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22927A -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 - Google Patents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927A
KR20120122927A KR1020120043707A KR20120043707A KR20120122927A KR 20120122927 A KR20120122927 A KR 20120122927A KR 1020120043707 A KR1020120043707 A KR 1020120043707A KR 20120043707 A KR20120043707 A KR 20120043707A KR 20120122927 A KR20120122927 A KR 2012012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membrane module
index value
fil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754B1 (ko
Inventor
노정민
김대중
박동을
이아름
신용철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코오롱베니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코오롱베니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75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75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01D65/109Testing of membrane fouling or clogging, e.g. amount or affin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60Specific sensors or sens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2Use of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4Use of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여과작업의 중단을 수반하는 세정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세정에 따른 여과막의 수명 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사막 모듈의 막오염지수값에 기초하여 미세기포 및 화학물질이 포함된 세정수가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된다.

Description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본 발명은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여과작업의 중단을 수반하는 세정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세정에 따른 여과막의 수명 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체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정수하는 수처리 방법으로는 가열이나 상변화를 이용하는 방법과 여과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여과막의 세공 크기에 따라 원하는 수질이 안정적으로 얻어질 수 있으므로, 여과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가열이나 상변화를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공정의 신뢰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과막을 이용할 경우 가열 등의 조작이 필요 없기 때문에, 미생물을 이용하는 분리 공정에서 미생물이 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방법 중 하나로는 중공사 형태의 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통적으로 중공사막은 무균수, 음용수, 초순수 제조 등 정밀 여과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하/폐수처리, 정화조에서의 고액 분리, 산업폐수에서의 부유 물질(SS : Suspended Solid) 제거, 하천수의 여과, 공업용수의 여과, 및 수영장 물의 여과 등으로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중공사막을 이용한 여과는 그 운전 방식에 따라 가압식 여과와 침지식 여과로 분류될 수 있다.
가압식 여과의 경우, 처리하여야 할 유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불순물 또는 슬러지 등의 고형 성분을 제외한 유체만이 중공사막 표면을 통해 중공으로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한다. 가압식 여과는 유체 순환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요구하기는 하지만 단위 시간에 얻을 수 있는 투과수의 양이 침지식 여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에 반해, 침지식 여과의 경우, 처리하고자 하는 유체가 저장된 조(bath)에 중공사막 모듈을 직접 침지시키고 중공사막의 중공 내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가함으로써 불순물 또는 슬러지 등의 고형 성분을 제외한 유체만이 중공사막 표면을 통해 중공으로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한다. 침지식 여과는 단위 시간에 얻을 수 있는 투과수의 양이 침지식 여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는 단점을 갖지만 유체 순환을 위한 설비가 필요 없어 시설비나 운전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중공사막을 이용한 여과의 경우, 여과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처리되어야 할 원수 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이 중공사막의 표면에 달라붙어 중공사막을 오염시키는 파울링(foul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 파울링 현상은 중공사막의 여과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중공사막의 여과 성능을 소정 정도 이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중공사막의 세정이 실시되어야 한다.
중공사막의 세정은 유지세정(maintenance cleaning)과 회복세정(recovery cleaning)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유지세정은 중공사막에 충격을 가하여 그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을 떨어뜨리는 물리적 세정으로서, 여과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산기세정(aeration cleaning)과 여과작업이 잠시 멈춘 상태에서 수행되는 역세정(reverse cleaning)을 포함한다. 산기세정은 중공사막의 아래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원수 내에서 상승하면서 중공사막의 외표면에 부딪힘으로써 불순물이 제거되는 세정이고, 역세정은 여과작업을 통해 얻어진 처리수가 중공사막을 통해 그 중공으로부터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중공사막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불순물이 제거되는 세정이다.
한편, 회복세정은 산 또는 알칼리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중공사막의 여과 성능을 초기화하는 화학적 세정으로서, 여과작업을 중단하고 처리되어야 할 원수로부터 중공사막을 분리한 후 상당 시간에 걸쳐 수행된다.
통상적인 중공사막 세정 방법에 의하면, 여과작업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산기세정이 실시되다가, 여과작업이 멈춘 상태에서 수행되는 역세정이 일정 주기로 실시된다. 이러한 역세정이 일정 주기로 소정 횟수 실시된 후에는 중공사막이 처리되어야 할 원수로부터 분리되고 회복세정이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실시된다.
