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720A - Network advertizing system using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Network advertizing system using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8720A KR20120138720A KR1020120126645A KR20120126645A KR20120138720A KR 20120138720 A KR20120138720 A KR 20120138720A KR 1020120126645 A KR1020120126645 A KR 1020120126645A KR 20120126645 A KR20120126645 A KR 20120126645A KR 20120138720 A KR20120138720 A KR 201201387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user terminal
- terminal device
- smartphone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이 단말장치는,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단말장치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단말장치 구동부; 및 사용자 단말에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전화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이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및 SNS 광고시스템을 통해 신뢰성 있는 실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컨버전스, 인터랙티브 광고가 가능한 광고시스템이 제공된다. 사용자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자신이 위치한 장소에서 사용자 단말로 위치기반 서비스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광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상점 주, 음식점 주 및 기타광고주들이 홍보하고자 공간에 설치한 제어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가 촬영된 화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때문에 그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단말장치가 제공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공간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단말장치를 제어하면서 공간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광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상점 주, 음식점 주 및 기타광고주들은 최대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모바일 및 SNS 광고시스템을 통해 신뢰성 있는 실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컨버전스, 인터랙티브 광고가 가능한 광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Provided is a terminal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e terminal device includes a terminal device driver which moves the terminal devi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eft and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And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a telephony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encoded to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es the drive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telephony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advertising system capable of convergence and interactive advertising, which can obtain reliable real-time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and SNS advertising system including the terminal device. When a user with a user terminal wants to receive a service using a mobile application of a location-based service from a place where he is located to a user terminal, a store owner, restaurant owner, and other advertisers who want to provide an advertisement service are installed in a space to promote the user. Since the terminal device provided with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can grasp the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rminal device. Store owners, restaurant owners and other advertisers who want to provide advertising services by real-time grasping the spatial information while controlling can get the maximum advertising effect, and users can obtain reliable real-time information through mobile and SNS advertising systems. , Interactive advertising system It can prov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제어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 와 스마트폰, GPS(위치기반서비스), 인터넷 전화망 및 이동통신망, 서비스제공서버를 활용한 온라인 인터랙티브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전화망 및 이동통신망에서 미디어(영상 및 음성)전송이 가능하고,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제어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를 활용한 모바일 및 SNS(소셜네트워크) 광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tha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an online interactive advertising system using a smartphone, a GPS (location based service), an internet telephone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and SNS (social network) advertising system using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media (video and audio) in a telephone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being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인터넷 및 이동통신기술의 등장으로 인한 미디어 이용형태는 미디어 산업구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전통적 미디어들(TV, 라디오, 신문, 잡지)의 광고수익 감소세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높은 컴퓨터보급률과 인터넷 이용자 증가에 따라 온라인 광고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The use of media due to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ffecting the media industry. In particular, while the decline in ad revenue of traditional media (TV, radio, newspapers, magazines) is increasing, the online advertising market continues to grow due to the high computer penetration rate and the increase of Internet users.
특히 2010년도는 전세계 광고시장은 스마트폰 등장으로 뉴미디어의 영향력이 확대되기 시작했고 이에 따른 모바일 광고 및 SNS 광고시장이 급 부상하기 시작했다. In 2010, the global advertising market began to expand the influence of new media with the advent of smartphones, resulting in a rapid rise in the mobile and SNS advertising markets.
그러나, 이러한 초기 모바일 광고시장은 모바일 검색과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로서 기존 전통매체의 일 방향적인 광고모델에 그치고 있다.However, these early mobile advertising markets are unidirectional advertising models of traditional media as mobile search and mobile display advertising.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 GPS(위치기반서비스), 인터넷전화망 및 이동통신망, 서비스제공서버,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제어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컨버전스, 인터랙티브(양방향) 광고가 가능한 새로운 광고 시스템을 발명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verges by utilizing a terminal device function having a control unit tha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GPS (location based service), an internet telephone network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in particular a smartphone. Invent a new advertising system capable of interactive (bi-directional) advertising.
