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349A - The cake box - Google Patents
The cake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6349A KR20120056349A KR1020100117828A KR20100117828A KR20120056349A KR 20120056349 A KR20120056349 A KR 20120056349A KR 1020100117828 A KR1020100117828 A KR 1020100117828A KR 20100117828 A KR20100117828 A KR 20100117828A KR 20120056349 A KR20120056349 A KR 201200563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estal
- cut
- cake
- cake box
- fixing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크이 올려진 받침대를 케이크 상자에 넣고 운반할 때 상하의 움직임에 의하여 케이크의 상부 장식부가 상자 내부의 천정면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대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두꺼운 판지를 재단한 후 사각박스의 형태로 절첩하여 내부에 받침대를 포함하는 케이크를 삽입하도록 하는 케이크 상자에 있어서;
상기 케이크 상자는 정면 또는 배면이 개방되어 받침대를 포함하는 케이크가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를 상기 케이크 상자의 바닥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받침대 고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ke box, which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ake to prevent the top decoration of the cake from colliding with the ceiling surface inside the box due to the up and down movement when the cake is placed in the cake box and transported. Developed to be fixed;
A cake box for cutting a thick cardboard and then fol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to insert a cake including a support therein;
The cake box is configured to insert a cake including a pedestal with the front or the back open;
It relates to a cake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edestal fixing means for tightly fixing the pedestal to the bottom of the cake box.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크이 올려진 받침대를 케이크 상자에 넣고 운반할 때 상하의 움직임에 의하여 케이크의 상부 장식부가 상자 내부의 천정면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대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ke box,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prevent the upper decoration part of the cake from colliding with the ceiling surface inside the box and being damaged by the up and down movement when the cake is placed and transported in a cake box. It relates to a cake box developed so that the pedestal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케이크의 사전적인 정의는 설탕 ?달걀 ?밀가루(또는 녹말) ?버터(또는 마가린 ?식물성 유지) ?우유 ?크림 ?생크림 ?양주류 ?레몬 ?초콜릿 ?커피 ?과일 ?향료 ?이스트 등의 재료를 적절히 혼합하여 구운 서양과자의 총칭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케이크라고 하면 생일이나 기념일 등에 주로 사용하는 것을 떠올리게 된다.The dictionary definition of cake is to use ingredients such as sugar, eggs, flour (or starch), butter (or margarine, vegetable oil), milk, cream, fresh cream, liquor, lemon, chocolate, coffee, fruit, flavor, yeast, etc. The collective term for confectionery baked and baked cakes in our country generally reminds us of birthdays and anniversaries.
이러한 케이크의 경우 보통 사각판 형상의 받침대 위에 다양한 형상을 가진 케이크가 올려지도록 하여 그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고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case of such a cake, a cake having various shapes is usually placed on a square plate-shaped pedestal so that its shape can be stored and moved without being disturbed.
또한 외부로 이동할 경우를 고려하여 케이크 판매점에서는 박스형의 케이크 상자에 상기 받침대를 포함한 케이크를 넣어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case of moving to the outside, the cake shop is to put the cake including the pedestal in the box-shaped cake box to move.
하지만 이동중에 상하 좌우로의 흔들림은 케이크를 손상시키게 되며 특히 상하의 움직임은 케이크 상면에 형성되어있는 각종 장식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shaking up and down during the movement damages the cake, in particular the movement of the up and down has a problem that damages the various decoratio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k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케이크 상자에 넣어진 케이크를 받치는 받침대가 상자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케이크 상자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cake box that can be fixed to the pedestal for holding the cake put in the cake box inside the box.
또한, 외부의 충격에도 받침대의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크 상자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cake box in which the fixed state of the pedestal can be maintained even from external imp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꺼운 판지를 재단한 후 사각박스의 형태로 절첩하여 내부에 받침대를 포함하는 케이크를 삽입하도록 하는 케이크 상자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ke box for cutting the thick cardboar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to be inserted into the cake containing a pedestal inside;
상기 케이크 상자는 정면 또는 배면이 개방되어 받침대를 포함하는 케이크가 삽입되도록 구성되고;The cake box is configured to insert a cake including a pedestal with the front or the back open;
상기 받침대를 상기 케이크 상자의 바닥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받침대 고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edestal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edestal to the bottom of the cake box.
