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5894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05894B1 KR102705894B1 KR1020230150823A KR20230150823A KR102705894B1 KR 102705894 B1 KR102705894 B1 KR 102705894B1 KR 1020230150823 A KR1020230150823 A KR 1020230150823A KR 20230150823 A KR20230150823 A KR 20230150823A KR 102705894 B1 KR102705894 B1 KR 102705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information
- content
- vehicle
- advertis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Recognition of moving objects or obstacles, e.g. vehicles or pedestrians; Recognition of traffic objects, e.g. traffic signs, traffic lights or ro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구성된 차량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 모듈;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식별된 사물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사물 식별 모듈;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상품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주요 상품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고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 A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A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ncludes: a sensing module configured to sense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vehicle having at least one display configured to generat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including a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analy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generate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an identified object; and an advertisement output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a main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related to the determined main product, and output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at least one display.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에서 출력되는 광고의 출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 주변 환경을 센싱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배치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광고의 출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output from a vehicl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displayed on a display placed in a vehicle based on information sensed from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vehicl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4차 산업 혁명과 함께, 차량(모빌리티)에 개념 변화, 특히, 차량을 "소유"한다는 것에서 "이용" 또는 "공유"한다는 것으로 개념 변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관련된 시장과 관련된 서비스가 폭발적인 성장세에 있다.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 conceptual change in vehicles (mobility), especially from “owning” a vehicle to “using” or “sharing” a vehicle, and the related market and related services are experiencing explosive growth.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다양한 목적으로 공유된 차량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모빌리티 목적성 변화 및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urpose Built Vehicle, 이하 "PBV")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since multiple users may use shared vehicles for various purposes, the development of purpose-built vehicles (PBVs) is actively underway to meet the diverse mobility purposes and diverse needs of users.
PBV는 다양한 종류, 특징을 가진 디스플레이(PDLC,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등)가 차량의 내부,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PBV는 종래 아날로그식 정보 표기에 비해 더욱 다양한 정보를 운행 목적, 상황에 따라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PBV의 다목적성은 더욱 다양한 광고 콘텐츠를 주변 상황 또는 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진보를 가져왔다. PBV can be plac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with various types and features of displays (PDLC, flexible display, transparent display, projector, etc.). Compared to conventional analog information display, PBV can be controlled to provide more diver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purpose and situation. This versatility of PBV has brought about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at can provide more diverse advertis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or user needs.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PBV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를 생성, 제공하여, 차량 주변 객체에게 유효한 광고를 전달하고,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는 데 이르렀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a system that can generate and provide advertisements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PBV, thereby delivering effective advertisements to objects around a vehicle and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dvertisements.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 주변 환경을 센싱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배치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광고의 출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displayed on a display placed in a vehicle based on information sensed from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vehicl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구성된 차량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 모듈;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식별된 사물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사물 식별 모듈;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상품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주요 상품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고 출력 모듈을 포함한다.A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module configured to sense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vehicle having at least one display configured to generat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including a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analy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generate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an identified object; and an advertisement output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a main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and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related to the determined main product and output it to the at least one display.
또한, 상기 상품 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적어도 상품의 종류 및 상품의 명칭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생성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상품 정보 생성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that is learned in advance to analy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generate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he type and name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광고 출력 모듈은, 상기 상품 정보에 따른 상품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식별되는 횟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카운팅 횟수가 미리 선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품을 상기 주요 상품으로 판단하는 광고 대상 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target selection unit that counts the number of times a product accor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is identified during a preset period, and determines a product for which the counted number of times exceeds a preset threshold as the main product.
또한, 상품과 관련된 상품 콘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수집 모듈; 및 복수의 상품 계정별로 상품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품 콘텐츠는 상품 이미지, 상품 영상, 상품 설명 및 종래 상품 광고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광고 콘텐츠 생성을 위한 복수의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은 수집된 상품 콘텐츠를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품 계정에 저장하여 상품 콘텐츠를 업데이트 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은 수집된 상품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품 계정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품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상품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 data collection module configured to collect product content related to a product from an external server; and a database in which product content is stor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duct accounts, wherein the product content includes a product image, a product video, a product description, and a conventional product advertisement, and the database includes a template library including a plurality of templates for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data collection module updates the product content by storing the collected product content in a corresponding product account of the database, and the data collection module can create a product account and store the product content if a product account corresponding to the collected product content is not confirmed in the database.
또한, 상기 광고 출력 모듈은, 상기 주요 상품에 대한 광고 문안을 결정하는 광고 문안 기획부; 상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부; 및 상기 광고 문안, 상기 템플릿 및 상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광고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copy planning unit that determines advertisement copy for the main product; a templat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and an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the advertisement copy, the template, and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또한,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변 환경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 식별 모듈은,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식별되는 건물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를 생성하는 건물 정보 생성부;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식별되는 자연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차량 주변의 날씨 정보를 생성하는 날씨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주변 건물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that captur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surrounding build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 building object identified in the image information; a weathe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weather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based on a natural object identified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urrounding build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광고 문안 기획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광고 문안을 기획하며, 상기 템플릿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템플릿을 결정하고, 상기 광고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copy planning unit may plan the advertisement copy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on surrounding buildings of the vehicl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template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the template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on surrounding buildings of the vehicl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dvertisement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the advertisement content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on surrounding buildings of the vehicl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외부인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선 추적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외부인의 시선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른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주요 상품을 관심 상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display i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and further includes a gaze tracking module that tracks the gaze of an outsider to the at least one display, and the gaze tracking module can determine a main product included in the advertising content as a product of interest when the gaze of the outsider remains on the at least one display for a reference time period.
또한, 상기 광고 출력 모듈은, 상기 관심 상품을 3차원 그래픽 오브젝트로 렌더링하여 3차원 관심 상품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3차원 관심 상품을 상기 광고 콘텐츠 상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can render the product of interest as a three-dimensional graphic object to configure the product of interest as a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and display the configured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together on the advertisement content.
또한, 상기 시선 추적 모듈은 상기 3차원 관심 사물에 대한 상기 외부인의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광고 출력 모듈은 상기 외부인의 제스처에 따라 상기 3차원 관심 사물의 확대, 회전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ze tracking module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recognize a gesture of the outsider with respect to the three-dimensional object of interest, and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ovide at least one of enlargement, rot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e outsider.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방법은,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구성된 차량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식별된 사물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상품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주요 상품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dvertisement output of a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dvertisement output of a vehicle performed in an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comprising: a step of sens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vehicle having at least one display configured therein to generat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 step of analy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generate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an identified object; a step of determining a main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and a step of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related to the determined main product and outputt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at least one display.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의 주변에 위치한 주요 상품을 식별하고, 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주변인들에게 제공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광고, 홍보 효과가 더욱 높아지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dvertisement output of a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major products located around a vehicle and provide advertisement content related thereto to people around the vehicle, thereby helping to further enhance the advertising and promotional effect of the relevant products.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차량 주변의 다른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광고 콘텐츠에 이러한 오브젝트 정보를 반영하여 현재 위치한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광고 콘텐츠를 주변인들에게 제공, 주변인들이 광고 콘텐츠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dvertisement outpu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alyzes information about other objects around the vehicle, and reflects such object information in advertisement content to provide advertisement content ref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urrounding situation to people around the vehicle, thereby helping people around the vehicle focus more attention on the advertisement content.
또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외부인의 시선을 추적하고, 외부인이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3차원 입체 모델로 광고 콘텐츠의 주요 사물을 구현하여 출력, 외부인과 3차원 입체 모델로 구현된 주요 사물 사이의 상호 작용 더 진행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dvertisement outpu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track the gaze of an outsider on the advertisement content being outpu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sider is interested, implement a main object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odel and output it, thereby supporting further interaction between the outsider and the main object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odel.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3차원 입체 모델로 구현된 주요 사물에 대한 외부인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제스처에 대응하여 3차원 입체 모델을 변화하여 출력, 상품과 관련한 더욱 다양한 정보를 외부인에게 제공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recognize an outsider's gesture for a key object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odel, change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odel in response to the gesture, and output it, thereby supporting providing an outsider with more diver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또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지역에서 검색되는 상품 키워드를 웹, 검색 플랫폼, SNS 등에서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주요 상품을 판단, 광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사용자들 사이에 관심있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생성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collect product keywords searched in the relevant area from the web, search platforms, SNS, etc. by consid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can determine major products based on the keywords and generate advertisements. In other words, it can support generating advertisements for products of interest among online users.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specific matter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생성 모델, 건물 정보 생성 모델 및 위치 정보 생성 모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고 대상 선정부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 모듈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주요 상품에 대한 광고 콘텐츠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주요 상품, 건물 정보, 위치 정보 및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광고 콘텐츠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차량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와 상호 작용하는 외부 보행자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보행자의 시선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3차원 관심 사물이 제공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보행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3차원 관심 사물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보행자의 제스처에 대응하여 3차원 관심 사물이 제어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에 따른 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based on the generate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a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and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an advertisement target selection uni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a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for a main product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by considering main products, building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external pedestrian interacting with advertising content output from a display of a vehicle,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dvertising content output based on the gaze of an external pedestria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interest is provided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interest based on a gesture of an external pedestria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interest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a gesture of an external pedestria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llec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nline and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ir general or dictionary meaning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or word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modifications, and applicable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or "have" in this application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nfiguration, process, procedure or method includ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ared within a scope that is not technically contradictory to each other.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a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생성 모델, 건물 정보 생성 모델 및 위치 정보 생성 모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고 대상 선정부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 모듈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주요 상품에 대한 광고 콘텐츠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주요 상품, 건물 정보, 위치 정보 및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광고 콘텐츠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차량의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와 상호 작용하는 외부 보행자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보행자의 시선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3차원 관심 사물이 제공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보행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3차원 관심 사물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보행자의 제스처에 대응하여 3차원 관심 사물이 제어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에 따른 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the generate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a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and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an advertisement target selection uni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a data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for a major produc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by considering a major product, building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ement content output on a display of a vehicle and an external pedestrian interacting with i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dvertisement content output based on the gaze of an external pedestria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interest is provided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interest based on a gesture of an external pedestria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object of interest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a gesture of an external pedestria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llec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nline and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10)은 차량(100), 센싱 모듈(110), 사물 식별 모듈(120), 광고 출력 모듈(130), 시선 추적 모듈(140), 데이터 수집 모듈(150), 데이터베이스(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10) includes a vehicle (100), a sensing module (110), an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120), an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an eye tracking module (140), a data collection module (150), a database (160), and a display unit (170).
