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04636A - 터치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636A
KR20130004636A KR1020110065782A KR20110065782A KR20130004636A KR 20130004636 A KR20130004636 A KR 20130004636A KR 1020110065782 A KR1020110065782 A KR 1020110065782A KR 20110065782 A KR20110065782 A KR 20110065782A KR 20130004636 A KR20130004636 A KR 20130004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or
input
signal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비아랩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아랩 인크 filed Critical 비아랩 인크
Priority to KR102011006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636A/ko
Priority to PCT/KR2012/005310 priority patent/WO2013005988A2/ko
Publication of KR2013000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차동입력형 센서를 이용하면서도 터치 및 홀드 감지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가 제안된다. 제안된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패널, 차동입력형 제1센서, 정전용량형 제2센서 및 제1센서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1센서 신호처리부 및 제2센서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2센서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장치{Touch screen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동입력형 센서를 이용하면서도 터치 및 홀드 감지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과 같이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가 함께 구비되어 작동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에 정보입력이 가능한 형태를 갖는 제품이 각광받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평면으로 된 디스플레이부에 입력 펜이나 사용자의 손 등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터치스크린에는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피에조 효과 방식을 사용하는 터치스크린의 경우, 표면 터치시 진동, 또는 터치에 반응하여 내부에 전파되는 진동 및 음파에 민감한 피에조 소자를 이용하여 감지하게 된다. 이 때, 터치 입력이 없는 기저상태와 터치입력이 들어오는 순간 발생하는 신호의 차이를 검출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스크린 내에서 터치한 위치를 파악한다.
즉 터치 입력이 들어오는 순간 발생하는 입력신호와 기저상태의 변화량만을 이용하여 그 변화량의 크기, 신호의 모양, 신호의 길이 등을 매개로 터치 입력 여부, 또는 터치한 위치를 계산을 통하거나 미리 저장해 놓은 신호 패턴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내는 차동입력방식이 사용된다. 특히, 터치가 지속되는 동안 입력신호가 유지되지 않는, 진동이나 음파 등을 매개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들은 차동입력방식으로 구현될 수 밖에 없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 동향을 볼 때 '터치 및 홀드' 기능은 터치 입력의 범위를 확장시켜주는 매우 중요한 인터페이스 중 하나이다. 컴퓨터에 사용되는 마우스와 비교한다면 터치 자체는 왼쪽 버튼, 터치 및 홀드는 오른쪽 버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어 그 유용성이 매우 크다.
차동입력방식을 이용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에 있어, 터치 입력에 대한 감도의 향상이나 지속적인 변화가 있는 입력에 대해서는 작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터치 및 홀드(Touch & Hold)' 입력, 즉 터치 후 해당 위치에서 터치가 지속될 경우 이를 검출할 수단이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동입력형 센서를 이용하면서도 터치 및 홀드 감지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패널; 터치패널에 입력되는 터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동입력형 제1센서; 터치패널에 입력되는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용량형 제2센서; 및 제1센서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1센서 신호처리부 및 제2센서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2센서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터치패널에 '터치 및 홀드'가 입력되면, 컨트롤러는 제2센서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한다.
터치패널에 제1터치가 입력되면 제2센서가 제1터치를 감지하고, 컨트롤러는, 제2센서가 감지한 제1터치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제1센서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온(on)할 수 있다. 이 때, 제1터치가 후 제2터치가 입력되면, 제1센서는 제2터치를 감지하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패널에 손가락이 근접하면, 제2센서는 터치근접동작을 감지하고, 컨트롤러는, 제2센서가 감지한 터치근접동작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제1센서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온(on)할 수 있다.
제1센서는 적외선감지형 센서, 진동감지형 센서 또는 음파감지형 센서일 수 있다.
