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80243A -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243A
KR20150080243A KR1020130168553A KR20130168553A KR20150080243A KR 20150080243 A KR20150080243 A KR 20150080243A KR 1020130168553 A KR1020130168553 A KR 1020130168553A KR 20130168553 A KR20130168553 A KR 20130168553A KR 20150080243 A KR20150080243 A KR 20150080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view
opening area
pixel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611B1 (ko
Inventor
진유용
강훈
이병주
손정은
김훈기
장주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611B1/ko
Priority to US14/536,907 priority patent/US9930321B2/en
Priority to CN201410818179.1A priority patent/CN104749786B/zh
Publication of KR2015008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6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하고, 렌티큘러 필름의 밴딩에 자유로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렌티큘러 필름(lenticular film)을 적용하여 멀티뷰(multi view)로 3D 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픽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과 제2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픽셀들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렌티큘러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STEREOPSIS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렌티큘러 필름(lenticular film)을 적용하여 멀티뷰(multi view)로 3D 영상을 표시하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D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하고, 렌티큘러 필름의 밴딩에 자유로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감 있는 영상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대되어, 2차원(2D) 영상뿐만 아니라, 3차원(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2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해상도와 시야각 등 표시 영상 품질 면에서 큰 발전을 하였으나, 2차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 인해 영상의 깊이 정보는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반면에,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2차원 평면이 아닌 영상을 3차원의 입체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물체 본래의 3차원 정보를 온전히 사용자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2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훨씬 현실감 있고 실감 있는 입체 영상의 표현이 가능하다.
3D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게 입체용 특수 안경을 이용하는 3D 안경 방식과 입체용 특수 안경을 이용하지 않는 무 안경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 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시청자에게 영상의 입체감을 준다는 측면에서는 특수 안경 방식과 동일하지만, 3D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뷰(multi view)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R, G, B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통해 화상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 상에 렌티큘러 필름(20)을 배치하여 멀티뷰(multi view)로 3D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렌티큘러 렌즈의 한 피치(pitch) 내에 N개의 픽셀(pixel)로 영상을 분리하여 표시함으로써, N개의 시점에서 시청자(30)가 3D 영상을 시청하도록 한다. 시청자(30)는 정해진 뷰 위치에 있을 경우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투사되어 양안시차에 의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렌티큘러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멀티뷰의 개수만큼 3D 영상의 해상도가 감소하며, 2D 영상을 시청할 때에도 해상도가 1/N로 감소하여 2D 영상을 시청할 때 화질이 저하된다.
도 3은 렌티큘러 렌즈를 일정 각도로 기울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시킬 때 3D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된 렌티큘러 필름(20)을 부탁하여 2D/3D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은 렌티큘러 필름(20)을 일정 각도로 기울여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렌티큘러 필름(20)을 일정 각도로 기울여 부착하면 시청자에게 1개의 뷰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다른 뷰의 영상이 끼어들어 3D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3D 표시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따라서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 폭(pitch width)이 넓어져 적정 시청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갭 글라스(gap glass) 또는 갭 필름(gap film)을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렌티큘러 필름(20)의 밴딩에 자유롭지 못하고, 3D 영상의 풍부한 깊이감을 적용할 수 없어 안경 방식의 3D 영상 대비 실감나는 3D 영상을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D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티큘러 필름의 밴딩에 자유로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D 영상의 적정 시청거리를 유지해 적용되었던 갭 글라스(gap glass) 또는 갭 필름(gap film)을 삭제하여 제조 비용 및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렌티큘러 필름(lenticular film)을 적용하여 멀티뷰(multi view)로 3D 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픽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과 제2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픽셀들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렌티큘러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셀의 가로 폭의 1/2, 1/3 또는 1/4에 해당하도록 픽셀의 개구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과 상기 제2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은 한 픽셀의 폭의 1/2만큼 쉬프트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1뷰(1view) 픽셀의 개구 영역의 아래쪽에는 다른 뷰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1뷰 픽셀의 아래쪽에는 다른 뷰의 비개구 영역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1뷰(1view) 픽셀의 개구 영역의 위쪽에는 다른 뷰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1뷰 픽셀의 위쪽에는 다른 뷰의 비개구 영역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과 상기 제2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렌티큘러 필름의 밴딩에 자유로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영상의 적정 시청거리를 유지해 적용되었던 갭 글라스(gap glass) 또는 갭 필름(gap film)을 삭제하여 제조 비용 및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깊이감이 풍부한 고품질의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뷰(multi view)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렌티큘러 렌즈를 일정 각도로 