몇몇 실시예에서,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10)은 차량(100)의 탑승객 또는 차량(100)의 외부 보행자에게 광고 콘텐츠를 유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10)은 차량(100)의 탑승객, 보행자의 요청(명령)에 따라 선택된 특정 상품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10)은 차량 주변 환경에 기초하여 광고 대상 상품을 선정하고, 차량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새롭게 생성,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10) can dynamically provide advertisement content to passengers of the vehicle (100) or pedestrians outside the vehicle (100). The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10) can provide advertisement content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selected according to a request (command) of a passenger or pedestrian of the vehicle (100) through a display (170)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In addition, the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10) can select an advertisement target product based 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vehicle, newly generate and configure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vehicle, and provide such advertisement content through the display (170).
차량(100)은 사용자의 목적과 요구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도록 다목적 차량, 목적 기반 차량(PBV)을 의미한다. 또한, 차량(100)은 여러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다목적 차량(MPV, multiple purpose vehicle)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구성을 통해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여러 목적으로 이용되기 위해 유연하게 변화될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차량의 기본 기능인 주행 기능과 함께 다양한 목적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이러한 다목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100)의 내부 구성이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차량(100)의 내부 실내 공간(캐빈)에는 다양한 구성(좌석, 수납 장치, 전자 장치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은 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차량(100)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목적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refers to a multipurpose vehicle, a purpose-based vehicle (PBV), which can provid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user's purpose and needs. In addition, the vehicle (100) may refer to a multipurpose vehicle (MPV) tha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and may be flexibly chang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or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through th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That is, the vehicle (100) may provide services that suit various purposes along with the driving function, which is the basic function of the vehicl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100) may be freely changed to provide such multipurpose services. Various configurations (seats, storage devices, electronic devices, etc.) may be arranged in the internal interior space (cabin) of the vehicle (100), and these configurations may be provi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rvice. The display (170)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vehicle (100), and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a multipurpose service or output advertising content.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170)는 차량(100)의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에 따른 정보 또는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량(100)의 좌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반대 차선 또는 왼쪽 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우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오른쪽 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 또는 보행자를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의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후행하는 차량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전면은 반대 차선의 주행 차량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70)가 배치된 차량(100)의 위치, 외부면에 따라 표시되는 콘텐츠의 출력 상태 및 내용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으로 변형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대편 차량을 향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는 동영상이 아닌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170) may be arrang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left side, right side, and rear side of the vehicle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output information or content according to each loc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00) may output information for providing to a vehicle driving in an opposite lane or a left lane, and the display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00) may output information for a vehicle driving in a right lane or a pedestrian. In addition, the display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100) may output information to a following vehicle, and the front side may output information to a vehicle driving in an opposite lane. In an exemplary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output status and content of the displayed content may be 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external surface of the vehicle (100) on which the display (170) is arranged. For example, the display displayed toward an opposite vehicle may be controlled to output image content rather than video content.
센싱 모듈(110)은 차량(100)의 운행을 위한 센싱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은 자율 주행으로 운행되는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즉, 센싱 모듈(110)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자율 주행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센싱 모듈(110)은 차량(100)의 속도 변화, 차량(100)의 주요 구성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모듈(110)은 비전 센서, 라이더 센서, 레이더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싱 모듈(110)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주변 환경에 위치한 복수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도록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센싱 모듈(110)은 비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포함되도록 촬영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ensing module (110) may be a sensing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100). Here, the vehicle (100) may be an autonomous vehicle that operates autonomously. That is, autonomous driving of the vehicle (100) may be performed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nsing module (110). In addition, the sensing module (110) may recognize changes in the speed of the vehicle (100) and changes in the main components of the vehicle (100). In addition, the sensing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vision sensor, a lidar sensor, a radar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The sensing module (110) may detec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using various sensors and generat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lurality of objects locat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some embodiments, the sensing module (110) may include a vision sensor and may generat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capt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objects located in the surrounding of the vehicle (100).
사물 식별 모듈(120)은 센싱 모듈(110)에서 제공되는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주변의 환경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식별을 분석할 수 있다. 사물 식별 모듈(120)은 상품 정보 생성부(121), 위치 정보 생성부(122), 건물 정보 생성부(123) 및 날씨 정보 생성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120) can analy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ing module (110) to identify and analyze objects located in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The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120) can include a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1),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a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3), and a weathe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4).
상품 정보 생성부(121)는 주변 환경 정보를 기초로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22)는 주변 환경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건물 정보 생성부(123)는 주변 환경 정보를 기초로 차량 주변의 건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날씨 정보 생성부(124)는 주변 환경 정보를 기초로 차량 주변의 날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1) can identify products existing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generate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products.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can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3) can generate building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weathe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4) can generate weather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의 주변 환경에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복수의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주변 인도를 보행 중인 보행자(P), 보행자가 가지고 있는 상품(O1), 차량(100) 주변에 위치한 건물(O2) 및 차량(100) 주변의 자연 오브젝트(O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모듈(110)은 이러한 차량(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복수의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도록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objects are locat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100). The plurality of objects may include a pedestrian (P) walking on the sidewalk surrounding the vehicle (100), a product (O1) carried by the pedestrian, a building (O2) located around the vehicle (100), and a natural object (O3) around the vehicle (100). The sensing module (110) may generat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urality of objects existing around the vehicle (100).
상품 정보 생성부(121)는 상품 정보 생성 모델(OD1)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생성 모델(OD1)은 주변 환경 정보에 포함된 상품을 식별하고, 식별된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구성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일 수 있다.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1) may include a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1).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1)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at has been trained in advance to identify a product includ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o configure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dentified product.
도 3의 (a)를 참조하면, 주변 환경 정보는 차량(100)의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상품 정보 생성 모델(OD1)은 주변 환경 정보(이미지)를 분석하도록 학습된 식별 모델일 수 있다. 상품 정보 생성 모델(OD1)은 입력된 이미지에서 상품을 식별할 수 있다. 상품은 차량(100)의 주변의 사용자가 소지한 상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품은 차량(100)의 주변의 건물에 배치, 진열된 상품 또는 차량(100)의 주변의 건물 광고판에서 출력되는 상품일 수도 있다. 또한, 상품은 차량(100)의 주변의 건물에 배치된 간판에서 도출되는 상품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량(100)의 주변의 건물은 치킨 가게가 입점한 상태일 수 있으며, 치킨 가게의 간판을 보고 치킨이 상품으로 식별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3,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an image captured around the vehicle (100), and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1) may be an identification model learned to analy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mage).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1) may identify a product from the input image. The product may be a product possessed by a user around the vehicle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duct may be a product placed or displayed in a building around the vehicle (100) or a product output from an advertisement board of a building around the vehicle (100). In addition, the product may be a product derived from a signboard placed in a building around the vehicle (100). For example, a chicken restaurant may be located in a building around the vehicle (100), and chicken may be identified as a product by looking at the signboard of the chicken restaurant.
