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489A - Shoes waterproof device - Google Patents
Shoes waterproof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28489A KR20120128489A KR1020110046481A KR20110046481A KR20120128489A KR 20120128489 A KR20120128489 A KR 20120128489A KR 1020110046481 A KR1020110046481 A KR 1020110046481A KR 20110046481 A KR20110046481 A KR 20110046481A KR 20120128489 A KR20120128489 A KR 201201284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sole
- blocking
- front contact
- contact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20—Heel-less oversho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방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의 밑창 둘레에 밀착되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밑창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차단부의 양쪽에 결합하여 상기 신발에 장착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차단부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외피를 감싸는 방수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신발의 하부에서 상기 밑창과 상기 차단부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방수포는 상기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운동화, 등산화 및 경등산화 등의 일반적인 신발에 장착함으로써, 우천시 신발이 젖거나 신발 내부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고, 비가 그치면 본 발명을 신발로부터 해제하여 신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산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waterproofing device, the shiel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shoe; and a fixing means mounted to the shoe by coupling a portion to both sides of the blocking part to prevent the block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ole; And a tarpaulin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locking unit and surrounding the outer shell of the shoe, wherein the blocking unit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sole and the blocking unit at the bottom of the shoe, and the tarp of the shoe It is characterized 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side. Accordingly, by attaching to general shoes such as sneakers, hiking shoes, and light boots, it prevents the shoes from getting wet or the ingress of foreign matter such as rainwater into the shoes. By allowing the inflow,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lways maintain a comfortable hik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밑창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서 신발 내부로 물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shoe, and more particularly, waterproofing a shoe that prevents foreign matter, such as water, from entering the shoe by wrapping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the bottom of the shoe sole.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등산화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구조 및 재질에 따라 경등산화, 중등산화, 방수용 등산화 등이 있다. 이러한 방수용 등산화에 사용되는 방수 원단은 고어텍스, 테트라텍스, 힐텍스 등 종류도 많고, 이에 따른 가격도 다양하다.In general, there are several kinds of hiking boots, but there are light hiking boots, medium hiking boots, waterproof hiking boots, etc., depending on the structure and material. There are many kinds of waterproof fabrics used for such waterproof hiking boots, such as Gore-Tex, Tetra-Tex, and Hil-Tex, and the prices vary accordingly.
그런데, 이러한 방수 등산화는 일반 등산화보다 무거우면서 가격이 매우 비싸서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금전적인 부담이 크다. 특히, 통풍성이 낮기 때문에 여름의 무더운 날씨에 착용하면 땀을 잘 배출시키지 못하여 사용자의 불쾌지수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방수 등산화의 무게가 무거워서 장시간 산행시 다리에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However, such waterproof hiking boots are heavier than general hiking boots and the price is very expensive, so the financial burden for the general public is great. In particular, because of low ventilation, wearable in hot weather in summer, sweat is not discharged well, the user's discomfort index is increased, and the weight of waterproof hiking boots is heavy, which also causes problems of fatigue on the legs during prolonged hikes. .
게다가, 방수용 등산화는 등산화 외피는 방수기능을 수행하지만 물기 등의 이물질이 착용자의 다리를 타고 흘러내릴 경우 이물질이 등산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terproof hiking boots perform a waterproof function of the hiking boots, but when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flows down the wearer's legs,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hiking boot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등산화, 운동화, 경등산화 등의 신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신발의 외피는 방수포로 감싸고 밑창의 둘레에 차단부를 설치하며 차단부를 신발에 고정함으로써, 착용자의 다리를 타고 흐르는 땀 또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방수포의 외면으로 흘려 보내어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단부를 밑창 둘레에 밀착시켜 밑창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방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uter shell of the shoe is wrapped with a tarpaulin in order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hoe, such as general hiking boots, sneakers, light boots, etc. By installing and fixing the barrier to the sho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sweat or rain water flowing on the wearer's legs flow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arpaulin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sho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hoe waterproof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inflo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의 밑창 둘레에 밀착되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밑창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차단부의 양쪽에 결합하여 상기 신발에 장착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차단부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외피를 감싸는 방수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신발의 하부에서 상기 밑창과 상기 차단부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방수포는 상기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방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locking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shoe; and the fixing means mounted to the sho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block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ole ; And a tarpaulin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locking unit and surrounding the outer shell of the shoe, wherein the blocking unit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sole and the blocking unit at the bottom of the shoe, and the tarp of the shoe It is achieved by a shoe waterproof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eign matter to penetrate the inside.
