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126B1 - Ice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ce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2126B1 KR102412126B1 KR1020210141190A KR20210141190A KR102412126B1 KR 102412126 B1 KR102412126 B1 KR 102412126B1 KR 1020210141190 A KR1020210141190 A KR 1020210141190A KR 20210141190 A KR20210141190 A KR 20210141190A KR 102412126 B1 KR102412126 B1 KR 1024121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making
- thickness
- unit
- samp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요청한 다양한 두께의 얼음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제빙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빙수를 수용한 저장조, 상기 저장조로부터 공급받는 제빙수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저장조와 상기 증발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하우징을 포함한 제빙기로서, 사용자 입력 두께를 입력받아 제빙 두께를 단계별로 조절하기 위한 두께별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두께별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제빙 두께에 대응되는 수위 구간의 제1 제빙주기를 감지하고,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내외부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두께가 기준 제빙 두께보다 일정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제빙주기와 기준 제빙 두께 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단위 두께에 대한 제1 샘플 구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샘플 구간에서의 내외부 환경정보 평균값에 기초하여 단위 두께에 대한 제2 샘플 구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샘플 구간의 합인 단위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두께로부터 상기 제1 제빙주기를 기준으로 도출되는 변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제빙되는 시간 구간인 제2 제빙주기를 산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maker capable of adjusting ice of various thicknesses requested by a user in stage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To this end, an ice maker including a storage tank for accommodating ice-making water,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and a housing for protecting the storage tank and the evaporator from the outside. an interface unit generating an input signal for each thickness for and when the user input thickness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of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 first sample interval for a unit thickness is calculated based on a ratio between the first ice-making period and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nd in the first sample interval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second sample interval for a unit thickness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first sample interval from the user input thickness according to a unit time that is a sum of the first and second sample intervals. Based on the variable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ice-making period, a second ice-making period, which is a time interval for additional ice-making, is calcul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빙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요청한 다양한 두께의 얼음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제빙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maker capable of adjusting ice of various thicknesses requested by a user in stage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제빙기는 냉장고나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되어 얼음을 만드는 장치이다. An ice maker is a device that is provided in a refrigerator or an ice purifier to make ice.
이러한 제빙기는 일정한 모양을 가진 얼음덩어리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장치로, 제빙기는 가정이나 식당, 카페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제빙기는 제빙수 저장고에 저장되어 있는 제빙수를 펌프를 통해 증발기로 공급하고 증발기에서 제빙수를 제빙하여 얼음을 제조하게 된다.Such an ice maker is a device for continuously producing ice blocks having a certain shape, and the ice maker is widely used in homes, restaurants, cafes,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ice maker supplies ice-making water stored in the ice-making water storage to the evaporator through a pump, and the evaporator makes ice to produce ice.
그러나, 제빙기는 하나의 시스템에 의하여 작동되므로 생성되는 얼음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일정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얼음의 사용용도나 용기의 크기에 따라 얼음의 크기를 다양하게 선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ice maker is operated by one system, the size of the generated ice is generally constant.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not select various sizes of i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ice or the size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고가의 센서 없이도, 저장조의 제빙수 수위에 기초하여 기준 제빙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제빙 시간과 추가 제빙을 통한 사용자 입력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제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제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making time and additional ice-making to form a standard ice-making thickness based on the ice-making water level in a storage tank without an expensive sensor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er capable of calculating an ice making time for forming a thickness input by a use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또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입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제빙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er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control it by a touch input through an interfa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상기 목적은, 제빙수를 수용한 저장조, 상기 저장조로부터 공급받는 제빙수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저장조와 상기 증발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하우징을 포함한 제빙기로서, 사용자 입력 두께를 입력받아 제빙 두께를 단계별로 조절하기 위한 두께별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두께별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제빙 두께에 대응되는 수위 구간의 제1 제빙주기를 감지하고,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내외부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두께가 기준 제빙 두께보다 일정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제빙주기와 기준 제빙 두께 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단위 두께에 대한 제1 샘플 구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샘플 구간에서의 내외부 환경정보 평균값에 기초하여 단위 두께에 대한 제2 샘플 구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샘플 구간의 합인 단위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두께로부터 상기 제1 제빙주기를 기준으로 도출되는 변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제빙되는 시간 구간인 제2 제빙주기를 산출하는 기술적 특징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n ice maker including a storage tank for accommodating ice-making water,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and a housing for protecting the storage tank and the evaporator from the outside. An interface unit that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each thickness for adjusting,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for each thickness, detects the first ice-making cycle of the water level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nd detect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the housing When the thickness of the sensor unit and the user input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of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 first sample interval for a unit thickness is calculated based on a ratio between the first ice-making period and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nd the first sample interval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second sample interval for a unit thickness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is can be solved by the technical feature of calculating the second ice-making period, which is a time interval for additional ice-making, based on the variable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first ice-making peri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고가의 센서 없이도, 저장조의 제빙수 수위차이를 이용한 기준 제빙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제빙 시간과 추가 제빙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제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 expensive sensor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ice, the ice-making time for forming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us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ice-making water in the storage tank and the ice-making time for forming the user input thickness using additional ice making can be calculated.