아울러, 상기 케이크 상자는 사각판 형상의 바닥부와;In addition, the cake box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rectangular plate shape;
상기 바닥부의 대응하는 양측 변에서 적어도 받침대의 두께보다 소폭 길게 연장되어 상향으로 절곡되는 간격부와, 상기 간격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끝단에서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가 밀착되는 부분을 접착하는 접착층으로 구성되는 받침대 고정수단과;A spaced portion extending at least slightly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edestal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to be bent upwardly; Pedestal fixing means composed of an adhesive layer for adhering a second protrusion and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re in close contact;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의 제2 돌출부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향으로 절곡되는 두 개의 측면부와;Two side portions bent upwardly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pedestal fixing means;
상기 측면부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면부와;An upper surface portion connected to one of the side portions;
상기 바닥부와 측면부 및 상면부의 전후 방향에서 연장되어 절첩되면서 각각 정면과 배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마감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ttom portion, the side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extended and fol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inishing portion to finish the front and back respectively.
또한,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는 마감부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의 접착된 제1 및 제2 돌출부가 삽입되는 돌출부 삽입홈과, 상기 바닥부와의 경계선에 형성되는 제1 절단부 및 대칭하는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절단부와,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의 끝단을 연결하여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하는 제1 절첩부로 이루어진 제1 돌출부 지지판넬이 일체로 형성되고;In addition, the bottom of both ends of the finish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is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of the pedestal fixing means is inserted, the first cut portion formed in the boundary line with the bottom portion and the symmetric top A first protruding portion supporting panel including a second cutout portion formed in the first cutout portion and a first folded portion for connecting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utout portions to be folded inwardly;
인접한 상기 측면부의 마감부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제1 돌출부 지지판넬의 면적보다 넓게 절개된 간섭회피홈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One side lower end of the adjacent side en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ference avoidance groove is further formed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projection support panel.
아울러,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의 제2 돌출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는 수평으로 절개된 제3 절단부와, 상기 제3 절단부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절개되는 제4 절단부와, 상기 제3 절단부의 양측 끝단과 상기 제4 절단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제2 절첩부로 구성되는 제2 돌출부 지지판넬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third cut portion horizontally cut between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pedestal fixing means, a fourth cut portion cut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third cut portion, both ends of the third cut portion and the first cut portion; 4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second projection support panel is formed consisting of two second folds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cut.
또한, 상기 케이크 상자는 사각판 형상의 바닥부와;In addition, the cake box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rectangular plate shape;
상기 바닥부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향으로 절곡되는 두 개의 측면부와;Two side portions bent upwar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상기 측면부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면부와;An upper surface portion connected to one of the side portions;
상기 바닥부와 측면부 및 상면부의 전후 방향에서 연장되어 절첩되면서 각각 정면과 배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마감부와;A finishing part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ttom part, the side part, and the upper part to be folded and closing the front and back surfaces, respectively;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은 상기 측면부와 바닥부의 절첩선에서 상기 받침대의 두께보다 소폭 더 이격된 위치에서 평행하게 절개되는 제5 절단부와, 제5 절단부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절개되는 제6 절단부와, 상기 제5 절단부의 양측 끝단과 상기 제6 절단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제3 절첩부로 구성되어 상기 측면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edestal fixing means includes a fifth cutout cut in parallel at a position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thickness of the pedestal at a fold line of the side portion and the bottom, a sixth cutout cut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fifth cutout, and the second cutout. 5 is composed of two third folding portion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utting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sixth cut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two or more in the side portion.
