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04032A -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032A
KR20130004032A KR1020110120169A KR20110120169A KR20130004032A KR 20130004032 A KR20130004032 A KR 20130004032A KR 1020110120169 A KR1020110120169 A KR 1020110120169A KR 20110120169 A KR20110120169 A KR 20110120169A KR 20130004032 A KR20130004032 A KR 20130004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steering column
push
coupled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7655B1 (ko
Inventor
임정문
Original Assignee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0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6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incorporating devices for preventing ingress of the steering column into the passengers space in case of accid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사고시 무릎 부위의 신체 손상을 예방하도록 충돌 영역의 밖으로 틸트 레버를 배치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한 푸쉬-풀 타입으로 구성되어 3절 링크에 의한 링크 작동시 작동감이 우수하고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차량 조향장치용 푸쉬-풀 타입의 틸트 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조향 컬럼의 외주면 일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속구와, 결속구의 외주면 일부와 연결수단을 매개로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조향 컬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의 단부와 연결되며 복수절의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시 회전력을 틸트 볼트측에 전달시키는 링크기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Push-Pull type tilt lever device for steering system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푸쉬-풀 타입의 레버부재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복수절의 링크를 이용하여 이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작동감이 향상되고 운전자의 무릎 상해치를 개선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타력을 발생하는 동력 조향 장치는 조향 휠의 조작력을 가볍고 원활하게 하면서도, 신속한 조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동력을 이용하게된다.
또한, 조향 장치에는 편의 기능을 위해 조향 컬럼에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향 휠의 위치를 조절하여 보다 편안하게 운전 조작할 수 있도록, 조향 휠을 틸트시킬 수 있는 틸트(Tilt) 구조와 더불어, 조향 컬럼의 축 방향에 대해 조향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편의 기능 구현은 통상적으로, 조향 컬럼의 하면으로 장착된 틸트 레버 장치를 이용해 구현되는데, 즉, 조향 컬럼을 감싸는 틸트 브라켓의 안쪽으로 디스턴스 브라켓이 위치되고, 상기 틸트 브라켓의 측면에서 틸트 브라켓 쪽으로 틸트 볼트를 매개로 틸트 레버가 결합되어져, 상기 틸트 레버를 작동함에 따라 캠 작동을 통한 위치 이동으로 틸트 브라켓과 디스턴스 브라켓간 밀착력이 해제 또는 구속되면서, 틸트와 텔레스코픽 작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편의 장치는 차량의 안전 규제 적용에 따라 차량 충돌 시 운전자의 무릎 부위가 조향 컬럼 쪽으로 이동 될 때, 조향 컬럼의 측면부위로 설치된 틸트 레버부위를 통한 무릎 부상에 대한 법규를 충족하여야 하며 특히, 유럽 차량에 대한 상품성 평가 중 하나인 EURO NCAP의 규정에 따른 무릎 상해치 관련 감점을 해소하여야 하는데 즉, 차량의 충돌 상품성 평가시 무릎과 강체(Rigid)의 충동에 의한 무릎 상해치를 평가함에 있어서, 상해치가 높을 경우 감점요소가 되어 충돌 상품성 저하의 요인으로 된다.
그러나, 이러한 편의 장치의 작동을 구현하는 틸트 레버는 통상, 조향 컬럼의 하면에서 조작되는 특성상, 그 주변을 감싸더라도 조향 컬럼에서 노출되는 틸트 레버 부위가 존재하게 되어 충돌 시 무릎 부상으로부터 안전하지 못한 구조적인 취약성이 있게 된다.
이에 더해 틸트 레버는 보통 강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조향 컬럼의 측면에서 그 하단부위로 설치되는 특성상, EURO NCAP의 규정에 따른 무릎상해 산정 시 집중하중 유발구조로서 감점 대상으로 작용하는 취약성도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틸트 레버의 작동은 통상적으로,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틸트 레버 조작(회전)시 크래쉬 패드 로워 패널 쪽에 대한 간섭 발생으로 회전 각도도 약 40°이내로 제약되는 한계가 있고, 이러한 틸트 레버의 회전 각도 제한으로 인해 조작 시 감성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틸트 레버가 조향 컬럼의 측면에서 그 하단부위로 설치됨에 따라, 조작시 시인성 확보가 어렵고 조작 자세도 불리해 감성 품질을 저하시키는 또 다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 선행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9-8562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컬럼(1)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일 수 있는 텔레스코픽 기능과 조향 휠을 기울이는 틸트 기능이 구현되도록, 틸트 볼트(20)가 체결된 디스턴스 브라켓(3)과 결합되면서 조향 컬럼(1)을 감싸는 틸트 브라켓(2)의 측면으로 장착되어진 틸트 레버 장치(4)를 갖는 조향 장치를 가지되, 상기 틸트 레버 장치(4)는 조향 컬럼(1)을 감싸는 틸트 브라켓(2)의 측면 상단부위에서 틸트 레버(13)가 조향 컬럼(1)의 축 방향으로 위치되어져, 상기 틸트 레버(13)를 조향 컬럼(1)의 축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 텔레스코픽과 틸트 기능을 구현하도록 장착되어 진다.