본 발명은 전술한 전통매체를 이용한 일 방향적인(one way) 광고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제어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를 활용한 컨버전스, 인터랙티브 광고가 가능한 새로운 광고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one-way (one way) advertising problems using the above-described traditional media, convergence, interactive advertising using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tha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o provide a new advertising system as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및 SNS(소셜네트워크) 광고시스템이 제공되는데, 모바일 및 SNS(소셜네트워크) 광고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제어 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광고서비스 제공을 위한 GPS(위치기반서비스), 상점 주, 음식점 주 및 기타광고주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등록 및 관리를 위한 서비스제공 서버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and SNS (social network) advertising system is provided, and the mobile and SNS (social network) advertising system includes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tha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t comprises a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the database registration and management for GPS (location-based services), store owners, restaurant owners and other advertisers for the provision of advertising services.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단말장치는,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촬영되고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전송하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전화 통신 신호에 포함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A terminal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ransmits a telephony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captured and encoded by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and a user such as a smartphone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drive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terminal.
상기 제어 유닛은 촬영기; 상기 촬영기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인코더;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 연결기; 구동 제어 신호를 구동기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연결기를 통해 수신된 전화 통신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분리하고,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통신신호 처리기를 구비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camera; A video encoder for encoding the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camera to produce an encoded video signal; A communication connector for receiv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terminal such as the smartphone and transmitt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an encoded video signal to a user terminal such as the smartphone; A communication signal processor for transmitting a driving control signal to a driver, separating a control signal from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or from a user terminal such as the smartphone, and generat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an encoded video signal; It is provided.
상기 단말장치는, 마이크로폰;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통신신호 처리기는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 연결기는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 송신한다.The terminal device, a microphone; And an audio processor for encoding an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phone to generate an encoded audio signal, wherein the communication signal processor generates a telephony signal including the encoded audio signal, wherein the communication connector is encoded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an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such as the smartphone.
상기 단말장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통신신호 처리기에 의해 전화 통신 신호로부터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소리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소리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킨다.The terminal device further includes a speaker, wherein the audio processor receives an audio signal separated from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by a communication signal processor, processes the received audio signal to generate a sound signal, and the speaker The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audio processor is converted into sound.
상기 단말장치는 구동기를 좌우이동 및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팬/틸트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틸트 제어기는 제어기 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기를 좌우이동 및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팬/틸트 제어기를 제어한다.
The terminal device further includes a pan / tilt controller for moving the driver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wherein the pan / tilt controller is configured to move the driver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To control.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자신이 위치한 장소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위치기반 서비스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광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상점 주, 음식점 주 및 기타광고주들이 홍보하고자 공간에 설치한 제어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가 공간을 촬영한 화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기 때문에, 그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단말장치가 제공한 화상정보 및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공간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단말장치를 제어하면서 공간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광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상점 주, 음식점 주 및 기타광고주들은 최대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모바일 및 SNS 광고시스템을 통해 신뢰성있는 실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컨버전스, 인터랙티브 광고가 가능한 새로운 광고시스템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osses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wants to receive a service using a mobile application (mobile app) of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t a place where he is located, Since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installed in a space for promotion by store owners, restaurant owners, and other advertisers who want to provide an advertisement service provides image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of a space to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user of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can grasp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rminal device, and also provide a advertising service by grasping spatial information in real time while controlling the terminal device. States, restaurants and other advertisers can get the most out of advertising Are the benefits of convergence, a new advertising system that interactive advertising as possible to get reliable real-time information through mobile and SNS advertising system.
