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131A - Decorative flowerpot - Google Patents
Decorative flower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8131A KR20120118131A KR1020110035518A KR20110035518A KR20120118131A KR 20120118131 A KR20120118131 A KR 20120118131A KR 1020110035518 A KR1020110035518 A KR 1020110035518A KR 20110035518 A KR20110035518 A KR 20110035518A KR 20120118131 A KR20120118131 A KR 201201181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support
- piece
- locking
- pla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식재부와 외벽면에 고정되도록 지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화분식재부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화분식재부가 간단하게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장식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support the potted plant and the outer wall surface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load of the potted plant portion can be more firmly fixed, in particular, the potted planting portion in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simple detachable It relates to a decorative flower pot that can be convenient to.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화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화분의 이탈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화분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flower pot that can be detach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lower pot, the detachment of the flower pot is made easy and detachable decorative flower pots capable of fixing the pots more stabl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관상용 화분은 실내에서 소량 육성시키거나 야채 등을 다량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의 온도 및 온도의 조절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내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어 널리 행해지고 있다.
In general, ornamental flower pots are intended to cultivate a small amount indoors or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vegetables, and are widely used because they can expect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of the room and make the indoor environment more comfortable. .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분식재부와 외벽면에 고정되도록 지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화분식재부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화분식재부가 간단하게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장식용 화분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an be fixed to the potted planting portion and the outer wall surface is effectively distributed by dispersing the load of the potted planting portion more firmly, in particular the potted planting portion is simple in the support It is detachably provided to provide a decorative flowerpot that can be convenient for us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이 식재공간의 바닥면에 물을 배출시키는 복수의 물배수공이 관통되며, 외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후면이 개방된 수용공으로 이루어진 화분식재부와; 상기 화분식재부의 수용공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물배수공을 통해 하강된 물을 보관하는 물받이부와;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게 형성된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포함된 지지부와;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의 전면에 배치되는 고정필름과, 상기 고정필름에 결합되어 상기 부착판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나사축을 갖는 연결부재와,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나사축에 끼워진 상기 고정부재을 고정하는 잠금부재로 이루어진 부착수단으로 구성된다.
The detachable decorative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e body, and a planting space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a plurality of water drainage holes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space, Hang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sid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tted planting portion made of a receiving hole open front, rear; A drip plat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hole of the potted plant part and keeps the water lowered through the water drainage hole; A holding member including a coupling hole formed at an upper portion, a locking member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and a support member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and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hole to support the body; ; A connection member having an attachment plate, a fixed film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a screw shaft coupled to the fixed film and protruding outwardly of the attachment plate, and screwed to the screw shaft and fitted to the screw shaft. It consists of an attachment means consisting of a locking member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따라서, 본 발명의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은 화분식재부와 외벽면에 고정되도록 지지부가 설치되어 상기 화분식재부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화분식재부가 간단하게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detachable decorative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to be fixed to the potted plant portion and the outer wall surface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load of the potted plant portion can be more firmly fixed, in particular the potted plant material in the support The unit is simply detachably provided to facilitate convenience of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화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화분의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화분의 일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corative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decorative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d view of a decorative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은 벽면, 유리, 가구, 가전제품 등(이하 '외벽면' 이라 칭함)에 밀착고정되는 부착수단(40)이 설치되고, 내부에 꽃, 선인장, 나무 등이 심어지는 화분식재부(10)가 구비되며, 상기 화분식재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을 보관하는 물받이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수단(40)과 화분식재부(1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부(3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detachable decorative flower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all, glass, furniture, home appliances,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er wall surface") is attached to the fixing means 40 And, there is provided a
상기 화분식재부(10)는 원형, 사각형, 오각형, 다각형 등으로 구비되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식재공간(12)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양측에 걸림홈(14)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전,후면이 개방된 수용공(15)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15)에 걸림턱(16)이 형성된다.The