또한, 상기 차단부와 상기 방수포가 상기 신발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상기 차단부 및 상기 방수포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waterproof cloth may further include a removable portion installed on one portion of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waterproof cloth so that the removable from the shoe.
또,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밑창 둘레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차단부 및 상기 방수포는 신축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tarpaulin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block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sole.
또, 상기 차단부는, 상기 신발의 전방 일부분을 감싸고 상기 밑창의 전방 둘레에 밀착되는 전방밀착부와, 상기 전방 밀착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전방밀착부가 상기 밑창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전방밀착부를 상기 신발의 후방으로 당기고 상기 밑창의 후방 둘레에 밀착되는 후방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off portion, the front contact portion wraps around the front portion of the sho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sole, and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ont contact portion, the front contact portion so that the front contac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easily It may include a rear contact portion that is pulled to the rear of the sho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circumference of the sole.
또, 상기 전방밀착부는, 상기 고정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밀착부의 양쪽에 상기 고정수단의 일부분이 끼워져 결합하는 복수의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contact portion,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xing means on both sides of the front contact portion so a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ans.
또,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양단의 일부분이 상기 장착홈에 끼워져 상기 밑창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를 상기 밑창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which is bent at both ends and a portion of the both ends is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ole,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from the blocking portion It includes a fixing b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revention portion and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detachable,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can firmly close the blocking portion to both sides of the sole.
또, 상기 전방밀착부는, 상기 고정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밀착부의 양쪽에 상기 고정수단의 일부분이 끼워져 결합하는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contact portion, a plurality of locking jaws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a portion of the fixing means on both sides of the front contact portion so a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ans.
또,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양단 부분에 상기 걸림턱이 끼워지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밑창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를 상기 밑창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both ends are bent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each end of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ole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blocking portion It includes a fixing b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and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to prevent it from being detached,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can be firmly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ole.
또,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상기 양단 중 한쪽이 상기 전방밀착부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른 한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밑창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고,In addition, the fixing means, both ends are bent to the upper side and one of the two ends is rotatably installed with the front contact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sole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And a fixing b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and disposed on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hoe to prevent the additional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locking part.
상기 전방밀착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반대편에 상기 이탈방지부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차단부를 상기 밑창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The front contact part may include a locking jaw fitted into a through hole of the release prevention part at an opposite side to which the release prevention part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release prevention part may firmly adhere the blocking part to both sides of the sole.
또,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밴드가 상기 신발의 상부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the fixing band may be rotatably installed from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is easily in close cont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방수 장치는,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차단부가 신발의 밑창으로부터 위아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차단부를 신발 밑창의 양 옆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차단부와 신발의 밑창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견고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Shoe waterproof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ixing means to prevent the blocking portion from moving up and down from the sole of the shoe, and at the same time by close contact between the sides of the shoe sole, between the blocking portion and the sole of the shoe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entry of foreign matter more firmly.
그리고 방수포의 상단에 사용자의 다리에 밀착시키는 이물질차단밴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다리를 타고 흘러내리는 이물질을 방수포의 외면으로 흘려 보냄으로써,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nd by installing a foreign matter blocking b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eg on the top of the tarpaulin by flowing the foreign material flowing down the user's le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arpaulin,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hoe.
또한, 고정수단의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어서 신발사이즈가 달라도 본 발명을 더욱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un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ore firmly mounted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hoe size is different.
또,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하며, 언제든지 꺼내서 등산화에 장착 및 해제할 수 있어서 우천시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통풍이 잘되는 가벼운 경등산화를 신고 산행을 할 때 비가 오더라도 경등산화에 본 발명을 장착하여 경등산화 내부로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고, 비가 그치면 본 발명을 경등산화로부터 해제하여 경등산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산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light in weight and small in volume, so it is easy to carry, and can be taken out at any time by mounting and releasing hiking boots. In particular, even when it rains when wearing light ventilation with light ventilation well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to light rain boots to prevent rainwater or foreign matter infiltrating into the light boots, and if the rain stops to release the present invention from light boots By allowing the air to flow into the lamplight, there is alway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comfortable mountaineer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방수 장치가 등산화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경사져 절곡된 이탈방지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다른 형태의 장착홈과 이물질 차단날개가 형성된 전방밀착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걸림턱이 형성된 전방 밀착부와 관통공이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적용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전방밀착부로부터 회전가능한 이탈방지부를 적용한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of a shoe waterproof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hiking boots.