아울러, 상기 받침대의 네 모서리와 인접하여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추가로 형성되고;In addition, a through hole vertically penetrated adjacent to the four corners of the pedestal is further formed;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상기 관통홀에 상응하는 부분에 십자로 절개된 제7 절단부와, 상기 제7 절단부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4 절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edestal fix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eventh cut portion cut crosswise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fourth folded portion connecting the end of the seventh cut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크 상자 내부에 들어 있는 받침대를 특히 상하의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하도록 하여 케이크 상부가 케이크 상자 내부의 천정과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upper part of the cake from colliding with the ceiling inside the cake box by fixing the pedestal inside the cake box so as not to move upward and downward.
또한, 받침대를 고정하는 수단이 외력에 의하여 절첩되는 등의 원인으로 받침대를 견고히 고정하는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의 수를 최소화하여 보다 안전하게 케이크를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tored and transported more safely by minimizing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means for fixing the pedestal does not function to firmly secure the pedestal due to being folded by an external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 고정수단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돌출부 지지판넬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2 돌출부 지지판넬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 고정수단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 고정수단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the bas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pa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velopment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pan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bracket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2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bracket fixing mean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 고정수단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두꺼운 판지를 재단한 후 사각박스의 형태로 절첩하여 내부에 받침대(11)를 포함하는 케이크(1)를 삽입하도록 하는 케이크 상자에 있어서;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evelopment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Figure 4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folding process of the holding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utting the thick cardboard and fol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to insert the cake (1) including the
상기 케이크 상자는 정면 또는 배면이 개방되어 받침대(11)를 포함하는 케이크(1)가 삽입되도록 구성되고;The cake box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상기 받침대(11)를 상기 케이크 상자의 바닥부(2)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받침대 고정수단(3)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를 나타내었다.The cake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edestal fixing means (3) for fixing the
상기 실시 예는 상기 케이크 상자에 상기 받침대(11)를 포함하는 케이크(1)를 삽입하였을 때 상기 받침대(11)가 상자의 바닥부(2)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하의 움직임에 상기 받침대(11)가 요동하지 않도록 함이 주 목적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개된 두꺼운 판지를 절첩하여 구성되는 케이크 상자인 점을 고려하여 별도의 부가적인 구성품을 사용하지않고 상자 자체를 일부 절첩하는 등의 방법으로 몬원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함이 제조원가와 조립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is a cake box that is formed by folding a thick cardboard that has been developed, the purpose of Monwon is achieved by folding some of the box itself without using additional components. Considering this manufacturing cost and the convenience of assembly, it would be natural.
이에 본원은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그 중 하나는 상기 케이크 상자는 사각판 형상의 바닥부(2)와;Thus, the present application has presented various methods in a more specific embodiment, one of which is the cake box and the bottom portion (2) of the rectangular plate shape;
상기 바닥부(2)의 대응하는 양측 변에서 적어도 받침대(11)의 두께보다 소폭 길게 연장되어 상향으로 절곡되는 간격부(31)와, 상기 간격부(31)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 돌출부(32)와, 상기 제1 돌출부(32)의 끝단에서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2 돌출부(33)와,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32, 33)가 밀착되는 부분을 접착하는 접착층(34)으로 구성되는 받침대 고정수단(3)과;At least two side edges of the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의 제2 돌출부(33)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향으로 절곡되는 두 개의 측면부(4)와;Two
상기 측면부(4)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면부(5)와;An
상기 바닥부(2)와 측면부(4) 및 상면부(5)의 전후 방향에서 연장되어 절첩되면서 각각 정면과 배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마감부(6)로 구성되는 구성을 제시하였다.The
이때 상기 간격부(31)는 상기 받침대(11)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받침대(11)의 두께와 동일하다면 그 삽입이 어렵고 너무 클 경우 받침대(11)를 포함하는 케이크의 유동이 심하므로 보통 받침대(11)의 두께보다 수mm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접착층(34)의 경우 조립 과정에서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보다 간단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렇게 형성된 받침대 고정수단(3)은 각각 받침대(11)의 양측 상단에 밀착되는 형식으로 돌출되어 받침대(11)를 포함하는 케이크가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The pedestal fixing means 3 formed as described above protrudes in a form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both top ends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돌출부 지지판넬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바닥부(2)와 연결되는 마감부(6)의 양측 하단에는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의 접착된 제1 및 제2 돌출부(32, 33)가 삽입되는 돌출부 삽입홈(71)과, 상기 바닥부(2)와의 경계선에 형성되는 제1 절단부(72) 및 대칭하는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절단부(73)와, 상기 제1 및 제2 절단부(72, 73)의 끝단을 연결하여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하는 제1 절첩부(74)로 이루어진 제1 돌출부 지지판넬(7a)이 일체로 형성되고;5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to 6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pa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both ends of the connecting
인접한 상기 측면부(4)의 마감부(6)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제1 돌출부 지지판넬(7a)의 면적보다 넓게 절개된 간섭회피홈(61)이 추가로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One side lower end of the finishing
상기 실시 예는 돌출된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이 아래 방향 또는 위로 접치를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끝단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시한 것이다.The embodiment proposes a means for fixing both end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ase where the protruding pedestal fixing means 3 is folded downward or upward.