도 1은 스마트폰 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제어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를 활용하는 모바일 및 SNS(소셜네트워크) 광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의 개념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말장치를 3G폰, 스마트폰, WIFI폰, 또는 VoIP폰을 이용하여 제어 및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단말장치를 PC의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제어 및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and SNS (social network) advertising system utilizing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tha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of FIG. 2 uses a control and a service using a 3G phone, a smart phone, a WIFI phone, or a VoIP phone.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terminal device of FIG. 2 uses a control and a service using a web browser of a PC.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제어가 가능한 제어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를 활용하는 모바일 및 SNS(소셜네트워크) 광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and SNS (social network) advertising system utilizing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tha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도 1에 보인 모바일 및 SNS(소셜네트워크) 광고시스템은 상점, 음식점, 기타광고 주(1) 내에 위치된 단말장치(2), 댁내 인터넷 연결 장치(5), 네트워크(6),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 및 서비스제공 서버(8)을 포함한다. 댁내 인터넷 연결 장치(5)는 유선 또는 무선의 댁내 인터넷 연결 장치, 이를 테면 전화모뎀이다. 네트워크(6)는 화상통신을 지원하는 유,무선 전화망 또는 인터넷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6)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을 이용하는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Mobile and SNS (social network) advertising system shown in Figure 1 is located in a store, a restaurant, other advertisers (1) terminal device (2), home Internet connection device (5), network (6), such as a smartphone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기존부터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통신용 패킷망을 인터넷폰에 이용하는 것이다.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서비스 기술이다. 이러한 VoIP는 인터넷이나 다른 패킷 교환식(packet switched) 네트워크들과 같은 IP 네트워크들 상에서 미디어(video and voice) 통신의 전달을 위한 전송 기술이다. VoIP의 동의어로서 자주 접하는 용어들로는 IP 전화통신(telephony), 인터넷 전화통신, VoBB(voice over broadband), 광대역 전화통신, 및 광대역 전화(broadband phone)가 있다. 인터넷 전화통신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 아니라, 인터넷을 경유하는 통신 서비스들, 이를테면 음성, 팩시밀리, 및/또는 음성-메시징 애플리케이션들을 말한다.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s an Internet phone that uses a packet network for data communication. It is a communication service technology that allows voice calls to be converted into Internet protocol data packets to enable calls over general telephone networks. Such VoIP is a transport technology for the delivery of video and voice communications over IP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or other packet switched networks. Common terms used as synonyms for VoIP include IP telephony, Internet telephony, voice over broadband (VOBB), broadband telephony, and broadband phone. Internet telephony refers to communication services via the Internet, such as voice, facsimile, and / or voice-messaging applications, rather tha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스마트폰 과 같은 사용자 단말들(7)은 3G폰, 4G폰, 스마트폰, WIFI폰, 또는 VoIP폰과 같은 화상전화기 또는 화상통화가 가능한 데스크탑, 랩탑과 같은 컴퓨터 일 수 있다. 화상전화기(videophone)는 비디오 스크린을 가지는 전화기이고, 사람들 간에 실시간의 통신을 위해 풀 듀플렉스(full duplex)(양방향) 비디오 및 오디오 전송을 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The
서비스제공 서버(8)는 위치기반서비스, 모바일 및 SNS서비스 제공 및 상점 주, 음식점 주 및 기타광고주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장치를 의미한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념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2)는 제어 유닛(3)과 팬/틸트 구동부(4)를 구비한다. 제어 유닛(3)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에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전송하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팬/틸트 구동부(4)는 제어 유닛(3)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단말장치(2)를 상하 방향/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다. 제어 유닛(3)은 미디어모듈(10)과 처리모듈(20)을 구비한다. 미디어모듈(10)은 헤더라이트와 같은 조명기(12), 촬영기(14), 및 마이크로폰(16)을 구비한다. 처리모듈(20)은 스피커(22), 비디오 인코더(28), 오디오 처리부(30), 제어기(32), 메모리(34), 통신신호 처리기(36), 및 전화통신기(38)를 구비한다. 