Figure 2 is a view applying the departure prevention bent inclined in the shoe waterproof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of the front contact portion formed with the mounting groove and the foreign matter blocking wing of the other form in the shoe waterproof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applying a detachment prevention portion formed with a front contact portion and a through-hole formed with a locking step in the shoe waterproof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applying a rotatabl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from the front contact in the shoe waterproof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신발의 밑창(S-1) 둘레에 밀착되는 차단부(1);와, 차단부(1)가 밑창(S-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부분이 차단부(1)의 양쪽에 결합하여 신발에 장착되는 고정수단(3); 및 차단부(1)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고 신발의 외피를 감싸는 방수포(2);를 포함하되, 차단부(1)는 신발의 하부에서 밑창(S-1)과 차단부(1)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수포(2)는 신발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riefly describing the shoe waterproof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portion (1) in close contact around the sole (S-1) of the shoe; and, to prevent the blocking portion (1) from leaving the sole (S-1) Fixing means (3), a part of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locking part (1) and mounted to the shoe; And a tarpaulin (2)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locking unit (1) and surrounding the outer shell of the shoe, wherein the blocking unit (1) is a foreign material between the sole (S-1) and the blocking unit (1) at the bottom of the shoe. To prevent this from penetrating, the tarpaulin (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shoe.
또한, 차단부(1)와 방수포(2)가 신발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차단부(1) 및 방수포(2)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탈착부(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차단부(1)가 밑창(S-1) 둘레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차단부(1) 및 방수포(2)는 신축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차단부(1)는, 신발의 전방 일부분을 감싸고 밑창(S-1)의 전방 둘레에 밀착되는 전방밀착부(11)와, 전방밀착부(11)의 양단에 연결되고 전방밀착부(11)가 밑창(S-1)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전방밀착부(11)를 신발의 후방으로 당기고 밑창(S-1)의 후방 둘레에 밀착되는 후방밀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locking
또, 전방밀착부(11)는, 고정수단(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전방밀착부(11)의 양쪽에 고정수단(3)의 일부분이 끼워져 결합하는 복수의 장착홈(111, 111', 11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고정수단(3)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양단의 일부분이 장착홈(111, 111', 111")에 끼워져 밑창(S-1)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31-1, 31-2)와, 이탈방지부(31-1, 31-2)가 차단부(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31-1, 31-2)의 양단에 연결되고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33)를 포함하되, 이탈방지부(31-1, 31-2)가 차단부(1)를 밑창(S-1)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3), both ends are bent upwards, and a part of both ends is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s (111, 111 ', 111 "),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1-1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ole (S-1) , 31-2),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s 31-1 and 31-2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s 31-1 and 31-2 so as to prevent the
또, 전방밀착부(11)는, 고정수단(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전방밀착부(11)의 양쪽에 고정수단(3)의 일부분이 끼워져 결합하는 복수의 걸림턱(113)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고정수단(3)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양단 부분에 걸림턱(113)이 끼워지는 관통공(31b)이 각각 형성되어 밑창(S-1)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31-3)와, 이탈방지부(31-3)가 차단부(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31-3)의 양단에 연결되고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33)를 포함하되, 이탈방지부(31-3)가 차단부(1)를 밑창(S-1)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3), both ends are bent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through-hole (31b) is formed in each of the end of the
