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95035A - 입체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035A
KR20120095035A KR1020110014415A KR20110014415A KR20120095035A KR 20120095035 A KR20120095035 A KR 20120095035A KR 1020110014415 A KR1020110014415 A KR 1020110014415A KR 20110014415 A KR20110014415 A KR 20110014415A KR 20120095035 A KR20120095035 A KR 20120095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pixels
viewpoint image
viewpoint
display panel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7870B1 (ko
Inventor
이병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8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8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복수의 시점영상이 표시되고,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서브픽셀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는 렌티큘러 렌즈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는 각각 복수의 시점영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시점영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각각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영상 표시장치{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개구율의 저하를 최소화하며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양안시차방식(stereoscopic technique)과 복합시차지각방식(autostereoscopic technique)으로 나뉘어진다.
양안시차방식은 입체 효과가 큰 좌우 눈의 시차영상을 이용하며,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안경방식은 직시형 표시패널이나 프로젝터에 좌우 시차영상의 편광 방향을 바꿔서 공간분할 또는 시분할 방식으로 표시하고, 편광 안경 또는 셔터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 방식은 일반적으로 스위쳐블 배리어, 패럴렉스 베리어, 렌티큘러 렌즈 등의 광학판을 이용하여 좌우 시차영상의 광축을 분리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이 중 무안경 방식으로 대표되는 렌티큘러 렌즈판을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렌티큘러 렌즈판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체영상 표시장치(10)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서브픽셀들(15)을 포함하는 표시패널(20)과, 상기 표시패널(20) 상에 배치되어 있는 렌티큘러 렌즈판(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렌티큘러 렌즈판(30)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반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3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렌티큘러 렌즈(35)는 복수의 서브픽셀(15)의 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35)를 복수의 서브픽셀(15)의 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입체영상 구현시 발생하는 모아레(moire) 현상을 최소화하고, 입체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렌티큘러 렌즈(35)가 복수의 서브픽셀(2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됨에 의하여, 렌티큘러 렌즈(35)에 예를 들어 4개의 시점영상(1V, 2V, 3V, 4V)을 각각 표시하는 시점영상부(a, b, c, d)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좌안 및 우안에 각각 제1 내지 제4 시점영상 중 2개의 시점영상이 제공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한편, 제1 시점영상(1V)을 표시하는 시점영상부(a)에 위치하는 소정 서브픽셀(40)의 경우, A영역이 제4 시점영상(4V)을 표시하는 시점영상부(d)에 나타나게 되고, B영역이 제2 시점영상(2V)을 표시하는 시점영상부(b)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소정 서브픽셀(40)의 빛이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모두 제공되어 영상이 혼합되는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입체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개구율의 저하를 최소화하며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복수의 시점영상이 표시되고,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서브픽셀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는 렌티큘러 렌즈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는 각각 복수의 시점영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시점영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각각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각각 배열된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각각 완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들은 각각 상기 경사진 렌티큘러 렌즈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동일한 시점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픽셀의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두 변은 상기 시점영상부의 경계선들과 중첩되면서 일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복수의 시점영상이 표시되고,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서브픽셀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배리어를 포함하는 배리어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리어는 복수의 시점영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시점영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각각 복수의 시점영상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각각 배열된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각각 완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들은 각각 상기 경사진 렌티큘러 렌즈와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동일한 시점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픽셀의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두 변은 상기 시점영상부의 경계선들과 중첩되면서 일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개구율의 저하를 최소화하며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렌티큘러 렌즈판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렌티큘러 렌즈와 표시패널의 서브픽셀들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배리어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배리어와 표시패널의 서브픽셀들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10), 표시패널(110) 상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10)에서 발생된 영상을 관찰자의 좌안 또는 우안으로 공급하는 렌티큘러 렌즈판(1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T)가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1),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1)에 대향하는 컬러필터 기판(113)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1)과 컬러필터 기판(113)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115)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1)은 제1 기판(111a), 제1 기판(111a) 상에 서로 교차되어 배치된 데이터선(미도시) 및 게이트선(미도시), 데이터선과 게이트선의 교차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T), 데이터선, 게이트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T)를 덮고 있는 보호막(111b) 및 보호막(111b) 상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전극(111c)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기판(113)은 제2 기판(113a), 제2 기판(113a)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113b), 블랙 매트릭스(113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컬러필터(113c), 블랙 매트릭스(113b)와 컬러필터(113c)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오버코트층(113d) 및 공통전극(113e)을 포함한다. 그리고, 컬러필터(113c)는 각각의 서브픽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컬러필터(113c)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필터(R, G, B)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액정층(115)은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물질이다. 액정층(115)은 화소전극(111c)과 공통 전극(113e) 사이에 형성된 전계(electric field)에 따라 액정층(115)을 구성하는 액정분자의 배열상태가 조절되며, 액정분자의 배열상태에 따라 액정층(115)을 투과하는 빛의 투과율이 제어된다.