또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입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it allows the user to easily adjust the touch input through the interfac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의 제빙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b의 제빙기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3a는 사용자 입력 두께에 해당하는 전체 제빙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단계별로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센서부의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하우징 내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어부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빙기에 대한 동작 프로세스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of the ice maker of FIG. 1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ice maker of FIG. 1B according to an embodiment.
3A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ntire ice-making section corresponding to a thickness input by a user.
3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hickness of a user input formed in stages.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in order to explain an arrangement example of the sensor unit of FIG. 2 .
5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n operation process for the ice maker of FIG. 2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se examples are merely presented by way of example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Further,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n case of conflict,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definitions will take precedence.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invention proposed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one unit or block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identification number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does not clearly describe a specific order in context. It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above. That is,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s the specified order,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의 제빙기(100)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b의 제빙기(100)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고, 도 3a는 사용자 입력 두께(DIN)에 해당하는 전체 제빙 구간(PT)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단계별로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 두께(DIN)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저장조(101), 증발기(102), 하우징(103), 인테페이스부(110),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1A to 3B , the
먼저, 저장조(101)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수를 수용하기 위한 통이고, 증발기(102)는 저장조(101)로부터 공급받는 제빙수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매가 순환하는 냉각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3)은 저장조(101), 증발기(102), 인테페이스부(110), 센서부(120)의 일부 및 제어부(1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증발기(102)는 일정 길이 구간의 두께를 갖는 얼음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102_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1B , the
예를 들면, 저장조(101)는 제빙수 공급밸브(101_1)를 통해 공급받는 제빙수를 일정 높이까지 수용하고, 펌프(101_2)를 통해 증발기(102)로 제빙수를 공급함에 따라 떨어지는 제빙수를 재수용할 수 있다. 도 1b에서 도시된 일방향 화살표는 제빙수의 순환로를 설명하기 위함이다. 또한, 증발기(102)는 저장조(101) 상부에 배치되고, 판상 형태로 형성되며, 판상 표면에 공급된 제빙수가 어는점에 도달하면 표면에 얼음이 점착되고, 이후 점차 얼음이 확대되면서 제빙이 이루어진다. For example, the
실시예에 따라, 인테페이스부(110)는 사용자 입력 두께(DIN)를 입력받아 제빙 두께를 단계별로 조절하기 위한 두께별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두께별 입력신호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구체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페이스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두께 조절부(110_1)와 구동 입력부(110_2)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두께별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A , the
예를 들면, 두께 조절부(110_1)는 제빙 두께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조그 셔틀 및 버튼 방식으로 구현되고, 구동 입력부(110_2)는 사용자로부터 조절된 제빙 두께를 확인하기 위한 버튼 및 레버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 조절부(110_1)와 구동 입력부(110_2)는 사용자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110_3)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인테페이스부(110)는 전원을 온오프 하기위한 전원 스위칭부(110_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ickness adjusting unit 110_1 is implemented in a jog shuttle and button method to adjust the ice-making thickness step by step, and the driving input unit 110_2 is implemented in a button and lever method to check the ice-making thickness adjusted by the user. can be The thickness adjusting unit 110_1 and the driving input unit 110_2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display 110_3 capable of a user touch input. Meanwhile, the
다음으로, 센서부(12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생성된 두께별 입력신호에 따라, 기준 제빙 두께(DR)에 대응되는 수위 구간의 제1 제빙주기(P1)를 감지하고,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내외부 환경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Next, the
