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26218A -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 Google Patents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218A
KR20120126218A KR1020110043848A KR20110043848A KR20120126218A KR 20120126218 A KR20120126218 A KR 20120126218A KR 1020110043848 A KR1020110043848 A KR 1020110043848A KR 20110043848 A KR20110043848 A KR 20110043848A KR 20120126218 A KR20120126218 A KR 2012012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sea
deep sea
park
ver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수
Original Assignee
윤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수 filed Critical 윤인수
Priority to KR102011004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6218A/ko
Publication of KR2012012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21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중공원주(10)은 세장비가 큰 것으로, 심해중에서 그 상부가 해수면에 8.0m 이하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파도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30.0?150.0m 수심까지 해수중에 침잠 되도록 하는 부력만을 유지하는 최소의 체적으로 하고, 그 상부와 하부를 상부앵커(50), 하부앵커(40)으로 해저에 고정시켜 해류와 풍랑에 유실되지 않게 하며, 가두리(20)은 수직중공원주(10)을 중앙축으로 하여 가두리의 상부 외주연에 장착된 에어튜브(30)에 공기를 충전하면 부상하고, 공기를 배기하면 침잠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이다.
심해 가두리 수직중공원주 태풍 앵커

Description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omitted}
본 발명은 세장비가 큰 수직중공원주가 심해중에서 심해중에서 그 상부가 해수면에 8.0m 이하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파도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30.0?150.0m수심까지 해수중에 침잠 되도록 하는 부력만을 유지하는 최소의 체적으로 하고, 그 상부와 하부를 앵커로 해저에 고정시켜 해류와 풍랑에 유실되지 않게 하며, 가두리는 수직중공원주를 중앙축으로 하여 가두리의 상부 외주연에 장착된 에어튜브에 공기를 충전하면 부상하고, 공기를 배기하면 침잠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에 관한 것이다.
국내특허 출원번호 10-2007-0135030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치는 칼럼(20)의 상단에 적정 해상 높이로 위치하도록 갑판(10)을 구비하고 이에 관리동을 설치하였으며 가두리를 케이블로 승강 작동 하도록 하였다.
출원번호 10-1997-0706872 정박 가능한 이동식 원주 및 링 물고기 가두리는 고기 또는 조개를 양식하기 위한 정박된 가동우리(30)는 감싸여진 우리(30)를 산출하기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평그물 지지링(10)에 의해 둘러싸인 길다란 중앙의 수직 스퍼부표(12)를 갖추고 있고, 가두리 시설을 수중에 침강, 상승시에 우리와 스퍼부 표가 동시에 일체가 되어 작동된다.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1988-0014370 해양양어장은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담거나, 압축공기로 밸러스트 탱크내의 해수를 배수해야 하고, 요원시설 사료저장고 그리고 케이지의 유지시설이 구비된 타워와 중공부상체가 해수면상을 5?30m와 30?55m씩이나 부상하면, 타워와 중공부상체로 이루어진 상부기체와 이를 부상 시키고 있는 각주형 콘테이너의 해수면상의 안정성에 대단히 큰 문제가 야기 될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시는 각주 콘테이너가 대형화 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조류에 부유하기 때문에 관리와 운영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 외에 원주와 가두리어망이 중앙의 부력탱크와 일체식으로 중성부력을 이용하여 침잠, 부상하는 시설이 있다.
국내특허 출원번호 10-2007-0135030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치는 해수면상에 각종 편의시설, 기계실, 창고 등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어 태풍시에 시설물에 가해지는 풍압이 엄청나게 크게 됨으로, 이에 대비한 칼럼의 직경이 커지게 되고, 그 제작비가 고가이며,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1988-0014370 해양양어장은 밸러스트 탱크에 해수를 담거나, 압축공기로 밸러스트 탱크내의 해수를 배수해야 하고, 요원시설 사료저장고 그리고 케이지의 유지시설이 구비된 타워와 중공부상체가 해수면상을 5?30m와 30?55m씩이나 부상하면, 타워와 중공부상체로 이루어진 상부기체와 이를 부상 시 키고 있는 각주형 콘테이너의 해수면상의 안정성에 대단히 큰 문제가 야기 될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시는 각주 콘테이너가 대형화 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조류에 부유하기 때문에 관리와 운영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출원번호 10-1997-0706872 정박 가능한 이동식 원주 및 링 물고기 가두리는 심해용이 아닌 연안용 가두리로써 해수 수질에 민감하여 자주 이동해야 하며 태풍에 무방비한 시설이다.