도 2의 제어 유닛(3)은, 촬영기(14)가 촬영하고 비디오 인코더(28)가 인코딩한 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기(32)가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 대신에 촬영기(14)에 의해 획득된 비디오 신호가 제어기(32)에 직접 전송되고, 제어기(32)가 메모리(34)에 미리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촬영기(14)에 의해 획득된 비디오 신호에 대한 움직임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 또는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에 대한 움직임 검출 동작은, 화상 프레임들(또는 필드들) 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행하여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움직임 검출은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2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비디오 인코더(28)는 촬영기(14)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통신신호 처리기(36)로 전송한다. 이러한 비디오 인코더(28)는 MPEG, H.263, 또는 H.264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0)는 미디어모듈(10)의 마이크로폰(16)로부터의 소리 신호를 처리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처리부(30)는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통신신호 처리기(36)로 전송한다. 오디오 처리부(30)는 또한 통신신호 처리기(36)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소리 신호를 생성한다. 소리 신호는 스피커(22)를 통해 소리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30)는 ITU-T의 G711, G723, G729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 및 디코딩할 수 있다. The
통신신호 처리기(36)는 통신 연결기(38)로부터 전화 통신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전화 통신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분리한다. 제어 신호는 제어기(32)로 전송되고,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30)에 전송된다. 통신신호 처리기(36)는 또한 비디오 인코더(28)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오디오 처리기(30)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신호 처리기(36)는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 및/또는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생성하며, 그 전화 통화 신호를 통신 연결기(38)에 전송한다. 통신 연결기(38)는 사용자 단말(7)로부터 제어신호 및/또는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화 통신 신호를 통신신호 처리기(36)가 처리할 수 있는 전화 통신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통신 연결기(38)는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 및/또는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로 전송할 수 있는 전화 통신 신호로 변환한다. 이러한 통신 연결기(38)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또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과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 또는 VoIP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VoIP DTMF 프로토콜의 경우, SIP Info, In Band, 또는 RFC2833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 연결기(38)는 인터넷 또는 전화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해 모뎀(미도시)을 구비한다. 모뎀은 WiFi 및 WiMax용 무선 모뎀, 이동 전화기를 위한 모바일 모뎀, 유선전화기를 위한 모뎀 등일 수 있다. 통신 연결기(38)는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제어기(32)는 촬영기(14)에 의해 촬영되며 비디오 인코더(28)에 의해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로 전송되도록 촬영기(14), 비디오 인코더(28), 통신신호 처리기(36)를 제어하며, 이 제어기(32)는 또한 조명기(12), 마이크로폰(16) 및 스피커(22)의 온/오프와 촬영기(14)의 촬영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32)에 의한 온/오프 및 촬영여부의 제어는 메모리(34)에 저장된 데이터나 단말기에 설치된 버튼들(미도시)의 조작,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2에 보인 단말장치(2)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and 2,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실행하여 통신신호를 생성하면, 단말장치(2)내의 통신신호 처리기(36) 및 통신 연결기(38)는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해당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로부터 통신 수락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기(32)는 촬영기(14)의 동작을 온 시킨다. 촬영기(14)는 전방에 장면을 촬영하며, 이때 필요에 따라 조명기(12) 및/또는 마이크로폰(16)이 온 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28)는 촬영기(14)에 의해 획득된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통신신호 처리기(36)에 전송한다. 통신신호 처리기(36)는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전화 통신 신호를 통신 연결기(38)에 전송한다. 통신 연결기(38)는 통신신호 처리기(36)로부터 수신된 전화 통신 신호를 연결된 통신 링크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에 전송한다. 그러므로, 화상전송 유닛(7)의 사용자는 화상전송 유닛(7)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에 기초하여 단말장치(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First, when a service is generated by using a mobile application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to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o generate a communication signal, the
