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72719A - Ice maker - Google Patents

Ic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719A
KR20120072719A KR1020100134598A KR20100134598A KR20120072719A KR 20120072719 A KR20120072719 A KR 20120072719A KR 1020100134598 A KR1020100134598 A KR 1020100134598A KR 20100134598 A KR20100134598 A KR 20100134598A KR 20120072719 A KR20120072719 A KR 2012007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gnetic force
ice maker
turning
immer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한수
정진규
김유신
단철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2719A/en
Publication of KR2012007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71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빙기는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연결된 복수개의 침지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가 잠겨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와, 상기 침지부재에서 생성되는 얼음크기를 감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얼음 생성을 가능토록 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크기의 다양한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선회부재가 물 안에서 파동을 발생함으로서 물 안의 기포를 제거하여 투명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capable of producing ice of various sizes.
The ice maker senses a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connected to an evaporator included in the refrigerating system, a tray member containing water so that the plural immersion members are locked to generate ice, and an ice size generated by the immersion member.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nsing unit to enable the generation of ice of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user can be supplied with a variety of ice of a desired size with a simple operation.
In addition, the turning member generates a wave in the water to remove the bubbles in the water can be obtained the effect of producing a transparent ice.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Ice maker {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장착된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maker equipped with a system capable of extracting ice of various sizes.

제빙기는 냉장고나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되어 얼음을 만드는 장치이다.An ice maker is a device for making ice in a refrigerator or an ice purifier.

제빙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시스템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 얼음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에 연결된 복수개의 침지부재에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어 얼음저장고 등에 저장된다.Ice makers produce ice by a refrigerant flowing through a refrigeration system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the like. And ice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connected to the evaporator is separated and stored in the ice storage.

일반적으로, 제빙기는 하나의 시스템에 의하여 작동되므로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는 일정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얼음의 사용용도나 용기의 크기에 따라 얼음의 크기를 다양하게 선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Generally, the ice maker is operated by one system, so the size of the ice produced is constant. Therefore, the user may not select the size of the ice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use of the ice or the size of the contain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사용용도나 기호에 따라 얼음을 분쇄하는 기능이 있는 제빙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로 얼음의 크기 자체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n ice maker having a function of crushing the i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use or preferenc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ice itself can not be variously manufactured by such devic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추출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ce maker that can extract ice of various siz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연결된 복수개의 침지부재;A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connected to an evaporator included in the refrigeration system;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가 잠겨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 및,A tray member containing water so that 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are locked to generate ice; And,

상기 침지부재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를 감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얼음 생성이 가능토록 구성된 감지부;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size of the ice generated by the immersion member and to generate ice of various sizes;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는 상기 트레이부재의 내측 면과 상기 침지부재에서 생성되는 얼음 사이를 주기적으로 선회하는 선회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선회부재의 선회각 또는 선회주기의 변화로 얼음의 크기를 감지토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ensing unit includes a pivot member that periodically pivot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member and the ice produced by the immersion member, and detects the size of the ice by changing the pivot angle or the swing cycle of the pivot member. You can do i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는More preferably, the sensing unit

상기 선회부재를 움직이는 구동부;A drive unit for moving the pivot member;

상기 구동부에 의한 선회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A sensor unit detecting a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by the driving unit; And,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의 주기를 측정하여 얼음의 크기를 인식하고 제빙완료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size of ice and determining an ice making completion point by measuring a period of the turning member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회부재를 일정한 속도로 선회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for turning the pivot member at a constant speed.

이때, 상기 센서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구비되거나 전자기파를 발생하여 상기 선회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in the driving motor or generate electromagnetic waves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또한, 상기 구동부는In addition, the driving unit

상기 선회부재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트레이부재 외부에서 선회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발생부재;A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fixedly coupled to the pivot member and pivoting outside the tray member to generate magnetic force;

상기 제1자력발생부재의 자력이 미치는 위치에 구비되며,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제2자력발생부재;A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provid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is applied and periodically generating magnetic force;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자력발생부재는 영구자석이고,Preferably,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is a permanent magnet,

상기 제2자력발생부재는 전자석일 수 있다.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may be an electromagnet.