여기서, 제1 제빙주기(P1)는 센서부(120)를 통해 감지된 제빙수의 고수위 위치(PH)에서의 초기 시점(T1)과 센서부(120)를 통해 감지된 제빙수의 저수위 위치(PL)에서의 종료 시점(T2) 사이의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즉, 제1 제빙주기(P1)는 저장조의 제빙수 수위 정보를 이용한 기준 제빙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제빙 시간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ice-making cycle P1 is the initial time T1 at the high-level position P H of the ice-making water sensed by the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전송받는 두께별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센서부(120)를 동작시키고 제빙수 공급밸브(101_1)를 통해 제빙수를 저장조(101)에 공급하며, 펌프(101_2)를 통해 저장조(101)로부터 증발기(102)로 제빙수를 공급시킬 수 있다. Next, the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 두께(DIN)가 기준 제빙 두께(DR)보다 일정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추가 제빙되는 시간 구간을 획득하기 위하여, 제1 제빙주기(P1)와 기준 제빙 두께(DR)의 비율에 기초하여 단위 두께(DU)에 대한 제1 샘플 구간(S1)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다음의 비율식(1)을 통해 단위 두께(DU)에 대한 제1 샘플 구간(S1)을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er input thickness D IN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greater than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D R , the
여기서, 비율식(1)은 (1)이고, P1은 제1 제빙주기, DR은 기준 제빙 두께, S1은 제1 샘플 구간 및 DU는 단위 두께를 의미한다. Here, ratio formula (1) is (1), P1 is the first ice-making cycle, D R is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S1 is the first sample section, and D U is the unit thickness.
이때, 단위 두께(DU)는 관리자 및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미리 설정되는 얼음 두께로서, 기준 제빙 두께(DR)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제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nit thickness D U is an ice thickness preset in advance by an administrator and a user, and may be limited to be formed smaller than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D R .
예를 들면, 제1 제빙주기(P1)가 4000초이고, 기준 제빙 두께(DR)가 100mm이며, 단위 두께(DU)가 1mm인 경우, 제1 샘플 구간(S1)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2와 T3 사이의 시간 구간인 40초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ice-making cycle P1 is 4000 seconds,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D R is 100 mm, and the unit thickness D U is 1 mm, the first sample section S1 is shown in FIG. 3A . As described above, the time interval between T2 and T3 may be 40 seconds.
또한, 제어부(130)는 제1 샘플 구간(S1)에서의 내외부 환경정보 평균값에 기초하여, 단위 두께(DU)에 대한 제2 샘플 구간(S2)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샘플 구간(S2)의 의미는 내외부 환경정보에 따라 단위 두께(DU)의 얼음을 제빙하는 동안 지연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Also, the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샘플 구간(S)에서의 내외부 환경정보 평균값 간의 차이와 환경정보 항목별로 기설정된 가중치를 입력받는 제2 샘플구간 산출식(2)을 통해 단위 두께(DU)에 대한 제2 샘플 구간(S2)을 산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여기서, 제2 샘플구간 산출식(2)은 이고, 이때, CAINS1은 제1 샘플 구간(S1)에서의 외부 환경정보에 대한 평균값이고, CAOUTS1은 제1 샘플 구간(S1)에서의 내부 환경정보에 대한 평균값이며, τ는 환경정보 항목별로 기설정된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sample interval calculation formula (2) is In this case, C AINS1 is the average value of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first sample section (S1), C AOUTS1 is the average value of the in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first sample section (S1), τ i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tem It may mean a preset weight.
예를 들면, 제1 샘플 구간(S1)에서의 외부 환경정보 평균값이 40℃이고, 제1 샘플 구간(S1)에서의 내부 환경정보 평균값이 10℃이며, 온도 항목에 기설정된 가중치가 15일 때, 단위 두께(DU)에 대한 제2 샘플 구간(S2)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3와 T4 사이의 시간 구간인 45초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first sample section S1 is 40°C, the average value of the in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first sample section S1 is 10°C, and the preset weight for the temperature item is 15 , the second sample interval S2 for the unit thickness D U may be 45 seconds, which is a time interval between T3 and T4 as shown in FIG. 3A .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환경정보 항목별로 기설정된 가중치(τ)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음의 제1 가중치 산술식(3)과 제2 가중치 산술식(4)을 이용하여 적어도 둘의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적어도 둘의 가중치 간의 평균값을 해당 환경정보 별로 기설정된 가중치(τ)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determine a preset weight τ for each environmental information item, the
여기서, 제1 가중치 산출식(3)은 이고, 이때, TD는 기설정된 제빙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데 소요되는 작동 시간, CT1OUT은 제1 제빙 주기의 초기 시점(T1)의 외부 환경정보 및 CT1OUT은 제1 제빙 주기의 초기 시점(T1)의 내부 환경정보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weight calculation equation (3) is In this case, T D is the operation time required to supply and discharge the preset ice-making water, C T1OUT is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initial time point T1 of the first ice-making cycle, and C T1OUT is the initial time point of the first ice-making cycle ( It may be the in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1).