이러한 상기 틸트 레버 장치(4)는 조향 컬럼(1)을 감싸는 틸트 브라켓(2)의 측면으로 위치되어져, 축 방향 가압력을 통해 틸트 볼트(20) 결합된 디스턴스 브라켓(3)을 조향 컬럼(1)으로 밀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가이드 브라켓(5)이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5)은 조향 컬럼(1)을 감싸는 틸트 브라켓(2)의 측면으로 밀착되도록 편평한 형상의 캠 위치 플레이트(6)가 형성되고, 상기 캠 위치 플레이트(6)의 측면으로는 다단으로 단차진 턱을 형성한 캠 이동 단차 턱을 갖는 캠 결합단(7)이 형성되며, 상기 캠 위치 플레이트(6)의 상단부위로는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면서 그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 채널(8a)을 형성한 유동 구속 격벽(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더해, 상기 틸트 레버 장치(4)는 디스턴스 브라켓(3)과 조향 컬럼(1)간 고정력 형성을 위해 캠(9)이 회전과 축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브라켓(5)과 기구적으로 캠 결합되어져 가이드 브라켓(5)을 축 방향쪽으로 밀어주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9)은 틸트 볼트(20)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캠 바디(10)와, 상기 캠 바디(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부여받는 캠 기어(11) 및 상기 캠 바디(10)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진 캠 포지셔너(12)로 구성되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은 틸트 레버의 조작력을 랙기어와 스퍼기어를 통해 토오크를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기어 체결구조의 특성상 작동감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레버 위치가 캠과 근접된 위치에 고정될 수 밖에 없으므로 조향 컬럼의 중심축과 근접된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구현이 불가능한 설치상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충돌사고시 무릎 부위의 신체 손상을 예방하도록 충돌 영역의 밖으로 틸트 레버를 배치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한 푸쉬-풀 타입으로 구성되어 작동감이 우수하고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차량 조향장치용 푸쉬-풀 타입의 틸트 레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향 컬럼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의 외주면 일부와 연결수단을 매개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조향 컬럼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의 단부와 연결되며 복수절의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시 회전력을 틸트 볼트측에 전달시키는 링크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일단부에 상기 레버부재의 단부와 연결핀으로 핀 결합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와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연결공 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재의 이동시 링크 운동되는 제 1링크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제 1링크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된 결합핀과 핀 결합되어 연동되며 타단부가 상기 틸트 볼트와 체결되는 제 2링크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 2링크부재는 일단부에 상기 결합핀이 관통되어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틸트 볼트가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 일측에 상기 틸트 볼트의 헤드 부위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결속구는 상기 조향 컬럼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원호 형상을 갖는 결속구 몸체와, 상기 결속구 몸체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조향 컬럼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향 컬럼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결속구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향 컬럼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레버부재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레일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 홈의 상부 좌,우 양측에 단턱부가 형성된다.
첫째, 결속구를 이용하여 조향 컬럼의 중심축과 근접된 위치에 레버부재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의 제약없이 배치가 가능하고 차량 충돌사고시 무릎의 충돌 영역 밖에 레버부재를 배치함에 따라 운전자의 무릎 상해치를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가이드 레일을 이용한 푸쉬-풀 타입의 작동 구조이므로, 작은 토오크로도 조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동감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홈의 구조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로 상호 밀착되어 있으므로, 레버부재의 조작시 좌,우 유동을 억제시켜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틸트 레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부분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b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홈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a,8b는 본 발명의 레버부재가 풀(pull)동작과 푸쉬(push)동작시 각각 해제 및 잠김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레버부재의 전동식 동작방식을 갖는 다른 실시 예를 보인 ㅈ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조립상태도.