단말장치(2)가 전송한 화상 정보 및 음성정보가 상점, 음식점, 기타광고 주(1)가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정보를 세밀하게 받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화상전송 유닛(7)을 통해 단말장치(2)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상전송 유닛(7)의 사용자는 마이크로폰(16)을 온 시켜 마이크로폰(16)을 통해 제공되는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장치(2)를 통해 상대방과 쌍방향 통화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상전송 유닛(7)으로부터의 "마이크로폰 온" 설정을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는 전화 통신기(38) 및 통신 신호 처리기(36)를 통하여 "마이크로폰 온" 설정을 포함하는 제어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기(32)에 전송되며, 제어기(32)는 그 제어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폰(16)을 온 시킨다. 조명기(12)와 스피커(22)의 제어 역시 마이크로폰(16)과 유사하게 행해질 수 있다.If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화상전송 유닛(7)에 의한 제어 신호에 생성에는 DTMF가 사용될 수 있다. 화상전송 유닛(7)이 이동 또는 유선 전화기인 경우, 전화기의 키패드에 있는 버튼들 또는 버튼들의 조합이 제어 신호의 생성을 위한 명령 입력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화상전송 유닛(7)이 컴퓨터인 경우, 키보드와 마우스 등의 입력 기기가 명령 입력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명령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DTMF can be used for generation in the control signal by the
화상전송 유닛(7)에 의해 팬/틸트 제어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담고 있는 전화 통신 신호가 송신되면, 그 결과에 따른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기(32)는 팬/틸트 제어를 위한 구동 제어 신호를 팬/틸트 제어기(26)로 전송한다, When the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containing the drive control signal for pan / tilt control is transmitted by the
도 3은 도 1 및 2의 단말장치 및 서비스제공서버를 스마트폰, 3G폰, WIFI폰, 또는 VoIP폰을 이용하여 서비스에 액세스하여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단말장치(2)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은 R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며, 단말장치(2)의 제어 유닛(3)과 R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네트워크(6)는 VoIP 네트워크 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에서, Invite 신호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이 제어 유닛(3)에 전송하는 통신 요청 신호이고, Invite 신호 바로 뒤의 OK 신호는 제어 유닛(3)으로부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에 전송되는 통신 수락 신호이다. 도 3을 보면, RTP(음성신호)와 RTP(영상신호)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과 단말장치(2)의 제어 유닛(3) 간에 전송되는데, 이 신호들은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 및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에 해당한다.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에서부터 단말장치(2)의 제어 유닛(3)으로 전송되는 RTP(영상신호)를 위해 제어 유닛(3)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디오 인코더(28)는 비디오 코덱으로 대체될 수 있고, 통신신호 처리기(36)는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코덱에 전송하고, 비디오 코덱은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는 비디오 신호를 영상으로서 재현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이 단말장치(2) 제어유닛(3)을 제어하여 좌우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단말장치(2)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로부터 Info, Inband, RTP(EVENT)의 제어신호가 네트워크(6)를 통해 단말장치(2)의 통신신호 처리기(42)로 신호가 전송되며 그 Info, In-band, RTP(EVENT)신호는 제어 유닛(3)을 통해 단말장치(2)의 구동기에 전송된다. 단말장치(2)는 수신되는 Info, In-band, RTP(event)신호에 응답하여 BYE 신호를 화상전송 및 제어부(3)에 전송하고, 화상전송 및 제어부(3)은 BYE 신호에 응답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에 의한 제어가 완료됨을 알리는 OK 신호를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에 전송한다. BYE 신호 및 그 뒤의 OK 신호의 전송들은 사용자 단말(7)에 의한 제어가 완료될 때 전송될 수도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and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S. 1 and 2 access a service using a smart phone, a 3G phone, a WIFI phone, or a VoIP phone to control the terminal device. In FIG. 3, the
도 2의 설명에서는, 도 2의 단말장치(2)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 사이에서 실제로 전송되는 신호들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도 3이 RTP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도 2의 장치의 각각의 신호들의 전송이 도 3의 신호 전송에 어떻게 적용되는 지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FIG. 2, the signals actually transmitted between the
도 4는 도 2의 단말장치(2)를 사용자 단말(7)인 개인용 컴퓨터(PC)의 웹 브라우저(미도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7)은 네트워크(6)를 통해 제어 유닛(3)과 통신하며, 네트워크(6)는 인터넷이다. 개인용 컴퓨터(7)와 제어 유닛(3)은 SYN 신호와 SYN_ACK 신호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SYN 신호와 SYN_ACK 신호를 사용하면, 개인용 컴퓨터(7)와 제어 유닛(3)의 신호처리는 동기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인용 컴퓨터(7)와 제어 유닛(3)은 인증 동작을 수행하여 개인용 컴퓨터(7)가 제어 유닛(3)의 메모리(34)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된 단말인지가 확인된다.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개인용 컴퓨터(7)는 제어 신호를 제어 유닛(3)을 통해 팬/틸트구동부(4)로 전송한다. 제어가 완료된 경우, 개인용 컴퓨터(7)는 SYN 신호를 제어 유닛(3)에 전송하고, 제어 유닛(3)은 이에 응답하여 SYN_ACK 신호를 개인용 컴퓨터(7)에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개인용 컴퓨터(7)에 의한 단말장치(2)의 제어는 완료된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개인용 컴퓨터(7)와 제어 유닛(3) 사이에서 실제로 전송되는 정보들에 관해서는 도 2에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다. 그러므로, 도 4의 설명에서는, 도 2의 단말장치(2)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7) 사이에서 실제로 전송되는 신호들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도 4가 TCP 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도 2의 장치의 각각의 신호들의 전송이 도 4의 신호 전송에 어떻게 적용되는 지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information actually transmitted between the