예를 들면, P1이 4000초이고, TD가 3964초이며, 초기시점(T1)의 외부 환경정보인 온도가 32℃이고, 초기시점(T1)의 내부 환경정보인 온도가 16℃일 때, 제1 가중치는 18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P1 is 4000 seconds, T D is 3964 seconds, the temperature that is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at the initial time point T1 is 32°C, and the temperature that is the in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at the initial time point T1 is 16°C, The first weight may be 18.
또한, 제2 가중치 산출식(4)은 이고, 이때, TD는 기 기설정된 제빙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데 소요되는 작동 시간, CT2OUT은 제1 제빙 주기의 종료 시점(T2)의 외부 환경정보 및 CT2OUT은 제1 제빙 주기의 종료 시점(T2)의 내부 환경정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weight calculation formula (4) is , where T D is the operation time required to supply and discharge the preset ice-making water, C T2OUT is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end time (T2) of the first ice-making cycle, and C T2OUT is the end time of the first ice-making cycle It may be the in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T2).
예를 들면, P1이 4000초이고, TD가 3964초이며, 초기시점(T1)의 외부 환경정보인 온도가 40℃이고, 초기시점(T1)의 외부 환경정보인 온도가 10℃일 때, 제2 가중치는 12일 수 있다. 이에, 환경정보 온도 항목에 기설정된 가중치(τ)는 제1 및 제2 가중치인 18과 12의 평균값인 15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P1 is 4000 seconds, T D is 3964 seconds, the temperature that is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at the initial time point T1 is 40° C., and the temperature that is the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at the initial time point T1 is 10° C., The second weight may be 12. Accordingly, the weight τ preset i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emperature item may be 15,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18 and 12, which are the first and second weights.
즉, 제어부(130)는 제1 제빙주기(P1)의 특정 시점마다 내외부의 온도차, 제1 제빙주기(P1) 및 기설정된 제빙수 공급에 따른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시점별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를 평균하여 환경정보 항목별로 기설정된 가중치를 사전에 결정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결국, 제어부(130)는 제1 및 제2 샘플 구간(S1, S2)의 합인 단위시간(TU)에 따라, 사용자 입력 두께(DIN)로부터 제1 제빙주기(P1)를 기준으로 도출되는 변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제빙되는 시간 구간인 제2 제빙주기(P2)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2 제빙주기(P2)는 기준 제빙 두께(DR)를 기준으로, 추가 제빙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 제빙 시간일 수 있다. As a result, the
여기서, 단위시간(TU)은 단위 두께(DU)로 제빙되는 단위 시간 구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샘플 구간(S1, S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위 두께(DU)에 대한 제1 샘플 구간(S1)이 40초이고, 단위 두께(DU)에 대한 제2 샘플 구간(S2)이 45초일 때, 단위시간(TU)은 T2와 T4 사이의 시간 구간인 85초일 수 있다. Here, the unit time (T U ) means a unit time section in which ice is made with a unit thickness (D U ), and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ample sections ( S1 and S2 ). For example, when the first sample interval S1 for the unit thickness D U is 40 seconds and the second sample interval S2 for the unit thickness D U is 45 seconds, the unit time T U ) may be 85 seconds, which is a time interval between T2 and T4.
이때, 변수 정보는 다음의 산출식(5)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ariable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formula (5).