기울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시킬 때 3D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3D 크로스토크 발생 방지 및 렌티큘러 렌즈 필름이 밴딩에 의해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8뷰(view) 및 960*1080의 3D 해상도를 구현 시 픽셀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8뷰(view) 및 1920*450의 3D 해상도를 구현 시 픽셀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12뷰(view) 및 960*720의 3D 해상도를 구현 시 픽셀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앞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의 배열을 조절하는 방식에 따라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디스플레이의 모드에 제한 없이 상기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및 FFS 모드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액정 패널 이외의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패널뿐만 아니라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크로스토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므로, 이와 관련 없는 사항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렌티큘러 필름이 적용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장치로 3D 영상을 시청할 때에는 설계된 뷰맵(view map)에 따라 멀티뷰(multi view)로 2D/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3D 크로스토크 발생 방지 및 렌티큘러 렌즈 필름이 밴딩에 의해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4뷰(4view)로 2D/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배열된 픽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렌티큘러 필름이 적용된 무안경 디스플레이 장치로 2D/3D 영상을 시청 시 3D 크로스토크 없이 고 품질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복수의 픽셀(11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에 렌티큘러 필름(120)이 부착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백라이트 유닛 및 구동 회로부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부는 타이밍 컨트롤러(T-con), 데이터 드라이버(D-IC), 게이트 드라이버(G-IC), 백라이트 구동부 및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하부기판(TFT 어레이 기판), 상부기판(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상기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하부기판(TFT 어레이 기판)에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이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픽셀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픽셀에는 스위칭 소자인 TFT(Thin Film Transistor),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픽셀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기판(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에는 레드, 그린 및 블루의 컬러필터가 형성되고, 하부기판(TFT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픽셀 전극과 대응되는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액정층의 액정 배향이 조절되어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시된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픽셀을 구동시켜 화상을 표시한다. 복수의 픽셀은 레드 픽셀들, 그린 픽셀들 및 블루 픽셀들로 구성되며, 3개의 컬러 픽셀 즉,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로 하나의 단위 픽셀을 구성하여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였다.
여기서, 상부 기판에 형성된 컬러필터(CF) 어레이의 개구 폭을 축소하여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pitch)를 조절할 수 있다.
동일한 뷰(view)를 구현함에 있어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를 줄일 수 있어 갭 글라스(gap glass) 및 갭 필름(gap film)을 삭제할 수 있다.
뷰 맵핑 설정을 변경하여 종래 기술과 동일한 렌즈 피치로 더 많은 수의 뷰(view)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과 하부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전체 픽셀들이 배열되어 있다.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을 한 픽셀의 폭의 1/2만큼 쉬프트 시켰다. 1뷰(1view) 픽셀의 개구 영역의 바로 아래쪽에는 다른 뷰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비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1뷰 픽셀의 개구 영역의 바로 위쪽에는 다른 뷰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비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일 예로서, 1뷰(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2뷰(2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2뷰(2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1뷰(1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3뷰(3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4뷰(4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4뷰(4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3뷰(3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렌티큘러 필름(120)은 기울어 지지 않고 픽셀과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3D 크로스토크 및 라인 디텍트를 제거하기 위해 픽셀의 가로 폭을 1/n로 나누어 개구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픽셀에 대응하는 가로 폭에 따른 시청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갭 글라스 및 갭 필름을 삭제하거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픽셀들이 1/2 픽셀 폭만큼 쉬프트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고 렌티큘러 필름(120)을 수직방향으로 똑바르게 부착함으로써, 렌티큘러 필름(120)에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의 도트(dot) 사이의 간격을 0으로 형성하여 밴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120)가 수직방향으로 똑바르게 배치되어 있어 렌티큘러 렌즈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뷰(view) 겹침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등 수준으로 깊이감이 풍부한 고품질의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8뷰(view) 및 960*1080의 3D 해상도를 구현 시 픽셀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960*1080의 3D 해상도로 8뷰(view)의 3D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고, 렌티큘러 필름(120)은 기울어 지지 않고 픽셀과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한다. 이때, 픽셀은 피치는 52.5um로 형성될 수 있다.
홀수 번째 수평 라인 배열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과 짝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전체 픽셀들을 형성한다.
또한,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홀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과 짝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전체 픽셀들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과 제2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전체 픽셀들을 형성한다.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을 한 픽셀의 폭의 1/2만큼 쉬프트 시켰다.