또한 중성 부력 이용하여 가두리를 부상 침잠시키는 시설이 있으나, 이 또한 원주를 축으로 하는 가두리 전체가 밸러스트 탱크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해수를 유입시켜 가두리 전체가 침잠 부상하며, 태풍시에는 관리인이 철수해야 하며, 태풍으로 유실되는 경우가 있어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관리선 운영에 따른 운영비가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여 효율적이고 저렴한 심해가두리 시설을 개시 하려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가두리 양식시설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직중공원주(또는 칼럼)의 상단 갑판과 그 위에 설치되는 제반 시설물 등을 모두 제거하고 설치하지 않으면, 그리고 가두리 중량을 자체의 부력 즉 가두리에 장착된 에어튜브로 감당케 하면, 수직중공원주에 부하되는 부력은 자체중량에 한정 됨으로 그 체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가두리의 중심축인 수직중공원주의 상부가 해수면에 8.0m 이하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파도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30.0?150.0m수심까지 해수중에 침잠 되도록 하는 부력만을 유지하는 최소의 체적으로 하면, 아무리 세장비가 큰 축이라 해도 자체 부력으로 승강하는 가두리의 승강 축으로만 역할하기 때문에 그 체적이 최소화 될수 있고, 수직중공원주의 상단을 3?4개의 앵커로 해저에 고정 시켜, 태풍시 높은 파도와 바람 그리고 조류에 유실되지 못하게 하고, 이렇게 고정된 수직중공원주를 상하 승강축으로 안전하게 가두리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가두리도 태풍이나 조류에 유실됨이 없이 안전하게 된다.
가두리의 승강 작용은 가두리 상단에 장착된 에어튜브에 공기를 충전하면 부상하고, 배기하면 침잠하게 하며, 수직중공원주의 형상은 상하의 직경이 거의 동일 하거나, 또는 상협하광(上挾下廣)의 구조를 가진, 가두리의 중심축으로 기능하록 하면, 시설규모와 제작비를 줄일 수 있으며, 태풍에도 안전함으로 경제적인 심해 가두리 시설이 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가두리의 중심축인 수직중공원주의 상부가 해수면에 8.0m 이하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파도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30.0?150.0m수심까지 해수중에 침잠 되도록 하는 부력만을 유지하는 최소의 체적으로 하면 시설규모와 제작비를 줄일수 있으며, 태풍에도 안전하며, 태풍 후에는 해수면상에 노출되는 수직중공원주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하고 접근할수 있어 가두리 시설관리에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가두리가 해수면에 부상된 상태이며, 도2는 태풍중에 가두리가 심해중에 태풍을 피해 침잠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수직중공원주(10)은 해수면에 8.0m 이하로 노출되게 부력을 조절하여 그 상단에 3?4개의 상부앵카(50)과, 하단에 하부앵카(40)으로 해저에 고정하여 조류나 풍랑에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해수중의 길이는 파도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30.0?150.0m수심까지 해수중에 침잠 되도록 하는 부력만을 유지하는 최소의 체적으로 하면, 태풍중에도 파고의 영향을 받지 않고 평온한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마치 호수에서 낚시할 때 낚시찌가 밀려오는 파랑에 잠겼다가 노출 되었다 하면서도 낚시찌는 움직이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과 동일한 이치로, 이는 낚시찌의 무게심(重心)이 파랑의 영향이 없는 평온한 상태의 수심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수직중공원주(10)의 형태는 세장비가 큰 전신주 모양이나, 야구배트(bat) 형상의 상협하광(上挾下廣) 형태로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중공원주(10)내부에 해수를 담수하거나, 배수 함으로써 부력을 조절하여 해수면상의 수직중공원주(10)의 해상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태풍에도 파도를 타고 요동치는 배와 달리 정지 상태로 부유하는 수직중공원주(10)도 해류에 따라 유실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 하기 위해서 그 상부에 3?4개의 상부앵커(또는 닻)(50)으로, 그리고 하부에 하부앵커(40)으로 해저에 고정 한다.
도 3과 같이 가두리(20)은 수직중공원주(10)을 중심축으로 하여 가이드(60)와 함께 상하 운동을 할수 있으며, 에어튜브(30)에 공기호스(70)을 통해 압축공기를 불어 넣으면, 에어튜브(30)은 부력이 발생하여 가두리(20)을 해수면상에 부상 시킨다. 공기량을 조절하여 중성부력 상태를 만들면 가두리(20)은 승강축인 수직중공원주(10)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 될수 있다. 에어튜브(30)은 수직중공원주(10)의 상단과 가두리에 고정되어 있어 관리선박에 의해 압축공기를 공급 받는다.
공기호스(70)의 연결통로(도시하지 않음)를 수직중공원주(10)의 상단에서 그 내부를 통해 하단까지 연결하고, 하단에서 수직중공원주의 밖으로 연결하는 관을 부설하고, 여기서부터 가두리(20)의 상단에 위치하는 에어튜브(30)에 공기호스(70)을 연결하면 태풍시에도 전혀 피해를 입지 않게 된다.
도 1은 가두리의 부상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태풍시 심해에 가두리가 침잠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가두리의 상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중공원주 20 : 가두리 30 : 에어튜브
40 : 하부앵커 50 : 상부앵커 60 : 가이드
70 : 공기호스

