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946A - A support for flowerpot and a flowerpot - Google Patents
A support for flowerpot and a flower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0946A KR20140040946A KR1020120107649A KR20120107649A KR20140040946A KR 20140040946 A KR20140040946 A KR 20140040946A KR 1020120107649 A KR1020120107649 A KR 1020120107649A KR 20120107649 A KR20120107649 A KR 20120107649A KR 20140040946 A KR20140040946 A KR 201400409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nd
- present
- pot
- vegetation
- potted pl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대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식생대를 파티션 등으로 하여 벽면녹화나 내부공간의 녹화 등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소형화분 겸용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식생대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화분겸용 화분받침대를 제공하여 식생대에 탈부착되는 화분 받침대에 소형화분을 쉽고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게 하여 공간 내에서나 공간의 벽면부를 쉽고도 다양한 식물로 녹화할 수 있게 하는 화분 받침대 겸용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hang on the vegetation zone, and relates to a small potted plant pot stand that is convenient for use as a wall recording or greening of the inner space by using the vegetation zone as a partition, etc.,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getation zone simply and convenientl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otted planter that can be used to easily and easily insert small pots into and out of the planter stand that is detachable from the vegetation table so that the planter can easily and easily record the wall part of the space with various plants.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분겸용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생대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식생대를 파티션 등으로 하여 벽면녹화나 내부공간의 녹화 등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소형화분 겸용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ted planter butt, and more particularly, can be used on the vegetation stand, and relates to a small potted plant pot stand that is convenient to use as a wall recording or greening of the inner space by using the vegetation stand as a partition.
일반적으로 도시는 녹지가 부족하여 이를 보충하기 위해 옥상에서 식물을 재배하기도하고, 가정에서는 베란다나 거실에서 화초 등을 재배하기도 하나 빌딩 내의 사무실 등의 공간 내부나 사무실 벽면 등을 녹화하여 사무실 등의 공간에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는 점이 있어 왔다. In general, cities lack green space to grow plants on the rooftops to supplement them, and at home to grow plants on the veranda or in the living room, but to record the interiors of offices, office walls, etc. It has been difficult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본 출원인은 이들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제 10-11359236호에서 벽면 녹화용 식생대를 제공한 바 있다. Applicant has provided a vegetation zone for wall recording in Patent No. 10-11359236 to solve these problems.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식생대 자체에 중점을 둔 것으로서, 상기 식생대에서 사용하는 것은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하는 식재부인 화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식생대에서 식물의 변화를 주거나, 식물이 죽거나 하는 경우에는 식재부인 화분 자체를 식생대에서 분리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단점을 안고 있었다. However, the patent focuses on the vegetation zone itself, and the use of the vegetation zone consists of pots that are planting parts that allow the plants to be planted so that the plant changes in the vegetation zone or when the plant dies, the pot is a planter. It had its own disadvantages such as its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vegetation zone and repla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문제점을 해결하고, 식생대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화분겸용 화분받침대를 제공하여 식생대에 탈부착되는 화분 받침대에 소형화분을 쉽고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게 하여 공간 내에서나 공간의 벽면부를 쉽고도 다양한 식물로 녹화할 수 있게 하는 화분 받침대 겸용 화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potted plant pot stand tha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detachable to the vegetation zone so that the small pot can be easily and easily put in and removed from the planter stand detachable to the vegetation zon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ted plant pot that can be used to easily and easily record the wall of the space with various plants.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생대는 상기한 본 출원인 명의의 등록특허 제 10-1135926호에서 개시한 것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The vegetation zo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as disclosed in the Patent No. 10-1135926 in the name of the applica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판형상을 가지며 전면에는 화분받침대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다수의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널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개방된 함체 형상이며 일측은 곡선형이거나 테이퍼져 하방으로 경사를 지고 있고 타 3측은 평면형상이고, 상기 경사부의 마주보는면 뒷면에는 직각 또는 T자형 걸이부가 형성되는 화분겸용 화분받침대를 제공한다. For use on a fixed panel that has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to be detachably mounted, the upper part is an open enclosure shape and one side is curved or tapered to incline downward. The other three sides are flat,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provides a potted plant pot stand having a right angle or T-shaped hook portion formed thereon.
상기에서 T형 걸이부 하부에는 보조걸이부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고, 상기 경사부의 양 측면부에는 물받이 걸이부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분겸용 화분받침대의 하부 쪽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화분에 준 물을 배수할 수 있게 하고 그 하부에는 화분받침대의 물받이를 걸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An auxiliary hook portion may be further formed below the T-shaped hook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inclined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p hook portion. 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potted plant pot stand is inclined downward to allow drainag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potted plant, and the bottom of the pot pot holder is preferable to be able to hang.