상품 정보 생성 모델(OD1)은 이미지에서 상품을 식별하고, 상품의 종류 및 상품의 명칭을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정보를 취합하여 상품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상품의 종류는 예를 들어, 가방, 시계, 모자 등과 같은 일반 명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품의 명칭은 상품의 브랜드를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품의 명칭은 브랜드 정보 및 같은 브랜드에서 상품을 구분하기 위한 정의된 상품의 품목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는 “상품 종류: 가방 - 상품 명칭: (LX사 - 알마DD)“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명칭은 브랜드 정보 및 상품의 세부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는 “상품 종류: 가방 - 상품 명칭: (LX사 - 토트백)”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1) can identify a product in an image, determine the type and name of the product, and compile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configure product information. The type of the product may mean a general name, such as a bag, a watch, a hat, etc., and the name of the product may mean a brand of the product. In some embodiments, the name of the product may include brand information and a defined product item name for distinguishing products from the same brand. Fo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as “Product type: Bag - Product name: (LX Company - Alma DD)”. In addition, the name of the product may include brand information and a detailed type of the product. Fo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as “Product type: Bag - Product name: (LX Company - Tote Bag)”.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품 정보 생성부(121)는 생성한 상품 정보를 광고 출력 모듈(1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 출력 모듈(130)은 식별된 상품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식별된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미리 준비된 상태인 경우, 광고 출력 모듈(130)은 해당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식별된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가 준비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광고 출력 모듈(130)은 식별된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더욱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As illustrated in FIG. 2,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1) can provide the generat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and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can output advertisement content related to the identified product. If th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product is prepared in advance,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can output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content. However, if th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product is not prepared,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can newly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product and output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through the display (170). The process of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건물 정보 생성부(123)는 건물 정보 생성 모델(OD2)를 포함하고, 위치 정보 생성부(122)는 위치 정보 생성 모델(OD3)를 포함하며, 날씨 정보 생성부(124)는 날씨 정보 생성 모델(OD4)를 포함할 수 있다. Again, referring to FIG. 3, the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3) may include a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2),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3), and the weathe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4) may include a weather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4).
건물 정보 생성 모델(OD2)은 주변 환경 정보에 포함된 건물을 식별하고, 식별된 건물과 관련된 건물 정보를 구성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일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주변 환경 정보는 차량(100)의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건물 정보 생성 모델(OD2)은 주변 환경 정보(이미지)를 분석하도록 학습된 식별 모델일 수 있다. 건물 정보 생성 모델(OD2)은 입력된 이미지에서 건물을 식별하고, 건물의 종류 및 건물의 명칭을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정보를 취합하여 건물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건물의 종류는 건물의 크기 또는 건물의 목적 등에 따라 정의될 수 있으며, 건물의 명칭은 일반적인 명칭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의 고유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건물은 삼성역 주변의 T레이드 타워일 수 있으며, 건물의 종류는 대형 빌딩, 건물의 명칭은 T레이드 타워로 판단될 수 있다.The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2)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at is trained in advance to identify a building includ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o configure buil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identified building. Referring to (b) of FIG. 3,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an image captured around the vehicle (100), and the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2) may be an identification model that is trained to analy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mage). The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2) may identify a building in an input image, determine the type of the building and the name of the building, and configure building information by collecting the determined information. In an embodiment, the type of the building may be def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ilding or the purpose of the building, and the name of the building may be a general n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unique name of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identified building may be the Trade Tower near Samseong Station, and the type of the building may be determined as a large building and the name of the building may be determined as Trade Tower.
위치 정보 생성 모델(OD3)은 건물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일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 생성 모델(OD3)은 건물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건물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의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건물의 위치, 건물과 차량의 거리 차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3)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at has been previously trained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Referring to (c) of Fig. 3,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3) may receive building information, determin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input building information, and generat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based o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vehicle.
날씨 정보 생성 모델(OD4)은 주변 환경 정보에 포함된 자연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식별된 자연 오브젝트를 기초로 날씨 정보를 구성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일 수 있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주변 환경 정보는 차량(100)의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날씨 정보 생성 모델(OD4)은 주변 환경 정보(이미지)를 분석하도록 학습된 식별 모델일 수 있다. 날씨 정보 생성 모델(OD4)은 입력된 이미지에서 자연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날씨의 상태 및 날씨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정보를 취합하여 날씨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날씨의 상태는 맑음, 구름, 흐림, 눈, 천둥, 번개 또는 비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자연 오브젝트는 이러한 날씨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태양, 구름, 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날씨의 정도는 판단된 상태의 날씨의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The weather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4)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at is learned in advance to identify natural objects includ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o configure weather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ed natural objects. Referring to (d) of FIG. 3,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an image captured around the vehicle (100), and the weather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4) may be an identification model that is learned to analy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mage). The weather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OD4) may identify natural objects in the input image, determine the weather condition and the degree of the weather, and compile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configure weather information. In the embodiment, the weather condition may indicate one of clear, cloudy, overcast, snow, thunder, lightning, or rain, and the natural object may mean the sun, cloudy, rain, etc. that may determine the weather condit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the weather may mean the degree of the weather in the determined state.
광고 출력 모듈(130)은 식별된 상품 중 주요 상품을 식별할 수 있으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출력 모듈(130)은 위치 정보 생성부(122)에서 판단된 위치 정보, 건물 정보 생성부(123)에서 판단된 건물 정보 및 날씨 정보 생성부(124)에서 판단된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can identify a main product among the identified products and can newly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Here,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can newly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the build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3), and the weather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4), and can output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through the display (170).
광고 출력 모듈(130)은 광고 대상 선정부(131), 광고 문안 기획부(132), 템플릿 결정부(133), 광고 생성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target selection unit (131), an advertisement copy planning unit (132), a template determination unit (133), and an advertisement creation unit (134).
광고 대상 선정부(131)는 상품 정보에 따른 상품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식별되는 횟수를 카운팅하며, 카운팅 횟수가 미리 선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품을 주요 상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advertising target selection unit (131) counts the number of times a product is identified according to product information during a preset period, and can determine a product whose counting number exceeds a preset threshold as a main product.
도 4를 참조하면, 사물 식별 모듈(120)의 상품 정보 생성부(121)는 복수의 상품 정보, 제1 내지 제n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제1 내지 제n 상품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또는 미리 설정된 거리동안 수집된 상품 정보일 수 있다. 광고 대상 선정부(131)는 제1 내지 제n 상품 정보를 수신하고, 상품 정보에 따른 상품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식별되는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광고 대상 선정부(131)는 상품 정보에 따라 상품을 분류하고, 식별되는 횟수를 카운팅하게 된다. 광고 대상 선정부(131)는 카운팅 횟수가 미리 선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품을 주요 상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1) of the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120) can generate a plurality of product information, first to nth product information. Here,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The first to nth product information may be product information collected for a preset time or a preset distance. The advertisement target selection unit (131) can receive the first to nth product information and count the number of times a product accor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is identified for a preset period. In the example of FIG. 4, the advertisement target selection unit (131) classifies products according to product information and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y are identified. The advertisement target selection unit (131) can determine a product whose counting number exceeds a preset threshold as a main product.
몇몇 실시예에서, 주요 상품은 차량(100)의 주변 환경에서 자주 식별되는 상품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상품에 대해서 차량(100)의 탑승객과 주변 보행자 모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상품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상품에 대한 광고가 차량(100)을 통해 제공됨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홍보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main product may refer to a product that is frequently identifi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100), and may be a product that both passengers of the vehicle (100) and pedestrians in the surrounding area may be interested in. Accordingly, as advertisements for the product are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100), the promotional effect for the product may be further enhanced.
도 4의 예시에서, 광고 대상 선정부(131)는 상품 명칭(LX), 상품 종류(가방)에 해당하는 상품을 주요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광고 문안 기획부(132), 템플릿 결정부(133) 및 광고 생성부(134)는 선정된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In the example of Fig. 4, the advertisement target selection unit (131) can select a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name (LX) and product type (bag) as the main product. The advertisement copy planning unit (132), template determination unit (133), and advertisement creation unit (134) creat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ain product.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의 생성은 데이터 수집 모듈(150)을 통해 외부 서버(180)로부터 수집된 상품 콘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The creation of advertising content corresponding to a main product can be created based on product content collected from an external server (180) through a data collection module (150).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외부 서버(180)로부터 수집, 크롤링할 수 있다. 외부 서버(180)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으며,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을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150)의 수집 활동은 미리 설정된 주기 또는 광고 출력 모듈(130)의 명령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150)에 입력되는 상품은 상품에 대한 키워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품의 이미지일 수 있다. 즉,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상품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외부 서버(180)로부터 수집하거나, 상품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외부 서버(18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외부 서버(180)는 상품과 관련된 브랜드 회사의 서버, 상품과 관련된 자유로운 검색이 가능한 포털 서버 또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는 SNS 서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5,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can collect and crawl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oduct from an external server (180). The external server (180) may refer to a server that provides an online environment in which multiple users can use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 collection activity of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may be performed in response to a preset cycle or a command of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The product input to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may be a keyword for the produ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 image of the product. That is,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may collect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keyword from the external server (180), or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mage from the external server (180). The external server (180) may be a server of a brand company related to the product, a portal server that allows free searches related to the product, or an SNS server where multiple users sha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odu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180)는 특정 상품에 대한 광고를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요청하거나, 본 발명의 시스템(10)과 제휴된 상품 판매 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 즉, 상품 판매 업체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특정 상품에 대한 광고를 의뢰하거나, 광고를 위한 제휴를 수행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품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상품 콘텐츠를 데이터 수집 모듈(150)이 크롤링하는 것을 허용한 상태일 수 있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external server (180) may request an advertisement for a specific product from the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 server of a product seller affiliated with the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oduct seller may request an advertisement for a specific product from the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have entered into an alliance for the advertisement, and may provide product content for this purpose, or may have permitted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to crawl the product content.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이미지, 상품 영상, 상품 설명을 상품 콘텐츠로 외부 서버(180)에서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광고를 외부 서버(180)에서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광고는 종래 대중에게 제공된 상품과 관련된 광고 영상, 광고 이미지 및 광고 문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설명은 상품 자체에 대한 설명과 상품을 평가하기 위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can collect product images, product videos, and product descrip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as product content from an external server (180).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can collect product advertisements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from an external server (180). Here, the product advertisements can include advertisement videos, advertisement images, and advertisement text related to products that have been provided to the public in the past. Here, the product descriptions can include descriptions of the product itself and descriptions for evaluating the product.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0)의 상품 콘텐츠 저장부(161)에 저장할 수 있다. 상품 콘텐츠 저장부(161)는 복수의 상품 계정별로 상품 콘텐츠가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제1 내지 제k 상품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k 상품 콘텐츠는 상품 콘텐츠 저장부(161)에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대응하여 외부 서버(180)로부터 수집할 수 있으며, 해당 계정에 수집된 상품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상품 콘텐츠를 계속 수집할 수 있으며, 상품 콘텐츠는 계속해서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되게 된다.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can store the collected information in the product content storage unit (161) of the database (160). The product content storage unit (161) can store product content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duct accounts. In the example of FIG. 5, the first to kth product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kth products can be stored in the product content storage unit (161).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can collect product contents corresponding to products from an external server (180) in response to a preset cycle, and can store the collected product contents in the corresponding account. That is,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can continuously collect product contents, and the product contents are continuously updated to the latest state.