상기 식재공간(12)의 바닥면에 물을 배출시키는 복수의 물배수공(13)이 관통된다.A plurality of water drain holes 13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걸림홈(14)은 몸체(11)의 테두리 부분이 바깥쪽으로 '∩' 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The
상기 수용공(15)은 물배수공(13)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물받이부(20)가 서랍식으로 인출가능하게 형성된다.The receiving
상기 물받이부(20)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손가락을 잡고 인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
상기 지지부(30)는 부착수단(4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1)와, 상기 고정부재(31)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에 설치되는 받침부재(36)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고정부재(31)는 상부에 결합공(32)이 형성된 결합편(39)과, 상기 걸림홈(14)에 끼워지게 형성된 걸림편(33)과, 상기 걸림편(33)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편(34)과,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보강편(35)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걸림편(33)은 '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홈(14)에 끼워져 고정된다.The
상기 고정편(34)은 걸림편(33)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4)의 바깥면을 밀착,고정하게 된다.The
상기 보강편(35)은 고정부재(3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비틀림이나 휨현상을 방지하게 된다.The reinforcing
상기 받침부재(36)는 몸체(11)의 하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받침편(37)이 구비되고, 상기 부착판(41)의 간격만큼을 돌출되어 외벽면에 밀착,지지되는 지지편(38)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받침편(37)은 몸체(11) 하부의 걸림턱(16)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11)를 지지하게 된다.The
상기 지지편(38)은 부착판(41)의 간격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화분식재부(10)가 수직된 상태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외벽면에 밀착,고정된다.The
상기 부착수단(40)은 부착판(41)과, 상기 부착판(41)의 전면에 배치되는 고정필름(43)과, 상기 부착판(41)과 고정필름(43)에 결합되는 연결부재(44)와, 상기 연결부재(44)에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잠금부재(46)로 이루어진다.The attachment means 40 is an
상기 부착판(41)은 중앙에 관통공(4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39)의 테두리에 끼워지는 끼움홈(48)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필름(43)의 테두리부분을 밀착하게 된다.The
상기 끼움홈(48)은 하부가 개방되게 구비되어 상기 결합편(39)의 하부에 걸려지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31)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The
상기 고정필름(43)은 외벽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통상적인 재질로 이루어져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는다)The fixed
상기 연결부재(44)는 고정필름(43)의 배면 중앙에 결합되어 상기 부착판(41)의 관통공(42)에 끼워져 나사결합가능하게 나사축(45)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축(45)은 관통공(42)에 끼워져 일부가 돌출되게 배치된다.The connecting
상기 잠금부재(46)는 연결부재(44)의 나사축(45)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31)가 부착판(41)에 밀착,고정된다.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장식용 화분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꽃, 나무 등을 화분식재부(10)에 심고, 상기 화분식재부(10)를 설치하기 위한 외벽면에 상기 부착수단(40)의 고정필름(43)을 밀착,고정하고, 상기 부착수단(40)의 나사축(45)에 상기 결합편(39)의 결합공(32)을 끼움과 동시에 상기 결합편(39)의 테두리가 상기 부착판의 끼움홈(48)에 끼워져 고정되고, 이어 상기 부착수단(40)의 잠금부재(46)를 나사축(45)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지지부(30)를 상기 부착수단(40)의 부착판(41)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지지부(30)의 걸림편(33)과 고정편(34) 사이에 상기 몸체(11)의 걸림홈(14)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11)의 걸림턱(16)에 상기 받침부재(36)의 받침편(37)이 밀착되면서 상기 몸체(11)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36)의 지지편(38)은 외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부(30)가 수직되게 배치되어 본 발명 장식용 화분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ecorative potted plants, first planting flowers, trees, etc. in the
그리고 꽃이나 나무 등을 바꾸어 심는 경우에는 화분식재부(10)를 잡고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지지부(30)의 걸림편(33)에서 상기 화분식재부(10)의 걸림홈(14)이 이탈되면서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And in the case of planting by changing the flowers or trees, etc. If you hold the potted planting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에서 상기 화분식재부(10)가 간단하게 분리되어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potted planting
또한, 상기 화분식재부(10)의 저면과 측면에 상기 지지부(30)의 걸림편(33)과 받침부재(36)가 결합되어 한층 더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화분식재부(10)의 심어진 꽃, 나무 등의 자체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또, 외벽면에 상기 지지편(38)이 수평방향으로 밀착,고정되어져 상기 받침부재(36)에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design changes may be attempted within the same scope as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unless such design changes show no unexpected new effect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exceeded. will be.
10: 화분식재부 20: 물받이부
30: 지지부 40: 부착수단10: potted planting department 20: drip tray
30: support portion 40: attachment means
Claims (3)
상기 화분식재부(10)의 수용공(1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물배수공(13)을 통해 하강된 물을 보관하는 물받이부(20)와;
상부에 결합공(32)을 갖는 결합편(39)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4)에 끼워지게 형성된 걸림편(33)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1)와, 상기 고정부재(31)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15)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몸체(11)를 지지하는 받침부재(36)가 포함된 지지부(30)와;
부착판(41)과, 상기 부착판(41)의 전면에 배치되는 고정필름(43)과, 상기 고정필름(43)에 결합되어 상기 부착판(41)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나사축(45)을 갖는 연결부재(44)와, 상기 나사축(45)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나사축(45)에 끼워진 상기 고정부재(31)을 고정하는 잠금부재(46)로 이루어진 부착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The body 11 and the inside of the body 11, the planting space 12 is formed, a plurality of water drain holes 13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nting space 12 is penetrated, the outside Hanging groove 14 is formed, the lower portion of the potted planting portion 10 consisting of a receiving hole 15, the front, the rear is open;
A drip tray part 2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hole 15 of the potted planting part 10 and keeps the water lowered through the water drainage hole 13;
Coupling piece 39 having a coupling hole 32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fixing member 31 made of a locking piece 33 formed to fit in the locking groove 14 a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member 31 A support part 30 formed at and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receiving hole 15 to support the body 11;
Attaching plate 41, the fixing film 43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mounting plate 41, the screw shaft 45 is coupled to the fixed film 43 and protrudes outward of the mounting plate 41 It consists of a connecting member (44) having an attachment means (40) consisting of a locking member (46) screwed to the screw shaft (45) and fixed to the fixing member (31) fitted to the screw shaft (45). A decorative flower pot which can be detachable.