또, 고정수단(3)은,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양단 중 한쪽이 전방밀착부(11)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다른 한쪽에 관통공(미도시)(31b)이 형성되어 밑창(S-1)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31-4)와, 이탈방지부(31-4)가 차단부(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31-4)의 양단에 연결되고 신발의 상부에 배치되어 탈착되는 고정밴드(33)를 포함하고,In addition, the fixing means 3, both ends are bent upwards, one of the two ends is rotatably installed with the
또, 전방밀착부(11)는, 이탈방지부(31-4)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반대편에 이탈방지부(31-4)의 관통공(31b)에 끼워지는 걸림턱(미도시)(113)이 형성되되, 이탈방지부(31-4)가 차단부(1)를 밑창(S-1)의 양측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고정수단(3)은, 고정밴드(33)가 신발의 상부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이탈방지부(31-1, 31-2, 31-3, 31-4)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3, th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방수 장치가 등산화(S)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shoe waterproof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hiking boots (S),
도 2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경사져 절곡된 이탈방지부(31-2)를 적용한 도면,Figure 2 is a view applying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31-2 bent inclined in the shoe waterproof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다른 형태의 장착홈(111")과 이물질차단날개(112)가 형성된 전방밀착부(11)를 적용한 도면,3 is a view of applying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걸림턱(113)이 형성된 전방밀착부(11)와 관통공(31b)이 형성된 이탈방지부(31-3)를 적용한 도면 및4 is a view of applying the detachment prevention part 31-3 formed with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신발 방수 장치에서 전방밀착부(11)로부터 회전가능한 이탈방지부(31-4)를 적용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rotatable release prevention part 31-4 from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방수 장치는 차단부(1), 방수포(2) 및 고정수단(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shoe waterproof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차단부(1)는, 전방밀착부(11) 및 후방밀착부(12)를 포함하고, 신발(이하 "등산화(S)"라 함)의 밑창(S-1) 둘레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차단부(1)와 밑창(S-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blocking
전방밀착부(11)는, 대략 전방이 등산화(S)코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양단이 등산화(S)의 밑창(S-1) 둘레에 밀착되도록 등산화(S) 밑창(S-1)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전방밀착부(11)는 양단이 등산화(S) 밑창(S-1)의 오목한 양측에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휘어져 형성된다. 또한, 전방밀착부(11)는 등산화(S) 밑창(S-1)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신축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전방밀착부(11)는 양단에 슬릿형태의 복수의 장착홈(111)이 형성되고, 장착홈(111)에 이탈방지부(31-1)의 삽입편(31a)이 끼워지며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The front close-up
후방밀착부(12)는, 대략 띠 모양의 밴드형태로 전방밀착부(1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밑창(S-1)의 후방에 밀착된다. 이때, 후방말착부의 양단에는 후방밀착부(12)를 연결하는 벨크로 등의 탈착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전방밀착부(11)를 등산화(S)에 장착한 후 후방밀착부(12)를 당겨서 후방밀착부(12)를 밑창(S-1)의 둘레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탈착부(4)로 후방밀착부(12)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전방밀착부(11) 및 후방밀착부(12)가 밑창(S-1) 둘레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등산화(S)의 밑창(S-1) 하부에서 차단부(1)와 밑창(S-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방수포(2)는, 대략 비닐 등의 합성수지재 또는 방수 원단이 사용되고 등산화(S)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등산화(S)보다 높게 형성되며 차단부(1)의 상단 둘레를 따라 접합 된다. 또한, 방수포(2)는 후방이 절개되고 절개된 부분에 벨크로 등의 탈착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착부(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등산화(S)에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The
한편, 방수포(2)의 상단에는 벨크로 등을 포함하는 신축성 재질의 밴드형태로 된 탈착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방수포(2)의 상단으로 착용자의 땀이나 빗물 등의 이물질이 착용자의 다리를 타고 흘러서 등산화(S)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포(2)의 상단에 착용자의 다리에 밀착되는 탈착부(4)를 설치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arpaulin (2) may be provided with a
고정수단(3)은, 이탈방지부(31-1), 버클(32) 및 고정밴드(33)를 포함하며 차단부(1)가 등산화(S)의 밑창(S-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xing means 3 includes a departure prevention part 31-1, a
