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19231A -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231A
KR20120119231A KR1020110037017A KR20110037017A KR20120119231A KR 20120119231 A KR20120119231 A KR 20120119231A KR 1020110037017 A KR1020110037017 A KR 1020110037017A KR 20110037017 A KR20110037017 A KR 20110037017A KR 20120119231 A KR20120119231 A KR 2012011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mart key
wire
stage
door 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231A/ko
Priority to US13/172,130 priority patent/US8862284B2/en
Publication of KR2012011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23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기어변속장치의 일종인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에서의 주차 및 전원 오프 동작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가 탑재된 차량의 시동을 N단 상태에서 오프시킨 후, 운전자가 차량 외부(도어 외부)로 나가서 소지하고 있던 스마트 키로부터 도어 락 신호가 스마트 키 제어용 ECU에 전송되면, 스마트키 제어용 ECU의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전원 오프를 비롯하여 도어 잠금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N단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N단에서의 주차 과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arking in the neutral of SBW}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기어변속장치의 일종인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에서의 주차 및 전원 오프 동작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방식의 자동변속기는 변속제어기(TCU)에서 명령된 전자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또는 전기모터에 의하여 각 단별유압회로에 압력이 인가되거나 차단되면서 전자적으로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변속은 운전자의 간단한 버튼조작 및 레버조작을 통해 운전자의 변속 의지를 변속제어기에 전달함으로써, 전진(D) 및 후진단(R), 중립(N) 및 파킹단(P) 등으로의 변속 조작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점에 장점이 있고, 또한 변속레버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 공간이 넓어짐에 따라 조이스틱 등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변속 작동 일례를 보면, 전진(D) 또는 후진(R)단에서 시동을 오프(OFF)하는 경우, 변속레버가 자동으로 주차(P)단에서 이동하므로, 운전자 입장에서 별도의 주차단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는 중립단 주차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가 탑재된 차량이 다른 차량의 앞쪽에 일렬 주차 등을 위하여 중립단(이하 N단이라 칭함) 주차를 하는 과정을 첨부한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살펴보면, 먼저 주차단(이하 P단이라 칭함) 상태에서 시동을 오프(OFF)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어서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브레이크 온 상태)에서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변속레버(40) 앞쪽에 배치된 릴리즈 스위치(30: release switch)를 눌러서 변속레버의 잠금을 해제하게 되면, 변속레버가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N단으로 자동 이동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N단에서 시동 오프시, N단이 그대로 유지되어 N단 주차가 가능하지만, 차량이 경사로에서 밀리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고려하여 주차시 P단을 원칙으로 함에 따라, N단에서 시동 오프시 클러스터를 비롯하여 오디오 및 실내 램프 등과 같은 전장품의 전원을 오프(OFF)시키지 않게 하고, 도어락/언락용 액츄에이터에 의한 도어 잠금도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제어 로직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운전자 입장에서 N단 주차를 하려면, 상기와 같이 P단에서 반드시 시동을 오프하여 전장품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한 다음,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릴리즈 스위치를 눌러 변속레버를 N단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등 여러 단계의 동작을 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릴리즈 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N단으로 이송시킬 때, 변속레버에 이송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의 동작음(예를 들어, "윙 ~ 척)이 거슬릴 정도로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프트 바이 와이어가 탑재된 차량의 시동을 N단 상태에서 오프시킨 후, 운전자가 차량 외부(도어 외부)로 나가서 소지하고 있던 스마트 키로부터 도어 락 신호가 스마트 키 제어용 ECU에 전송되면, 스마트키 제어용 ECU의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전원 오프를 비롯하여 도어 잠금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N단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N단에서의 주차 과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스마트키의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의 제어 명령에 따라 N단을 유지시키는 제어를 하도록 스마트키 제어용 ECU와 시프트 바이 와이어 제어유니트를 캔 통신으로 연결하고, 스마트 키로부터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의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스마트키 제어용 ECU와 전원분배기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키 제어용 ECU에는 도어 락/언락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어모듈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변속단을 N단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시동을 오프시키는 단계와; 차량 외부에서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락 신호가 스마트키 제어용 ECU로 전송되는 단계와;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에서 전원분배기에 차량 전원 오프 명령을 내리는 단계와;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한 전원분배기에서 차량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에서 시프트 바이 와이어 유니트에 N단 유지 명령을 내리는 단계와; 시프트 바이 와이어 유니트의 제어에 의하여 변속단이 N단으로 계속 유지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에서 도어모듈에 도어 락 명령을 내리는 단계와; 도어모듈의 제어에 의하여 도어 락/언락 액츄에이터가 도어 락쪽으로 작동하여 도어가 잠금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변속단을 N단 상태에서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을 오프시키더라도, 스마트키의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ECU의 명령에 따라 각종 전장품에 대한 전원이 오프되는 동시에 N단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N단 주차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P단에서 시동을 오프하여 전장품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한 다음,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 릴리즈 스위치를 눌러 변속레버를 N단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등 N단 주차가 여러 단계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고객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의 작동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의 작동 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변속레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중립단 주차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변속 과정중 기존의 N단 주차 과정은 P단에서 시동을 오프하여 전장품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하는 단계와, 브레이크를 밟는 단계와, 릴리즈 스위치를 눌러주는 단계 등 여러 단계의 동작을 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 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은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변속단중 N단 주차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키(10)의 신호를 받아서 도어 락 및 언락 제어를 하는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와, 변속단을 제어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 유니트(16)를 캔 통신으로 연결하고, 또한 상기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와, 차량의 전장품(클러스터의 각종 지시등 및 표시등, 오디오, 실내램프 등)에 대한 전원 분배 제어를 하는 전원분배기(18)를 전기적 신호 교환 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스마트키(10)로부터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의 제어 명령에 따라 시트트 바이 와이어 유니트(16)는 N단을 유지시키는 제어를 하게 되고, 또한 스마트키(10)로부터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원분배기(18)는 차량의 전장품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어를 하게 된다.