제2센서는 터치패널의 상면에 위치한 투명도전막; 및 터치패널의 하면에 위치한 검지전극;을 포함할 수 있는데, 투명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막 또는 그라핀(graphe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2센서는 터치패널의 하면에 위치한 불투명도전막;을 포함할 수 있는데, 불투명도전막은 카본 또는 금속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차동입력형 센서를 이용하면서도 터치 및 홀드 감지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입력 대기시 소비전력이 낮은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여 먼저 감지하고 터치 입력이 들어오는 즉시, 이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처리 시 소비전력이 높은 차동입력형 센서의 신호처리를 시작할 수 있어서 차동입력형 터치스크린 장치의 대기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2가지의 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손가락이 아닌 2개의 손가락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터치하는 더블터치가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고 빠르면서 정확하게 더블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0)는 터치패널(110); 터치패널(110)에 입력되는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차동입력형 제1센서(120); 터치패널(110)에 입력되는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용량형 제2센서(130); 및 제1센서(120)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1센서 신호처리부 및 제2센서(130)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2센서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터치패널(110)은 사용자의 명령이 터치형태로 입력되기 위한 패널이다. 터치스크린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화상표시장치(미도시)와 함께 사용되며 화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에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거나 화상을 선택하거나 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터치스크린 장치(100)는 화상표시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터치패널(110)을 통하여 화상이 사용자측에 노출되거나 터치패널(110) 자체가 화상표시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0)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차동입력형 제1센서(120) 및 정전용량형 제2센서(130)를 포함한다.
제1센서(120)는 차동입력형 센서이다. 제1센서(120)는 여러가지 센서 중, 특히 기설정된 신호의 크기나 파형을 기초로 하여 터치 입력된 신호와의 차이를 분석, 계산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차동입력형(Differential Input type) 센서이다.
이러한 센서로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적외선 감지형 센서 또는 피에조 소자를 이용하는 진동감지형 센서, 또는 이와 유사하게 피에조 소자를 이용하는 음파감지형 센서를 예로 들 수 있다. 적외선 감지형 센서는 터치패널의 일단에 발광소자인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배열하고, 타단에 수광소자인 포토트랜지스터를 배열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한다. 적외선의 측성상 장애물이 있으면 진행하지 못하므로,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매트릭스를 만들어 터치시 어느 위치에서 터치가 되는지 알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수광소자 및 발광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주변의 광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일종의 모듈레이션을 이용하거나, 본 발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수광소자의 입력 변화량만을 터치 신호로 이용하는 차동입력 방식이 있다.
진동감지형 센서는 터치패널의 네 모서리에 피에조 소자를 배치하고, 터치패널이 터치되면 그 압력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모서리에서 받는 압력의 정도가 다르게 되므로 이를 컨트롤러(140)가 계산하여 좌표값을 산출하게 된다. 음파감지형 센서는 터치패널에 터치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음파 진동의 신호를 특정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피에조소자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동안 검출하고 그 해당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여 기존의 패턴과 유사도를 컨트롤러(140)가 계산, 분석하여 좌표값을 산출하게 된다. 도 1에서, 제1센서(120)는 터치패널(110)의 하면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이는 제1센서(120)가 진동감지형 센서 또는 음파감지형 센서인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이와 다른 센서의 경우에는 제1센서는 도 1과 다르게 도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1센서(120)가 차동입력형 센서이기 때문에, 제1센서(120)가 진동감지형 센서 또는 음파감지형 센서라고 가정하면, 터치가 입력되는 순간 컨트롤러에서는 입력신호와 기저상태의 신호간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터치를 판단한다. 즉, 터치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이 터치패널(110)의 일단에 도달하여 다시 내부로 진행하고, 타단에서 발생한 진동과 만나 소정 파형을 생성한다. 