여기서, 산출식(5)는 이고, 이때, DIN은 사용자 입력 두께이고, DR은 기준 제빙 두께이며, DU는 단위 두께일 수 있다. Here, the formula (5) is In this case, DIN may be a user input thickness, D R may be a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nd D U may be a unit thickness.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두께(DIN)가 60mm, 기준 제빙 두께(DR)가 20mm, 단위 두께(DU)가 10mm인 경우, 변수 정보는 4일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비율식(1), 제2 샘플구간 산출식(2), 제1 가중치 산술식(3) 및 제2 가중치 산술식(4)을 통해 산출된 단위 두께(DU)와 산출식(5)를 통해 산출된 변수 정보의 곱이 40mm인 추가 제빙 두께(DA)를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 thickness D IN is 60 mm,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D R is 20 mm, and the unit thickness D U is 10 mm, the variable information may be 4. As shown in FIG. 3B , the
즉, 전체 제빙 구간(PT)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두께(DIN)는 기준 제빙 두께(DR)와 추가 제빙 두께(DA)의 합이고, 추가 제빙 두께(DA)는 단위 두께(DU)와 변수 정보의 곱일 수 있다. That is, the user input thickness (D IN ) corresponding to the entire ice-making section (P T ) is the sum of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DR ) and the additional ice-making thickness (D A ), and the additional ice-making thickness ( D A ) is the unit thickness ( D U ) and variable information.
이렇게, 제어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수 정보와 단위 시간(TU)을 곱하여 제2 제빙주기(P2)를 산출하고, 제1 제빙주기(P1)와 제2 제빙주기(P2)를 합한 전체 제빙 구간(PT)을 산출함으로써, 전체 제빙 구간(PT)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 두께(DIN)로 제빙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as shown in FIG. 5 , the
여기서, 제2 제빙주기(P2)는 추가적으로 제빙되는 시간 구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변수 정보와 단위시간(TU) 간의 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제빙주기(P2)는 T2와 T5 사이의 시간 구간을 의미하고, 전체 제빙 구간(PT)은 T1와 T5 사이의 시간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ice-making period P2 refers to a time section in which additional ice is made, and may be a product of variable information and a unit time T U . For example, the second ice-making period P2 may mean a time interval between T2 and T5, and the entire ice-making period P T may mean a time interval between T1 and T5.
이후, 제어부(130)는 제1 제빙주기(P1)와 제2 제빙주기(P2)를 합하여 전체 제빙 구간(PT)을 산출하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제1 제빙주기(P1), 제2 제빙주기(P2) 및 전체 제빙 구간(PT)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도 4는 도 2의 센서부(120)의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하우징(103) 내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센서부(120)는 제1 및 제2 센서부(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4 , the
먼저, 제1 센서부(121)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생성된 두께별 입력신호에 따라, 서로가 기준 거리(d2) 이격된 제1 및 제2 수위센서(121_1, 121_2)를 통해 제1 제빙주기(P1)의 초기 시점(T1)과 종료 시점(T2)을 감지할 수 있다. First, the
이때, 제2 수위센서(121_2)는 기준 제빙 두께(DR)에 대한 사용자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저장조(101)의 측벽을 따라 상하로 이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121_2 may be formed to be transported up and down along the sidewall of the
한편, 도 4에서는 저장조(101)와 증발기(102)가 공급관(102_2)과 배출관(102_3)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102_2)만 연결되고, 저장조(101)는 증발기(102)와 얼음트레이(102_1)의 아래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얼음트레이(102_1)의 바닥면은 제빙수를 떨어뜨릴수 있도록 망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FIG. 4, the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위센서(121_1)는 저장조(101) 내부 일측벽에 기설정된 고수위 위치(PH)에 배치되고, 제빙수의 수위가 고수위 위치(PH)로 감지될 때의 시간 정보인 초기 시점(T1)을 측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121_1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igh water level position P H on one side wall of the
또한, 제2 수위센서(121_2)는 저장조(101) 내부 일측벽에 기설정된 저수위 위치(PL)에 배치되고, 제빙수의 수위가 저수위 위치(PL)로 감지될 때의 시간 정보인 종료 시점(T2)을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121_2 is disposed at a preset low water level position P L on one side wall of the
실시예에 따라, 제2 수위센서(121_2)는 저장조(101)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제1 거리(d1)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 수위센서(121_1)는 저장조(101)의 바닥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제2 수위센서(121_2)로부터 제2 거리(d2)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d1)는 기준 거리에 대응되는 제2 거리(d2)보다 적어도 두배 이상 크게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121_2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다음으로, 제2 센서부(122)는 하우징(101) 내부에 배치된 내부 환경 센서(122_1)를 통해 내부 환경정보를 감지하고, 하우징(101) 외부에 배치된 외부 환경 센서(122_2)를 통해 외부 환경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Next, the
