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276B1 -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1276B1 KR101921276B1 KR1020120011107A KR20120011107A KR101921276B1 KR 101921276 B1 KR101921276 B1 KR 101921276B1 KR 1020120011107 A KR1020120011107 A KR 1020120011107A KR 20120011107 A KR20120011107 A KR 20120011107A KR 101921276 B1 KR101921276 B1 KR 1019212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ion
- image
- specific
- drag
- backgrou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를 달성하기 위해 휴대단말기가, 다른 장치들과 무선으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트랜시버; 터치 화면; 및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상기 트랜시버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며,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a 내지 3f는 도 2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33)
-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트랜시버;
터치 화면;
상기 터치 화면 및 상기 트랜시버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며,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며,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2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휴대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멀티 태스킹에 대응되는 상태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터치 화면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표시되는 휴대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인, 휴대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제스처 또는 특정 키 입력을 통해, 상기 터치 화면의 특정영역에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들이 수납된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를 표시하는 휴대단말기.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영역은 상기 터치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휴대단말기.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는 파일 철 이미지이고, 상기 특정 이미지들은 파일이미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기 터치 화면에 터치가 발생된 이후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로 수납되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일시 정지하는 휴대단말기.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날 때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로 수납되는 효과를 표시하고, 상기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나지 않을 때 원 상태로 복귀하는 휴대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기 터치 화면에 터치가 발생된 이후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된 이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거나 또는 상기 특정 이미지가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휴대단말기.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난 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거나 또는 상기 특정 이미지가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고, 상기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기준선을 지나지 않고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원 상태로 복귀하는 휴대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에 수납된 특정 이미지들에 터치가 발생된 이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동안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들을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 방향으로 순서적으로 확장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단말기.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일시 정지되기 전의 마지막 화면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동안,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반대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에서 인출되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는 휴대단말기.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반대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날 때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에서 인출되는 효과를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반대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기준선을 지나지 않을 때 원 상태로 복귀하는 휴대단말기.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동안 특정 이미지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화면에서 사라지거나 또는 화면이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휴대단말기.
-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과정; 및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2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멀티 태스킹에 대응되는 상태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터치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표시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인,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특정 제스처 또는 특정 키 입력을 통해, 터치 화면의 특정영역에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들이 수납된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는 파일 철 이미지이고, 상기 특정 이미지들은 파일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영역은 터치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현재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터치 화면에 터치가 발생된 이후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화면에 설정된 기준선을 지났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화면에 설정된 기준선을 지났으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로 수납되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일시 정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현재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터치 화면에 터치가 발생된 이후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된 이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화면에 설정된 기준선을 지났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하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화면에 설정된 기준선을 지났으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거나 또는 상기 특정 이미지가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 이미지에 수납된 특정 이미지들에 터치가 발생된 이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 되는 