위와 같은 통상적인 중공사막 세정 방법은 중공사막의 세정 자체에만 촛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중공사막의 실제 오염 정도에 대한 고려 없이 상기 회복세정을 일정 주기로 반복하여 무조건적으로 실시하였다. 즉, 일정 횟수의 역세정이 일정 주기로 수행된 후 회복세정이 반드시 수행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회복세정은 여과작업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당 시간 동안 수행되기 때문에 여과작업의 효율 저하를 초래하는 한 요인이 된다. 더욱이, 회복세정은 산 또는 알칼리 등의 화학물질을 이용하는 화학적 세정이기 때문에 화학반응에 의한 중공사막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그 결과 중공사막의 수명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유지세정만으로는 원하는 여과 성능을 기대할 수 없을 경우에 한해 회복세정을 실시하여 그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세정에 따른 여과막의 수명 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유지세정만으로는 원하는 여과 성능을 기대할 수 없을 경우에 한해 회복세정을 실시하여 그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세정에 따른 여과막의 수명 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여과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들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원수를 처리하여 여과수를 생산하는 중공사막 모듈; 세정수가 저장되어 있는 세정조; 상기 세정조의 세정수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미세기포 공급부; 상기 세정조의 세정수에 산 또는 알칼리 화합물을 공급하는 화합물 공급부; 및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막오염지수값에 기초하여 상기 세정수가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하여 원수를 처리하는 단계; 일정 주기로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대한 역세정을 반복 실시하는 단계; 상기 반복 실시되는 역세정들이 완료될 때마다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막오염지수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막오염지수값이 소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부터 상기 원수를 제거한 후 미세 기포 및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일반적 서술은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세정만으로는 원하는 여과 성능을 기대할 수 없을 경우에 한해 회복세정을 실시하여 그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여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에 따른 여과막의 수명 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에 화학물질 외에 미세기포를 포함시켜 중공사막의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3은 시간의 경과 및 세정 실시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막간차압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여과 및 세정 작업이 실시될 때 나타나는 중공사막 모듈의 막간차압 변화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은 물론이고 침지식 중공사막 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압식 중공사막 모듈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공사막 모듈(10)은 다수개의 중공사막들(11)을 포함한다. 상기 중공사막들(11)은 길이 방향으로 가지런히 배열된 다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중공사막들(11)은 튜브 형태를 갖는다. 튜브 형태의 중공사막(11)은 그 안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처리되어야 할 원수 중 불순물을 제외한 순수한 물만이 중공사막(11)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각 중공사막(11)의 상단부는 제1 고정부(12)에 의해 모듈 케이스(14) 내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중공사막(11)의 상기 상단은 개방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10)은 다수 개의 중공사막들(11)이 포팅되어 있는 제1 고정부(12)와 모듈 케이스(14)의 내면 사이에 실링제(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중공사막(11)을 투과하여 중공으로 유입된 후 중공사막(11)의 개방된 말단을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가 원수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2)는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들 열경화성 수지에 실리카, 카본 블랙, 불화 카본 등의 충전재를 혼입시킴으로써 제1 고정부(12)의 강도 향상 및 경화 수축 감소를 꾀할 수도 있다.
한편, 각 중공사막(11)의 하단부는 제2 고정부(13)에 의해 모듈 케이스(14) 내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각 중공사막(11)의 상기 하단은 폐쇄된 상태이고 상기 제2 고정부(13) 내에 묻혀있다.
여과 처리되어야 할 원수는 원수 유입구(15)를 통해 상기 모듈 케이스(14) 내로 유입된다. 모듈 케이스(14) 내로 유입된 원수는 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그 중 일부가 중공사막(11)을 투과하여 중공사막(11)의 중공으로 유입된다. 중공사막(11)의 중공으로 유입된 여과수는 제1 고정부(12) 측의 개방된 말단을 빠져나와 모듈 케이스(14)의 여과수 배출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여과수가 빠져나감으로 인해 고형 성분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진 원수(이하, "농축수"라 칭함)는 농축수 배출구(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과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또는 여과 작업이 중지된 후에 중공사막(11)의 세정을 위한 공기가 공기 유입구(18)를 통해 모듈 케이스(14) 내부로 유입된다. 공기 유입구(18)를 통해 모듈 케이스(14)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중공사막(11)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부(13)에는 다수 개의 관통홀들(13a)이 형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여과 처리되어야 할 원수와 중공사막(11)의 산기세정을 위한 공기가 하나의 유입구(18)를 통해 모듈 케이스(14)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여과 처리되어야 할 원수 및 산기 세정을 위한 공기 모두가 제2 고정부(13)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홀들(13a)을 통과한다.