이러한 파형을 감지하여 기 저장된 파형과 비교, 분석하여 실제 터치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한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제2센서(130)는 정전용량형 센서이다. 정전용량형 센서는 사용자가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키는 손가락 등으로 터치패널(110)을 터치할 때, 커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여부를 인식할 수 있고, 이를 매트릭스 형태로 구현할 경우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이다. 정전용량형 센서는 표면의 커패시턴스 값을 직접 검출하기 때문에 차동입력형과 같이 기저장된 설정값을 기초로 변화에 대한 연산을 할 필요없이 터치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패널(110)을 터치한 후, 소정시간동안 터치를 유지하다가 터치패널(110)로부터 손가락을 뗀 경우, 그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제2센서(130)는 터치 후에 터치된 위치에 지속적으로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 및 홀드'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제2센서(130)는 정전용량형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터치패널(110)의 상면 중 터치 가능한 영역에 투명도전막(131)을 위치시키고, 이를 검지하기 위하여 터치패널(110)의 하부에 검지전극(132)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 투명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막 또는 그라핀(graphen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도전막(131)은 터치패널(110) 위의 터치 가능 영역 어디에든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더라도 검지전극(132)을 통해 제2센서(130)이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컨트롤러(140)는 제1센서(120) 및 제2센서(130)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1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 및 제2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터치패널(110)에 터치가 입력되면, 제1센서(120) 및 제2센서(130)는 이를 각각 감지한다.
터치스크린 장치(100)는 2개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센서의 감지에 대한 선후를 조절하여 각 센서의 기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터치패널(110)에 제1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제2센서(130)만이 먼저 제1터치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센서(130)에서 제1터치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컨트롤러(140)에 전달하면, 컨트롤러(140)는 제1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의 동작을 온(on)할 수 있다.
제2센서(130)는 정전용량형 센서이고, 제1센서(120)는 차동입력형 센서인데, 차동입력형 센서는 터치가 입력되면 기설정된 신호값을 검색하여 터치로 인한 신호값과 비교, 분석하게 되고 복잡한 계산이 수반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전용량형 센서를 사용하면 터치가 행해진 위치와 관계없이 커패시턴스 변화가 투명 도전막(131)을 통해 검지전극(132)으로 전달되어 제2센서(130)가 이를 감지하므로 비교적 전력소모가 작다.
즉, 차동입력형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한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신호처리부의 대기전력소모량이 많고 소비전력 소모량 또한 많다. 정전용량형 센서에서 감지한 신호의 처리는 적절한 임계값 (Threshold)만을 두고 터치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계산 등이 복잡하지 않아, 제2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의 동작을 온(on)으로 대기하는 경우, 대기전력 소모량이나 소비전력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제1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 및 제2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가 계속적으로 온(on)되어 신호를 처리한다면 대기전력 소모량이 높을 것이나, 전력소모량이 낮은 제2센서(130)가 먼저 제1터치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1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의 동작이 온(on)되어 제1터치의 위치를 인식한다면 대기전력이나 소비전력 절감이 가능하여 사용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책이나 휴대폰에서와 같이 소형화, 박형화 추세에 있고 배터리의 크기에 제약이 있으며, 비교적 장시간 사용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더욱 바람직하다.
'터치 및 홀드'의 입력시에는, 컨트롤러(140)가 제1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의 동작은 오프(off)상태를 유지하고, 제2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의 동작은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2센서(130)로부터 터치 여부가 감지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는다. 컨트롤러(140)는 터치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제2센서(130)에서 입력되는 값이 일정값 이상이면 터치로 인식하여, 제1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의 동작은 온(on)하게 된다. 컨트롤러(140)는 제1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에서 제1센서(120)에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의 위치를 인식하고, 제2센서(130)의 터치 여부가 정해진 시간이상 온(on) 상태이면 이를 '터치 및 홀드'입력으로 판단한다.