본 발명의 의하면, 본 출원인 명의의 식생대를 이용해 식생대를 건물 내의 벽면이나, 파티션으로 구획하고 상기 식생대의 장착홈에 본 발명의 화분겸용 화분받침대를 부착시킨 후, 그 내부에 화분을 안치하거나 화분으로 사용하면 실내·외의 녹지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어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zone is partitioned into walls or partitions within the building using the vegetation zone under the applicant's name, and the potted plant support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vegetation zone, and then the pot is placed inside the plant When used, the green and outdoor green areas can be enlarged to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화분겸용 화분받침대는 식생대로 부터 탈·부착 용이하기 때문에 만에하나 파손되더라도 교체가 용이하고, 화분받침대 내의 화분에 식재된 식물이 죽거나 또는 환경변화를 위해 식물을 교체하고 싶으면 화분만 들어내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환경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자체를 화분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최하단에는 물받이부를 장착시켜 상부로 부터 식물에 뿌리는 물이 일정 공간으로 모이게 할 수 있게 하므로 실내환경 등을 깨끗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otted plant pot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replace or attach to the plant because it is easy to remove and attach from the vegetation, and if the plant planted in the pot in the pot stand die or if you want to replace the plant for environmental change It is easy to change the environment because it can be made and replaced, and it can be used as a flower pot, and at the bottom, it is equipped with a drip tray so that the water sprayed on the plant from the top can be collected into a certain space.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clean your back.
도 1은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받이 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t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p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이에 한정한 것은 아니며,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assist the implem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화분겸용 화분받침대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화분겸용 화분받침대(100)는 상부는 개방된 함체 형상의 사각통 형태로서, 전면판(110), 상기 전면판 좌우에 형성되는 측면판(120), 그리고 상기 좌우측면판(120)들 사이의 후면판(1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110)의 하부쪽은 하방으로 곡선부이거나 테이퍼부(110')를 형성하고, 상기 후면판(130)의 하부는 곡선부이거나 테이퍼부(130')를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부(110')과 만나게 되며, 상기 테이퍼부(110')와 테이퍼부(130')가 만나는 곳에는 배수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면판(120)은 상기와 같은 전면판(110)과 후면판(130)에 대응되는 형태이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1,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tted plant pot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ted plant pot st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 box-shaped square tube shape, the
상기에서의 후면판(130)에는 걸이부(140)가 형성되어 식생대(10 : 도 3 내지 도 5 참조)에 본 발명의 화분겸용 화분받침대(100)를 걸 수 있게 하고, 후면판(130)의 하부에는 보조걸이부(150)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좌우측면판(120)의 하부쪽에는 최하단의 화분(F)이 수용되는 경우를 대비해 물받이부(200)가 안내체결되는 물받이 안내부(160)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lower side of the left and
또한, 본 발명의 화분겸용 화분받침대(100)를 식생대(10)의 최하부에 설치하는 경우나 필요한 경우를 대비해 물받이부(200)를 더 구성시킬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물받이부(200)는 바닥면 좌우의 측면부(210)와 상기측면부(210)의 양쪽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 단턱부(211)를 형성시켜, 상기 화분받침대(100)의 측면판(120)의 물받이 안내부(160)에 걸치게 하거나 안내되어 찰탁이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potted plant pot st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bottom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분겸용 화분받침대(100)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an example of using the
하기의 사용예는 화분받침대를 예로 든 것으로서, 자체를 화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화초 등의 식물을 식재하여 사용하면 된다.The following use example is taken as a plant pot stand, in the case of using itself as a pot, planting plants such as flowers inside may be us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100)는 후면판(130)에 형성되는 걸이부(140)을 통해 식생대(10)의 안내홈에 끼워 설치하는데 도면에서는 걸이부(140)가 T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ㄱ자형(141)이나 ㄴ자형(141')으로 하여 식생대(10)의 안내홈에 끼워서 걸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고, 하부에 보조걸이부(150)를 형성시키면 보다 안정적으로 화분받침대(100)를 식생대(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plant pot st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vegetation stand 10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100)를 식생대(10)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면 상부의 개방부로 식물(P)이 식재된 화분(F)을 안치시키게 된다. When the plant pot st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100)가 식생대(10)에 안치되면 그 내부에 수용되는 화분(F)은 통상적으로 그 하부에 배수구가 있어서 화분(F)의 식물(P)에 물을 주면 상기 배수구로 빠져나오는 것이 있게 되고 이 경우 화분의 배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은 화분받침대(100)의 배수구(121)를 통해 물받이부(200)로 수용되게되고, 상기 물받이부(200)의 전·후면부(220)는 측면부(210)의 단턱부(211) 보다 낮게 하면 물받이부(200)내의 수용되는 물의 양을 볼 수 있게되어 필요시 물을 버리거나 다시 화분(F)에 줄수도 있다. 