여기서, 내부 환경정보는 하우징(101) 내부의 제빙수 온도, 냉각수 온도, 기압, 습도 및 온도를 포함하고, 외부 환경정보는 하우징(101) 외부의 기압, 습도 및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an ice-making water temperature, a cooling water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humidity, and temperature inside the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환경 센서(122_1)는 하우징(101) 내부에 각 구성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복수개로 배치되고, 외부 환경 센서(122_2)는 하우징(101)에 구비된 통풍구(103_1)에 인접하게 복수개로 부착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 a plurality of internal environmental sensors 122_1 are disposed inside the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어부(13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도 5는 도 1의 제어부(130)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탈빙기 제어부(131), 피드백부(132) 및 변수비율 수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먼저, 탈빙기 제어부(131)는 전체 제빙 구간(PT) 이후에, 탈빙기(104)를 통해 증발기(102)에서 제빙된 얼음을 탈빙(이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탈빙기(104)는 증발기(102)에 형성된 얼음을 탈빙시키도록 증발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일 수 있다. First, after the entire ice-making section P T , the ice-removing
다음으로, 피드백부(132)는 탈빙기(104)를 통해 탈빙된 얼음 두께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신호는 얼음 두께가 적절함을 의미한 확인 입력 신호 및 얼음 두께를 일정 크기 수정 요청하기 위한 수정두께 입력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다음으로, 변수 수정부(133)는 피드백 신호가 수정두께 입력신호인 경우, 추가 제빙 두께에 대해 제빙 장애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변수 수정부(133)는 수정두께 입력신호에 따라, 사용자 입력 두께(DIN)와 기준 제빙 두께(DR) 간의 제1 차이값과 수정 입력 신호에 따라 수정된 수정 두께(DINR)와 기준 제빙 두께(DR) 간의 제2 차이값에 대한 비율에 기초하여 변수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Next, when the feedback signal is the correction thickness input signal, the
예를 들면, 수정 입력 신호가 10mm 증가 요청 신호이고, 기준 제빙 두께(DR)가 20mm이며, 사용자 입력 두께(DIN)가 100mm이고, 변수 정보가 4인 경우, 변수 수정부(133)는 제1 차이값인 '80mm'와 제2 차이값인 '90mm'에 대한 비율에 기초하여, 변수 정보인 '4'를 '4.5'로 수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rrection input signal is a 10 mm increase request signal,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D R is 20 mm, the user input thickness D IN is 100 mm, and the variable information is 4, the
도 6은 도 2의 제빙기(100)에 대한 동작 프로세스이다. FIG. 6 is an operation process for th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110 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 두께(DIN)를 입력받아 제빙 두께를 조절하기 위한 두께별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110)는 두께별 입력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1 to 6 , first, in step S110 , the
그런 다음, S120 단계에서, 센서부(120)는 제어부(130)를 통해 전달받는 두께별 입력신호에 따라, 기준 제빙 두께(DR)에 대응되는 수위 구간의 제1 제빙주기(P1)를 감지하고, 하우징(103)을 기준으로 내외부 환경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Then, in step S120 , the
이때, S130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 두께(DIN)가 기준 제빙 두께(DR)보다 일정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제빙주기(P1)와 기준 제빙 두께(DR) 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단위 두께(DU)에 대한 제1 샘플 구간(S1)을 산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step S130 , when the user input thickness D IN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than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D R , the
그런 다음, S14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제1 샘플 구간(S1)에서의 내외부 환경정보 평균값에 기초하여 단위 두께(DU)에 대한 제2 샘플 구간(S2)을 산출할 수 있다. Then, in step S140 , the
이때, S15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제1 및 제2 샘플 구간의 합인 단위시간(TU)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두께로부터 제1 제빙주기(P1)를 기준으로 도출되는 변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제빙되는 시간 구간인 제2 제빙주기(P2)를 산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step S150 , the
이후, S160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제1 제빙주기(P1)와 제2 제빙주기(P2)를 합하여 전체 제빙 구간(PT)을 산출하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제1 제빙주기(P1), 제2 제빙주기(P2) 및 전체 제빙 구간(PT)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reafter, in step S160 , the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specification, only a few examples among the various embodiments performed by the present inventors are described,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that it may be modified and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제빙기
110: 인터페이스부
120: 센서부
130: 제어부100: ice machine
110: interface unit
120: sensor unit
130: control unit
Claims (5)
사용자 입력 두께를 입력받아 제빙 두께를 단계별로 조절하기 위한 두께별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두께별 입력신호에 따라, 기준 제빙 두께에 대응되는 수위 구간의 제1 제빙주기를 감지하고,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내외부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두께가 기준 제빙 두께보다 일정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제빙주기와 기준 제빙 두께 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단위 두께에 대한 제1 샘플 구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샘플 구간에서의 내외부 환경정보 평균값에 기초하여 단위 두께에 대한 제2 샘플 구간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샘플 구간의 합인 단위시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두께로부터 상기 제1 제빙주기를 기준으로 도출되는 변수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제빙되는 시간 구간인 제2 제빙주기를 산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음의 비율식을 통해 상기 제1 샘플 구간을 산출하고,
여기서, 비율식(1)은 (1)이고, P1은 제1 제빙주기, DR은 기준 제빙 두께, S1은 제1 샘플 구간 및 DU는 단위 두께이며,
상기 제2 샘플 구간을 다음의 제2 샘플구간 산출식(2)을 통해 산출하며,
