plate 135: hinge
137: first fitting groove 138: second fitting groove
140: transverse compartment 141: compartment plate
142: compartment protrusion

Claims (3)

제 1 지지판, 상기 제 1 지지판의 일면에 단턱지게 부착된 제 2 지지판과, 상기 제 2 지지판에 대해 T형 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지판과의 사이에 제 1 끼움홈과 제 2 끼움홈이 마련되게 상기 제 2 지지판에 결합된 세로구획판이 구비된 복수의 세로구획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서 돌출된 베이스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돌출부가 상기 제 1 끼움홈 또는 상기 제 2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세로구획부에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평판형 구조를 가진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구획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대해 T형 구조로 돌출된 구획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돌출부가 상기 구획플레이트에 대해 T형 구조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끼움홈 또는 상기 제 2 끼움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세로구획부에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구획부, 상기 가로구획부와 상기 베이스부는 모듈화된 블럭구조로 상호 간에 블럭쌓기 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A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straddling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arranged in a T-shap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having a first fitting groove and a second fitt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lates, A plurality of longitudinal compartment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partition plat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so as to be provided;
At least one base portion having a base plate and a base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plate, the base protrusion being fitted to the longitudinal partition portion by being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or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A partition plate having a flat plate-lik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base plate, and a parti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in a T-shape to the partition plate, wherein the partition protrusion has a T- And at least one lateral partition which is fit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or the second fitting groove and assembled to the longitudinal partition,
Wherein the vertical partition, the lateral partition, and the base are assembled together in a block-building manner in a modular block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구획판은 경첩에 의해 상기 제 2 지지판에 접이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끼움홈은 상기 제 2 끼움홈의 반대편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partition plate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by a hinge,
And the first fitt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삭제delete
KR2020150002356U 2015-04-13 2015-04-13 A Sectional Furniture Expired - Fee Related KR2004819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56U KR200481983Y1 (en) 2015-04-13 2015-04-13 A Sectional Furni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56U KR200481983Y1 (en) 2015-04-13 2015-04-13 A Sectional Furni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45U KR20160003645U (en) 2016-10-21
KR200481983Y1 true KR200481983Y1 (en) 2016-12-02

Family

ID=5723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35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1983Y1 (en) 2015-04-13 2015-04-13 A Sectional Furni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98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091A (en) 2017-07-05 2019-01-15 박찬민 Prefabricated furniture structure using standardized blocks and prefabricated furniture manufactured by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5882A1 (en) * 2012-08-27 2014-06-19 Herman Miller, Inc. Partition system and accessories for use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13792U1 (en) * 1997-08-02 1997-11-27 KR-Porsiplast Verpackungssysteme GmbH, 76461 Muggensturm Shelf made of assembled parts
US6314892B1 (en) * 1999-06-21 2001-11-13 Peter B. Favini Foldable table
KR20130060417A (en) 2011-11-30 2013-06-10 오흥원 A adjustable furni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5882A1 (en) * 2012-08-27 2014-06-19 Herman Miller, Inc. Partition system and accessories for use therewith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RE038707 E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091A (en) 2017-07-05 2019-01-15 박찬민 Prefabricated furniture structure using standardized blocks and prefabricated furniture manufactured by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45U (en)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6397B1 (en) Modular partition
US9282820B2 (en) Modular rack assembly
KR101727375B1 (en) A modular apparatus for realization of wardrobes provided with plastic structure
US9655445B2 (en) Table bench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50056604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ectional rack
KR101478953B1 (en) Prefabricated shelf
KR200481983Y1 (en) A Sectional Furniture
KR101810743B1 (en) Bracket for Assembling Furniture, Furniture and Assemble Method thereof
KR20170034061A (en) Assembly type container box with mounted accessary
US2007014586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US12274011B2 (en) Extension kit
KR200473130Y1 (en) Prefabrted storage closet
JP6422373B2 (en) Furniture with a top plate
KR101677588B1 (en) Furniture in kit form
KR102598229B1 (en) A prefabricated bookshelf
KR20150003434U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between side plate and rear plates of bookcase
JP6422374B2 (en) Furniture with a top plate
KR20210063778A (en) Desk leg structure based on connection bracket and desk comprising the same
KR20200001740U (en) assembled multilayer shelf
US10045620B2 (en) Reconfigurable furniture system
KR101772980B1 (en) Hybrid frame bed frame
KR101613820B1 (en) Connector for various furniture assembly
WO2006011250A1 (en) Assembly type shelf module and assembly type storage shelf using the shelf module
KR101190435B1 (en) Multifunctional furniture
KR200331489Y1 (en) Many items expansion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4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611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309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