상기 고정부재(31)에는 걸림홈(14)의 바깥면을 고정하는 고정편(34)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mber 31 is a detachable decorative flower po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piece (34) for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groove (14).
상기 부착판(41)은 중앙에 관통공(4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39)을 고정하는 끼움홈(48)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재(36)에는 부착판(41)의 간격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화분식재부(10)가 외벽면에 수직되게 밀착,고정시키는 지지편(38)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화분.The method of claim 1,
The attachment plate 4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42 in the center, the fitting groove 48 for fixing the coupling piece 39 is provided,
The support member 36 is formed to protrude as much as the interval of the attachment plate 41,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iece 38 for tightly fixing and fixing the potted planting portion 10 perpendicular to the outer wall surface Decorative flowerpot that can be remov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5518A KR101256044B1 (en) | 2011-04-18 | 2011-04-18 | Decorative flower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5518A KR101256044B1 (en) | 2011-04-18 | 2011-04-18 | Decorative flowerp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8131A true KR20120118131A (en) | 2012-10-26 |
KR101256044B1 KR101256044B1 (en) | 2013-04-18 |
Family
ID=4728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5518A Active KR101256044B1 (en) | 2011-04-18 | 2011-04-18 | Decorative flower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604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13475A (en) * | 2016-11-03 | 2017-05-10 | 明光市大全甜叶菊专业合作社 | Stevia rebaudiana seedling growing po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76900B (en) * | 2018-01-17 | 2021-02-12 | 苏州巴涛信息科技有限公司 | Blue light flowerpot is prevented to extensible |
CN108260439B (en) * | 2018-01-17 | 2020-10-16 | 管彦传 | Intelligent potting container capable of being adjusted automatically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4821A (en) | 1998-10-13 | 2000-07-04 | Kazunori Kagoshima | Built-up wall-attachable flowerpot with magnet and sucker |
KR200195660Y1 (en) | 2000-04-20 | 2000-09-01 | 강동수 | A presure attachment device at wall surface |
KR20090007860U (en) * | 2008-01-30 | 2009-08-04 | 주식회사 데이텀디자인 | Wall hangings planter to hang upright on wall |
KR200449981Y1 (en) * | 2008-03-11 | 2010-08-30 | 김문수 | Wall Mounted Decorative Flower Pot by Vacuum Absorption |
-
2011
- 2011-04-18 KR KR1020110035518A patent/KR101256044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13475A (en) * | 2016-11-03 | 2017-05-10 | 明光市大全甜叶菊专业合作社 | Stevia rebaudiana seedling growing po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6044B1 (en) | 2013-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33629C (en) | Flower holder structure | |
JP6650091B2 (en) | Hydroponic cultivator | |
KR101256044B1 (en) | Decorative flowerpot | |
KR20120067516A (en) | Decorative flowerpot | |
KR100722371B1 (en) | Pot water supply | |
KR200186474Y1 (en) | Flowerpot case for hydroponic | |
KR20140040946A (en) | A support for flowerpot and a flowerpot | |
US12114621B2 (en) | Window planter including slidable compartments | |
KR200449981Y1 (en) | Wall Mounted Decorative Flower Pot by Vacuum Absorption | |
US11707150B2 (en) | Window planter including slidable compartments | |
US11006583B1 (en) | Window planter including slidable compartments | |
KR100653314B1 (en) | A flowerpot | |
KR102139414B1 (en) | Mushroom badge hanger device | |
KR200259874Y1 (en) | The flowerpot ornament | |
KR101502840B1 (en) | A hanger of flower pot for wall decoration | |
KR100921741B1 (en) | Flowerpot | |
KR200326058Y1 (en) | A Flowerpot | |
KR200466075Y1 (en) | Flowerpot for attach type with wick | |
KR102106693B1 (en) | Pot | |
KR200260068Y1 (en) | The flowerpot ornament of bottle waterspout | |
KR200356749Y1 (en) | A block for making a interior flowerbed | |
AU2022277542A1 (en) | Window planter including slidable compartments | |
KR20160002513U (en) | Hinged door type garden for hanging on the wall | |
KR20240177565A (en) | Flower pot hanger assembly using a cup | |
KR20130003723U (en) | The equipment for cultivation to vegetab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