터치패널(110)에 제1터치가 입력되고, 그 후 다시 제2터치가 입력되면, 제1터치에 의하여 온(on)된 제1센서(120)가 제2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더블터치의 경우로서, 더블터치는 터치패널(110)을 2번 또는 그 이상 연속으로 터치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블터치는 터치패널의 동일 위치를 2번 터치하게 되는데 이 때에는 터치, 해제, 터치 및 해제를 반복하기 때문의 하나의 손가락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터치는 화면 전체 어디에서나 가능하며, 제1터치가 입력되면 이를 제2센서(130)가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받아 제1센서(120)가 온(on)되고, 그 후 원하는 위치에 제2터치가 발생하면 제1센서(120)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하나의 손가락으로 동일 위치를 두번 터치하는 더블터치가 아닌 2개의 손가락으로 수행하는 더블터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은 키보드로 보자면 일종의 시프트(Shift)키, 또는 알트(Alt)키를 누르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터치 및 홀드와 더불어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터치패널(110)에 손가락이 근접하면, 터치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도, 정전용량센서인 제2센서(130)는 터치근접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40)는, 제2센서(130)가 감지한 터치근접동작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고, 제1센서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온(on)상태로 시동한다. 따라서, 터치근접동작 후 터치패널(110)에 터치가 입력되면 제1센서(120)가 이를 감지하여 제1센서 신호처리부(미도시)에서 터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차동입력형 센서를 이용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경우, 팜 리젝션(Palm Rejection)기능을 포함한다. 이는 차동입력형 센서의 경우 '터치 및 홀드' 입력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히려 변화가 없는 팜(palm) 터치 상태를 무시할 수 있다. 팜 리젝션 기능은 터치스크린 장치에 손바닥이 접촉되면 정상적인 신호로 인식하지 않도록 하고 터치펜이나 손가락이 터치되는 경우 정상적인 신호로 인식하여 필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이다.
따라서, 만약 터치스크린 장치(100)가 차동입력형 센서인 제1센서(120)만을 포함한다면 팜 리젝션 기능을 갖는 경우에도 손바닥이 접촉되기 전부터 계속적으로 동작하여야 한다. 제1센서(120)는 실제 터치펜이나 손가락이 터치되어 움직일 때 정상적인 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그 이전부터 계속적인 동작이 필요한 것이다.
제2센서(130)는 '터치 및 홀드'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필기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제1센서(120) 및 이에 대한 컨트롤러(140)의 처리를 진행할 필요가 없다. 제2센서(130)가 손바닥으로 인한 '터치 및 홀드' 입력을 감지하고, 컨트롤러(140)가 이 감지 신호를 시점으로 홀드 신호의 종료 전까지 제1센서(120)의 전원을 온(on)하여 손바닥이 아닌 손가락에 의한 정상적인 입력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센서를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단면도이다.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200)는 터치패널(210); 터치패널(210)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차동입력형 제1센서(220); 터치패널(210)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정전용량형 제2센서(230); 및 제1센서(220) 및 제2센서(230)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2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에서 설명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센서(230)는 도 1에서와 달리 터치패널(210)의 하면에 위치하는 불투명 도전막(231)을 포함한다. 불투명도전막(231)은 카본 또는 금속막, 예를 들면 알루미늄막일 수 있다.