이탈방지부(31-1)는, 대략 띠 모양의 플레이트 형태로 양단이 상부로 절곡되고, 양단의 일 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된 삽입편(31a)이 형성된다. 즉, 이탈방지부(31-1)는 삽입편(31a)이 전방밀착부(11)의 장착홈(111)에 끼워지고 등산화(S) 밑창(S-1) 하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31-1)가 등산화(S)의 밑창(S-1)에 걸려서 차단부(1)가 등산화(S) 밑창(S-1)의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등산화(S)에 착용하고 보행하면 등산화(S)가 구부러지면서 차단부(1)가 등산화(S) 밑창(S-1)의 상부로 이탈할 수 있다. 즉, 차단부(1)는 전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등산화(S)가 구부러지면 차단부(1)가 등산화(S) 밑창(S-1)의 상부로 벗겨져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부(1)가 등산화(S) 밑창(S-1)의 상부로 벗겨지지 않도록 이탈방지부(31-1)의 삽입편(31a)이 전방밀착부(11)의 장착홈(111)에 끼워지고 이탈방지편이 등산화(S) 밑창(S-1)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다.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1-1 has an
또한, 이탈방지부(31-1)는 차단부(1)가 등산화(S) 밑창(S-1)의 양측에 더욱 밀착되도록 이탈방지부(31-1)의 절곡된 양단이 차단부(1)의 양측을 눌러준다. 이에 따라, 등산화(S) 밑창(S-1)의 오목한 부분에 차단부(1)가 밀착됨으로써, 밑창(S-1)과 차단부(1) 사이의 틈새를 더욱 용이하게 제거하여 밑창(S-1)과 차단부(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1-1 is bent at both ends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31-1 such that the blocking
버클(32)은, 대략 역삼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상부에 고정밴드(33)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하단은 버클(32)이 회전 가능하도록 이탈방지부(31-1)의 양단 외면에 나사 또는 리벳으로 결합된다.The
고정밴드(33)는, 대략 띠 형태로 일단은 한쪽 버클(32)에 고정되고 타단은 다른 쪽 버클(32)에 끼워지며 방수포(2)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밴드(33)는 일면에 벨크로 등이 설치되어 고정밴드(3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수포(2)와 차단부(1)가 등산화(S)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부(31-1)를 전방밀착부(11)에 설치한 후 고정밴드(33)를 당겨서 방수포(2) 및 고정밴드(33)를 등산화(S)의 외피에 밀착시켜 고정밴드(33)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고정밴드(33)를 당김으로써 이탈방지부(31-1)가 등산화(S) 밑창(S-1)의 저면에 밀착되고, 이탈방지부(31-1)가 밑창(S-1)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이탈하지 않고 밑창(S-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고정밴드(33)가 이탈방지부(31-1)를 당김으로써, 이탈방지부(31-1)가 바닥에 튀어나온 장애물에 걸리더라도 이탈방지부(31-1)는 전방밀착부(11)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다.
The fixing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31-2)는 양단이 경사져 절곡될 수 있다. 왜냐하면, 고정밴드(33)가 등산화(S)의 외피에 밀착될 때 고정밴드(33)가 경사져 설치되는데 고정밴드(33)가 경사져 설치되면 고정밴드(33)가 이탈방지부를 당길 때 경사진 각도로 당기게 되고, 이때 이탈방지부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부(31-2)가 경사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탈방지부(31-2)의 양단을 경사지게 절곡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장착홈(111')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31-2)가 경사지는 것을 최소화시켜 이탈방지부(31-2)와 밑창(S-1)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바닥에 튀어나온 장애물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ure 2,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31-2 may be bent at both ends inclined. Because, when the fixing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밀착부(11)의 장착홈(111")은 이탈방지부(31-1)의 삽입편(31a)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전방밀착부(11)의 외면의 일 영역이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에 전후방으로 관통된 장착홈(1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탈방지부(31-1)의 삽입편(31a)을 장착홈에 끼울 때 전방밀착부(11)의 한 부분을 꿰듯이 설치하기 때문에 전방밀착부(11)의 일면이 휘어지거나 삽입편(31a)이 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장착홈(111") 부분을 돌출시켜 형성하면 전방밀착부(11)가 휘어지거나 삽입편(31a)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31-1)의 삽입편(31a)을 장착홈(111)에 손쉽게 끼울 수 있어서, 이탈방지부(31-1)를 차단부(1)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삽입편(31a)이 휘어지거나 전방밀착부(11)의 일면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전방밀착부(11)를 밑창(S-1) 둘레에 더욱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장착홈(111") 부분은 상술한 장착홈(111')과 같이 경사져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상술한 장착홈(111')과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mounting
