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980A - 스택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분리집적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택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분리집적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28980A KR20120128980A KR1020110046960A KR20110046960A KR20120128980A KR 20120128980 A KR20120128980 A KR 20120128980A KR 1020110046960 A KR1020110046960 A KR 1020110046960A KR 20110046960 A KR20110046960 A KR 20110046960A KR 20120128980 A KR20120128980 A KR 201201289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stack
- medium
- media
- rot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매체 분리집적장치는, 매체 저장부로부터 매체를 분리하거나 상기 매체 저장부로 이송되는 매체를 집적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에 있어서, 매체가 투입 또는 반출되는 입구측에 구비되어 매체를 분리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매체를 반송로 상으로 이송하거나 반송로로부터 이송된 매체를 매체 저장부로 집적하기 위한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접촉되어 상기 피드롤러와의 사이로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와 동축에 구비되는 스택롤러; 및 상기 스택롤러가 구비되는 회전축의 회전 정지시, 회전 관성에 의한 상기 제2롤러의 회동을 일정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분리집적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분리집적장치에 구비되는 반송가이드와 가이드롤러 및 스택롤러의 연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매체 분리집적장치를 구성하는 스택롤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택롤러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매체 분리집적장치를 구성하는 반송가이드의 상면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매체 분리집적장치를 구성하는 반송가이드의 측면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반송가이드의 선A-A에 따른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체 분리집적장치를 구성하는 반송가이드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분리집적장치를 이용하여 매체를 집적하는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30 : 감별부 40 : 일시저장부
45 : 지폐저장부 50 : 리사이클박스
100, 200 : 매체 분리집적장치 110 : 픽업롤러
112 : 피드롤러 114, 302 : 가이드롤러
116, 300 : 스택롤러 117, 310 : 회전축
119, 400 : 반송가이드 320 : 제1롤러
322 : 제1스택시트 330 : 제2롤러
332 : 제2스택시트 340 : 원웨이 베어링
350 : 플랜지 360 : 인코더
402, 404 : 개구부 405 : 반송로의 내벽
407 : 돌기
Claims (9)
- 매체 저장부로부터 매체를 분리하거나 상기 매체 저장부로 이송되는 매체를 집적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의 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스택롤러에 있어서,
회전축에 고정되고, 외주면의 일부에 다수개의 제1스택시트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롤러; 및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며, 외주면의 일부에 다수개의 제2스택시트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롤러는 원웨이 베어링(one-way bearing)을 매개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 상에서 일방향으로만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롤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스택시트가 형성된 영역과 동일한 위상을 갖는 영역에 형성되는 부채꼴 형상의 플랜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롤러. - 매체 저장부로부터 매체를 분리하거나 상기 매체 저장부로 이송되는 매체를 집적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에 있어서,
매체가 투입 또는 반출되는 입구측에 구비되어 매체를 분리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분리된 매체를 반송로 상으로 이송하거나 반송로로부터 이송된 매체를 매체 저장부로 집적하기 위한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와 접촉되어 상기 피드롤러와의 사이로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와 동축에 구비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스택롤러; 및
상기 스택롤러가 구비되는 회전축의 회전 정지시, 회전 관성에 의한 상기 제2롤러의 회동을 일정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가이드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가이드에는,
상기 제1 및 제2스택시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개구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스택시트가 반송로 상으로 진입하는 통로가 되는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스택시트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스택시트가 진입하는 측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반송로의 내벽이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송가이드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1롤러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기 위한 인코더가 구비되고,
상기 매체 분리집적장치에는,
상기 인코더를 통해 상기 제1롤러의 회전 각도를 검지하기 위한 위치검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 - 제3항의 매체 분리집적장치를 이용하여 매체를 집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송로를 통한 매체의 이송이 감지되면, 상기 스택롤러가 구비된 회전축을 매체 집적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1스택시트가 반송로 상에 진입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초기 구동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구동의 제2단계에서 회전축이 정지된 후,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회전축 상에서 계속되는 제2롤러의 회동이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정지됨으로써 상기 제1스택시트 및 제2스택시트가 전체적으로 방사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후, 상기 스택롤러가 구비된 회전축을 매체 집적방향을 따라 회전시켜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스택시트를 이용하여 집적되는 매체의 후단을 연속적으로 타격하면서 매체의 집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의 제어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를 통해 이송되는 매체의 집적이 완료되면,