이때 상기 간섭회피홈(61)은 상기 제1 돌출부 지지판넬(7a)를 절첩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2 돌출부 지지판넬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의 제2 돌출부(33)와 상기 측면부(4) 사이에는 수평으로 절개된 제3 절단부(75)와, 상기 제3 절단부(75)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절개되는 제4 절단부(76)와, 상기 제3 절단부(75)의 양측 끝단과 상기 제4 절단부(76)의 상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제2 절첩부(77)로 구성되는 제2 돌출부 지지판넬(7b)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7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to 8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pan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제2 실시 예와 같이 돌출된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이 특히 상방향으로 접혀 받침대(1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돌출부 지지판넬(7b)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3 절단부(75)가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방향으로 접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above embodiment is to prevent the pedestal fixing means (3) protruded in the upward direction, in particular, to prevent the pedestal (11) from being detached, as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Pressing 7b) from the outer side to the inner side prevents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 고정수단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케이크 상자는 사각판 형상의 바닥부(2)와;9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A to 10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a pedestal fixing mean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ake box is a bottom of a rectangular plate shape.
상기 바닥부(2)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향으로 절곡되는 두 개의 측면부(4)와;Two
상기 측면부(4)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면부(5)와;An
상기 바닥부(2)와 측면부(4) 및 상면부(5)의 전후 방향에서 연장되어 절첩되면서 각각 정면과 배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마감부(6)와;A finishing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은 상기 측면부(4)와 바닥부(2)의 절첩선에서 상기 받침대(11)의 두께보다 소폭 더 이격된 위치에서 평행하게 절개되는 제5 절단부(35)와, 제5 절단부(35)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절개되는 제6 절단부(36)와, 상기 제5 절단부(35)의 양측 끝단과 상기 제6 절단부(36)의 상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제3 절첩부(37)로 구성되어 상기 측면부(4)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The pedestal fixing means (3) is the fifth cut portion (35) which is cut in parallel at a position spaced apart a little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제3 실시 예의 제2 돌출부 지지판넬(7b)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그 자체가 상기 바닥부(2)와의 사이에 받침대(11)가 삽입되어 상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어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e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전개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 고정수단의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받침대(11)의 네 모서리와 인접하여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12)이 추가로 형성되고;FIG. 11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A to 12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a pedestal fixing mean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joining vertically penetrating through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은 상기 바닥부(2)의 상기 관통홀(12)에 상응하는 부분에 십자로 절개된 제7 절단부(38)와, 상기 제7 절단부(38)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4 절첩부(3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를 나타내었다.The pedestal fixing means (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는 받침대(11)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과는 달리 보다 적극적으로 받침대를 직접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be able to directly fix the pedestal more aggressively, unlike having the structure that is inserted to prevent the vertical flow of the pedestal (11).