본 발명은 푸쉬-풀(push-pull) 타입의 레버 구조로 구성되어 레버의 전,후 이동시 이동력이 복수절의 링크를 통해 틸트 볼트에 전달되어 조향 컬럼의 틸트 잠김 및 해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조향 컬럼(100)의 외주면 일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속구(200)와, 결속구(200)의 외주면 일부와 연결수단을 매개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310)가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조향 컬럼(100)측으로 절곡된 절곡부(330)가 형성된 레버부재(300)와, 상기 레버부재(300)의 단부와 연결되며 복수절의 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부재(300)의 이동시 회전력을 틸트 볼트(155)측에 전달시키는 링크기구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링크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레버부재(300)의 절곡부(330) 단부와 연결핀(350)으로 핀 결합되어 상기 레버부재(300)의 이동시 링크 운동되는 제 1링크부재(400)와, 일단부가 상기 제 1링크부재(400)의 타단부에 핀 결합되어 연동되며 타단부가 상기 틸트 볼트(155)와 체결되는 제 2링크부재(500)로 구성되어 절곡부(330) 및 제 1,2링크부재(400)(500)으로 된 3절 링크 구조를 갖는다.
제 1,2링크부재(400)(500)는 각각의 몸체에 해당되는 제 1,2링크편(410)(510)이 핀을 매개로 연동되도록 힌지 연결되어 있다.
제 1링크부재(400)는 연결핀(350)이 관통되도록 제 1링크편(410)의 일단부에 연결공(420)이 형성되고 제 1링크편(410)의 타단부측에 결합핀(430)이 결합되어 제 2링크부재(500)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 1링크부재(400)는 연결공(420)의 테두리 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4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절곡부(330)의 단부와 결합될 때 접촉 부위를 최소화하여 마찰 저항을 축소시키기 위함이다.
상기한 돌출턱(422)은 제 1링크부재(400)의 제 1링크편(410)과 연결되는 제 2링크부재의 제 2링크편(510)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 2링크부재(500)는 제 2링크편(510)의 일단부에 상기 결합핀(430)이 관통되어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520)이 형성되고, 제 2링크편(510)의 타단부에 상기 틸트 볼트(155)가 결합되도록 결합공(53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530)의 내주면 일측에 상기 틸트 볼트(155)의 헤드 부위가 체결되는 체결부(5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링크부재(500)의 제 2링크편(510)은 타단부가 틸트 볼트(155)와의 결합을 위해 일단부로부터 단턱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수단은 상기 결속구(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향 컬럼(10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30)과, 상기 레버부재(300)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230)과 대응되는 가이드 홈(322)이 형성된 가이드부(320)로 구성된다.
결속구(200)는 조향 컬럼(100)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원호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가이드 레일(230)이 형성된 결속구 몸체(210)와, 상기 결속구 몸체(21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조향 컬럼(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속부(220)로 구성된다.
레버부재(300)는 일단부에 손잡이부(310)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가이드 레일(230)과 대응되는 형태의 가이드 홈(322)이 형성된 가이드부(320)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절곡부(330)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 절곡부(330)의 단부에는 제 1링크부재(400)와의 결합을 위해 연결브라켓(34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핀(350)이 절곡부(330)의 단부와 연결 브라켓(340)을 관통하여 제 1링크부재(400)의 연결공(420)에 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레버부재(300)는 결속구(200)를 이용하여 조향 컬럼(100)의 중심축과 평행한 각도로 조향 컬럼(100)과 근접되게 배치되어 차량 충돌시 무릎의 충돌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레일(230)의 좌,우 양측에는 돌출부(23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이드 홈(322)의 좌,우 상부에는 돌출부(232)의 형상과 대응되는 단턱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가이드 레일(230)과 가이드 홈(322)의 결합구조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 레일(23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상을 가지며, 가이드 홈(322)도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는, 레버부재(300)의 전,후 이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7b는 상기한 가이드 레일(230)과 가이드 홈(322)의 다른 변형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결속구 몸체(210)의 하부에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레일홈(255)이 형성된 대략 "Π"자 형태의 레일부(250)와, 레버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레일홈(255)에 끼워져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가이드(350)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는, 앞의 선 실시 예와는 상반된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미설명부호 "150"는 틸트 볼트(155)의 회전 방향에 의해 조향 컬럼(100)의 틸트 잠김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틸트 브라켓(150)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는, 조향 컬럼(100)의 외주면에 결속구(200)의 결속부(220)를 끼워서 결속구 몸체(210)가 조향 컬럼(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에, 결속구(200)의 가이드 레일(230)에 레버부재(300)의 가이드부(320)를 슬라이딩시켜 가이드 홈(322)의 내부에 가이드 레일(230)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립한다.