또한, 데이터베이스(160)는 광고 콘텐츠 생성을 위한 복수의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라이브러리(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은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포맷, 양식을 의미할 수 있다. 템플릿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영역에 각각의 상품 콘텐츠, 상품 정보 또는 광고 문안이 삽입되어 광고 콘텐츠가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템플릿은 데이터베이스(160)에 미리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base (160) may further include a template library (162) including a plurality of templates for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The template may mean a format or form for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The tem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eset areas, and each product content, product information, or advertising text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area to generate advertising content. Such templates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160).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집 모듈(150)는 수집된 상품 광고를 참조하여, 템플릿을 신규로 생성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즉, 상품과 관련하여 종래 제공된 광고를 분석하여, 다른 신규 광고 생성을 위한 틀, 형식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과거 제공된 상품 광고를 분석하여 템플릿을 생성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 지능 기반의 템플릿 생성 모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생성 모델을 통해 생성된 템플릿은 템플릿 라이브러리(162)에 제공되어 업데이트되게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may further perform a process of newly generating a template by referring to the collected product advertisements. That is, a process of analyzing advertisements previously provided in relation to a product and extracting a framework and format for generating other new advertisement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may further include a template generation mode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is pre-learned to generate a template by analyzing previously provided product advertisements. The template generated through the template generation model is provided to the template library (162) and updated.
도 6a를 참조하면, 광고 대상 선정부(131)는 제2 상품을 주요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으며, 광고 문안 기획부(132)는 제2 상품과 관련된 광고 문안을 기획할 수 있다. 광고 문안은 제2 상품의 상품 정보를 설명 또는 표현하기 위한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광고 문안은 제2 상품의 상품 정보를 그대로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의 외형적인 특징, 브랜드의 가치 또는, 상품의 효과 등이 강조되기 위한 텍스트 정보에 해당한다. 광고 문안 기획부(132)는 제2 상품에 대응하는 제2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광고 문안을 기획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고 문안 기획부(132)는 제2 상품 이미지, 제2 상품 영상을 토대로 상품의 외형적인 특징을 평가하는 텍스트 정보, 광고 문안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문안 기획부(132)는 제2 상품 정보에 따른 브랜드 정보를 토대로 해당 브랜드가 가지는 대외적인 평가, 신임도 등을 고려하여 브랜드의 이미지, 가치를 표현하는 텍스트 정보, 광고 문안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 문안 기획부(132)는 제2 상품 콘텐츠의 제2 상품 설명을 고려하여 제2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 리뷰 등에 기초하여 제2 상품을 설명 또는 표현하는 텍스트 정보인 광고 문안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 문안 기획부(132)는 제2 상품과 관련된 과거 광고 영상인 제2 상품 광고를 참조하여, 광고 문안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광고 문안 기획부(132)는 종래 제공된 광고 영상의 광고 문안을 추출하거나, 변형하여 광고 문안을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the advertisement target selection unit (131) can select the second product as the main product, and the advertisement copy planning unit (132) can plan an advertisement copy related to the second product. The advertisement copy can be text information for explaining or expressing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second product. The advertisement copy does not simply express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second product, but corresponds to text information for emphasizing the external features of the product, the value of the brand, or the effect of the product. The advertisement copy planning unit (132) can plan the advertisement copy based on the second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duct. For example, the advertisement copy planning unit (132) can generate text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copy that evaluate the external features of the product based on the second product image and the second product video. 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copy planning unit (132) can generate text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copy that express the image and value of the brand by considering the external evaluation and credibility of the brand based on the bra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produc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dvertising copy planning department (132) may generate advertising copy, which is text information that describes or expresses the second product, based on consumers' evaluations, reviews, etc. of the second product, taking into account the second product description of the second product content. In addition, the advertising copy planning department (132) may generate advertising copy by referring to the second product advertisement, which is a past advertising video related to the second product. In other words, the advertising copy planning department (132) may extract or modify the advertising copy of the previously provided advertising video to generate the advertising copy.
템플릿 결정부(133)는 광고 문안 및 주요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적합한 템플릿을 템플릿 라이브러리에서 선별할 수 있다. 템플릿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템플릿은 상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결정부(133)는 주요 상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가진 템플릿을 템플릿 라이브러리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문안 기획부(132)에서, 생성된 광고 문안은 글자 수가 설정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품의 특징과 효과를 강조하기 위한 주요 단어 또는 주요 문장을 설정될 수 있다. 템플릿 결정부(133)는 광고 문안의 글자 수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템플릿 라이브러리에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템플릿은 주요 단어 또는 주요 문장을 강조하기 위한 주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결정부(133)는 주요 단어 또는 주요 문장에 대응하는 크기, 형식으로 주요 영역이 구성된 템플릿을 템플릿 라이브러리에서 선별할 수 있다. The template determination unit (133) can select a template suitable for at least one of the advertising text and the main product from the template library. The template stored in the template library can include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product. The template determination unit (133) can select a template having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main product from the template library. In addition, in the advertising text planning unit (132), the generated advertising text can have a set number of characters, and key words or key sentences for emphasizing 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oduct can be set. The template determination unit (133) can select a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advertising text from the template library. In addition, the template can include a key area for emphasizing the key word or key sentence. The template determination unit (133) can select a template in which the key area is configured in a size and format corresponding to the key word or key sentence from the template library.
광고 생성부(134)는 광고 문안, 템플릿, 제2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제2 상품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템플릿은 적어도 상품 이미지 영역 및 광고 문안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품 영상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템플릿의 영역은 공간적인 영역을 구획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시간적인 영역을 구획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템플릿의 특정 지점은 광고 초기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광고 문안을 표시할 수도 있다. 광고 생성부(134)는 결정된 광고 문안, 제2 상품 콘텐츠를 결정된 템플릿의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하여 광고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광고 생성부(134)는 광고 문안, 템플릿, 제2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광고 생성 모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can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for the second product based on the advertisement text, the template, and the second product content. The template can include at least a product image area and an advertisement text area, and can further include a product video area. Here, the area of the template can mean a spatial area divided into sections, but can also mean a temporal area divided into sections. That is, a specific point of the template can display a video at the beginning of the advertisement, but can also display advertisement text over time.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can configure the advertisement content by placing the determined advertisement text and the second product content i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etermined template.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can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generation model for generat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the advertisement text, the template, and the second product content.