이때, 상기 센서부는 전자기파를 발생하여 상기 선회부재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or unit may generate an electromagnetic wav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크기의 다양한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be supplied a variety of ice of a desired size with a simple operation.

또한, 선회부재가 물 안에서 파동을 발생함으로서 물 안의 기포를 제거하여 투명얼음을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winging member generates a wave in the water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duced by removing the bubbles in the water to make transparent 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 제빙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Firstl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or appli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도면에는 2가지 크기의 얼음생성과정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한 크기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In particular, although two sizes of ice making process are shown in the drawing, it is possible to produce ice of various sizes in this man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빙기(100)는 증발기(E)에 연결된 복수개의 침지부재(200)와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300), 상기 침지부재(200)에서 생성되는 얼음크기를 감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얼음 생성을 가능토록 하는 감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ice mak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connected to an evaporator E, a tray member 300 containing water, and ice generated from the immersion members 2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etection unit 400 to detect the size to enable the generation of ice of various sizes.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200)는,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E)와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200)의 내부에는 차가운 냉매 또는 뜨거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may be connected to an evaporator E included in a refrigeration system (not shown). Accordingly, a cool refrigerant or a hot refrigerant may flow in the evaporator E and 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즉,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200) 각각에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시에, 상기 증발기(E)와 상기 침지부재(200)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침지부재(200) 각각에 생성된 얼음을 침지부재(200)로부터 분리하는 탈빙시에, 증발기(E)와 침지부재(200)에는 뜨거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That is, when ice is gener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a cool refrigerant may flow through the evaporator E and the immersion member 200. In addition, when the ice gener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is separated from the immersion member 200, hot refrigerant may flow through the evaporator E and the immersion member 200.

상기 트레이부재(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20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재(300)에는 물(W)이 담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200)가 상기 트레이부재(300)에 담긴 물(W)에 잠기어 복수개의 침지부재(200) 각각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ray member 3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and the tray member 300 may contain water (W). .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may be immersed in the water W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300 to generate ice I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한편,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침지부재(200)에서 생성되는 얼음크기를 감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얼음 생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unit 400 may detect the ice size generated by the immersion member 200, it is possible to generate ice of various sizes.

이때,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트레이부재(300)의 내측 면과 상기 침지부재(200)에서 생성되는 얼음 사이를 주기적으로 선회하는 선회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선회부재(420)는 상기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회각 또는 선회주기의 변화로 얼음의 크기를 감지토록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400 may include a pivot member 420 that periodically pivot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member 300 and the ice generated by the immersion member 200. As such, the pivot member 420 may be pivotally provided in the tray member 300, and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size of the ice by changing the pivot angle or pivot period.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회부재(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스윙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재(300)의 일측 상단에 힌지결합을 매개로 선회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ivot member 4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swing bar, as shown in the figure, and may be rotatably provided at a top of one side of the tray member 300 by a hinge coupling.

다만, 상기 선회부재(420)는 스윙바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침지부재(200)에서 생성되는 얼음과 상기 트레이부재(300)의 일측면 사이를 주기적으로 선회하여, 후술할 센서부에 의해 그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However, the pivot member 420 is not limited to the swing bar shape, and periodically pivots between the ice generated by the immersion member 200 and one side surface of the tray member 300, and then the sensor unit to be described later. As long as the movement is detected by this, anything may be possible.

또한, 상기 선회부재(4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트레이부재(300) 내부에서 주기적으로 선회할 수 있으면 도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이나 전측 또는 후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ivot member 420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1 to 4, and may also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when viewed in the drawing as long as it can periodically turn inside the tray member 300. Can be.