동안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들을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의 방향으로 순서적으로 확장하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일시 정지되기 전의 마지막 화면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는 동안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특정 이미지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가 표시된 반대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이 터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났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드래그 터치 입력이 상기 터치 화면에 미리 설정된 기준선을 지났으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수납이미지에서 인출되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재 시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가 발생되는 동안 특정 이미지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드래그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특정 이미지가 화면 밖으로 사라지거나 상기 특정 이미지가 구겨지는 효과를 표시하면서,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내는, 휴대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화면의 외부에 배치된 키 입력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 입력 버튼으로부터 사용자 누름 입력을 수신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기 위한 상기 키 입력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특정 순서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이미지들을 표시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computer-readable)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이 휴대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동작; 및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제2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멀티 태스킹에 대응되는 상태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터치 화면을 통해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1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에 중첩되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표시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기 위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특정 순서로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이미지들을 표시하도록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107A KR101921276B1 (ko) | 2012-02-03 | 2012-02-03 |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US13/755,341 US9189269B2 (en) | 2012-02-03 | 2013-01-31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in portable terminal |
US14/885,401 US10719208B2 (en) | 2012-02-03 | 2015-10-16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in portable terminal |
US16/933,220 US11579758B2 (en) | 2012-02-03 | 2020-07-20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in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107A KR101921276B1 (ko) | 2012-02-03 | 2012-02-03 |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1805A Division KR102025616B1 (ko) | 2018-11-16 | 2018-11-16 |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0060A KR20130090060A (ko) | 2013-08-13 |
KR101921276B1 true KR101921276B1 (ko) | 2018-11-22 |
Family
ID=4890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1107A Active KR101921276B1 (ko) | 2012-02-03 | 2012-02-03 |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3) | US9189269B2 (ko) |
KR (1) | KR10192127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23831B2 (en) | 2010-04-07 | 2017-11-21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
US20110252357A1 (en) | 2010-04-07 | 2011-10-13 | Imran Chaudhri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
US9477404B2 (en) | 2013-03-15 | 2016-10-2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
US9547525B1 (en) * | 2013-08-21 | 2017-01-17 | Google Inc. | Drag toolbar to enter tab switching interface |
US9569004B2 (en) | 2013-08-22 | 2017-02-14 | Google Inc. | Swipe toolbar to switch tabs |
KR20150080995A (ko) | 2014-01-03 | 2015-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외부 입력 장치를 갖는 전자장치에서 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
CN104834456A (zh) * | 2014-02-12 | 2015-08-12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触控界面多任务切换方法、系统及电子装置 |
EP3617863B1 (en) * | 2017-05-16 | 2021-04-28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ng with control objects |
US10203866B2 (en) | 2017-05-16 | 2019-02-12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ng with control objects |
US11036387B2 (en) | 2017-05-16 | 2021-06-15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ng with control objects |
CN112783391B (zh) * | 2021-01-28 | 2022-06-03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应用程序的运行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3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56030A (en) * | 1993-06-11 | 1999-09-21 | Apple Computer, Inc. | Computer system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windows having an identifier within a control region on the display |
US7840912B2 (en) * | 2006-01-30 | 2010-11-23 | Apple Inc. |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
US7263667B1 (en) * | 1999-06-09 | 2007-08-28 | Microsoft Corporation | Methods, apparatus and data structure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which facilitates decision making |
TW594573B (en) * | 2002-12-02 | 2004-06-21 | Tatung Corp | Method for building up customized desktop of web page |
US8599106B2 (en) * | 2010-10-01 | 2013-12-03 | Z124 | Dual screen application behaviour |
US7159189B2 (en) * | 2003-06-13 | 2007-01-02 | Alphabase Systems, Inc.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ascaded windows on a GUI desktop on a computer |
US7490295B2 (en) * | 2004-06-25 | 2009-02-10 | Apple Inc. | Layer for accessing user interface elements |
