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466A -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0466A KR20120130466A KR1020110048408A KR20110048408A KR20120130466A KR 20120130466 A KR20120130466 A KR 20120130466A KR 1020110048408 A KR1020110048408 A KR 1020110048408A KR 20110048408 A KR20110048408 A KR 20110048408A KR 20120130466 A KR20120130466 A KR 201201304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
- external device
- data
- type
-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를 달성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손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된 상기 손 영상으로 판단되는 손 움직임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 중인 데이터에 대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13)
-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손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된 상기 손 영상으로 판단되는 손 움직임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 중인 데이터에 대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된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되면 프리뷰모드 전환 및 상기 외부장치의 표시부 중앙에 손 모양 프레임을 표시하고, 상기 손 모양 프레임에 상기 손 위치가 인식되면 손 움직임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가상제어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손 영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손 위치가 상기 손 모양 프레임에서 인식되면, 상기 가상제어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제어모드에서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어기능 수행을 표시할 수 있는 손 모양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제어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손 영상에서 손 움직임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손 움직임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기능의 종류를 추출하며,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 중인 데이터에 상기 제어기능의 종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손 움직임 종류 및 상기 손 움직임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기능의 종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손 영상에서 손 움직임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손 움직임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케이블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연결된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과,
카메라부를 통해 수신된 손 영상으로 판단되는 손 움직임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되는 데이터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되면 프리뷰모드 전환 및 상기 외부장치의 표시부 중앙에 손 모양 프레임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손 모양 프레임에 상기 손 위치가 인식되면, 가상제어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가상제어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손 영상에서 손 움직임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손 움직임의 종류에 대응되는 제어기능의 종류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장치에서 출력 중인 데이터에 상기 추출된 제어기능의 종류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제어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손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손 위치가 상기 손 모양 프레임에 위치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제어모드에서 상기 외부장치에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제어기능 수행을 표시할 수 있는 손 모양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케이블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8408A KR20120130466A (ko) | 2011-05-23 | 2011-05-23 |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
US13/309,811 US20120299812A1 (en) | 2011-05-23 | 2011-12-02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of external device in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8408A KR20120130466A (ko) | 2011-05-23 | 2011-05-23 |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0466A true KR20120130466A (ko) | 2012-12-03 |
Family
ID=4721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8408A Ceased KR20120130466A (ko) | 2011-05-23 | 2011-05-23 |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299812A1 (ko) |
KR (1) | KR2012013046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79012A (ko) * | 2012-12-18 | 2014-06-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추가 구성 요소를 이용한 얼굴 인식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781742A1 (en) * | 2011-12-08 | 2012-09-11 | Exopc |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
DE102013000071B4 (de) * | 2013-01-08 | 2015-08-13 | Audi Ag | Synchronisieren von Nutzdaten zwischen einem Kraftfahrzeug und einem mobilen Endgerät |
CN103324457B (zh) * | 2013-06-21 | 2016-09-21 |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 终端和多任务数据显示方法 |
KR102284134B1 (ko) | 2014-05-28 | 2021-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DE102014016326A1 (de) * | 2014-11-03 | 2016-05-04 | Audi Ag |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lnfotainmentsystems eines Kraftfahrzeugs und lnfotainment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
CN105786420B (zh) * | 2014-12-22 | 2019-06-25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
CN114451641B (zh) * | 2022-01-05 | 2022-10-14 | 云码智能(海南)科技有限公司 | 智能手环、辅助焊接装置和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94469A (en) * | 1995-02-21 | 1997-01-14 |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 Hand gesture machine control system |
US6501515B1 (en) * | 1998-10-13 | 2002-12-31 | Sony Corporation | Remote control system |
US8726194B2 (en) * | 2007-07-27 | 2014-05-13 | Qualcomm Incorporated | Item selection using enhanced control |
US20100199228A1 (en) * | 2009-01-30 | 2010-08-05 | Microsoft Corporation | Gesture Keyboarding |
US20110025689A1 (en) * | 2009-07-29 | 2011-02-03 | Microsoft Corporation | Auto-Generating A Visual Representation |
-
2011
- 2011-05-23 KR KR1020110048408A patent/KR20120130466A/ko not_active Ceased
- 2011-12-02 US US13/309,811 patent/US20120299812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79012A (ko) * | 2012-12-18 | 2014-06-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추가 구성 요소를 이용한 얼굴 인식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299812A1 (en) | 2012-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30466A (ko) |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 |
KR101718999B1 (ko) |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장치 및 방법 | |
KR101921276B1 (ko) |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
US1114442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 |
US2012013367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conversion in portable terminal | |
KR20130040547A (ko) | 휴대단말기의 화면제어 장치 및 방법 | |
KR101340703B1 (ko) |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배치장치 및 방법 | |
KR20130071908A (ko) | 휴대단말기의 화면편집 장치 및 방법 | |
KR100651368B1 (ko) |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 제어방법 | |
KR100735290B1 (ko) |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 |
KR20120073049A (ko) |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부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 |
KR20130011203A (ko) | 휴대단말기의 팝업창 표시장치 및 방법 | |
US20130166054A1 (en) | Device and method for terminating music reproduction in a wireless terminal | |
KR100678130B1 (ko) |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 |
KR100606079B1 (ko) |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확대/축소 방법 | |
KR100678104B1 (ko) |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리소스 제어방법 | |
KR20130080947A (ko) | 휴대단말기의 리스트 표시장치 및 방법 | |
KR100689526B1 (ko) |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 |
KR20070044426A (ko) |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 |
KR101939820B1 (ko) | 외부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 |
KR100678216B1 (ko) | 휴대단말기의 이미지상태 전환방법 | |
KR101148572B1 (ko) | 휴대단말기의 특정효과 제어방법 | |
KR20060136235A (ko) |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 |
US2012009901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dot led image in portable terminal | |
KR20180126421A (ko) |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2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