상기 선회부재(420)는 냉동시스템이 가동되면서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선회각을 이루며 선회할 수 있다. 그리고, 선회각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420)가 트레이부재(300) 내측에서 얼음에 접촉한 후 다시 돌아오는 선회주기가 달라지게 된다.The pivot member 420 may pivot at various pivot angl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ce generated while the refrigeration system is operating.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urning angle, the turning cycle of the turning member 420 coming back after contact with the ice inside the tray member 300 is changed.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크기가 작으면,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각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주기도 커지게 된다. 상기 제빙과정이 더 진행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의 크기가 커지면, 선회각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므로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주기도 작아지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 ice size is small, the turning angle of the turning member 420 is increased, so that the turning period of the turning member 420 is also increased. As the ice making process proceeds further, as shown in FIG. 3, when the size of the ice increases, the size of the turning angle becomes smaller, so that the turning period of the turning member 420 also becomes smaller.

또한, 상기 선회부재(420)는, 상기 트레이부재(300)의 내부를 선회하면서 트레이부재(30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W)에 파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ivot member 420 may generate waves in the water W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tray member 300 while pivoting the interior of the tray member 300.

이에 따라, 침지부재(200)의 둘레에 얼음(I)이 생성될 때 얼음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층이 성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빙기(100)에 의하여 투명얼음이 생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ice I is formed around the immersion member 200, the bubble layer that may occur in the ice may not be grow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ansparent ice can be generated by the ice mak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선회부재(420)를 움직이는 구동부(440)와 상기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460), 상기 센서부(46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420)의 주기를 측정하여 얼음의 크기를 인식하고 제빙완료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4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unit 400, the sensor 460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rive unit 440 and the pivoting member 420 moving the pivot member 420,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60 The controller 48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480 that measures the period of the pivot member 420 to recognize the size of the ice and to determine an ice making completion point.

상기 구동부(440)는 구동모터(441) 또는 자력발생부재(442,444)를 포함하여 구비되어 상기 선회부재(420)를 주기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44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441 or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s 442 and 444 to pivot the pivot member 420 periodically.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441)는 상기 선회부재(420)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트레이부재(300) 상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41)의 구동축에는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축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와 같은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선회부재(420)를 주기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는 위치이면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driving motor 441 is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tray member 30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ivot member 420. In addition, the pivot shaft of the pivot member 42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44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position as the above embodiment, and may be installed at another position as long as the pivot member 420 can be periodically rotated.

상기 구동모터(441)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상기 선회부재(420)를 선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선회부재(420)가 얼음(I)이나 상기 트레이부재(300) 등과의 접촉에 의하여 자극을 받으면, 그 자극이 상기 구동모터(441)의 구동축에 전해져서 구동축의 회전방향을 바꾸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420)를 좌,우로 선회할 수 있게 한다.The driving motor 441 may rotate the pivot member 420 coupled to the drive shaft while rotating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at is, when the turning member 420 is stimulated by contact with the ice I or the tray member 300, the magnetic pole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441 to chang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shaft. As a result, the pivot member 420 can be pivoted left and right.

또한, 상기 구동모터(441)는 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선회부재(420)를 일정한 속도로 선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motor 441 is configured to adjust the speed uniformly, the turning member 420 may be rotated at a constant speed.

이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441)는 상기 침지부재(200) 둘레에 생성되는 얼음(I)과 상기 트레이부재(300)의 내측면 사이를 주기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회부재(420)가 선회하면서 이루는 선회각은 상기 얼음의 크기가 성장하면서 변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ivot member 441 may periodically pivot between the ice I generated around the immersion member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member 300. In this case, the turning angle formed by the turning member 420 may be changed while the size of the ice grows.

한편, 상기 센서부(460)는, 상기 구동모터(441)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441)의 구동축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nsor unit 460 may be provided in the driving motor 441. Preferably it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441.

다만, 상기 센서부(460)의 위치는 상기와 같은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모터(441)의 구동축 상단 이외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파를 발생하여 상기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However, the position of the sensor unit 460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420 can be anything. For example, the driving motor 441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shaft. As described below, electromagnetic waves may be generated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420.