물론, 스마트키(10)로부터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는 도어모듈(20)에 도어 락 명령을 내리면, 도어모듈(20)에 제어에 따라 도어 락/언락 액츄에이터(22)가 락킹 작동하여 도어가 잠금되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변속단을 N단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시동을 오프시켜서 엔진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운전자가 도어를 열고 내린 다음, 차량 외부에서 소지하고 있던 스마트키(10)의 락킹 버튼을 눌러줌으로써, 차량 외부에서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10)로부터 도어 락 신호가 스마트키 제어용 ECU(14)로 전송된다.
이어서, 위와 같이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에서 전원분배기(18)에 차량 전원 오프 명령을 내리게 됨으로써,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한 전원분배기(18)에서 차량의 각 전장품(클러스터의 각종 지시등 및 표시등, 오디오, 실내램프 등)에 대한 전원 분배를 중단하여, 각 전장품이 모두 오프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에서 시프트 바이 와이어 유니트(16)에 N단 유지 명령을 내리게 됨으로써, 변속단이 N단에서 P단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시프트 바이 와이어 유니트(16)의 제어에 의하여 변속단이 N단으로 계속 유지되어진다.
이와 같이, 시프트 바이 와이어가 탑재된 차량의 시동을 N단 상태에서 오프시킨 후, 운전자가 차량 외부(도어 외부)로 나가서 소지하고 있던 스마트키(10)로부터 도어 락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의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의 실내 전장품에 대한 전원 오프가 이루어짐과 함께 N단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N단 주차에 대한 고객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N단 주차 로직이 진행됨과 더불어,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에서 도어모듈(20)에 도어 락 명령을 내리게 되고, 이에 도어모듈(20)의 제어에 의하여 도어 락/언락 액츄에이터(22)가 도어 락쪽으로 작동하여 도어가 잠금되어진다.
10 : 스마트키
12 : 수신기
14 : 스마트키 제어용 ECU
16 : 시프트 바이 와이어 유니트
18 : 전원분배기
20 : 도어모듈
22 : 도어 락/언락 액츄에이터

Claims (5)

  1. 스마트키(10)의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의 제어 명령에 따라 N단을 유지시키는 제어를 하도록 시프트 바이 와이어 유니트(16)를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와 캔 통신으로 연결하고,
    스마트키(10)로부터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의 제어 명령에 따라 N단 주차시 차량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전원분배기(18)를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에는 도어 락/언락 액츄에이터(22)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어모듈(2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3.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반의 변속단을 N단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시동을 오프시키는 단계와;
    차량 외부에서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10)로부터 도어 락 신호가 스마트키 제어용 ECU(14)로 전송되는 단계와;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에서 전원분배기(18)에 차량 전원 오프 명령을 내리는 단계와;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한 전원분배기(18)에서 차량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에서 시프트 바이 와이어 유니트(16)에 N단 유지 명령을 내리는 단계와;
    시프트 바이 와이어 유니트(16)의 제어에 의하여 변속단이 N단으로 계속 유지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도어 락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키 제어용 ECU(14)에서 도어모듈(20)에 도어 락 명령을 내리는 단계와;
    도어모듈(20)의 제어에 의하여 도어 락/언락 액츄에이터(22)가 도어 락쪽으로 작동하여 도어가 잠금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방법.