상기 제1스택시트가 반송로 상에서 퇴피된 위치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켜, 회전 관성에 의해 상기 회전축 상에서 계속되는 제2롤러의 회동이 상기 스토퍼에 의해 정지됨으로써 상기 제1스택시트 및 제2스택시트가 반송로로부터 모두 퇴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분리집적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6960A KR101288019B1 (ko) | 2011-05-18 | 2011-05-18 | 스택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분리집적장치와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6960A KR101288019B1 (ko) | 2011-05-18 | 2011-05-18 | 스택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분리집적장치와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8980A true KR20120128980A (ko) | 2012-11-28 |
KR101288019B1 KR101288019B1 (ko) | 2013-07-22 |
Family
ID=4751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6960A Active KR101288019B1 (ko) | 2011-05-18 | 2011-05-18 | 스택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분리집적장치와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801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0188A (ko) * | 2014-06-24 | 2016-01-04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
RU2638133C2 (ru) * | 2013-06-12 | 2017-12-11 | Оки Электрик Индастри Ко., Лтд. |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нос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деления и укладки носителя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6102B1 (ko) | 2006-06-30 | 2007-08-03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시트롤러 |
KR101077459B1 (ko) | 2008-12-16 | 2011-10-26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시트롤러 |
KR101046045B1 (ko) * | 2009-08-13 | 2011-07-01 | 엘지엔시스(주)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
KR101026901B1 (ko) * | 2009-08-28 | 2011-04-04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폐 분리집적장치 |
-
2011
- 2011-05-18 KR KR1020110046960A patent/KR101288019B1/ko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638133C2 (ru) * | 2013-06-12 | 2017-12-11 | Оки Электрик Индастри Ко., Лтд. |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носите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деления и укладки носителя |
KR20160000188A (ko) * | 2014-06-24 | 2016-01-04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
US9514617B2 (en) | 2014-06-24 | 2016-12-06 | Lg Cns Co., Ltd. |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medium storage box, and financi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8019B1 (ko) | 2013-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42530B2 (ja) | 現金自動取引装置 | |
JP5954037B2 (ja) |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 |
KR101830770B1 (ko) |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및 그 지폐집적방법 | |
CN106251473B (zh) | 金融设备及媒介物堆积装置 | |
JP5244719B2 (ja) | 紙葉類繰り出し機構 | |
TWI389056B (zh) | 紙幣集聚裝置 | |
KR101288019B1 (ko) | 스택롤러 및 이를 이용한 매체 분리집적장치와 그 제어방법 | |
KR20130012372A (ko) |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 |
KR20140017870A (ko) | 지폐 집적 장치 | |
KR101868150B1 (ko) | 매체 조출 집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3766466B2 (ja) | 紙葉類の枚数確定方法及び紙葉類取扱装置 | |
KR101408575B1 (ko) |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집적부를 갖는 매체집적장치 및 매체집적방법 | |
KR101775779B1 (ko) |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 |
KR101120878B1 (ko) | 금융 자동화기기 | |
KR101212297B1 (ko) | 스택 롤러 | |
KR101769622B1 (ko) |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와 지폐집적방법 | |
KR20120128990A (ko) | 플랜지 일체형 스택시트가 구비된 스택롤러 | |
JP2001240294A (ja) |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 |
KR101341302B1 (ko) |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 |
WO2019163004A1 (ja) | 紙葉類分離装置及び紙葉類分離方法 | |
JP5852052B2 (ja) | 出金装置 | |
KR20100080217A (ko) | 지폐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 |
KR101691663B1 (ko) | 시트롤러 스택시트의 오버런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집적 장치 | |
JP5386326B2 (ja) | 紙幣処理機 | |
KR101761478B1 (ko) |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