한편, 여과 작업이 종료된 후에 모듈 케이스(14) 내에 있던 원수는 제2 고정부(13)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홀들(13a)을 통과하여 배수구(19)를 통해 모듈 케이스(14) 밖으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 시스템은, 원수를 처리하여 여과수를 생산하는 중공사막 모듈((10), 세정수가 저장되어 있는 세정조(20), 상기 세정조(20)의 세정수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미세기포 공급부(30), 상기 세정조(20)의 세정수에 산 또는 알칼리 화합물을 공급하는 화합물 공급부(40), 및 상기 중공사막 모듈(10)의 막오염지수값에 기초하여 상기 세정수가 상기 중공사막 모듈(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여과 처리되어야 할 원수는 원수 탱크(70)를 거쳐 제1 펌프(P1)에 의해 배관을 타고 중공사막 모듈(10)로 압송된다. 원수 중 중공사막 모듈(10)의 중공사막(11)을 투과한 여과수는 여과수 탱크(80)로 보내지고, 농축수는 다시 원수 탱크(70)로 보내진다.
여과 작업이 수행되는 중에, 공기 공급 수단(90)을 이용하여 공기 유입구(18)를 통해 중공사막 모듈(10) 내로 압축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산기에 의한 중공사막(11)의 세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기 세정 중에 원수가 공기 공급 수단(90)으로 역류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충분한 압력으로 공기를 모듈 케이스(14) 내로 제공하여야 한다.
선택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공급 수단(90)으로부터 제공되는 산기 세정용 공기가 중공사막 모듈(10)로 압송되는 원수에 먼저 제공된 후 원수와 함께 중공사막 모듈(10) 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여과 작업 중에 위와 같은 산기 세정이 지속적으로 실시된다고 하더라도 중공사막(11)의 오염이 완전히 방지될 수는 없다. 따라서, 여과 작업이 잠시 중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역세정이 일정 주기로 실시되어야만 한다.
중공사막 모듈(10)의 역세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여과수 탱크(80) 내에 저장되어 있던 여과수가 제2 펌프(P2)에 의해 중공사막 모듈(10)로 보내진다. 여과수가 중공사막(11)을 통해 그 중공으로부터 밖으로 배출될 때 중공사막(11)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여과 작업 중에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산기 세정에 더하여, 일정 주기로 역세정이 반복적으로 실시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역세정만으로는 중공사막(11)의 오염 정도가 초기값으로 완전히 회복될 수 없다. 즉, 역세정 직후의 중공사막(11) 오염 정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 심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산 또는 알칼리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중공사막(11)의 여과 성능을 초기화하는 화학적 세정이 상당 시간에 걸쳐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화학적 세정을 위하여, 본 발명의 여과 시스템은, 세정수가 저장되어 있는 세정조(20), 상기 세정조(20)의 세정수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미세기포 공급부(30), 및 상기 세정조(20)의 세정수에 산 또는 알칼리 화합물을 공급하는 화합물 공급부(4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세기포'는 100㎛ 이하의 직경을 갖는 기포를 의미한다. 미세기포는 1~100㎛의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기포와 1㎛ 미만의 직경을 갖는 나노기포로 분류될 수 있다. 마이크로기포는 물 속에서 상대적으로 서서히 상승하고 서서히 소멸한다. 나노기포는 물 속에서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노즐(미도시)을 통해 발생된 미세기포는 세정수와 함께 중공사막 모듈(10)로 공급된 후 터지면서 온도를 급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세정수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중공사막(11)에 대한 살균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미세기포 공급부(30)로부터 노즐(미도시)을 통해 세정조(20)의 세정수로 공급되는 미세기포는 일반 공기일 수 있으나, 이러한 살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O2, O3, Cl2, 또는 CO2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합물 공급부(40)로부터 세정조(20)의 세정수에 공급되는 산 화합물은 HCl, 구연산, 또는 옥살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산 화합물 대신에 또는 상기 산 화합물과 번갈아가며, 알칼리 화합물이 화합물 공급부(40)로부터 세정조(20)의 세정수에 공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알칼리 화합물은 NaOH 또는 NaOC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본 발명의 각종 펌프들(P1, P2, P3)의 동작 및 밸브들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여과작업, 산기세정, 역세정, 및 회복세정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실행되는 여과작업, 산기세정, 역세정, 및 회복세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과작업 중에는 제1 펌프(P1)에 의해 원수 탱크(70) 내의 원수가 중공사막 모듈(10)로 유입되고, 중공사막 모듈(10)에 의해 유입된 원수가 처리되며, 중공사막 모듈(10)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는 여과수 탱크(80)로 운반된다.여과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되는 농축수는 원수 탱크(70)로 귀환된다. 여과작업의 수행 중에 공기 공급 수단(90)으로부터 제공되는 공기가 중공사막 모듈(10) 내로 유입됨으로써 산기세정이 실시된다.