KR1020110037017A 2011-04-21 2011-04-21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 Ceased KR20120119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017A KR20120119231A (ko) 2011-04-21 2011-04-21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
US13/172,130 US8862284B2 (en) 2011-04-21 2011-06-29 Apparatus and method for neutral-position parking in shift-by-wir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017A KR20120119231A (ko) 2011-04-21 2011-04-21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231A true KR20120119231A (ko) 2012-10-31

Family

ID=4702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017A Ceased KR20120119231A (ko) 2011-04-21 2011-04-21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62284B2 (ko)
KR (1) KR2012011923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1488A1 (en) * 2011-04-21 2012-10-2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neutral-position parking in shift-by-wire system
KR101462926B1 (ko) * 2013-12-06 2014-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및 자동 중립 주차 제어 방법
KR20150056992A (ko) 2013-11-18 2015-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장치
KR20160076804A (ko) 2014-12-23 2016-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sbw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20200063401A (ko) 2018-11-27 2020-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323B1 (ko) * 2012-11-09 2014-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식 변속 레버
EP2767445A1 (en) * 2013-02-18 2014-08-20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and start assisting system for facilitating start activities of a vehicle
JP6125319B2 (ja) * 2013-05-15 2017-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6564269B2 (ja) * 2015-08-04 2019-08-21 株式会社Subaru 車両制御システム
DE102017200849A1 (de) 2017-01-19 2018-07-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uereinheit und Verfahren zum Überführen eines Fahrzeugs in einen Parkmodus
CN109552284B (zh) * 2018-12-04 2021-02-19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智能驻车系统及驻车方法
KR20230021845A (ko) * 2021-08-06 2023-02-14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5080187A (ja) * 2023-11-13 2025-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143A (ja) * 2000-11-06 2002-05-17 Tokai Rika Co Ltd 車両用変速機制御装置
JP2002257235A (ja) * 2001-03-01 2002-09-11 Tokai Rika Co Ltd パーキングロック解除装置
DE10248456A1 (de) * 2001-10-19 2003-06-18 Denso Corp Fahrzeugkommunikationssystem
US6904823B2 (en) * 2002-04-03 2005-06-14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shifting devices
JP4063645B2 (ja) * 2002-11-28 2008-03-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駆動制御装置
JP4084170B2 (ja) * 2002-11-28 2008-04-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駆動系操作装置及び車両駆動制御システム
KR100513516B1 (ko) 2002-12-20 200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차 제어장치 및 방법
JP4668226B2 (ja) * 2007-03-28 2011-04-13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0872628B1 (ko) 2007-05-21 2008-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킹 해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9138338A (ja) 2007-12-03 2009-06-25 Denso Corp 降車支援システム
JP4535174B2 (ja) * 2008-07-11 2010-09-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837754B2 (ja) 2009-02-17 2011-12-14 ジヤトコ株式会社 シフトバイワイヤ式車両の制御装置
JP5289150B2 (ja) 2009-04-07 2013-09-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の制御装置
KR20120119231A (ko) * 2011-04-21 2012-10-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1488A1 (en) * 2011-04-21 2012-10-2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neutral-position parking in shift-by-wire system
US8862284B2 (en) * 2011-04-21 2014-10-1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neutral-position parking in shift-by-wire system
KR20150056992A (ko) 2013-11-18 2015-05-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장치
US9316304B2 (en) 2013-11-18 2016-04-19 Hyundai Motor Company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462926B1 (ko) * 2013-12-06 2014-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및 자동 중립 주차 제어 방법
KR20160076804A (ko) 2014-12-23 2016-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sbw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20200063401A (ko) 2018-11-27 2020-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bw 시스템의 어드밴스 시동오프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71488A1 (en) 2012-10-25
US8862284B2 (en)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9231A (ko) 시프트 바이 와이어의 중립단 주차 장치 및 방법
DE102014204650B4 (de) Verfahren zur Immobilisierung eines Fahrzeugs sowi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usgebildetes Fahrzeug
US9103435B2 (en) Device for operating 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hydraulically actuated friction-fit and form-fit shift elements
US10549756B2 (en) Automatic brake hold release directly to vehicle creep
WO2011142000A1 (ja) 車両用シフト制御装置
US9309966B2 (en)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washing mode for vehicle equipped with shift-by-wire shifting device
KR102439105B1 (ko) 전자식 변속조작장치의 변속제어방법
US8197388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engaging a parking lock of an automatic or automated gearbox of a motor vehicle
CN105329234A (zh) 车辆遥控制动装置、车辆的遥控系统和车辆遥控制动方法
US9017216B1 (en) Engine ignition-transmission shift interlock
US10690237B2 (en) Vehicle par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84102B1 (ko) 전자식 변속레버의 변속제어방법
EP1895198B1 (en) An electric control selector system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CN101590839B (zh) 钥匙互锁控制系统以及具有该系统的启动设备
CN102844230A (zh) 用于运行机动车中的驱动控制装置的方法以及机动车
CN101961999A (zh) 一种自动档汽车倒车装置的控制方法
CN104279308A (zh) 具有自动化的或自动的变速器和档位转换装置的机动车
US20150219209A1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KR102465900B1 (ko) 차량의 중립단 주차의 제어방법
KR20180076737A (ko) 버튼시동장치 및 sbw 시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의 전원 제어장치 및 전원 제어방법
KR101292511B1 (ko)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KR102507819B1 (ko) Amt 탑재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US12296827B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1036998B1 (ko) 캔을 이용한 에이티엠 쉬프트 락 솔레노이드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2646A (ko) 자동차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