제2센서(230)가 불투명 도전막(231)으로 구성되어 터치 가능한 영역의 하면에 위치하는 경우, 터치패널(210)의 전면에 어떠한 막도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터치패널(210)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터치패널(210)은 상면의 손가락 터치시 이에 대한 정전 용량의 변화가 하면의 불투명 도전막, 혹은 검지전극까지 도달이 가능한 재질과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에는 불투명 도전막(231)이 검지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200 터치스크린 장치
110, 210 터치패널
120, 220 제1센서
130, 230 제2센서
131 투명도전막
132 검지전극
140, 240 컨트롤러
231 불투명도전막

Claims (10)

  1.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에 입력되는 터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동입력형 제1센서;
    상기 터치패널에 입력되는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정전용량형 제2센서; 및
    상기 제1센서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1센서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2센서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에 '터치 및 홀드'가 입력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센서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에 제1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제2센서가 상기 제1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센서가 감지한 제1터치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센서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가 입력된 후, 제2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제1센서는 상기 제2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에 손가락이 근접하면, 상기 제2센서는 터치근접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센서가 감지한 터치근접동작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센서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온(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적외선감지형 센서, 진동감지형 센서 또는 음파감지형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터치패널의 상면에 위치한 투명도전막; 및 상기 터치패널의 하면에 위치한 검지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막 또는 그라핀(graph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는 상기 터치패널의 하면에 위치한 불투명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도전막은 카본 또는 금속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1020110065782A 2011-07-04 2011-07-04 터치스크린 장치 KR20130004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782A KR20130004636A (ko) 2011-07-04 2011-07-04 터치스크린 장치
PCT/KR2012/005310 WO2013005988A2 (ko) 2011-07-04 2012-07-04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782A KR20130004636A (ko) 2011-07-04 2011-07-04 터치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636A true KR20130004636A (ko) 2013-01-14

Family

ID=4743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782A KR20130004636A (ko) 2011-07-04 2011-07-04 터치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04636A (ko)
WO (1) WO201300598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175A (ko) * 2013-11-25 2015-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통합 터치 시스템 및 표시장치
KR20170029519A (ko) * 2014-07-08 2017-03-15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싱가포르 그래핀-초전성 물질을 이용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WO2018016924A1 (ko) * 2016-07-22 2018-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입력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1958A1 (ko) * 2014-08-06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기지국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6554A (ja) * 2001-05-01 2002-11-12 Fujikura Ltd ハイブリッドセンサ及び着座検出システム
KR101561699B1 (ko) * 2009-01-30 201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
KR101135620B1 (ko) * 2009-11-06 2012-04-17 김용철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의 스캔 방법
JP2011096271A (ja) * 2010-12-10 2011-05-12 Tyco Electronics Corp 複数のタッチセンサを用いた接触認証タッチスクリーン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175A (ko) * 2013-11-25 2015-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통합 터치 시스템 및 표시장치
KR20170029519A (ko) * 2014-07-08 2017-03-15 내셔널 유니버시티 오브 싱가포르 그래핀-초전성 물질을 이용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WO2018016924A1 (ko) * 2016-07-22 2018-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입력 감지 방법
KR20180010717A (ko) * 2016-07-22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입력 감지 방법
US10949013B2 (en) 2016-07-22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touch input sens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5988A3 (ko) 2013-03-14
WO2013005988A2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6046B2 (en) Controlling movement of displayed objects based on user operation
JP6178367B2 (ja) タッチの種類の判別方法及びこれを遂行するタッチ入力装置
US9870109B2 (en) Device and method for localized force and proximity sensing
TWI608407B (zh) 觸控裝置及其控制方法
KR101803948B1 (ko) 2개의 레벨을 갖는 터치 감지식 버튼
US20150145820A1 (en) Graphics edi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154933A1 (en) Force touch mouse
US9335844B2 (en) Combined touchpad and keypad using force input
US11256367B2 (en) Techniques for handling unintentional touch inputs on a touch-sensitive surface
TW201510804A (zh) 觸控面板控制方法
US20170269785A1 (en) Detecting backside force in a touch-screen device
US20150185869A1 (en) Keyboard proximity sensing
US101854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localized force sensing
JP2014052988A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タッチ入力方法及びタッチ入力制御プログラム
US2012027460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947378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KR20130004636A (ko) 터치스크린 장치
US2018028494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800598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put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to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aus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o perform input control method
US20140225833A1 (en) Touch mouse and input method thereof
CN106155437B (zh) 操作模式判断方法、触碰点位置判断方法以及触控控制电路
US92446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sture identification
TW201519020A (zh) 通過觸控板控制滑鼠的方法
JP2018092317A (ja) 操作入力装置
KR20100107914A (ko) 제스처 판단 방법 및 접촉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