몇몇 실시예에서, 광고 생성 모델은 광고 문안, 템플릿, 제2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모델과 생성 모델에서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검증하는 검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모델은 제2 상품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추출할 수 있으며, 광고 문안과 추출한 콘텐츠를 템플릿에 부가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검증 모델은 생성 모델에서 생성된 광고 콘텐츠에 대한 레이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팅은 종래 생성된 광고 콘텐츠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판단되는 평가 점수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상품 판매 회사가 광고를 의뢰한 상태인 경우, 기준이 되는 표준 광고 콘텐츠가 설정될 수 있으며, 검증 모델은 표준 광고 콘텐츠와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비교하 분석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el may include a generation model that generates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advertisement text, a template, and second product content, and a verification model that verifies the advertisement content generated from the generation model. The generation model may extract any one of the second product contents, and may generate the advertisement content by adding the advertisement text and the extracted content to the template. The verification model may perform rating on the advertisement content generated from the generation model. Here, the rating may be an evaluation score determin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previously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when a product sales company has requested an advertisement, a standard advertisement content that serves as a reference may be set, and the verification model may calculate an evaluation score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standard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검증 모델은 광고 콘텐츠를 평가한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생성된 광고 콘텐츠의 평가 점수가 기준 점수를 충족하는 경우, 광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70)로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검증 모델은 생성된 광고 콘텐츠의 평가 점수가 기준 점수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생성 모델에 피드백 정보와 함께 광고 콘텐츠의 재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생성 모델은 피드백 정보를 반영하여 제2 상품 콘텐츠 중 다른 콘텐츠를 추출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The verification model can calculate a score for evaluating the advertising content, and if the evaluation score of the generated advertising content satisfies the reference score, the advertising content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170). Conversely, if the evaluation score of the generated advertising content does not meet the reference score, the verification model can request the generation model to regenerate the advertising content along with feedback information. The generation model can generate the advertising content by extracting other content from the second product content by reflec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몇몇 실시예에서, 광고 출력 모듈(130)은 건물 정보, 위치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may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building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도 6b를 참조하면, 광고 문안 기획부(132)는 건물 정보, 위치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반영되도록 광고 문안을 기획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편안하고 안정한 수납을 보증하는 LX 가방”이라는 광고 문안은 날씨 정보(비)가 반영되어, ”비가 오는 날에는 편안하고 안정한 수납을 보증하는 LX 가방”이라고 광고 문안이 기획될 수 있다. 템플릿 결정부(133)는 건물 정보, 위치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반영하여 템플릿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건물 정보 또는 위치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도록 템플릿이 결정될 수 있다. 광고 생성부(134)는 건물 정보, 위치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반영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건물 정보, 위치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반영되어 콘텐츠가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고 생성부(134)는 건물 정보의 건물 이미지/영상 또는 위치 정보에 장소 이미지/영상이 포함되도록 광고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광고 생성부(134)는 날씨 정보에 따라 광고 콘텐츠의 전체적인 색상 및 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고 생성부(134)는 맑은 날씨에서는, 광고 콘텐츠의 전체적인 색상 및 분위기를 밝게 형성하고, 비가 오는 날씨에서는, 광고 콘텐츠의 전체적인 색상 및 분위기를 어둡게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b, the advertisement copy planning unit (132) may plan the advertisement copy to further reflect at least one of the building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eath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dvertisement copy “LX bag that guarantees comfortable and stable storage” may reflect the weather information (rain), and the advertisement copy may be planned to be “LX bag that guarantees comfortable and stable storage on rainy days.” The template determination unit (133) may determine the template by further reflecting at least one of the building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eath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emplate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building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further displayed.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may generate the advertisement content by further reflecting at least one of the building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eather information. That is, the content may be configured by further reflecting at least one of the building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weath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may configure the advertisement content such that the building image/video of the building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mage/video is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nother example,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can adjust the overall color and mood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ccording to weather information. For example, in clear weather,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can form the overall color and mood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bright, and in rainy weather, can form the overall color and mood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dark.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은 차량 주변의 다른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광고 콘텐츠에 이러한 오브젝트 정보를 반영하여 현재 위치한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광고 콘텐츠를 주변인들에게 제공, 주변인들이 광고 콘텐츠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The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alyzes information about other objects around the vehicle, and reflects such object information in advertisement content to provide advertisement content ref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urrounding situation to people around the vehicle, thereby helping people around the vehicle focus more attention on the advertisement content.
광고 출력 모듈(130)에서 생성된 광고 콘텐츠는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7의 예시와 같이, 디스플레이(170)는 차량(100)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차량(100) 주변의 보행자(P)에게 상품에 대한 광고, 홍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70)는 차량(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량(100)에 탑승한 탑승객에게 상품에 대한 광고, 홍보를 전달할 수 있다. Advertisement content generated in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170). As in the example of Fig. 7, the display (170) can be placed outside the vehicle (100) and can deliver advertisements and promotions for products to pedestrians (P) around the vehicle (100).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170) can be placed inside the vehicle (100) and can deliver advertisements and promotions for products to passengers boarding the vehicle (100).
도 7에서, 차량(100)은 횡단 보도 앞에서, 정차 중인 상태일 수 있으며, 차량(100) 주변의 보행자(P), 외부인은 차량(100)의 외부 디스플레이(170)에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C)를 시청할 수 있다. In Fig. 7, the vehicle (100) may be stopped in front of a crosswalk, and pedestrians (P) and outsiders around the vehicle (100) may view advertising content (C) provided on the external display (170) of the vehicle (100).
시선 추적 모듈(140)은 차량(100)의 외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70)에 대한 외부인(P)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차량의 광고 출력 시스템(10)은 외부인(P)의 시선에 대응하여 현재 제공 주인 광고 콘텐츠의 추가적인 정보를 더 제공하여, 외부인(P)과 광고 콘텐츠 사이의 상호 작용이 더 수행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잇다. 즉, 외부인(P)에게 광고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더 제공하여, 외부인(P)이 광고 상품을 구매하는 것을 지원, 광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The gaze tracking module (140) can track the gaze of an outsider (P) toward a display (170) placed outside of a vehicle (100). The advertisement output system (10) of the vehicle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ly provided main advertisement content in response to the gaze of the outsider (P), thereby supporting further interaction between the outsider (P)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 In other words, b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advertisement product to the outsider (P), the outsider (P) can be supported to purchase the advertisement product,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advertisement effect.
도 8을 참조하면, 시선 추적 모듈(140)은 시선 추적 모듈(140)은 외부인(P)의 시선 및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시선 및 동작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S210). 시선 추적 모듈(140)은 외부인(P)의 시선이 디스플레이(17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70)에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C)에 기준 시간 이상 머무르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212). 즉, 외부인(P)이 광고 콘텐츠(C)를 주의 깊게, 관심 있게 바라보는 지 여부를 시선 추적 모듈(140)은 판단할 수 있다. 단계(S212)에서, 디스플레이(170)에 외부인(P)의 시선이 기준 시간 이하로 머무른 경우(No), 광고 콘텐츠(C)를 계속하여 출력하게 된다(S214). 단계(S212)에서, 디스플레이(170)에 외부인(P)의 시선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른 경우(Yes),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주요 상품을 관심 상품으로 판단하게 된다(S216). Referring to FIG. 8, the gaze tracking module (140) can recognize the gaze and movement of an outsider (P) and track changes in the recognized gaze and movement (S210). The gaze tracking module (140) determines whether the gaze of the outsider (P) remains on the display (170), specifically, on the advertising content (C) provided on the display (170), for a reference time or longer (S212). That is, the gaze tracking module (140) can determine whether the outsider (P) looks at the advertising content (C) carefully and with interest. In step (S212), if the gaze of the outsider (P) remains on the display (170) for a reference time or shorter (No), the advertising content (C) is continuously output (S214). In step (S212), if an outsider's (P) gaze remains on the display (170) for a period of time exceeding the standard time (Yes), the main product included in the advertising content is determined to be a product of interest (S216).
주요 상품이 관심 상품으로 판단된 경우, 광고 출력 모듈(130)은 관심 상품을 3차원 그래픽 오브젝트로 렌더링하여 3차원 관심 상품으로 구성한다(S218). 광고 출력 모듈(130)의 광고 생성부(134)는 관심 상품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기초로 3차원 관심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는 관심 상품은 복수 방향에서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으며, 복수의 이미지를 3차원 렌더링을 수행하여 3차원 그래픽 오브젝트를 구성, 3차원 관심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3차원 관심 상품은 3차원 좌표 상에 구현된 입체 요소일 수 있으며, 여러 방향에서 상품의 상태, 외형을 관측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광고 생성부(134)는 구성된 3차원 관심 상품을 상기 광고 콘텐츠 상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S220).If the main product is determined to be a product of interest,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renders the product of interest as a three-dimensional graphic object to configure it as a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S218).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of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can generate a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based on a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of interest. The plurality of images may be images of the product of interest taken from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the three-dimensional graphic object may be configured by performing three-dimensional rendering on the plurality of images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The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may be a three-dimensional element implemented o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nd may be in a state where the state and appearance of the product can be observed from a plurality of directions.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can display the configured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together on the advertisement content (S220).
도 9는, 3차원 관심 상품(D1)이 광고 콘텐츠(C)와 함께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3차원 관심 상품(D1)는 광고 콘텐츠(C)의 상품 이미지가 제공되지 않았던 영역에 출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3차원 관심 상품(D1)은 광고 콘텐츠(C)에서 상품 이미지가 제공되었던 영역에 중복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Fig.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3D product of interest (D1) is displayed together with advertising content (C). The 3D product of interest (D1) may be output in an area where the product image of the advertising content (C) was not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some embodiments, the 3D product of interest (D1) may be displayed in an overlapping manner in an area where the product image was provided in the advertising content (C).
즉,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출력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외부인의 시선을 추적하고, 외부인이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3차원 입체 모델로 광고 콘텐츠의 주요 사물을 구현하여 출력, 외부인과 3차원 입체 모델로 구현된 주요 사물 사이의 상호 작용 더 진행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That is, the vehicl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track the gaze of an outsider on the output advertisement conten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sider is interested, output the main object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a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odel, and support further interaction between the outsider and the main object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odel.
시선 추적 모듈(140)은 3차원 관심 상품이 구현된 상태에서, 외부인(P)의 제스처, 동작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인(P)의 제스처는 출력된 3차원 관심 상품(D1)과의 상호 작용을 위한 행동일 수 있다.The gaze tracking module (140) can recognize gestures and movement changes of an outsider (P) in a state where a 3D product of interest is implemented. Such gestures of an outsider (P) may be actions for interaction with an output 3D product of interest (D1).