물론 상기 물받이부(200) 전체를 투명소재로 사용하면 물받이부(200)의 전·후면부(200)를 좌우측면부(210)와 거의 동일 높이로 하여도 된다. When the planter st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물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100)의 전면판(110)과 후면판(130)의 하부측은 테이퍼부(110', 130')를 각각 형성하고 있고, 그 만나는 부위에 배수구(121)가 형성되어 있어서, 화분(F)으로부터의 배수가 용이하고, 또한 전면판(110)은 테이퍼 형으로 상부 쪽이 넓어서 식물(P)이 식재된 화분(F)을 화분받침대(100)에 넣고 빼기가 용이하게 된다.Of course, in the above, the lower sid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식생대(10)에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100)를 배열하고 최하부의 받침대(100)에는 물받이부(200)를 설치한 모습이고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d the pot st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vegetation table 10 and the bottom of the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식생대(10)에 화분받침대(100)를 다수 설치하는 경우에는 맨 밑의 화분받침대(100)에만 물받이부(200)를 끼워 넣으면 되는데, 맨 위쪽의 화분(F)으로 부터 배수되는 물은 그 하부의 화분(F)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4 and 5, when installing a plurality of plant pot stand 100 in the vegetation table 10, only the
따라서 다수의 화분을 배열하여도 맨 위쪽에만 물을 주어도 되고 식생대(10)를 사무실의 칸막이 대용이나, 벽면장식용으로 설치하고 여기에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100)를 사용하면 쾌적한 실내환경이나 아름다운 벽면장식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even if you arrange a large number of pots, you can water only the top, or install the vegetation stand (10) for the partition of the office, or for wall decoration and using the plant pot st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or beautiful wall Decoration is possib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는 사각통형이 아닌 원통형이나 다각형으로도 실시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pot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cylindrical or polygonal shape instead of a rectangular cylinder.
110 : 전면판
120 : 측면판 121 : 배수구
130 : 후면판 140 : 걸이부
150 : 보조걸이부 160 : 안내부110: front plate
120: side plate 121: drain
130: rear panel 140: hook portion
150: auxiliary hook 160: guid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7649A KR20140040946A (en) | 2012-09-27 | 2012-09-27 | A support for flowerpot and a flower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7649A KR20140040946A (en) | 2012-09-27 | 2012-09-27 | A support for flowerpot and a flowerp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0946A true KR20140040946A (en) | 2014-04-04 |
Family
ID=5065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7649A Ceased KR20140040946A (en) | 2012-09-27 | 2012-09-27 | A support for flowerpot and a flower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40946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325204A (en) * | 2015-12-01 | 2016-02-17 | 苏州富通高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Roof plant wallboards |
KR101603085B1 (en) | 2015-08-03 | 2016-03-15 | 박철홍 | Connecting block for vertical planting and apparatus for vertical planting using the same |
KR20170039860A (en) | 2015-10-02 | 2017-04-12 | 정창현 | Planting block for vertical planting and apparatus for vertical planting the same |
CN110424451A (en) * | 2019-07-31 | 2019-11-08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gravity retaining wall |
-
2012
- 2012-09-27 KR KR1020120107649A patent/KR2014004094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3085B1 (en) | 2015-08-03 | 2016-03-15 | 박철홍 | Connecting block for vertical planting and apparatus for vertical planting using the same |
KR20170039860A (en) | 2015-10-02 | 2017-04-12 | 정창현 | Planting block for vertical planting and apparatus for vertical planting the same |
CN105325204A (en) * | 2015-12-01 | 2016-02-17 | 苏州富通高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Roof plant wallboards |
CN110424451A (en) * | 2019-07-31 | 2019-11-08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gravity retaining wa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4733Y1 (en) | Air filter using plants | |
KR101079974B1 (en) | Framed wall hangings | |
KR200476518Y1 (en) | Pot apparatus for wall greening | |
KR20140002207U (en) | Multistage rotation flowerpot hanger equipment | |
KR20190137201A (en) | Election type garden system | |
KR20140040946A (en) | A support for flowerpot and a flowerpot | |
CN203575200U (en) | Multifunctional vertical greening frame | |
JP5856828B2 (en) | Indoor planting partition | |
KR102324733B1 (en) | The vertical garden | |
KR102083841B1 (en) | Interior decoration pot | |
KR102081449B1 (en) | Erection type flowerpot frame | |
KR20120007098U (en) | vertical moving type apparatus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ior Assembly complex | |
KR101256044B1 (en) | Decorative flowerpot | |
CN209390730U (en) | A kind of wall-hung type combined flower pot | |
JP2012102575A (en) | Partition | |
JP2007104986A (en) | Wall planting bas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200259874Y1 (en) | The flowerpot ornament | |
KR101099546B1 (en) | Flowerpot for gardening with double planting space | |
KR200465179Y1 (en) | Removable Partitions Flower Pot Combination Cabinets | |
CN217445972U (en) | Multifunctional green plant pot | |
KR101548155B1 (en) | Functional Flowerpot | |
KR101341839B1 (en) | Frame-type pollen | |
KR20120067516A (en) | Decorative flowerpot | |
KR200431635Y1 (en) | Ornamental plant cultivation | |
JP2014023515A (en) | Water supply/drain multiple-rack pot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5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