도 2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3)이 조명기(12), 마이크로폰(16), 스피커(22)를 구비하지 않는 도 2의 실시예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3)이 스피커(22)를 구비하지 않는 도 2의 실시예의 변형예 역시 가능하다. 이처럼, 도 2에 보인 구성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따라서, 도 2의 구성은 다양한 변형예들로 변경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 2 a variant of the embodiment of FIG. 2 is possible in which the
1: 상점 주,음식점 주,기타광고 주 2: 단말장치
3: 제어 유닛 4: 팬/틸트 구동부
5: 댁내 인터넷 연결 장치 6: 네트워크
7: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 8: 서비스제공서버
10: 미디어 모듈 20: 처리 모듈1: store note, restaurant note, other advertisement note 2: terminal
3: control unit 4: pan / tilt drive
5: home Internet connection device 6: network
7: user terminal such as smartphone 8: service providing server
10: media module 20: processing module
Claims (4)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자신이 위치한 장소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위치기반 서비스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광고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상점 주, 음식점 주 및 기타광고주들이 홍보하고자 공간에 설치한 제어유닛을 구비한 단말장치가 공간을 촬영한 화상정보 및/또는 음성정보를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그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단말장치가 제공한 화상정보 및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공간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단말장치에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면서 광고정보를 담고 있는 공간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광고시스템.
In the mobile and SNS (social network) advertising system, the mobile and SNS (social network) advertising system includes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tha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for providing an advertising service Includes a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the database registration and management for GPS (location-based services), shop owners, restaurant shares and other advertisers,
When a user posses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wants to receive a service using a mobile application (mobile app) of a location-based service u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n a place where he is located, to provide an advertising service. A termina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installed in a space for promotion by shop owners, restaurant owners, and other advertisers provides image information and / or audio information of the space to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e user of the same user terminal receives the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audio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rminal device, and transmits the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to the terminal device in real time. Advertising system to grasp with.
상기 제어 유닛은 촬영기; 상기 촬영기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인코더; 상기 촬영기를 좌우이동 및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팬/틸트 제어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로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기; 및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연결기를 통해 수신된 전화 통신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인코딩된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통신신호 처리기를 구비하는 광고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captured and encoded according to a driving control signal to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hrough a communication connecto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cluded in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am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amera; A video encoder for encoding the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camera to produce an encoded video signal;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a driver driven by a pan / tilt controller for moving the camera to the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nd a communication signal processor for separating a control signal from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or from a user terminal such as the smart phone, and generat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including the encoded video signal.