1뷰(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2뷰(2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2뷰(2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3뷰(3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3뷰(3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4뷰(4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4뷰(4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5뷰(5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5뷰(5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6뷰(6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6뷰(6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7뷰(7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7뷰(7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8뷰(8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8뷰(8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1뷰(1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렌티큘러 필름(120)에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의 도트(dot) 사이의 간격을 0으로 형성하고,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는 2픽셀의 폭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8뷰(view) 및 1920*450의 3D 해상도를 구현 시 픽셀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1920*450의 3D 해상도로 8뷰(view)의 3D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고, 렌티큘러 필름(120)은 기울어 지지 않고 픽셀과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한다. 이때, 픽셀의 피치는 26.25um로 형성될 수 있다.
홀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과 짝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전체 픽셀들을 형성한다.
또한, 홀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과 짝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전체 픽셀들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과 제2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전체 픽셀들을 형성한다.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을 한 픽셀의 폭의 1/2만큼 쉬프트 시켰다.
1뷰(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3뷰(3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2뷰(2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5뷰(5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3뷰(3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4뷰(4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4뷰(4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6뷰(6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5뷰(5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7뷰(7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6뷰(6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1뷰(1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7뷰(7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8뷰(8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8뷰(8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2뷰(2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렌티큘러 필름(120)에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의 도트(dot) 사이의 간격을 0으로 형성하고,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는 2픽셀의 폭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12뷰(view) 및 960*720의 3D 해상도를 구현 시 픽셀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960*720의 3D 해상도로 12뷰(view)의 3D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고, 렌티큘러 필름(120)은 기울어 지지 않고 픽셀과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한다. 이때, 픽셀의 피치는 35um로 형성될 수 있다.
홀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과 짝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전체 픽셀들을 형성한다.
또한, 홀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과 짝수 번째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전체 픽셀들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과 제2 수평 라인에 배열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전체 픽셀들을 형성한다. 레드 픽셀, 그린 픽셀 및 블루 픽셀을 한 픽셀의 폭의 1/2만큼 쉬프트 시켰다.
1뷰(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2뷰(2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2뷰(2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3뷰(3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3뷰(3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4뷰(4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4뷰(4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6뷰(6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5뷰(5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6뷰(6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6뷰(6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7뷰(7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7뷰(7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8뷰(8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8뷰(8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9뷰(9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9뷰(9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10뷰(10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10뷰(10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11뷰(11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11뷰(11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12뷰(12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12뷰(12view)의 비개구 영역의 아래에 1뷰(1view)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렌티큘러 필름(120)에 형성된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의 도트(dot) 사이의 간격을 0으로 형성하고,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는 2픽셀의 폭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픽셀의 가로 폭의 1/2에 해당하도록 각 뷰(view)의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픽셀의 가로 폭의 1/3 또는 1/4에 해당하도록 각 뷰(view)의 개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은 렌티큘러 필름의 밴딩에 의한 화질 저하가 발생하고, 렌티큘러 필름을 기울여 부착함으로 인해 하나의 뷰에 다른 뷰들이 겹치게 되어 3D 크로스토크가 발생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크로스토크(CT) 및 라인 디텍트(LD)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영상의 적정 시청거리를 유지해 적용되었던 갭 글라스(gap glass) 또는 갭 필름(gap film)을 삭제하여 제조 비용 및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깊이감이 풍부한 고품질의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렌티큘러 필름(lenticular film)을 적용하여 멀티뷰(multi view)로 3D 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픽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과 제2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픽셀들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렌티큘러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픽셀의 가로 폭의 1/2, 1/3 또는 1/4에 해당하도록 픽셀의 개구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과 상기 제2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은 한 픽셀의 폭의 1/2만큼 쉬프트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1뷰(1view) 픽셀의 개구 영역의 아래쪽에는 다른 뷰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1뷰 픽셀의 아래쪽에는 다른 뷰의 비개구 영역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1뷰(1view) 픽셀의 개구 영역의 위쪽에는 다른 뷰의 개구 영역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1뷰 픽셀의 위쪽에는 다른 뷰의 비개구 영역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의 비개구 영역과 상기 제2 수평 라인에 형성된 픽셀들의 개구 영역이 수직 라인 상에서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68553A 2013-12-31 2013-12-31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ctive KR102171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553A KR102171611B1 (ko) 2013-12-31 2013-12-31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14/536,907 US9930321B2 (en) 2013-12-31 2014-11-10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N201410818179.1A CN104749786B (zh) 2013-12-31 2014-12-24 立体图像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553A KR102171611B1 (ko) 2013-12-31 2013-12-31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43A true KR20150080243A (ko) 2015-07-09