산기세정에도 불구하고 여과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중공사막(11)이 점차적으로 오염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일정 주기로 상기 중공사막 모듈(10)에 대한 역세정이 반복하여 실시되도록 한다. 역세정 중에는 중공사막 모듈(10) 내로의 원수 유입 및 산기세정을 위한 공기 유입이 각각 차단된다. 또한, 제2 펌프(P2)에 의해 여과수 탱크(80) 내의 여과수가 중공사막 모듈(10)의 중공사막(11)으로 공급된다.
수회의 역세정 공정들이 일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시된 후, 일정 시점에 중공사막 모듈(10)에 대한 회복세정이 실시된다. 이와 같은 회복세정에 의해 중공사막(11)이 초기화될 수 있다.
도 3은 시간의 경과 및 세정 실시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막간차압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중공사막 모듈(10)의 막간차압(△P)은 중공사막(11)의 오염 정도를 나타낸다. 즉, 중공사막 모듈(10)의 막간차압이 클수록 중공사막(11)의 오염 정도가 심함을 나타낸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여과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중공사막 모듈(10)의 막간차압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역세정이 수행될 때마다 막간차압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역세정에 의한 세정의 정도가 역세정 공정들 사이에 발생하는 오염의 정도보다 적기 때문에, 일정 시점에서는 회복세정이 실시되어야만 중공사막 모듈(10)의 막간차압이 최초의 값으로 회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중공사막 세정 방법에 의하면 일정 횟수의 역세정이 일정 주기로 수행된 후 미리 정해진 시점에 회복세정이 반드시 수행되었다. 그러나, 회복세정은 여과작업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당 시간 동안 수행되기 때문에 여과작업의 효율 저하를 초래하는 한 요인이 된다. 더욱이, 회복세정은 산 또는 알칼리 등의 화학물질을 이용하는 화학적 세정이기 때문에 화학반응에 의한 중공사막의 손상이 발생하기 쉽고 그 결과 중공사막의 수명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공사막 모듈(10)의 오염을 일정 정도 이상으로 심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회복세정의 실시 회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중공사막 모듈(10)의 막오염지수값에 기초하여 미세기포 및 화합물이 공급된 세정수가 중공사막 모듈(10)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회복세정의 실시 시점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여과 및 세정 작업이 실시될 때 나타나는 중공사막 모듈의 막간차압 변화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일정 주기로 반복 실시되는 역세정들이 완료될 때마다 일정 시간 후(b1, b2, b3)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10)의 막오염지수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막오염지수값(FI2)이 소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중공사막 모듈(10)로부터 원수를 제거한 후 미세기포 및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정수가 상기 중공사막 모듈(1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여과작업이 시작된 후 소정 시간이 흐른 시점(b0) 및 상기 반복 실시되는 역세정들이 완료될 때마다 일정 시간 후(b1, b2, b3)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10)의 오염지수값(FI)을 산출하고, 상기 오염지수값(FI)과 그 직전에 산출된 오염지수값(FI)의 차이로부터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막오염지수값(FI2)을 산출할 수 있다.