도 10을 참조하면, 시선 추적 모듈(140)은 외부인(P)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S222). 시선 추적 모듈(140)은 3차원 관심 상품(D1)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외부인(P)의 시선 또는 자세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시선 추적 모듈(140)은 인식된 제스처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24). 즉, 시선 추적 모듈(140)은 외부인(P)의 시선의 변화 방향 또는 자세의 변화 방향을 분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외부인(P)의 자세 변화는 3차원 관심 상품(D1)이 표시되는 3차원 상의 위치 또는 각도를 변화시키거나, 3차원 관심 상품(D1)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려는 것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gaze tracking module (140) can recognize a gesture of an outsider (P) (S222). The gaze tracking module (140) can recognize a change in the gaze or posture of an outsider (P) when a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D1) is output. The gaze tracking module (140) can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gesture (S224). That is, the gaze tracking module (140) can analyze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gaze or posture of an outsider (P). For example, a change in the posture of an outsider (P) can change a three-dimensional position or angle at which a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D1) is displayed, or can be intended to enlarge or reduce the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D1).
광고 출력 모듈(130)의 광고 생성부(134)는 제스처 분석 정보에 따라 3차원 관심 상품을 제어하게 된다(S226). 구체적으로, 광고 생성부(134)는 제스처 분석 정보에 대응하여 3차원 관심 상품이 출력되는 상태, 각도 또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출력 모듈(130)의 광고 생성부(134)는 3차원 관심 상품과 관련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28). 여기서, 추가 정보는 3차원 관심 상품의 구매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즉, 3차원 관심 상품을 현재 구매할 수 있는 매장 정보 및 이의 판매 가격에 대한 정보를 광고 생성부(134)는 추가 정보로 더 제공할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of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controls the 3D product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gesture analysis information (S226). Specifically,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can control the state, angle, or position at which the 3D product of interest is output in response to the gesture analysi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of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can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3D product of interest (S228). 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rchase of the 3D product of interest. That is,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can further provide information on stores where the 3D product of interest can currently be purchased and the sales price thereof as additional information.
도 11을 참조하면, 시선 추적 모듈(140)은 도 9의 외부인(P)의 제스처를 3차원 관심 상품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판단하여, 이에 따른 제스처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스처 분석 정보에 따라 광고 생성부(134)는 3차원 관심 상품을 현재 제공되는 수직 축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켜서 출력할 수 있다. 즉, 정면이 아닌 후면이 외부인(P)에게 나타나도록 3차원 관심 상품(D')이 제어되어 출력되는 것을 도 11의 예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관심 상품에 대한 구매 정보(D2)가 출력되도록 광고 콘텐츠(C)가 변형된 것을 도 11의 예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gaze tracking module (140) can determine that the gesture of the outsider (P) of FIG. 9 is a motion of rotating a 3D product of interest, and can generate gesture analysis information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gesture analysis information, th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134) can output the 3D product of interest by rotating it 180 degrees based on the currently provided vertical axis. That is, it can be confirmed in the example of FIG. 11 that the 3D product of interest (D') is controlled and output so that the back, not the front, is displayed to the outsider (P).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in the example of FIG. 11 that the advertisement content (C) is modified so that purchase information (D2) for the 3D product of interest is output.
도 12를 참조하면, 사물 식별 모듈(120)의 위치 정보 생성부(122)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22)는 GPS 위치 추적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용하여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정보 생성부(122)는 주변 환경 정보의 분석을 통해 식별된 건물의 위치를 판단하며, 판단된 건물 위치와 차량(100)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of the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120) can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can include a GPS location tracking device and can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by using the sam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2)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an identified building through analysis of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an als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0) by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etermined building location and the vehicle (100).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위치 정보에 따른 지역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역 정보는 행정 구역 단위, 예를 들어, 읍, 면, 동과 같은 최소 행정 구역 단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역 정보는 공개된 외부 서버(180)에서 지역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최소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외부 서버(180)는 검색 플랫폼 서버, SNS 서버, 공개된 웹 서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 서버(180)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으며,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을 제공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180)는 지역 단위로 검색되는 정보를 제한하여 표시하거나,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지역 단위로 필터링된 상태에서 정보를 외부 서버(180)로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외부 서버(180)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관심도 높은 키워드를 지역 정보를 고려하여 수집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이 위치한 지역의 사용자들이 검색 플랫폼, 웹 또는 SNS 상에서 높은 관심도를 보이는 키워드를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수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데이터 수집 모듈(150)은 특정 시간 동안 지역 단위를 기준으로 관련된 키워드를 모두 수집하고, 수집된 키워드에 대한 검색 횟수를 카운트하여 관심도가 높은 키워드를 설정, 판단할 수 있다.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can define reg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Here, the regional information may be an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for example, a minimum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such as a town, a township, or a neighborho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gional information may mean a minimum unit that can collect regional information from a public external server (180). The external server (180) may mean a search platform server, an SNS server, a public web server, etc. The external server (180) may mean a server that provides an online environment in which multiple users can use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some embodiments, the external server (180) may provide a function for limi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searched by region or filtering it. In another embodiment,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information to the external server (180) in a state filtered by region.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may collect keywords of high interest among users of the external server (180) by considering regional information. That is,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can collect keywords that users in the area where the vehicle (100) is located show high interest in on a search platform, web, or SNS. For example, the data collection module (150) can collect all related keywords based on a region unit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count the number of searches for the collected keywords, and set and determine keywords with high interest.
상품 정보 생성부(121)는 수집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관심도가 높은 키워드에서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 키워드를 상품 정보 생성부(121)는 필터링할 수 있으며, 필터링된 상품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품 정보 생성부(121)에서 생성된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출력 모듈(130)은 주요 상품을 판단하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광고를 생성하게 된다.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1) can generate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collected keywords. That is,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1) can filter product keywords corresponding to products from keywords with high interest, and generate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ed product keywords.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1), th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130) determines the main product and generates an advertisem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지역에서 검색되는 상품 키워드를 웹, 검색 플랫폼, SNS 등에서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주요 상품을 판단, 광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 사용자들 사이에 관심있는 상품에 대한 광고를 생성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구성된 차량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식별된 사물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상품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주요 상품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llect product keywords searched in the corresponding area from the web, search platforms, SNS, etc., by conside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can determine major products and generate advertisements based on the collected product keywords. That is, th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ort generating advertisements for products of interest not only to offline users but also to online users. Th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in th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system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sen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vehicle having at least one display configured to generat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aly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generate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an identified object; determining major products based on the product information; and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related to the determined major products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at least one display.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적어도 상품의 종류 및 상품의 명칭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생성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상품 정보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tep of generating the product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that is trained in advance to analy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generate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he type of product and the name of the product.
몇몇 실시예에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정보에 따른 상품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식별되는 횟수를 카운팅하며, 상기 카운팅 횟수가 미리 선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품을 상기 주요 상품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tep of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and outputting it to the at least one display may include the step of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a product accor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is identified during a preset period of time, and determining a product for which the counted number of times exceeds a pre-selected threshold as the main product.
몇몇 실시예에서, 상품과 관련된 상품 콘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하고, 복수의 상품 계정별로 상품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품 콘텐츠는 상품 이미지, 상품 영상, 상품 설명 및 종래 상품 광고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광고 콘텐츠 생성을 위한 복수의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수집된 상품 콘텐츠를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품 계정에 저장하여 상품 콘텐츠를 업데이트 하며, 수집된 상품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품 계정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품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상품 콘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collecting product content related to a product from an external server, and storing the product content in a databas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duct accounts, wherein the product content includes a product image, a product video, a product description, and a conventional product advertisement, and the database includes a template library including a plurality of templates for generat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storing step may include storing the collected product content in a corresponding product account of the database to update the product content, and if a product account corresponding to the collected product content is not confirmed in the database, creating a product account to store the product content.
몇몇 실시예에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상품에 대한 광고 문안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문안, 상기 템플릿 및 상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tep of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and outputting it to the at least one display may include the steps of determining advertising text for the main product; determining a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and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based on the advertising text, the template, and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변 환경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식별되는 건물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식별되는 자연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차량 주변의 날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건물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mag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and a step of generating surrounding build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 building object identified in the image information; a step of generating weather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based on a natural object identified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a step of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urrounding building information.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광고 문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광고 문안을 기획하며, 상기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템플릿을 결정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dvertising text may plan the advertising text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about buildings around the vehicl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emplate may determine the template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about buildings around the vehicl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tep of generating the advertising content may generate the advertising content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about buildings around the vehicl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외부인의 시선을 추적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외부인의 시선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른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주요 상품을 관심 상품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at least one display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an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cking an outsider's gaze on the at least one display; and if the outsider's gaze remains on the at least one display for a reference period of tim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a main product included in the advertising content as a product of interest.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 상품을 3차원 그래픽 오브젝트로 렌더링하여 3차원 관심 상품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3차원 관심 상품을 상기 광고 콘텐츠 상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figuring the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by rendering the product of interest as a three-dimensional graphic object; and the step of displaying the configured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together with the advertising content.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3차원 관심 사물에 대한 상기 외부인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인의 제스처에 따라 상기 3차원 관심 사물의 확대, 회전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ognizing a gesture of an outsider with respect to the 3D object of interest; and providing at least one of magnification, rot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3D object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e outsider.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embodiment.