앞에서는 액정표시패널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11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즈마 표시패널(PDP) 또는 유기발광표시패널(OLED)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110) 상에는 렌티큘러 렌즈판(120)이 위치하고 있다. 렌티큘러 렌즈판(120)은 투명기판(121), 투명기판(121)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연장된 반원기둥 형상의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123)를 포함한다. 렌티큘러 렌즈(123)는 빛의 투과율이 높은 고분자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렌티큘러 렌즈(123)는, 투명기판(121) 상에 고분자 유기물질을 도포한 후, 고분자 유기물질을 일방향으로 연장된 반원기둥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물질은 자외선(UV)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다. 한편, 렌티큘러 렌즈(123)는 유리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렌티큘러 렌즈(123)는 투명기판(121)과 동일한 재질로, 일체(one body)의 구조를 갖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렌티큘러 렌즈(123)는 복수의 서브픽셀(130)의 길이 방향(Y)에 대하여 예각을 가지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렌티큘러 렌즈(123)의 경사각(α)은 표시패널(110)의 화소 크기, 서브픽셀(130)의 수평 및 수직 피치, 다시점 개수에 상관없이 9?18°사이의 임의 각도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123)를 복수의 서브픽셀(130)의 길이 방향(Y)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입체영상 구현시 발생하는 모아레(moire) 현상을 최소화하고, 입체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123)는 표시패널(110)에서 형성된 영상을 좌안 또는 우안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곡률 및 피치를 갖는다. 그리고, 각각의 렌티큘러 렌즈(123)는 x축 방향을 따라 정렬된 다수의 서브픽셀(130) 중 2개 이상의 서브픽셀(130)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다시점 개수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123)의 피치가 서브픽셀(130)의 수평 피치와 일정 관계를 갖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110)에서 표시된 영상은 진행경로가 변경되어 좌안 또는 우안으로 분리되어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관찰자는 분리되는 영상을 통하여 양안시차에 의해 입체영상을 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렌티큘러 렌즈판(12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것 뿐만 아니라,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제어하여 렌티큘러 렌즈(123)와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렌티큘러 렌즈판(120) 등 다른 공지의 종류 및 재질의 렌티큘러 렌즈판(120)도 본원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렌티큘러 렌즈와 표시패널의 서브픽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4개의 시점영상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6개, 9개 또는 그 이상의 시점영상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렌티큘러 렌즈판(120)은 표시패널(110)에서 수평축(x)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복수의 서브픽셀(130) 중 4개 서브픽셀(130)에 2개의 렌티큘러 렌즈(123)가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이들 4개의 서브픽셀(130)에는 표시패널(110)의 수평축(x) 방향을 따라 1 내지 4번 시점영상(1V, 2V, 3V, 4V)의 신호가 제공된다.
따라서, 표시패널(110)의 수평축(x)을 따라 배열된 1 내지 4번 시점영상(1V, 2V, 3V, 4V)의 이미지는 렌티큘러 렌즈(123)에 의해 굴절되어 관찰자가 위치하는 공간영역에서 1, 2, 3, 4번 시점영상(1V, 2V, 3V, 4V)의 이미지로 확대된다. 즉, 관찰자는 좌안(L)과 우안(R)에 각각 (1V,2V), (2V,3V) 또는 (3V,4V)의 이미지를 제공받아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2개의 렌티큘러 렌즈(123)가 4개의 서브픽셀(130)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렌티큘러 렌즈(123)의 한 피치가 2개의 서브픽셀(130)에 대응하며, 각각의 렌티큘러 렌즈(123)에는 화면의 수평축 방향을 따라 다시점 개수와 동일한 1 내지 4번 시점영상부(a, b, c, d)가 설정된다.