Claims (3)

  1. 수직중공원주(10)은 심해중에서 그 상부가 해수면에 8.0m 이하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파도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30.0?150.0m수심까지 해수중에 침잠 되도록 하는 부력만을 유지하는 최소의 체적으로 하고, 그 상부에 3?4개의 상부앵커(50), 하단에 하부앵카(40)으로 해저에 고정시켜 해류와 풍랑에 유실되지 않게 하며, 가두리(20)은 수직중공원주(10)을 중앙축으로 하여 가두리 상부 외주연에 장착된 에어튜브(30)에 공기를 충전하면 부상하고, 공기를 배기하면 침잠토록 하는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중공원주(10)은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거의 동일한 전신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3. 제1항에 있어서 수직중공원주(10)은 세장비가 크고, 상협하광(上挾下廣)형인 야구 배트(bat)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KR1020110043848A 2011-05-11 2011-05-11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Ceased KR20120126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848A KR20120126218A (ko) 2011-05-11 2011-05-11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848A KR20120126218A (ko) 2011-05-11 2011-05-11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218A true KR20120126218A (ko) 2012-11-21

Family

ID=4751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848A Ceased KR20120126218A (ko) 2011-05-11 2011-05-11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62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7598A (zh) * 2014-05-05 2014-07-30 王亚梅 浮筒式自动喂鱼器
KR101433659B1 (ko) * 2013-08-08 2014-08-25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팽창 수축이 가능한 에어댐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보호장치
CN104304097A (zh) * 2014-08-26 2015-01-28 长沙理工大学 一种利用潮汐能自动喂食的新型渔箱
CN107801668A (zh) * 2017-09-22 2018-03-16 广西壮族自治区海洋研究所 一种能够调节深度的青蟹养殖笼
CN110115237A (zh) * 2018-02-05 2019-08-13 中科深海产业(深圳)有限公司 一种导轨式防台深水养殖智能网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659B1 (ko) * 2013-08-08 2014-08-25 주식회사 나루이엠에스 팽창 수축이 가능한 에어댐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보호장치
CN103947598A (zh) * 2014-05-05 2014-07-30 王亚梅 浮筒式自动喂鱼器
CN104304097A (zh) * 2014-08-26 2015-01-28 长沙理工大学 一种利用潮汐能自动喂食的新型渔箱
CN107801668A (zh) * 2017-09-22 2018-03-16 广西壮族自治区海洋研究所 一种能够调节深度的青蟹养殖笼
CN110115237A (zh) * 2018-02-05 2019-08-13 中科深海产业(深圳)有限公司 一种导轨式防台深水养殖智能网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39576B (zh) 一种用于深远海鱼类养殖的复合式网箱
DK181301B1 (en) Offshore Farming System
CN1219431C (zh) 网箱装置及网箱养殖方法
JP7590012B2 (ja) 浮体式洋上風力タービンプラットフォームを組み立てて配備する方法
KR101772341B1 (ko) 가두리 양식장치
KR101505725B1 (ko) 해양 부유 구조물의 자가 부력 조절장치
JP2019512223A (ja) 半潜水型養殖システム
CN105638532A (zh) 一种可下潜式网箱
JP2012045981A (ja) 浮体構造物
EP3811776A1 (en) Fish farm for raising fish in the open sea
KR20120126218A (ko) 고정식 심해 가두리 시설
WO2020013703A1 (en) Cage for fish farming
JP5690116B2 (ja) 水流発電設備
CN102960277A (zh) 一种升降式抗风浪深水网箱
WO2018229123A1 (en) Tank for fish farming
CN111386037A (zh) 浮动潜式远海水产养殖设施
KR100963763B1 (ko) 심해 반잠수식 가두리 양식장치
CN216874529U (zh) 一种升降式养殖网箱
KR20140145698A (ko) 태풍에도 안전한 심해 부유 기초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양 구조물
KR20160107484A (ko) 해조류 양식장 승하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장
KR101246709B1 (ko) 어류서식을 위한 바다목장을 갖는 내파성 인공 낚시섬
KR200443908Y1 (ko) 심해 부양식 수중 양식 장치
KR101689288B1 (ko) 자연 침하형 전복 가두리 양식장
NO20220268A1 (en) Fish farming system
KR101139707B1 (ko) 조형물 침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8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1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