Claims (10)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사물 식별 모듈;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상품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주요 상품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고 출력 모듈;
상품과 관련된 상품 콘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수집 모듈;
복수의 상품 계정별로 상품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외부인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품 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적어도 상품의 종류 및 상품의 명칭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생성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상품 정보 생성 모델을 포함하고,
상기 상품 콘텐츠는 상품 이미지, 상품 영상, 상품 설명 및 종래 상품 광고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생성에 기초가 되는 복수의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출력 모듈은,
상기 상품 정보에 따른 상품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식별되는 횟수를 카운팅하며, 카운팅 횟수가 미리 선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품을 상기 주요 상품으로 판단하는 광고 대상 선정부;
상기 주요 상품의 상품 정보를 설명 또는 표현하기 위한 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문안을 생성하는 광고 문안 기획부;
상기 주요 상품 및 상기 광고 문안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결정하는 템플릿 결정부; 및
상기 광고 문안, 상기 템플릿 및 상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광고 생성 모델을 포함하는 광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문안 기획부는 상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주요 상품의 외형적인 특징, 브랜드의 가치 또는 상품의 효과가 강조되는 광고 문안을 생성하며,
상기 템플릿 결정부는 상기 주요 상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 및 상기 광고 문안의 글자 수를 고려하여 대응하는 제1 템플릿을 상기 템플릿 라이브러리에서 선택하며,
상기 광고 생성 모델은 상기 광고 문안, 상기 제1 템플릿 및 상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모델 및 상기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검증하는 검증 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 모델은 상기 광고 문안 및 상기 상품 콘텐츠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상기 제1 템플릿에 부가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검증 모델은 상기 생성 모델에서 생성된 광고 콘텐츠와 기준 콘텐츠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생성된 광고 콘텐츠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검증 모델은 상기 생성된 광고 콘텐츠의 평가 점수가 기준 점수를 충족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며,
상기 검증 모델은 상기 생성된 광고 콘텐츠의 평가 점수가 기준 점수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피드백 정보와 함께 광고 콘텐츠 재생성을 상기 생성 모델에 요청하고, 상기 생성 모델은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상품 콘텐츠에서 다른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다른 이미지 또는 영상과 상기 광고 문안을 상기 제1 템플릿에 부가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재생성하고,
상기 시선 추적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외부인의 시선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른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주요 상품을 관심 상품으로 판단하고,
상기 광고 출력 모듈은 상기 관심 상품을 3차원 그래픽 오브젝트로 렌더링하여 3차원 관심 상품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3차원 관심 상품을 상기 광고 콘텐츠 상에 함께 표시하며,
상기 시선 추적 모듈은 상기 3차원 관심 상품에 대한 상기 외부인의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광고 출력 모듈은 상기 외부인의 제스처에 따라 상기 3차원 관심 상품의 회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A sensing module for sen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vehicle having at least one display configured therein and generating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including a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produc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above-mentione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 advertisement output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a main product based on the above product information, generate advertisement content related to the determined main product, and output the same to at least one display;
A data collection module configured to collect product content related to the product from an external server;
A database where product content is stored for each product account; and
A gaze tracking module i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and includes a gaze tracking module that tracks the gaze of an outsider to at least one display.
The abov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t includes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that analyzes the above-mentione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generate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he type and name of the product.
The above product content includes product images, product videos, product descriptions, and existing product advertisements.
The above database includes a template library including a plurality of templates that serve as the basis for generating the above advertising content,
The above advertising output module,
An advertising target selection unit that counts the number of times a product according to the above product information is identified during a preset period and determines a product whose count exceeds a preset threshold as the main product;
An advertising copy planning department that creates advertising copy corresponding to text information for describing or express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above major products;
A templa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above main product and the above advertising text; and
An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including an advertisement generation model that generates the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the advertisement text, the template, and the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The above advertising copy planning department creates advertising copy that emphasizes the external features of the main product, the value of the brand, o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The above template determination unit selects a corresponding first template from the template library by consider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main product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in the advertising text.
The abov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el includes a generation model that generates the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the advertisement text, the first template, and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and a verification model that verifies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The above generation model generates the advertising content by adding at least one image or video extracted from the advertising text and the product content to the first template,
The above verification model calculates an evaluation score for the generated advertising content by comparing the advertising content generated from the above generation model with the reference content,
The above verification model outputs the generated advertising content to the display if the evaluation score of the generated advertising content satisfies the reference score.
The verification model requests the generation model to regenerate the advertisement content together with feedback information whe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does not meet the reference score, and the generation model extracts another image or video from the product content by reflec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regenerates the advertisement content by adding the extracted other image or video and the advertisement text to the first template.
The above gaze tracking module determines the main product included in the advertising content as a product of interest when the gaze of the outsider remains on at least one display for a period of time exceeding a reference time,
The abov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renders the above product of interest as a three-dimensional graphic object to configure it as a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and displays the configured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together on the advertisement content.
The above gaze tracking module is further configured to recognize a gesture of an outsider with respect to the above 3D product of interest,
The abov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is configured to provide rot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e outsider.
Vehicle advertising output control system.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은 수집된 상품 콘텐츠를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상품 계정에 저장하여 상품 콘텐츠를 업데이트 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은 수집된 상품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품 계정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품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상품 콘텐츠를 저장하는,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ata collection module updates the product content by storing the collected product content in the corresponding product account of the database.
The above data collection module creates a product account and stores the product content if a product account corresponding to the collected product content is not confirmed in the database.
Vehicle advertising output control system.
상기 주변 환경 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변 환경을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 식별 모듈은,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식별되는 건물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를 생성하는 건물 정보 생성부;
상기 이미지 정보에서 식별되는 자연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차량 주변의 날씨 정보를 생성하는 날씨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주변 건물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 문안 기획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광고 문안을 기획하며,
상기 템플릿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템플릿을 결정하고,
상기 광고 생성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차량의 주변 건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The above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A build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building information surrounding the vehicle based on a building object identified in the above image information;
A weather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weather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based on natural objects identified in the above image informa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urrounding building information,
The above advertising copy planning department plans the advertising copy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on buildings around the vehicle, and weath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templat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template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on buildings surrounding the vehicle, and weath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above advertisement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advertisement content by further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on buildings around the vehicle, and weath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Vehicle advertising output control system.
상기 사물 식별 모듈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 생성부에 따른 지역 정보를 기준으로 키워드를 외부 서버에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품 정보 생성부는 상기 수집된 키워드에서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 키워드를 필터링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object identification module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t further includes a data collection module that collects keywords from an external server based on reg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ov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e above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product information by filtering product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from the collected keywords.
Vehicle advertising output control system.
상기 광고 출력 모듈은 상기 외부인의 제스처에 따라 상기 3차원 관심 상품의 확대 및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advertisement output module is configured to provide at least one of an enlargement of the 3D product of interest and additi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e outsider.
Vehicle advertising output control system.
상품과 관련된 상품 콘텐츠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집하고, 수집된 상품 콘텐츠를 복수의 상품 계정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구성된 차량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적어도 상품의 종류 및 상품의 명칭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생성하도록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상품 정보 생성 모델을 통해 분석하여 식별된 사물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상품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주요 상품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외부인의 시선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외부인의 시선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여 머무른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주요 상품을 관심 상품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관심 상품을 3차원 그래픽 오브젝트로 렌더링하여 3차원 관심 상품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3차원 관심 상품을 상기 광고 콘텐츠 상에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관심 상품에 대한 상기 외부인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상기 외부인의 제스처에 따라 상기 3차원 관심 상품의 회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 콘텐츠는 상품 이미지, 상품 영상, 상품 설명 및 종래 상품 광고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생성에 기초가 되는 복수의 템플릿을 포함하는 템플릿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상품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품 정보에 따른 상품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식별되는 횟수를 카운팅하며, 카운팅 횟수가 미리 선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품을 상기 주요 상품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된 주요 상품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상품의 상품 정보를 설명 또는 표현하기 위한 텍스트 정보에 해당하는 광고 문안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주요 상품의 외형적인 특징, 브랜드의 가치 또는 상품의 효과가 강조되는 광고 문안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주요 상품 및 상기 광고 문안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주요 상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 및 상기 광고 문안의 글자 수를 고려하여 대응하는 제1 템플릿을 상기 템플릿 라이브러리에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및
광고 생성 모델을 통해 상기 광고 문안, 상기 템플릿 및 상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생성 모델은 상기 광고 문안, 상기 제1 템플릿 및 상기 주요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생성 모델 및 상기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검증하는 검증 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 모델은 상기 광고 문안 및 상기 상품 콘텐츠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상기 제1 템플릿에 부가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검증 모델은 상기 생성 모델에서 생성된 광고 콘텐츠와 기준 콘텐츠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생성된 광고 콘텐츠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검증 모델은 상기 생성된 광고 콘텐츠의 평가 점수가 기준 점수를 충족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며,
상기 검증 모델은 상기 생성된 광고 콘텐츠의 평가 점수가 기준 점수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피드백 정보와 함께 광고 콘텐츠 재생성을 상기 생성 모델에 요청하고, 상기 생성 모델은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상품 콘텐츠에서 다른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다른 이미지 또는 영상과 상기 광고 문안을 상기 제1 템플릿에 부가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재생성하는,
차량의 광고 출력 제어 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dvertising output of a vehicle, performed in a vehicle advertising output control system,
A step of collecting product content related to a product from an external server and storing the collected product content in a database for each of multiple product accounts;
A step of sen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vehicle having at least one display configured to generat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 step of generating product information related to an identified object by analy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oduct information generation model that has been trained in advance to generate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the type and name of the product;
A step of determining the main product based on the above product information;
A step of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related to the above-determined main product and outputting it to at least one display;
A step of tracking an outsider's gaze on at least one of the above displays;
A step of determining a main product included in the advertising content as a product of interest when the gaze of an outsider remains on at least one of the displays for a period of time exceeding a reference time;
A step of rendering the above product of interest into a three-dimensional graphic object to form a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and displaying the formed three-dimensional product of interest together on the advertising content; and
Including a step of recognizing a gesture of an outsider with respect to the above 3D product of interest and providing rotation of the above 3D product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e outsider,
The above product content includes product images, product videos, product descriptions, and existing product advertisements.