이때, 상기 센서부(460)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각을 감지함으로써, 구동축에 연결된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각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얼음을 추출할 수 있는 선회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441)에 구비된 센서부(460)는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각을 검출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후술할 제어부(480)에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or unit 460 may detect the rotation angle of the pivot member 420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by sens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e shaft. That is, in order to implement a swing angle for extracting ice of a user's desired size, the sensor unit 460 provided in the driving motor 441 detects the swing angle of the swing member 420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The conversion may be transferred to the control unit 48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센서부(460)는 구동축의 회전주기를 검출하여, 상기 선회부재(420)가 상기 트레이부재(300)에서 선회하여 얼음(I)과 접촉 후 다시 트레이부재(300)로 돌아오는 선회주기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주기를 전기적신호로 후술할 제어부(48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460 detects the rotation period of the drive shaft, the pivot member 420 is pivoting on the tray member 300, the contact with the ice (I) and then turn back to the tray member 300 The cycle can be detected. In addition, the turning period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80 to be described later as an electrical signal.

한편, 상기 구동부(440)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440)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선회부재(420)를 움직일 수 있고, 제1자력발생부재(442)와 제2자력발생부재(4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rive unit 440, as shown in Figure 4, the drive unit 440 may move the pivot member 420 by a magnetic force,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And a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자력발생부재(442)는 상기 선회부재(420)에 고정결합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재(300) 외부에 상기 선회부재(420)와 같은 선회각도로 선회하며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pivot member 420, and rotates at the same pivot angle as the pivot member 420 to the outside of the tray member 300 to generate magnetic force. Can be generat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자력발생부재(444)는 상기 제1자력발생부재(442)의 자력이 미치는 위치에 구비되며,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is applied, and may periodically generate magnetic force.

일실시예로서, 제2자력발생부재(444)는 제1자력발생부재(442)와의 사이에서 인력 또는 척력이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자력발생부재(442)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하는 자력을 제2자력발생부재(444)에서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면, 상기 선회부재(420)는 제2자력발생부재(444)를 향하여 주기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may periodically generate attraction or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Therefore, when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periodically generates a magnetic force that generates an attraction force with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the turning member 420 faces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You may turn periodically.

그리고, 제1자력발생부재(442)와의 사이에서 척력이 발생하는 자력을 제2자력발생부재(444)에서 발생시키면, 상기 선회부재(420)는 제2자력발생부재(44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generates a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and the repulsive force, the turning member 420 moves away from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You can turn.

또한, 인력과 척력을 동시에 발생하여 주기적으로 선회하도록 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both manpower and repulsive force at the same time to periodically tur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자력발생부재(444)는 상기 제1자력발생부재(442)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빙기본체(B)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2자력발생부재(444)의 위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자력발생부재(442)의 자력이 미치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More preferably,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may be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ice making body B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However, the position of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s long as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제1자력발생부재(442)와 제2자력발생부재(4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선회부재(420)를 선회시킬 수 있는 자력을 발생할 수 있으면 역할이 바뀌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are not limited as described above, and if the magnetic force capable of turning the turning member 420 can be generated, the roles are changed. It is also possible.

한편, 제1자력발생부재(442)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자력발생부재(444)는 전자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자력발생부재(442)가 영구자석이면, 제1자력발생부재(442)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자력이 발생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may be a permanent magnet.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may be an electromagnet. As such, when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is a permanent magnet,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always generates magnetic forc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그리고, 전자석으로 제공되는 제2자력발생부재(444)는 상기 영구자석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회부재(420)가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의 극성에 대응하여 주기적으로 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provided as an electromagne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manent magne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eriodically change the polarity corresponding to the polarity of the permanent magnet by applying power to the electromagnet so that the turning member 420 can turn.

이때, 상기 센서부(460)는 자력을 발생하는 구동부(440)에 의한 상기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460)는 전자기파를 발생하여 상기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46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420 by the driving unit 440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Preferably, the sensor unit 460 may generate an electromagnetic wav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4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ethod of us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may be anything as long as the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420 can be detected.