여기서, 렌티큘러 렌즈(123)가 서브픽셀(1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렌티큘러 렌즈(123)에 설정된 각각의 시점영상부(a, b, c, d)는 경사진 상기 렌티큘러 렌즈(123)와 나란하게 배열된다. 또한, 각각의 시점영상부(a, b, c, d)는 복수의 서브픽셀(130)에 대응하며, 각각의 시점영상부(a, b, c, d)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픽셀(130)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시점영상부(a)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픽셀(130)은 모두 제1 시점영상부(a) 내에 포함되도록 위치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점영상부(a)에 속한 서브픽셀(130)들이 제1 시점영상부(a)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제1 시점영상부(a) 내에 완전히 포함된다.
그리고, 동일한 시점영상부(a, b, c, d) 내에 배열된 복수의 서브픽셀(130)은 각각 동일한 시점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시점영상부(a) 내에 배열된 서브픽셀(130)들은 모두 제1 시점영상(1V)을 표시하고, 제2 시점영상부(b) 내에 배열된 서브픽셀(130)들은 모두 제2 시점영상(2V)을 표시하며, 제3 시점영상부(c) 내에 배열된 서브픽셀(130)들은 모두 제3 시점영상(3V)을 표시하고, 제4 시점영상부(d) 내에 배열된 서브픽셀(130)들은 모두 제4 시점영상(4V)을 표시한다.
즉, 각 시점영상부(a, b, c, d)에는 해당 시점영상을 표시하는 서브픽셀(130)만이 존재하고 다른 시점영상을 표시하는 서브픽셀(130)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일 예로, 어느 하나의 시점영상부(a)에 포함된 서브픽셀(130)은 서브픽셀(130)의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두 변(135a, 135b)이 시점영상부(a)의 경계선들(a1, a2)과 중첩되면서 일치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서브픽셀(130)의 면적을 최대화하면서 시점영상부의 경계선을 넘어서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각 제1 내지 제4 시점영상부(a, b, c, d)에서 각각 제1 내지 제4 시점영상(1V, 2V, 3V, 4V)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시점영상부에서 서로 다른 시점영상이 동시에 나타나서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모두 제공되어 영상이 혼합되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브픽셀(130)의 형상은 표시패널(110)에서 빛이 방출되는 영역 즉, 컬러필터의 평면 형상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화소전극의 형상도 조절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배리어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210), 표시패널(210) 상에 배치되어 표시패널(210)에서 발생된 영상을 관찰자의 좌안 또는 우안으로 공급하는 배리어판(2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210)은 앞선 도 3에 도시된 표시패널과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에서는 패럴렉스 배리어를 배리어판의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리어판(250)은 배리어(222)와 투과부(223가 교번되게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배리어판(250)은 표시패널(210)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관찰자는 배리어판(250)의 투과부(223)를 통하여 표시패널(21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보게 되는데, 좌안과 우안은 동일한 투과부(223)를 통하더라도 표시패널(210)의 다른 영역을 보게 된다. 즉, 관찰자는 좌안과 우안이 투과부(223)를 통해서 각각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상이한 영상을 보게 되어 입체감을 느낄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리어판(250)은 투명 필름(221) 상에 배리어(222)를 형성하기 위하여 차단막이 인쇄되고, 차단막은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게 인쇄하여, 배리어(222)와 투과부(223)를 투명 필름(221) 상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배리어판(250)은 투명한 유리 기판에 부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배리어판(250)의 배리어(222)는 복수의 