여기서, 제2 샘플구간 산출식(2)은 이고, 이때, CAINS1은 제1 샘플 구간(S1)에서의 외부 환경정보에 대한 평균값이고, CAOUTS1은 제1 샘플 구간(S1)에서의 내부 환경정보에 대한 평균값이며, τ는 환경정보 항목별로 기설정된 가중치인, 제빙기. An ice maker comprising: a storage tank containing ice-making water;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ice-making water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and a housing for protecting the storage tank and the evaporator from the outside;
an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a user input thickness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each thickness for step-by-step adjustment of the ice-making thickness;
a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a first ice-making cycle in a water level section corresponding to a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for each thickness, and to sens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the housing; and
When the user input thickness exceeds a predetermined size of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 first sample interval for a unit thickness is calculated based on the ratio between the first ice-making period and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nd inside and outside the first sample interval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second sample section for a unit thickness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is
A second ice-making period, which is a time period for additional ice-making, is calculated based on variabl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user input thickness based on the first ice-making period according to a unit time that is the sum of the first and second sample periods,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first sample interval through the following ratio equation,
Here, ratio formula (1) is (1), P1 is the first ice-making cycle, D R is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S1 is the first sample interval, and D U is the unit thickness,
The second sample interval is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second sample interval calculation formula (2),
Here, the second sample interval calculation formula (2) is In this case, C AINS1 is the average valu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first sample period S1, C AOUTS1 is the average value of the in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first sample period S1, τ i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tem An ice maker, which is a preset weight.
상기 센서부는 상기 두께별 입력신호에 따라, 서로가 기준 거리 이격된 제1 및 제2 수위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제빙주기의 초기 시점과 종료 시점을 감지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복수개 배치된 내부 환경 센서를 통해 내부 환경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하우징 외부에 복수개 배치된 외부 환경 센서를 통해 외부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위센서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 사이의 제2 거리는 상기 제1 및 제2 수위센서 사이의 제1 거리보다 적어도 두배 이상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수위센서는 기준 제빙 두께에 대한 사용자 수정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조의 일 측벽을 따라 상하로 이송되도록 형성되는, 제빙기.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first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an initial time and an end time of the first ice-making cycle through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o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reference distance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for each thickness; and
A second sensor unit for detecting in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internal environmental sensor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detecting exter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external environmental sensors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A second distance between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is set to be at least twi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ter level sensors,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is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one sidewall of the storage tank based on a user's request for modification of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제빙주기 합인 전체 제빙 구간 이후에,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탈빙기를 통해 상기 증발기에서 제빙된 얼음을 탈빙시키는 탈빙기 제어부;
상기 탈빙기를 통해 탈빙된 얼음 두께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받는 피드백부;
상기 피드백 신호가 수정 두께 입력인 경우, 추가 제빙 두께에 대해 제빙 장애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두께와 기준 제빙 두께 간의 제1 차이값과 상기 수정 두께와 기준 제빙 두께 간의 제2 차이값에 대한 비율에 기초하여 변수 정보를 수정하는 변수 수정부를 포함하는, 제빙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n ice maker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move ice made in the evaporator through an ice eliminat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fter an entire ice making section that is the sum of the first and second ice making cycles;