즉, 도 4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전자기파를 발생하는 센서부(460)는 상기 선회부재(420)가 구비된 트레이부재(300)의 면과 인접한 면에 장착되고, 상기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기파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60)는 전자기파가 차단되는 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주기를 감지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the sensor unit 460 for generating electromagnetic waves is mounted on the surface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tray member 300 is provided with the swing member 420, the swing member ( The electromagnetic wave may be block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420. The sensor unit 460 detects the turning period of the turning member 420 by checking the time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is blocked.

한편, 상기 감지부(400)는 제어부(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tector 4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480.

상기 센서부(460)는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각이나 선회주기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신호를 제어부(48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얼음크기를 생성할 수 있는 선회각이나 선회주기가 되면, 이 시점을 제빙완료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440)의 작동을 중단하게 하여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를 중단시킬 수 있다.
The sensor unit 460 detects a turning angle or a turning period of the turning member 420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480. In this case, when the turning angle or turning period capable of generating the ice size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480 may determine this time as the ice making completion time.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40 may be stopped to stop the turning of the turning member 420.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얼음생성이 가능한 제빙기(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1 to 3,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ice maker 100 capable of producing ice of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침지부재(200)가 트레이부재(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공급유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부재(300)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침지부재(200)가 상기 트레이부재(300) 내부에 수용된 물에 잠길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are provid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tray member 300. 2 and 3, the immersion member 200 supplies water to the tray member 300 through a supply passage (not shown)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not shown). It may be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300.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얼음크기를 간단한 버튼조작으로 선택할 수 있다.Then,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ice size with a simple button operation.

이 후, 구동모터(441)를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선회부재(420)가 상기 트레이부재(300)의 내측과 상기 침지부재(200)에 생성되는 얼음 사이를 주기적으로 선회하게 할 수 있다.Thereafter, by operating the driving motor 441, the turning member 420 may periodically turn between the inside of the tray member 300 and the ice generated in the immersion member 200.

이때, 상기 선회부재(420)가 선회하면서 상기 트레이부재(300) 내부에 수용된 물(W)에 파동을 발생하여, 상기 침지부재(200) 둘레에 얼음이 생성될 때 얼음 내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층을 성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ivot member 420 pivots, waves are generated in the water W accommodated in the tray member 300, and a bubble layer may occur in the ice when ice is generated around the immersion member 200. You can prevent it from growing. Thus, transparent ice can be generated.

다음, 냉각시스템을 구동시켜서 증발기(E)와 복수개의 침지부재(200)에 저온의 냉매가 흐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침지부재(200) 둘레에 얼음이 생성된다.Next, a low temperature refrigerant may flow through the evaporator E and 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by driving the cooling system. Accordingly, ice is formed around the immersion member 200.

이때, 상기 선회부재(420)는 상기 침지부재(200) 둘레에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에 따라 다른 크기의 선회각을 이루며 선회한다. 그리고 상기 선회각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420)가 트레이부재(300) 내측에서 얼음(I)에 접촉한 후 다시 돌아오는 선회주기가 달라지게 된다. In this case, the pivot member 420 pivots with a pivot angle of a different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ce generated around the immersion member 200. According to the turning angle, the turning period of the turning member 420 coming back after contacting the ice I inside the tray member 300 is chang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의 크기가 작으면,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각은 커지므로 선회주기가 커지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의 크기가 크면, 상기 선회부재(420)의 회전각은 작아지게 되므로 선회주기가 작아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ice I is small in size, the turning angle of the turning member 420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turning perio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size of the ice (I) is large, the rotation angle of the turning member 420 is small, so that the turning period is small.

상기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은 상기 구동모터(441)에 구비된 상기 센서부(460)에 의해서 감지가 되고, 상기 센서부(460)는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각이나 선회주기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480)에 전달한다. The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420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460 provided in the driving motor 441, and the sensor unit 46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pivot angle or pivot period of the pivot member 420.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80.