서브픽셀(230)의 길이 방향(Y)에 대하여 예각을 가지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배리어(222)의 경사각(α)은 표시패널(210)의 화소 크기, 서브픽셀(230)의 수평 및 수직 피치, 다시점 개수에 상관없이 9?18°사이의 임의 각도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배리어(222)를 복수의 서브픽셀(230)의 길이 방향(Y)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배치하는 이유는 입체영상 구현시 발생하는 모아레(moire) 현상을 최소화하고, 입체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배리어(222)는 표시패널(210)에서 형성된 영상을 좌안 또는 우안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피치를 갖는다. 그리고, 각각의 배리어(222)는 x축 방향을 따라 정렬된 복수의 서브픽셀(230) 중 2개 이상의 서브픽셀(230)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다시점 개수에 따라 배리어(222)의 피치가 서브픽셀(230)의 수평 피치와 일정 관계를 갖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210)에서 표시된 영상은 진행경로가 변경되어 좌안 또는 우안으로 분리되어 제공되게 된다. 그리고, 관찰자는 분리되는 영상을 통하여 양안시차에 의해 입체영상을 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배리어판(22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것 뿐만 아니라, 액정분자의 배열상태를 제어하여 배리어(222)와 동일한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스위쳐블 배리어판 등 다른 공지의 종류 및 재질의 렌즈판도 본원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배리어와 표시패널의 서브픽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4개의 시점영상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6개, 9개 또는 그 이상의 시점영상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배리어판(220)은 표시패널(210)에서 수평축(x) 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복수의 서브픽셀(230) 중 4개의 서브픽셀(230)에 배리어(222)와 투과부(223)가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이들 서브픽셀(230)에는 수평축(x) 방향을 따라 1 내지 4번 시점영상(1V, 2V, 3V, 4V)의 신호가 제공된다.
따라서 표시패널(210)의 수평축(x)을 따라 배열된 1 내지 4번 시점영상(1V, 2V, 3V, 4V)의 이미지는 배리어(222)에 의해 관찰자가 위치하는 공간영역에서 1, 2, 3, 4번 시점영상(1V, 2V, 3V, 4V)의 이미지로 확대된다. 즉, 관찰자는 좌안(L)과 우안(R)에 각각 (1V,2V), (2V,3V) 또는 (3V,4V)의 이미지를 제공받아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각각의 배리어(222) 또는 투과부(223)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화면의 수평축(x) 방향을 따라 다시점 개수와 동일한 1 내지 4번 시점영상부(a, b, c, d)가 설정된다.
여기서, 배리어(222)가 서브픽셀(2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배리어(222) 또는 투과부(223)에 설정된 각각의 시점영상부(a, b, c, d)는 경사진 상기 배리어(222)와 나란하게 배열된다. 또한, 각각의 시점영상부(a, b, c, d)는 복수의 서브픽셀(230)에 대응하며, 각각의 시점영상부(a, b, c, d)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픽셀(230)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시점영상부(a)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픽셀(230)은 모두 제1 시점영상부(a) 내에 포함되도록 위치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점영상부(a)에 속한 서브픽셀(230)들이 제1 시점영상부(a)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제1 시점영상부(a) 내에 완전히 포함된다.
그리고, 동일한 시점영상부(a, b, c, d) 내에 배열된 복수의 서브픽셀(230)은 각각 동일한 시점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1 시점영상부(a) 내에 배열된 서브픽셀(230)들은 모두 제1 시점영상(1V)을 표시하고, 제2 시점영상부(b) 내에 배열된 서브픽셀(230)들은 모두 제2 시점영상(2V)을 표시하며, 제3 시점영상부(c) 내에 배열된 서브픽셀(230)들은 모두 제3 시점영상(3V)을 표시하고, 제4 시점영상부(d) 내에 배열된 서브픽셀(230)들은 모두 제4 시점영상(4V)을 표시한다.