또한, 전방밀착부(11)는 내측에 복수의 이물질차단날개(1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산화(S)의 밑창(S-1) 둘레가 매끄럽지 않아도 복수의 이물질차단날개(112)가 휘어지면서 밑창(S-1) 둘레에 다중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전방밀착부(11)와 밑창(S-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술한, 이물질차단날개(112)는 후방밀착부(12)의 내측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기능은 상술한 전방밀착부(11)에 형성된 이물질차단날개(112)와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oreign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밀착부(11)의 양쪽 외면에는 상술한 장착홈(111, 111', 111")을 생략하고 복수의 걸림턱(113)을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탈방지부(31-3)의 양단에는 상술한 삽입편(31a)을 생략하고 걸림턱(113)이 끼워지는 관통공(31b)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방밀착부(11)의 걸림턱(113)이 이탈방지부(31-3)의 관통공(31b)에 삽입되도록, 이탈방지부(31-3)를 밑창(S-1)의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서 전방밀착부(11)에 장착시킨다. 따라서, 이탈방지부(31-3)를 밀어서 장착하기 때문에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고, 장착홈(111, 111', 111")을 생략할 수 있어서 전방밀착부(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방밀착부(11)를 밑창(S-1) 둘레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4, the mounting
상술한 장착홈(111, 111', 111") 및 걸림턱(113)을 복수로 형성하는 이유는 착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등산화(S)의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탈방지부(31-1, 31-2, 31-3)의 위치 조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탈방지부(31-1, 31-2, 31-3)가 끼워지는 장착홈(111, 111', 111") 및 걸림턱(113)을 복수로 형성하여 등산화(S)의 사이즈에 따라서 착용자가 이에 맞게 이탈방지부(31-1, 31-2, 31-3)의 위치를 조절하여 전방밀착부(11)를 등산화(S)의 밑창(S-1) 둘레에 더욱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The reason for forming the plurality of mounting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밀착부(11)의 양측 중 한쪽에 회전결합부(114)가 돌출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탈방지부(31-4)의 일단이 회전결합부(114)에 힌지축(31c)으로 결합되어 회전할 수도 있다. 즉, 고정수단(3)과 차단부(1)는 분리하여 보관하는데 이탈방지부(31-4)의 일단을 전방밀착부(11)의 회전결합부(114)에 힌지축(31c)으로 결합시키면 차단부(1)와 고정수단(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보관이 용이하고 고정수단(3)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밀착부(11)의 다른 쪽에는 상술한 걸림턱(113)(미도시)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31-4)의 타단에는 상술한 관통공(31b)(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부(31-4)를 회전시켜 이탈방지부(31-4)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공(31b)을 걸림턱(113)에 걸어서 결합함으로써, 이탈방지부(31-4)를 전방밀착부(11)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the
상술한 이탈방지부(31-1, 31-2, 31-3, 31-4)는 차단부(1)의 양측을 조여서 차단부(1)가 등산화(S)의 밑창(S-1) 둘레에 밀착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s 31-1, 31-2, 31-3, and 31-4 described above tighten the both sides of the blocking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f the embodiment is differ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s necessar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Shall not be construed as being understood. Therefore,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implement other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ame scop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actice the invention in the same and equal range.
1; 차단부
11; 전방밀착부
111, 111', 111"; 장착홈
112; 이물질차단날개
113; 걸림턱
114; 회전결합부
12; 후방밀착부
2; 방수포
3; 고정수단
31-1, 31-2, 31-3, 31-4; 이탈방지부
31a; 삽입편
31b; 관통공
31c; 힌지축
32; 버클
33; 고정밴드
4; 탈착부
S; 등산화(신발)
S-1; 밑창One; Breaking
11; Front contact part
111, 111 ', 111 "; mounting groove
112; Foreign material blocking wing
113; Jaw
114; Rotary joint
12; Rear contact part
2; Tarp
3; Fixing means
31-1, 31-2, 31-3, 31-4; Departure prevention part
31a; Insertion piece
31b; Through hole
31c; Hinge shaft
32; buckle
33; Fixed band
4; Detachable part
S; Hiking boots (shoes)
S-1; bottom piece
Claims (3)
상기 차단부가 상기 밑창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차단부의 양쪽에 결합하여 상기 신발에 장착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차단부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고 상기 신발의 외피를 감싸는 방수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밑창과 상기 차단부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방수 장치.Blocking portion close to the sole of the shoe;
Fixing mean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locking portion and mounted to the shoe to prevent the block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ole; And
Includes; the tarpaulin is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locking portion and surrounds the outer shell of the shoe;
The blocking unit is waterproof shoes,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penetrates between the sole and the blocking unit.