중공사막 모듈(10)의 오염지수값(FI)은 다음의 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1에서, △P는 막간차압(kPa)이고, A는 중공사막 모듈의 막면적(㎡)이고, η는 원수의 점도(centipoise)이고, Q는 여과수의 유량 (L/㎡ ㆍhr)이다. 특히, △P는 1분 동안의 막간차압(kPa)에 대한 평균값으로서, 이하 모든 △P는 1분 동안의 막간차압(kPa)에 대한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여과 시스템은, 상기 중공사막 모듈(10)의 막간차압(transmembrane pressure)을 측정하는 압력계(manometer)(61), 상기 중공사막 모듈(10)로 공급되는 원수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계(viscometer)(62), 및 상기 중공사막 모듈(10)에 의해 생산되는 여과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flowmeter)(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상기 압력계(61), 점도계(62), 및 유량계(63)에 의해 각각 측정되는 상기 막간차압(△P), 점도(η), 및 유량(Q)을 수신하고, 이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중공사막 모듈(10)의 오염지수값(FI)을 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여과작업이 시작된 후 소정 시간이 흐른 시점(b0) 및 상기 반복 실시되는 역세정들이 완료될 때마다 일정 시간 후(b1, b2, b3)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10)의 오염지수값(FI)을 산출하고, 상기 오염지수값(FI)과 그 직전에 산출된 오염지수값(FI)의 차이로부터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막오염지수값(FI2)을 산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소정 시간 및 일정 시간은 역세정 주기의 반 또는 그로부터 ± 5분 이내의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두 번째 역세정 공정 직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b2)에서 중공사막 모듈(10)의 막오염지수값(FI2)은 다음의 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식2에서, △Pb1 및 △Pb2 는 각각 b1시점 및 b2시점에서 측정한 막간차압(kPa)이고, A는 여과막 모듈의 막면적(㎡)이고, ηb1 및 ηb2 는 각각 b1시점 및 b2시점에서 측정한 원수의 점도(centipoise)이고, Qb1및 Qb2 는 각각 b1시점 및 b2시점에서 측정한 여과수의 유량 (L/㎡ ㆍhr)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b1시점은 첫 번째 역세정 공정 직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이고, 상기 b2시점은 두 번째 역세정 공정 직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이다.
위 식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2 시점에서의 막오염지수값(FI2)은 b2시점에서의 오염지수값과 b1시점에서의 오염지수값 사이의 차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b1시점 및 b2시점은 첫 번째 및 두 번째 역세정 공정 직후 상기 역세정 주기의 반이 지난 시점 또는 그 시점에서 ± 5분 이내의 시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일정 주기로 반복 실시되는 역세정 공정들이 완료될 때마다 일정 시간 후(b1, b2, b3)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10)의 막오염지수값(FI2)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막오염지수값(FI2)이 소정치(한계 막오염지수값) 이상일 경우(도 4의 경우 b3 시점), 상기 중공사막 모듈(10)로부터 원수를 제거한 후 제3 펌프(P3)를 이용하여 미세기포 및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정수가 상기 중공사막 모듈(1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중공사막 모듈(10)을 초기화한다.
중공사막 모듈(10)의 세정에 사용된 세정수는 농축수 배출구(17)를 통해 빠져나와 마이크로 필터(미도시)를 거쳐 다시 세정조(20)로 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주기로 반복 실시되는 각 역세정 공정 후마다 중공사막 모듈(10)의 막오염지수값(FI2)을 산출하고 그 값이 한계치 이상일 경우에 한해 회복세정을 실시함으로써, 회복세정의 실시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 작업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에 따른 여과막의 수명 단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세정수에 화학물질 외에 미세기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사막의 세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10: 중공사막 모듈 20: 세정조
30: 미세기포 공급부 40: 화학물 공급부
50: 제어부 61: 압력계
62: 점도계 63: 유량계
70: 원수 탱크 80: 여과수 탱크
90: 공기 공급 수단

Claims (10)

  1. 원수를 처리하여 여과수를 생산하는 중공사막 모듈;
    세정수가 저장되어 있는 세정조;
    상기 세정조의 세정수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는 미세기포 공급부;
    상기 세정조의 세정수에 산 또는 알칼리 화합물을 공급하는 화합물 공급부; 및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막오염지수값에 기초하여 상기 세정수가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는 공기, O2, O3, Cl2, 또는 CO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 화합물은 HCl, 구연산, 또는 옥살산이고,
    상기 알칼리 화합물은 NaOH 또는 NaO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막간차압(transmembrane pressure)을 측정하는 압력계(manometer);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되는 원수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계(viscometer); 및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의해 생산되는 여과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flowme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계, 점도계, 및 유량계에 의해 각각 측정되는 상기 막간차압, 점도, 및 유량을 이용하여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막오염지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의해서 생산된 여과수를 이용한 역세정이 일정 주기로 반복 실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실시되는 역세정들이 완료될 때마다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막오염지수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막오염지수값이 소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부터 상기 원수를 제거한 후 상기 세정수가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실시되는 역세정들이 완료될 때마다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오염지수값을 산출하고, 상기 오염지수값과 그 직전에 산출된 오염지수값의 차이로부터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막오염지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시스템.