즉, 각 시점영상부(a, b, c, d)에는 해당 시점영상을 표시하는 서브픽셀(230)만이 존재하고 다른 시점영상을 표시하는 서브픽셀(230)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일 예로, 어느 하나의 시점영상부(a)에 포함된 서브픽셀(230)은 서브픽셀(230)의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두 변(235a, 235b)이 시점영상부(a)의 경계선들(a1, a2)과 중첩되면서 일치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서브픽셀(230)의 면적을 최대화하면서 시점영상부의 경계선을 넘어서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각 제1 내지 제4 시점영상부(a, b, c, d)에서 각각 제1 내지 제4 시점영상(1V, 2V, 3V, 4V)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시점영상부에서 서로 다른 시점영상이 동시에 나타나서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모두 제공되어 영상이 혼합되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액정표시패널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즈마표시패널(PDP) 또는 유기발광표시패널(OLED)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복수의 시점영상이 표시되고,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서브픽셀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는 렌티큘러 렌즈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는 각각 복수의 시점영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시점영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각각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 내에 포함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각각 배열된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각각 완전히 포함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들은 각각 상기 경사진 렌티큘러 렌즈와 나란하게 배열된 입체영상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동일한 시점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셀의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두 변은 상기 시점영상부의 경계선들과 중첩되면서 일치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6. 복수의 시점영상이 표시되고, 복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서브픽셀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배리어를 포함하는 배리어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리어는 복수의 시점영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시점영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에는 각각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각각 복수의 시점영상부 내에 포함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각각 배열된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각각 완전히 포함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점영상부들은 각각 상기 경사진 배리어와 나란하게 배열된 입체영상 표시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시점영상부 내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서브픽셀은 동일한 시점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픽셀의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두 변은 상기 시점영상부의 경계선들과 중첩되면서 일치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0110014415A 2011-02-18 2011-02-18 입체영상 표시장치 Active KR10177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15A KR101777870B1 (ko) 2011-02-18 2011-02-18 입체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15A KR101777870B1 (ko) 2011-02-18 2011-02-18 입체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035A true KR20120095035A (ko) 2012-08-28
KR101777870B1 KR101777870B1 (ko) 2017-09-13

Family

ID=4688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415A Active KR101777870B1 (ko) 2011-02-18 2011-02-18 입체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8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1825B2 (en) 2014-07-02 2017-02-28 Samsung Display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CN106646906A (zh) * 2016-12-19 2017-05-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降低3d串扰的裸眼显示面板、显示器及光学组件
US10371957B2 (en) 2016-09-22 2019-08-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lens panel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respectively overlapp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of an electrode
KR20230145118A (ko) 2021-02-17 2023-10-17 파커 네쓰쇼리 고교 가부시키카이샤 강부재의 질화 처리 방법
KR20230160357A (ko) 2021-03-31 2023-11-23 파커 네쓰쇼리 고교 가부시키카이샤 강부재의 질화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1155B2 (ja) * 2004-02-10 2009-06-03 株式会社東芝 三次元画像表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1825B2 (en) 2014-07-02 2017-02-28 Samsung Display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10371957B2 (en) 2016-09-22 2019-08-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lens panel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respectively overlapp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of an electrode
CN106646906A (zh) * 2016-12-19 2017-05-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降低3d串扰的裸眼显示面板、显示器及光学组件
KR20230145118A (ko) 2021-02-17 2023-10-17 파커 네쓰쇼리 고교 가부시키카이샤 강부재의 질화 처리 방법
KR20230160357A (ko) 2021-03-31 2023-11-23 파커 네쓰쇼리 고교 가부시키카이샤 강부재의 질화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870B1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560B2 (en) Two-dimensional/three-dimensional switchable display apparatus
CN103163652B (zh) 偏振眼镜型立体图像显示器
US9213203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KR20120100821A (ko)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53459A (ko) 입체 표시 장치
JP5806150B2 (ja) 表示装置
JP2012234142A (ja) 表示装置
KR20120011342A (ko) 2d/3d 겸용 표시 장치
US20150362741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GB2415850A (en) Multiple view directional display operable in two orientations.
JP2018522276A (ja) 独立して制御可能な領域を有するパララックスバリア
CN102944961A (zh) 裸眼3d显示装置及其液晶透镜
CN102375272A (zh) 光屏障装置和显示单元
KR20150080243A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1002137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144733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7787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US9759925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779596B1 (ko) 광 시야각을 갖는 패턴드 리타더를 사용한 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1335311B1 (ko) 입체표시장치
KR1022331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2153605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30015936A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30000692A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971994B1 (ko) 패럴랙스 배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1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