상기 차단부는,
상기 신발의 전방 일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밑창의 전방 둘레에 밀착되는 전방밀착부와, 상기 전방 밀착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밀착부를 상기 신발의 후방으로 당겨주는 후방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방수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blocking unit,
A front contact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sole while surrounding the front portion of the shoe, and a rear contact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contact portion and pulls the front contact portion toward the rear of the shoe Waterproof device.
상기 고정수단은, 양단이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양단의 일부분이 상기 차단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밑창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방수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ans, shoe waterproof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ole so that both ends are bent upwards and a portion of both ends is fixed to the block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6481A KR101324461B1 (en) | 2011-05-17 | 2011-05-17 | Shoes waterproof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6481A KR101324461B1 (en) | 2011-05-17 | 2011-05-17 | Shoes waterproof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8489A true KR20120128489A (en) | 2012-11-27 |
KR101324461B1 KR101324461B1 (en) | 2013-10-31 |
Family
ID=4751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6481A Active KR101324461B1 (en) | 2011-05-17 | 2011-05-17 | Shoes waterproof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446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8383B1 (en) * | 2012-12-28 | 2014-12-03 | 조태규 | Shoes cover |
WO2020252171A1 (en) * | 2019-06-11 | 2020-12-17 | Karnali Innovations LLC | Anti-infective shoe sol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1168B1 (en) | 2018-10-31 | 2019-05-22 | 최유나 | Spats having a function of rainshoe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88402A (en) | 2001-09-19 | 2003-03-25 | Ichu Fukuzawa | Adjustable shoe protective rainwear of folding type |
KR200337752Y1 (en) * | 2003-10-08 | 2004-01-07 | 황우필 | Shoes cover |
KR100533544B1 (en) * | 2003-11-17 | 2005-12-06 | 최학용 | Water proof overshoes wearing on the shoes |
KR100584012B1 (en) * | 2004-07-13 | 2006-05-29 | 김양수 | Shoes waterproof |
-
2011
- 2011-05-17 KR KR1020110046481A patent/KR101324461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8383B1 (en) * | 2012-12-28 | 2014-12-03 | 조태규 | Shoes cover |
WO2020252171A1 (en) * | 2019-06-11 | 2020-12-17 | Karnali Innovations LLC | Anti-infective shoe soles |
US11617411B2 (en) | 2019-06-11 | 2023-04-04 | Karnali Innovations LLC | Anti-infective shoe so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4461B1 (en) | 2013-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85739B2 (en) | Convertible dance shoe | |
US9055779B2 (en) | Bicycle shoe | |
US20080047169A1 (en) | Footwear cover | |
JP2014526327A (en) | Sports boots | |
SE539712C2 (en) | Shoe, outer layer part for shoe and shoe composition | |
KR101324461B1 (en) | Shoes waterproof device | |
US7032275B2 (en) | Clothes fastening system | |
US20080276495A1 (en) | Interchangeable Shoes | |
CH712179B1 (en) | Sports footwear, in particular ski or snowboard boot. | |
KR20140038106A (en) | Shoes waterproof device | |
KR20140045028A (en) | Shoes waterproof device | |
KR200337752Y1 (en) | Shoes cover | |
US20150230538A1 (en) | Shoe Top Exchange | |
US6321467B1 (en) | Size-adjustable overshoes for golf shoes | |
KR200385842Y1 (en) | Disposable footwear cover for prevention of rainwater | |
JP3945657B2 (en) | Ski shoe cover | |
KR20060082152A (en) | Rainproof disposable shoe covers | |
KR200479975Y1 (en) | Spats For Climbing | |
JP5230951B2 (en) | Fishing footwear | |
JP2009045187A (en) | Shoe cover | |
KR200352346Y1 (en) | Overshoes | |
JP4303698B2 (en) | Trouser hem wetting prevention cover | |
JP5230953B2 (en) | Fishing footwear | |
JPH1132810A (en) | Shoe easy to put on and off | |
JP2007117752A (en) | Cover for ski bo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