The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icrophone; And an audio processor for encoding an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phone to generate an encoded audio signal, wherein the communication signal processor generates a telephony signal including the encoded audio signal,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or, Adverti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containing the encoded audio signal to a user terminal, such as the smartphone.
The apparatus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wherein the audio processor receives an audio signal separated from a telephone communication signal by a communication signal processor, processes the received audio signal, and generates a sound signal. Advertis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verting the sound signal generated by the audio processing unit to the soun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645A KR20120138720A (en) | 2012-11-09 | 2012-11-09 | Network advertizing system using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645A KR20120138720A (en) | 2012-11-09 | 2012-11-09 | Network advertizing system using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4324A Division KR20120135549A (en) | 2011-06-07 | 2011-06-07 |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and network advertizing system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8720A true KR20120138720A (en) | 2012-12-26 |
Family
ID=4790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6645A KR20120138720A (en) | 2012-11-09 | 2012-11-09 | Network advertizing system using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38720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79509A (en) * | 2013-12-13 | 2014-03-26 | 苏州网信工商信用服务有限公司 | Advertisement putting device for mobile Internet |
KR20230074441A (en) * | 2020-06-17 | 2023-05-30 | 구효정 |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intelligent information sharing using external display of vehicle |
KR102705894B1 (en) * | 2023-11-03 | 2024-09-12 | 주식회사 마바산업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
2012
- 2012-11-09 KR KR1020120126645A patent/KR2012013872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79509A (en) * | 2013-12-13 | 2014-03-26 | 苏州网信工商信用服务有限公司 | Advertisement putting device for mobile Internet |
KR20230074441A (en) * | 2020-06-17 | 2023-05-30 | 구효정 |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intelligent information sharing using external display of vehicle |
KR102705894B1 (en) * | 2023-11-03 | 2024-09-12 | 주식회사 마바산업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222262B (en) | For skipping the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ding in a network environment | |
KR100996340B1 (en) | Picture-in-Picture Processing for Video Calls | |
US8359619B2 (en) | Web cam with an interlude switch | |
US1160158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rveillance cameras | |
TWI484827B (en) | Video conference system, video conference terminal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for video conferences | |
CN103096020B (en) | video conference system, video conference device and method thereof | |
JP2013179654A5 (en) | ||
KR100628322B1 (en) | Access Mediator System for Mediating Broadcasting Convergence Services through Non-Communication Devices | |
JP5228551B2 (en) | Cooperation method between door intercom device and IP mobile phone | |
KR100860112B1 (en) | Internet protocol video phone and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 |
CN102438119B (en) | Audio/video communication system of digital television | |
KR20120138720A (en) | Network advertizing system using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 |
CN112203126B (en) | Screen projection method, screen projec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 |
JP2015119335A (en) | Terminal, system, program and method to thin out frame of photographed moving image in accordance with movement change amount | |
CN102082961A (en) |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voice talkback of set top box | |
KR20120135549A (en) |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and network advertiz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191978B1 (en) | Mobile robot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and home caring system using the mobile robot | |
US20110238785A1 (en) | Multimedia providing service | |
KR20090012657A (en) |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video call using communication terminal not equipped with camera | |
CN106911828A (en) | Set-top box network telephone system | |
JP4354456B2 (en) | Transmission of high quality A / V data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low quality A / V data | |
US20070112933A1 (en) | Network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ata distribution service | |
KR101649641B1 (en) | Call controlling apparatus of video call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100971630B1 (en) | Video sharing method using video telephony period using internet telephony protocol and video telephone using same | |
KR20120131878A (en) | Method for managing a video call history and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1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2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