이후에, 절곡부(330)의 단부와 연결브라켓(340)에 관통되도록 각각 결합된 연결핀(350)이 제 1링크부재(400)의 연결공(420)을 통과하도록 조립한 후에, 제 1링크부재(400)의 타단부측에 결합된 결합핀(430)을 매개로 제 1,2링크부재(400)(500)가 서로 연동되도록 조립한다.
이때, 결합핀(430)은 제 2링크부재(500)의 장공(52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 2링크부재(500)와 틸트 볼트(155)의 결합구조는 제 2링크부재(500)의 결합공(530)에 틸트 볼트(155)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면, 틸트 볼트(155)의 헤드 부위가 결합공(530)의 일측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부(532)와 체결되어 토오크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조립이 완료된 후에 사용과정은 레버부재(300)의 손잡이부(310)를 파지한 상태로 레버부재(300)를 밀게 되면(push), 푸쉬 동작에 의해 제 1링크부재(400)가 연결핀(350)을 매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링크부재(400)의 회전력이 결합핀(430)을 매개로 제 2링크부재(500)에 전달되어 제 2링크부재(5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8b참조).
이로 인해 제 2링크부재(500)는 틸트 볼트(155)를 조여서 틸트 잠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레버부재(300)의 손잡이부(310)를 파지한 상태로 레버부재(300)를 당기면(pull), 풀 동작에 의해 제 1링크부재(400)가 연결핀(350)을 매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링크부재(400)의 회전력이 결합핀(430)을 매개로 제 2링크부재(500)에 전달되어 제 2링크부재(5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에는 제 2링크부재(500)가 틸트 볼트(155)를 풀어서 틸트 해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도 8a참조)
즉, 본 발명은 레버부재(300)의 전,후 방향 미끄럼 이동시 그 이동력이 복수절의 링크기구를 통해 틸트 볼트(155)측에 전달되어 틸트 잠김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하도록 된 것으로서, 레버부재(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한 작동감이 우수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레버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조립 상태도로서, 레버부재의 동작방식이 앞서 설명한 수동식 조작방식이 아니라, 전동식 이동수단을 이용한 전동식 동작방식을 갖도록 된 것이다.
그 전동식 이동수단의 구성은 고정클램프(630)에 의해 조향 컬럼(10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회전동작시 레버부재(300)가 결속구(20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3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레버부재(300A)에 관통되게 체결된 나사축(610)을 갖는 이동모터(600)와, 상기 조향 컬럼(100)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모터(600)의 나사축(610) 회전을 가이드하는 고정브라켓(620)을 구비한 것이다.
이동모터(600)는 정,역 회전 가능한 타입을 채택하며, 고정클램프(630)와 볼트를 매개로 조향 컬럼(100)의 하측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이동모터(600)는 조향 컬럼의 길이방향 측면이 아닌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레버부재(300A)는 앞의 선 실시 예와는 달리, 나사축(610)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블록 형태로 구성되고, 절곡부(330)가 조향 컬럼(100)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가 제 1링크부재(400)의 단부와 연결되어 레버부재(300A)의 전,후 방향 이동력을 제 1링크부재(400)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전동식 이동수단의 작동과정은 이동모터(600)의 정,역회전 구동시 나사축(610)이 회전 동작되고, 그 나사축(610)에 체결된 레버부재(300A)가 나사축(610)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레버부재가 이동됨에 따라, 레버부재(300A)의 절곡부(330) 단부와 힌지 연결된 제 1링크부재(400)를 통해 제 2링크부재(500)에 힘이 전달되고, 제 1,2링크부재(400)(500)가 힌지 회동되면서 링크 운동되어 틸트 볼트(155)를 조이거나 조임상태를 해제하는 동작과정은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위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이 갖는 개념과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향 컬럼 150 : 틸트 브라켓
155 : 틸트 볼트 200 : 결속구
210 : 결속구 몸체 220 : 결속부
230 : 가이드 레일 232 : 돌출부
300, 300A : 레버부재 310 : 손잡이부
320 : 가이드부 322 : 가이드 홈
325 : 단턱부 330 : 절곡부
340 : 연결브라켓 350 : 연결핀
400 : 제 1링크부재 410 : 제 1링크편
420 : 연결공 422 : 돌출턱
430 : 결합핀 500 : 제 2링크부재
510 : 제 2링크편 520 : 장공
530 : 결합공 532 : 체결부
600 : 이동모터 610 : 나사축
620 : 고정브라켓 630 : 고정클램프

Claims (8)

  1. 조향 컬럼(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속구(200)와,
    상기 결속구(200)의 외주면 일부와 연결수단을 매개로 수동 또는 전동 조작에 의해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310)가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조향 컬럼(100)측으로 절곡된 절곡부(330)가 형성된 레버부재(300)와,
    상기 레버부재(300)의 단부와 연결되며 복수의 링크로 연결 구성되어 상기 레버부재(300)의 이동시 회동되어 회전력을 틸트 볼트(155)측에 전달시키는 링크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300A)를 전동식 이동수단을 매개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배치하되,
    상기 전동식 이동수단은 상기 조향 컬럼(10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레버부재(300)에 관통되도록 체결되는 나사축(610)을 갖는 이동모터(600)와,
    상기 조향 컬럼(100)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모터(600)의 나사축(610) 회전을 가이드하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하여서,