이때, 상기 제어부(480)는, 센서부(460)에서 감지한 주기가 사용자가 선택한 얼음의 크기를 만들 수 있는 주기인 경우, 이 시점을 제빙완료시점으로 결정하고 상기 구동모터(441)의 구동을 중단하여 선회부재(420)의 선회를 중단시킨다. In this case, when the period detected by the sensor unit 460 is a period for creating the size of the ice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480 determines this time point as the completion of ice making and drives the driving motor 441. By stopping the turning of the turning member 420.

그리고, 상기 냉동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면, 상기 증발기(E)와 침지부재(20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면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침지부재(20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분리된 얼음은 자중에 의해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바로 공급받거나, 얼음의 크기에 따라 공간 분리된 얼음저장고로 크기에 따라 분리된 후 사용자가 원할 때 바로 공급받을 수 있다. When a signal is sent to the refrigeration system, ice generated while hot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evaporator E and the immersion member 200 is separated from the immersion member 200. The separated ice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ice reservoir (not shown) by its own weight, or may be directly supplied by the user, or may be immediately supplied when the user desires after being separ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ce storage space separated by the size of the ice. .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작동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크기의 다양한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에 의한 파동의 발생으로 물 안의 기포를 제거하여 투명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by the above process, the user can be supplied with a variety of ice of the desired siz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generate transparent ice by removing the bubbles in the water by the generation of waves due to the swing of the swing member 420.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var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100 : 제빙기 200 : 침지부재
300 : 트레이부재 400 : 감지부
420 : 선회부재 440 : 구동부
441 : 구동모터 442 : 제1자력발생부재
444 : 제2자력발생부재 460 : 센서부
480 : 제어부 E : 증발기
B : 제빙기본체 I : 얼음
W : 물
100: ice maker 200: immersion member
300: tray member 400: detection unit
420: pivot member 440: drive unit
441: drive motor 442: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60: sensor
480 control part E: evaporator
B: ice making body I: ice
W: water

Claims (8)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연결된 복수개의 침지부재(200);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200)가 잠겨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300); 및,
상기 침지부재(200)에서 생성되는 얼음(I)의 크기를 감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얼음 생성이 가능토록 구성된 감지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A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connected to the evaporator E included in the refrigeration system;
A tray member 300 containing water so that 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200 are locked to generate ice; And,
A sensing unit 400 configured to detect the size of the ice I generated by the immersion member 200 and to generate ice of various sizes;
Ic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트레이부재(300)의 내측 면과 상기 침지부재(200)에서 생성되는 얼음 사이를 주기적으로 선회하는 선회부재(420)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각 또는 선회주기의 변화로 얼음의 크기를 감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ing unit 400 includes a pivot member 420 for periodically pivoting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ray member 300 and the ice produced by the immersion member 200,
Ic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ice by changing the swing angle or the swing cycle of the swing member (4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선회부재(420)를 움직이는 구동부(440);
상기 구동부(440)에 의한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460); 및,
상기 센서부(46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420)의 선회각 또는 선회주기를 측정하여 얼음의 크기를 인식하고 제빙완료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4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etection unit 400
A driving unit 440 for moving the pivot member 420;
A sensor unit 460 for detecting a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420 by the driving unit 440; And,
A controller 480 for measuring the turning angle or the turning period of the turning member 420 according to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460 to recognize the size of ice and to determine an ice making completion point;
Ic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40)는 상기 선회부재(420)를 일정한 속도로 선회시키는 구동모터(4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The ice maker of claim 3, wherein the driving unit (440) includes a driving motor (441) for turning the pivot member (420) at a constant spe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60)는 상기 구동모터(441)에 구비되어 상기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5. The ice maker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unit (460) is provided in the driving motor (441) to detect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4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40)는
상기 선회부재(420)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트레이부재(300) 외부에서 선회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제1자력발생부재(442);
상기 제1자력발생부재(442)의 자력이 미치는 위치에 구비되며, 자력을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제2자력발생부재(44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riving unit 440 is
A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fixedly coupled to the pivot member 420 and pivoting outside the tray member 300 to generate magnetic force;
A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provided at a position at which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is applied and periodically generating magnetic force;
Ic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력발생부재(442)는 영구자석이고,
상기 제2자력발생부재(444)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2 is a permanent magnet,
The second magnetic force generating member (444) is an ice m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magnet.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60)는 전자기파를 발생하여 상기 선회부재(4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The ice maker according to claim 4 or 6, wherein the sensor unit (460) detects a movement of the pivot member (420) by generating electromagnetic waves.
KR1020100134598A 2010-12-24 2010-12-24 Ice maker Ceased KR201200727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598A KR20120072719A (en) 2010-12-24 2010-12-24 Ic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598A KR20120072719A (en) 2010-12-24 2010-12-24 Ice m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719A true KR20120072719A (en) 2012-07-04