KR102171611B1 KR102171611B1 (ko) 2020-10-30

Family

ID=5348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553A Active KR102171611B1 (ko) 2013-12-31 2013-12-31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30321B2 (ko)
KR (1) KR102171611B1 (ko)
CN (1) CN10474978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174A (ko) * 2018-03-21 2019-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변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표시 장치
KR20190111175A (ko) * 2018-03-21 2019-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로그래픽 표시 장치
US12204118B2 (en) 2022-11-18 2025-01-21 Lg Display Co., Ltd. Stereopsis image display device with offset pixel groups and uniform vertical sepa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4430B2 (en) * 2016-08-08 2018-09-11 Micron Technology, Inc. Multi-deck memory device with access line and data line segregation between deck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880751B1 (ko) * 2017-03-21 2018-07-20 주식회사 모픽 무안경 입체영상시청을 위해 사용자 단말과 렌티큘러 렌즈 간 정렬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NL2022313B1 (en) * 2018-12-24 2020-07-21 Zhangjiagang Kangde Xin Optronics Mat Co Ltd Autostereoscopic display
US11450381B2 (en) 2019-08-21 2022-09-20 Micron Technology, Inc. Multi-deck memory device including buffer circuitry under array
US11782190B2 (en) 2019-09-06 2023-10-10 Apple Inc. Optical film arrangements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9205A (ja) * 2001-07-13 2003-01-2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立体表示装置
JP2005110010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立体画像生成方法および立体画像表示装置
US20070121076A1 (en) * 2002-09-03 2007-05-31 Markus Klippstein Arrangement for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of a scene / an object
US20070188517A1 (en) * 2004-03-26 2007-08-16 Yasuhiro Takaki Three-dimensional display
JP2009139947A (ja) * 2007-12-04 2009-06-25 Lg Display Co Ltd 3次元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9258697A (ja) * 2008-04-16 2009-11-05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eungnam Univ カラーフィルターの無い液晶表示装置
JP2011053647A (ja) * 2009-09-03 2011-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20103101A (ko) * 2011-03-10 201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3315A (en) * 1995-07-04 2000-02-08 Sharp Kabushiki Kaisha Spatial light modulator and directional display
GB2302978A (en) 1995-07-04 1997-02-05 Sharp Kk LIquid crystal device
GB2418315A (en) * 2004-09-21 2006-03-22 Sharp Kk Multiple view display
DE102005001503A1 (de) 2005-01-07 2006-07-27 Seereal Technologies Gmbh Sweet-Spot-Einheit
US8330152B2 (en) * 2009-12-02 2012-12-1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display architecture with improved aperture ratio
CN102193200A (zh) 2010-03-18 2011-09-21 薄淑英 四视点高清立体显示器
US20120229718A1 (en) * 2011-03-09 2012-09-13 Yinkuei Huang Direct-view adjustable lenticular 3D device and manufacturing proces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9205A (ja) * 2001-07-13 2003-01-2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立体表示装置
US20070121076A1 (en) * 2002-09-03 2007-05-31 Markus Klippstein Arrangement for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of a scene / an object
JP2005110010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立体画像生成方法および立体画像表示装置
US20070188517A1 (en) * 2004-03-26 2007-08-16 Yasuhiro Takaki Three-dimensional display
JP2009139947A (ja) * 2007-12-04 2009-06-25 Lg Display Co Ltd 3次元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9258697A (ja) * 2008-04-16 2009-11-05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eungnam Univ カラーフィルターの無い液晶表示装置
JP2011053647A (ja) * 2009-09-03 2011-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120103101A (ko) * 2011-03-10 201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174A (ko) * 2018-03-21 2019-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변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표시 장치
KR20190111175A (ko) * 2018-03-21 2019-10-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로그래픽 표시 장치
US12204118B2 (en) 2022-11-18 2025-01-21 Lg Display Co., Ltd. Stereopsis image display device with offset pixel groups and uniform vertical s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611B1 (ko) 2020-10-30
CN104749786B (zh) 2017-12-01
CN104749786A (zh) 2015-07-01
US20150189258A1 (en) 2015-07-02
US9930321B2 (en)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611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8633974B2 (en) Image display device
CN103424940B (zh) 可切换式二维/三维显示器
KR10123651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9213203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CN102944961B (zh) 裸眼3d显示装置及其液晶透镜
JP6150787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5806150B2 (ja) 表示装置
KR101800897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US9690109B2 (en) Stereopsis image display device
EP3067733B1 (en) Stereopsis display device
US20130021329A1 (en) Display device
KR102283145B1 (ko) 디스플레이 패널과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6982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104536144A (zh) 透明立体显示器及其操作方法
KR20150080354A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1779598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787980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101318761B1 (ko) 영상표시장치
JPWO2013021867A1 (ja) 立体表示装置
KR102166340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8314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7203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60083151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373932B1 (ko) 편광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