    상기 이동모터(600)의 나사축(610) 회전시 레버부재(300A)가 상기 결속구(200)의 외주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레버부재(300)의 단부와 연결핀(350)으로 핀 결합되는 연결공(420)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330)와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연결공(420) 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422)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재(300)의 이동시 링크 운동되는 제 1링크부재(400)와,
    일단부가 상기 제 1링크부재(400)의 타단부에 결합된 결합핀(430)과 핀 결합되어 연동되며 타단부가 상기 틸트 볼트(155)와 체결되는 제 2링크부재(5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링크부재(500)는 일단부에 상기 결합핀(430)이 관통되어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공(520)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틸트 볼트(155)가 결합되도록 결합공(53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530)의 내주면 일측에 상기 틸트 볼트(155)의 헤드 부위가 체결되는 체결부(5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200)는 상기 조향 컬럼(100)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원호 형상을 갖는 결속구 몸체(210)와,
    상기 결속구 몸체(21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조향 컬럼(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결속부(220)와,
    상기 결속구 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향 컬럼(10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결속구(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향 컬럼(10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30)과,
    상기 레버부재(300)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230)과 대응되는 가이드 홈(322)이 형성된 가이드부(3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3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230)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20)는 상기 돌출부(232)와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 홈(322)의 상부 좌,우 양측에 단턱부(3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KR1020110120169A 2011-06-30 2011-11-17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Active KR101277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62 2011-06-30
KR20110064762 2011-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32A true KR20130004032A (ko) 2013-01-09
KR101277655B1 KR101277655B1 (ko) 2013-06-21

Family

ID=4783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169A Active KR101277655B1 (ko) 2011-06-30 2011-11-17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495A (ko) * 2014-02-05 2015-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CN110091909A (zh) * 2018-01-31 2019-08-0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转向装置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59B1 (ko) * 2007-07-18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향 장치의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495A (ko) * 2014-02-05 2015-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CN110091909A (zh) * 2018-01-31 2019-08-0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转向装置及车辆
CN110091909B (zh) * 2018-01-31 2020-10-0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转向装置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655B1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959B1 (ko) 차량용 조향 장치의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JP6236655B2 (ja) 乗物用シート
JP5714281B2 (ja) 自転車サドル角度調節装置
JP6133187B2 (ja) 乗物用シート
US6279428B1 (en) Ratchet wrench
US9714064B2 (en) Positionally adjustable windshield mounting assembly for a saddle-riding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same
AU2009293997B2 (en) Manual operator for vehicle
US20240011557A1 (en) Vehicle gear knob
KR101277655B1 (ko) 차량 조향 장치용 푸쉬-풀 타입 틸트 레버장치
JP530404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6143185A1 (ja) 折り畳み式車両
JP2017047728A (ja)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JP6311545B2 (ja) 回転チルトシート
JP5710831B1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KR20140009745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래치 장치
JP2005138825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5964649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がたつき防止構造および該がたつき防止構造を備えるパーキングブレーキ
JP2010018247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0569953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CN108883731A (zh) 用于负荷载体的固定装置
WO2013115279A1 (ja) 車両用シート
JP2010063770A (ja) シート表皮の抜け防止構造
JP6213377B2 (ja) チルトシート
JP2021059173A (ja) 小型電動車両
EP1759945B1 (en) Base frame and parking brak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