The above database includes a template library including a plurality of templates that serve as the basis for generating the above advertising conten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main product based on the above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a product accor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is identified during a preset period, and determining a product whose counting number exceeds a preset threshold as the main product.
The step of generating advertising content related to the above-determined main product and outputting it to at least one display is:
A step of generating an advertising text corresponding to text information for describing or express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main product, the step including generating an advertising text that emphasizes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main product, the value of the brand, or the effect of the product based on the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A step for determining a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and the advertising text, comprising: a step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first template from the template library by considering attribu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main product and the number of characters of the advertising text; and
A step of generating the advertising content based on the advertising text, the template, and the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through an advertising generation model,
The above advertisement generation model includes a generation model that generates the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the advertisement text, the first template, and produ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product, and a verification model that verifies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The above generation model generates the advertising content by adding at least one image or video extracted from the advertising text and the product content to the first template,
The above verification model calculates an evaluation score for the generated advertising content by comparing the advertising content generated from the above generation model with the reference content,
The above verification model outputs the generated advertising content to the display if the evaluation score of the generated advertising content satisfies the reference score.
The verification model requests the generation model to regenerate the advertisement content together with feedback information when the evaluation score of the generated advertisement content does not meet the reference score, and the generation model extracts another image or video from the product content by reflec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regenerates the advertisement content by adding the extracted other image or video and the advertisement text to the first template.
Method for controlling advertising output from a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0823A KR102705894B1 (en) | 2023-11-03 | 2023-11-03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KR1020240121385A KR20250065213A (en) | 2023-11-03 | 2024-09-06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0823A KR102705894B1 (en) | 2023-11-03 | 2023-11-03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21385A Division KR20250065213A (en) | 2023-11-03 | 2024-09-06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5894B1 true KR102705894B1 (en) | 2024-09-12 |
Family
ID=927582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50823A Active KR102705894B1 (en) | 2023-11-03 | 2023-11-03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KR1020240121385A Pending KR20250065213A (en) | 2023-11-03 | 2024-09-06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21385A Pending KR20250065213A (en) | 2023-11-03 | 2024-09-06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705894B1 (en) |
Citation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4702A (en) * | 1995-10-19 | 1997-05-02 | Sony Corp | Video/audio equipment error monitoring system |
KR20110082690A (en) * | 2010-01-12 | 2011-07-20 | 인크로스 주식회사 |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
KR20120132096A (en) * | 2011-05-27 | 2012-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20138720A (en) * | 2012-11-09 | 2012-12-26 | 박상규 | Network advertizing system using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
JP2014207013A (en) * | 2010-08-24 | 2014-10-30 | ネイバー コーポレーションNAVER Corporation | Internet telematics service providing system |
KR101744198B1 (en) * | 2016-12-27 | 2017-06-07 | 이상훈 | Customized moving vehicle advertising system |
KR20180096418A (en) * | 2017-02-21 | 2018-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sign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20190003094A (en) * | 2017-06-30 | 2019-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covering operation of electronics equipped in vehicle |
KR20190076731A (en) * | 2017-12-22 | 2019-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Outputting Contents via Checking Passenger Terminal and Distraction |
KR20190102679A (en) * | 2018-02-27 | 2019-09-04 | 주식회사 이스타미디어 | Fitting media contents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group on special environment |
KR20200029291A (en) * | 2018-09-10 | 2020-03-18 |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KR20200060630A (en) * | 2018-11-22 | 2020-06-01 | 한국자동차연구원 |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driving nformation of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thereof |
KR20200103195A (en) * | 2019-02-18 | 2020-09-02 | 서형배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by real-time product recognition in imag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KR20200142827A (en) * | 2019-06-13 | 2020-12-23 | 주식회사 비주얼캠프 | System for service shopping mall of using eye tracking technology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
KR20230074441A (en) * | 2020-06-17 | 2023-05-30 | 구효정 |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intelligent information sharing using external display of vehicle |
-
2023
- 2023-11-03 KR KR1020230150823A patent/KR102705894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9-06 KR KR1020240121385A patent/KR20250065213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4702A (en) * | 1995-10-19 | 1997-05-02 | Sony Corp | Video/audio equipment error monitoring system |
KR20110082690A (en) * | 2010-01-12 | 2011-07-20 | 인크로스 주식회사 |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
JP2014207013A (en) * | 2010-08-24 | 2014-10-30 | ネイバー コーポレーションNAVER Corporation | Internet telematics service providing system |
KR20120132096A (en) * | 2011-05-27 | 2012-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20138720A (en) * | 2012-11-09 | 2012-12-26 | 박상규 | Network advertizing system using terminal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able by a user terminal |
KR101744198B1 (en) * | 2016-12-27 | 2017-06-07 | 이상훈 | Customized moving vehicle advertising system |
KR20180096418A (en) * | 2017-02-21 | 2018-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sign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20190003094A (en) * | 2017-06-30 | 2019-01-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covering operation of electronics equipped in vehicle |
KR20190076731A (en) * | 2017-12-22 | 2019-07-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for Outputting Contents via Checking Passenger Terminal and Distraction |
KR20190102679A (en) * | 2018-02-27 | 2019-09-04 | 주식회사 이스타미디어 | Fitting media contents service method based on user group on special environment |
KR20200029291A (en) * | 2018-09-10 | 2020-03-18 |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
KR20200060630A (en) * | 2018-11-22 | 2020-06-01 | 한국자동차연구원 |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driving nformation of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thereof |
KR20200103195A (en) * | 2019-02-18 | 2020-09-02 | 서형배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by real-time product recognition in imag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KR20200142827A (en) * | 2019-06-13 | 2020-12-23 | 주식회사 비주얼캠프 | System for service shopping mall of using eye tracking technology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
KR20230074441A (en) * | 2020-06-17 | 2023-05-30 | 구효정 |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gital intelligent information sharing using external display of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65213A (en) | 2025-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uo et al. | Is it safe to drive? An overview of factors, metrics, and datasets for driveability assessment in autonomous driving | |
US11520346B2 (en) | Navigating autonomous vehicles based on modulation of a world model representing traffic entities | |
Zhou et al. | Review of learning-based longitudinal motion planning for autonomous vehicles: research gaps between self-driving and traffic congestion | |
US12073054B2 (en) | Managing virtual collisions between moving virtual objects | |
CN117520662B (en) | Intelligent scenic spot gui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positioning | |
Haavaldsen et al. | Autonomous vehicle control: End-to-end learning in simulated urban environments | |
CN105814532A (en) | Approaches for three-dimensional object display | |
US11467579B2 (en) | Probabilistic neural network for predicting hidden context of traffic entities for autonomous vehicles | |
Kim et al. | Toward explainable and advisable model for self‐driving cars | |
Jiang et al. | Understanding drivers’ visual and comprehension loads in traffic violation hotspots leveraging crowd-based driving simulation | |
KR10270589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advertisements in a vehicle | |
Yu et al. | Web-based spatio-temporal data visualization technology for urban digital twin | |
US11615327B2 (en) |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and method thereof | |
US12159360B2 (en) | Discovery, management and processing of virtual real estate content | |
Parviainen et al. | Infrastructuring bodies: Choreographies of power in the computational city | |
Huang et al. | When augmented reality meets big data | |
KR20200108254A (en) | Reminders | |
Wigley | Do autonomous vehicles dream of virtual sheep? The displacement of reality in the hyperreal visions of autonomous vehicles | |
Hollander et al. | The walkable neighborhood and public art: using AI to measure the impact of visual interest on pedestrian behavior | |
KR20230005537A (en) | Adaptive Advertising Method | |
Ming et al. | Vision Upgrading: Real-Time Collection, Processing and Visualisation of Outside-Vehicle Flow Data, Assisting Users to Read the Data-Enabled City from a High-Dimensional Perspective | |
Sinclair et al. | A virtual reality and questionnaire approach to gathering real-world data for agent-based crowd simulation models | |
Hsu et al. | Development of a Real‐Time Detection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Driving | |
Ahmad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Industry 4.0 | |
US2025006171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Work Zone Mana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