  8.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하여 원수를 처리하는 단계;
    일정 주기로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대한 역세정을 반복 실시하는 단계;
    상기 반복 실시되는 역세정들이 완료될 때마다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막오염지수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막오염지수값이 소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부터 상기 원수를 제거한 후 미세 기포 및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상기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오염지수값의 산출 단계는,
    상기 반복 실시되는 역세정들이 완료될 때마다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중공사막 모듈의 오염지수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염지수값과 그 직전에 산출된 오염지수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포는 공기, O2, O3, Cl2, 또는 CO2를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은 HCl, 구연산, 옥살산, NaOH, 또는 NaO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방법.
KR1020120043707A 2011-04-28 2012-04-26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85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707A KR101858754B1 (ko) 2011-04-28 2012-04-26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210 2011-04-28
KR20110040210 2011-04-28
KR1020120043707A KR101858754B1 (ko) 2011-04-28 2012-04-26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927A true KR20120122927A (ko) 2012-11-07
KR101858754B1 KR101858754B1 (ko) 2018-05-17

Family

ID=4750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707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8754B1 (ko) 2011-04-28 2012-04-26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7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213A (ko) * 2013-03-25 2015-11-2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KR20170137320A (ko) * 2016-06-03 2017-12-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여과막 세정장치
KR101993826B1 (ko) * 2019-01-28 2019-06-27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여과막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20220110959A (ko) * 2021-02-01 2022-08-09 주식회사 엔씨기술공사 수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강관 내부 세정방법
KR20230104398A (ko) * 2021-12-31 2023-07-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 여과 방식의 역세척이 가능한 중공사막 수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658B1 (ko) * 2009-07-29 2010-03-26 주식회사 코오롱 여과막을 이용한 유체 처리 장치
KR100970842B1 (ko) * 2010-02-04 2010-07-16 코오롱베니트 주식회사 여과막을 이용한 유체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213A (ko) * 2013-03-25 2015-11-2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KR20170137320A (ko) * 2016-06-03 2017-12-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여과막 세정장치
KR101993826B1 (ko) * 2019-01-28 2019-06-27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여과막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20220110959A (ko) * 2021-02-01 2022-08-09 주식회사 엔씨기술공사 수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강관 내부 세정방법
KR20230104398A (ko) * 2021-12-31 2023-07-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 여과 방식의 역세척이 가능한 중공사막 수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754B1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058B1 (ko) 분리막 모듈의 막힘 개소 특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조수 시스템 및 조수 방법
CN102405093B (zh) 过滤膜的清洗方法
JP5453711B2 (ja) 外圧式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KR20120122927A (ko) 여과 시스템 및 여과방법
JP2007296500A (ja) 膜分離装置及び膜ろ過方法
KR20100042348A (ko)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모듈 세정방법
KR20150133213A (ko)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JP6191464B2 (ja) 除濁膜モジュールの運転方法
US20070289362A1 (en) Air scouring for immersed membranes
JP2016068046A (ja) 縦置き型外圧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8023965A (ja) 外圧式濾過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及び濾過装置
KR20140128841A (ko) 막모듈의 교차 정수 및 세정 장치와 이의 운전방법
JP4433276B2 (ja) 中空糸膜ろ過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洗浄方法
JP2013212497A (ja) 水処理方法
KR101569529B1 (ko)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여과 시스템
JP2008246424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および中空糸膜ろ過装置
WO2008057753A2 (en) Improved filtration system
JP4840285B2 (ja) 浸漬型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JP5017922B2 (ja) 水処理方法
JP2004057883A (ja) 外圧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を用いた浄水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4698274B2 (ja) 濾過膜の洗浄方法
JP5874866B1 (ja) 除濁膜モジュールの運転方法
JP2009274021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および中空糸膜ろ過装置
KR102010482B1 (ko) 여과 시스템 및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방법
JP4765874B2 (ja) 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4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