US8196055B2 (en) * | 2006-01-30 | 2012-06-05 | Microsoft Corporation | Controlling application windows in an operating system |
US8683362B2 (en) * | 2008-05-23 | 2014-03-25 | Qualcomm Incorporated |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
US8296684B2 (en) * | 2008-05-23 | 2012-10-2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
KR101450584B1 (ko) * | 2007-02-22 | 2014-10-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
US8745535B2 (en) * | 2007-06-08 | 2014-06-03 | Apple Inc. | Multi-dimensional desktop |
US8176466B2 (en) * | 2007-10-01 | 2012-05-08 | Adobe Systems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pplication fragment |
TWI356337B (en) * | 2007-12-26 | 2012-01-11 | Htc Corp | A user interface of electronic apparatus |
US8776078B2 (en) * | 2008-05-20 | 2014-07-0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for dynamically freeing computer resources |
US8453057B2 (en) * | 2008-12-22 | 2013-05-28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Stage interaction for mobile device |
US9176747B2 (en) * | 2009-02-17 | 2015-11-03 | Sandisk Il Ltd. | User-application interface |
KR101601040B1 (ko) * | 2009-05-19 | 2016-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US20110022307A1 (en) * | 2009-07-27 | 2011-01-27 | Htc Corporation | Method for operating navigation frame, navig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
US9268466B2 (en) * | 2009-12-09 | 2016-02-23 | Citrix Systems,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a dock with a user interface element representative of a remote application |
KR101690786B1 (ko) * | 2010-02-12 | 2016-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JP5827337B2 (ja) * | 2010-10-01 | 2015-12-02 | ゼット124Z124 | 携帯電子機器をドッキング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に関するシステムと方法 |
WO2012047997A1 (en) * | 2010-10-05 | 2012-04-12 | Citrix Systems, Inc. | Display management for native user experiences |
KR101788049B1 (ko) * | 2010-12-15 | 2017-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9423878B2 (en) * | 2011-01-06 | 2016-08-23 | Blackberry Limite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
US9477311B2 (en) * | 2011-01-06 | 2016-10-25 | Blackberry Limite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
US9361132B2 (en) * | 2011-02-08 | 2016-06-07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based user interface features on a computing device |
WO2012108714A2 (en) * | 2011-02-11 | 2012-08-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
US9880640B2 (en) * | 2011-10-06 | 2018-01-30 | Amazon Technologies, Inc. | Multi-dimensional interface |
US10394441B2 (en) * | 2011-10-15 | 2019-08-27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display of application windows |
US9696879B2 (en) * | 2012-09-07 | 2017-07-04 | Google Inc. | Tab scrubbing using navigation gestures |
US20140164989A1 (en) * | 2012-12-10 | 2014-06-12 | Stefan KUHNE | Displaying windows on a touchscreen device |
WO2014183098A2 (en) * | 2013-05-09 | 2014-11-13 | Amazon Technologies, Inc. | Mobile device interfaces |
-
2012
- 2012-02-03 KR KR1020120011107A patent/KR101921276B1/ko active Active
-
2013
- 2013-01-31 US US13/755,341 patent/US9189269B2/en active Active
-
2015
- 2015-10-16 US US14/885,401 patent/US10719208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7-20 US US16/933,220 patent/US11579758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041734A1 (en) | 2016-02-11 |
US9189269B2 (en) | 2015-11-17 |
US11579758B2 (en) | 2023-02-14 |
US10719208B2 (en) | 2020-07-21 |
US20130205304A1 (en) | 2013-08-08 |
US20200348826A1 (en) | 2020-11-05 |
KR20130090060A (ko) | 2013-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1276B1 (ko) |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
US20230205398A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s in the terminal | |
WO2022022495A1 (zh) | 一种跨设备的对象拖拽方法及设备 | |
US20240168624A1 (en) | Screen capture method and related device | |
CN111666055B (zh) | 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 |
JP6186094B2 (ja) | ファームウェア圧縮方法、ファームウェア圧縮解除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US20230138804A1 (en) | Enhanced video call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 |
JP6283749B2 (ja) | 機器接続を促す方法および装置 | |
EP2750377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 |
CN111542031B (zh) | 显示设备及蓝牙设备配对方法 | |
CN106879263B (zh) | 一种拍摄方法和移动设备 | |
KR20120130466A (ko) |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 |
US1061395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 |
KR101654724B1 (ko) |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스마트 tv | |
KR20180126421A (ko) |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 |
JP2018503149A (ja) | 情報入力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KR2017012257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 |
JP2015153347A (ja) | 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101843980B1 (ko) |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관리 장치 및 방법 | |
CN115509480A (zh) | 基于投屏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CN115426642A (zh) | 无线连接设备列表刷新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 |
KR102178523B1 (ko) | 그래픽 클라우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05760080A (zh) | 显示方法、装置、控制设备及显示设备 | |
KR20130080948A (ko) | 휴대단말기의 기능수행 진행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7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11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