a feedback unit for receiving a feedback signal for the thickness of ice removed through the ice removal machine from a us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When the feedback signal is the correction thickness input, the additional ice-making thickness is determined as an ice-making failure, and the ratio of the first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user input thickness and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nd the second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correction thickness and the reference ice-making thickness An ice maker comprising a variable correction unit that corrects variable information based 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1190A KR102412126B1 (en) | 2021-10-21 | 2021-10-21 | Ice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1190A KR102412126B1 (en) | 2021-10-21 | 2021-10-21 | Ice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2126B1 true KR102412126B1 (en) | 2022-07-01 |
Family
ID=8239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1190A Active KR102412126B1 (en) | 2021-10-21 | 2021-10-21 | Ice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212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311827A (en) * | 2023-05-09 | 2023-06-23 | 深圳市兄弟制冰系统有限公司 | Internet-based ice machine fault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0860A (en) * | 1996-04-25 | 1997-11-07 | 구자홍 | How to control ice thickness of ice machine |
KR20120072719A (en) | 2010-12-24 | 2012-07-04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Ice maker |
JP2013190174A (en) * | 2012-03-14 | 2013-09-26 | Fukushima Industries Corp | Ice making machine |
KR20150115320A (en) * | 2014-04-03 | 2015-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ice maker |
KR20160107174A (en) * | 2014-01-08 | 2016-09-13 | 트루 매뉴팩쳐링 코., 인크. | Variable-operating point components for cube ice machines |
KR20200015107A (en) * | 2018-08-02 | 2020-02-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2021
- 2021-10-21 KR KR1020210141190A patent/KR1024121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0860A (en) * | 1996-04-25 | 1997-11-07 | 구자홍 | How to control ice thickness of ice machine |
KR20120072719A (en) | 2010-12-24 | 2012-07-04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Ice maker |
JP2013190174A (en) * | 2012-03-14 | 2013-09-26 | Fukushima Industries Corp | Ice making machine |
KR20160107174A (en) * | 2014-01-08 | 2016-09-13 | 트루 매뉴팩쳐링 코., 인크. | Variable-operating point components for cube ice machines |
KR20150115320A (en) * | 2014-04-03 | 2015-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ice maker |
KR20200015107A (en) * | 2018-08-02 | 2020-02-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311827A (en) * | 2023-05-09 | 2023-06-23 | 深圳市兄弟制冰系统有限公司 | Internet-based ice machine fault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
CN116311827B (en) * | 2023-05-09 | 2024-04-26 | 广州星语电器制造有限公司 | Internet-based ice machine fault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2126B1 (en) | Ice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CN106885442B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528745B2 (en) | Reducing or avoiding ice formation in an intermittently operated cooling unit | |
US9551357B2 (en) | Oil management system for a compressor | |
EP3201539B1 (en) | A method, a controller and a system for estimating loss of refrigerant charge in an rvcs system | |
CN104990356A (en) | Compressor start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refrigerator | |
JP2015206502A (en) | Storage | |
JP5709785B2 (en) | refrigerator | |
JP2002295931A (en) | Automatic ice maker | |
JP2013113562A (en) | Cooling device for vehicle | |
ITMI981764A1 (en) | SELF-ADAPTIVE CONTROL FOR THE REGULATION OF REFRIGERATORS AND FROZEN PRODUCTS | |
KR101395119B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 |
KR100727027B1 (en) | Refrigerator having a control function of cold air using the volume ratio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0557433B1 (en) | Refrigerator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 |
JP6529661B2 (en) | Refriger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ion apparatus | |
KR20170029991A (en) | Device for removing defrost of the refrigerator evaporator | |
KR101652523B1 (en) |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 |
KR100807280B1 (en) |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220022257A (en) | Temperature contorl method for detaching ice of ice maker | |
JPH0498059A (en) | Detecting device for freezing in evaporator of refrigerating plant | |
JP5627562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JP2010101611A (en) | Control system, integrated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 |
JP2003130519A (en) | Ice maker and freezer refrigerator having this ice maker | |
KR20160097516A (en) | Method for controlling step valve of refrigerator | |
KR20140093331A (en) | Method for preventing dew formation of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0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