Family

ID=4670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598A Ceased KR20120072719A (en) 2010-12-24 2010-12-24 Ic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2719A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020A (en) * 2013-09-13 2015-03-23 코웨이 주식회사 Ice making method
JP2017503995A (en) * 2014-01-08 2017-02-02 トゥルー・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rue Manufacturing Co., Inc. Variable operating point components of ice cube ice machine
KR102319483B1 (en)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Ice maker preventing corrosion in evaporating tube
KR102319486B1 (en)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Transparent ice maker with high transparency
KR102319482B1 (en)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Funny transparent ice maker home use
KR102319480B1 (en)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Ice maker for home use
KR20210157657A (en) * 2020-06-22 2021-12-2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c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220054968A (en) * 2020-10-26 2022-05-03 김혜리 Ice maker for transpatent ice
KR102412126B1 (en) 2021-10-21 2022-07-01 주식회사 스키피오 Ice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2196876A1 (en)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Residential ice maker and method of making funny ice by using same
KR20230036917A (en)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Icemaker for transparent ice with water circulating plat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020A (en) * 2013-09-13 2015-03-23 코웨이 주식회사 Ice making method
JP2017503995A (en) * 2014-01-08 2017-02-02 トゥルー・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rue Manufacturing Co., Inc. Variable operating point components of ice cube ice machine
KR20210157657A (en) * 2020-06-22 2021-12-2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c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220054968A (en) * 2020-10-26 2022-05-03 김혜리 Ice maker for transpatent ice
KR102319483B1 (en)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Ice maker preventing corrosion in evaporating tube
KR102319486B1 (en)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Transparent ice maker with high transparency
KR102319482B1 (en)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Funny transparent ice maker home use
KR102319480B1 (en) * 2021-03-16 2021-10-29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Ice maker for home use
WO2022196876A1 (en)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디에이치글로벌 Residential ice maker and method of making funny ice by using same
KR20230036917A (en)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에이스앤테크 Icemaker for transparent ice with water circulating plate
KR102412126B1 (en) 2021-10-21 2022-07-01 주식회사 스키피오 Ice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2719A (en) Ice maker
EP1519130B1 (en) Icemaker for refrigerator
EP2483612B1 (en) Ice mak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68228B2 (en) Ice making method
KR20140121187A (en) 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585772B1 (en) Ice making method
KR101344284B1 (en) Driving device for automatic ice-making machine
KR101182276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460361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04566664A (en) Mobile air conditioner and mobile air conditioner refrigerating control method
KR101659932B1 (en) An ice maker capable of controlling output of i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ice
CN203798078U (en) Ice maker for air-cooled refrigerator
US20110314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ice in an ice maker system
KR102226421B1 (en) Ice maker
KR101451658B1 (en) Detection device for ice-maker in refrigerator
CN100412472C (en) Water circulation mechanism of ice machine
US70323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irring water during icemaking
CN101358645A (en) Drives for automatic ice machines
US20120083190A1 (en) Ultra-low temperature magnetic polishing machine
KR20120062498A (en) Ice maker
KR20180013700A (en) Twist ice maker and refregerator including the same
JP4749886B2 (en) Ice machine
US20250052468A1 (en) Countertop ice maker applian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0710222B1 (en) Refrigerator ice maker
KR101299944B1 (en) Refrigerator capable of displaying estimated time to completion of ice mak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