이에 사용자는 받침대(11)를 포함하는 케이크(1)를 케이크 상자에 넣고 저면에서 손가락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7 절단부(38)를 밀어 넣으면서 법선방향으로 절첩하여 고정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puts the
1 : 케이크
11 : 받침대 12 : 관통홀
2 : 바닥부
3 : 받침대 고정수단
31 : 간격부 32 : 제1 돌출부
33 : 제2 돌출부 34 : 접착층
35 : 제5 절단부 36 : 제6 절단부
37 : 제3 절첩부 38 : 제7 절단부
39 : 제4 절첩부
4 : 측면부
5 : 상면부
6 : 마감부
61 : 간섭회피홈
7a : 제1 돌출부 지지판넬
71 : 돌출부 삽입홈 72 : 제1 절단부
73 : 제2 절단부 74 : 제1 절첩부
7b : 제2 돌출부 지지판넬
75 : 제3 절단부 76 : 제4 절단부
77 : 제2 절첩부1: cake
11: base 12: through hole
2: bottom
3: base fixing means
31: gap 32: first protrusion
33: second protrusion 34: adhesive layer
35: fifth cut portion 36: sixth cut portion
37: third folded portion 38: seventh cut portion
39: fourth folding part
4: side part
5: upper surface
6: finish
61: interference avoidance home
7a: first protrusion support panel
71: projection insertion groove 72: the first cut portion
73: second cut portion 74: first folded portion
7b: second protrusion support panel
75: third cut portion 76: fourth cut portion
77: second fold
Claims (6)
상기 케이크 상자는 정면 또는 배면이 개방되어 받침대(11)를 포함하는 케이크(1)가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11)를 상기 케이크 상자의 바닥부(2)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받침대 고정수단(3)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
In the cake box for cutting the thick cardboard and then fol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to insert the cake (1) including a pedestal (11) therein;
The cake box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ake 1 including the pedestal 11 is inserted with the front or the back open;
Cake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edestal fixing means (3) for tightly fixing the pedestal (11) to the bottom (2) of the cake box.
상기 바닥부(2)의 대응하는 양측 변에서 적어도 받침대(11)의 두께보다 소폭 길게 연장되어 상향으로 절곡되는 간격부(31)와, 상기 간격부(31)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 돌출부(32)와, 상기 제1 돌출부(32)의 끝단에서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2 돌출부(33)와,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32, 33)가 밀착되는 부분을 접착하는 접착층(34)으로 구성되는 받침대 고정수단(3)과;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의 제2 돌출부(33)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향으로 절곡되는 두 개의 측면부(4)와;
상기 측면부(4)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면부(5)와;
상기 바닥부(2)와 측면부(4) 및 상면부(5)의 전후 방향에서 연장되어 절첩되면서 각각 정면과 배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마감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
The cake box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ottom portion (2)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t least two side edges of the bottom portion 2 extend at least slightly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edestal 11 to be bent upwardly, and the first protrusions bent inwardly from the gap 31. 32) and an adhesive layer 34 for adhering the second protrusion 33, which is bent out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32, and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32, 3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Pedestal fixing means (3) consisting of;
Two side portions 4 which are bent upwardly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protrusion 33 of the pedestal fixing means 3;
An upper surface portion 5 connected to one of the side portions 4;
Cak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ortion (2) and the side portion (4)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5) is folded and finished with a finishing portion (6) to close the front and back respectively.
인접한 상기 측면부(4)의 마감부(6)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제1 돌출부 지지판넬(7a)의 면적보다 넓게 절개된 간섭회피홈(61)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
3. The protrusion insert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32 and 33 of the pedestal fixing means 3 are inserted into lower ends of both ends of the finishing part 6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2. A first cut portion 72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groove 71, the bottom portion 2, and a second cut portion 73 formed at a symmetrical upper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cut portions 72 and 73; A first protruding portion support panel 7a formed of a first folded portion 74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folded portion 74 to be folded inwardly;
Cak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ference avoiding groove (61) is further formed in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adjacent end portion (6) of the adjacent side portion (4)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projection support panel (7a).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hird cut portion 75 is horizontally cut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33 and the side portion 4 of the pedestal fixing means 3, and in the center of the third cut portion 75 A second protrusion which is composed of a fourth cut portion 76 vertically cut, and two second folded portions 77 connecting both ends of the third cut portion 75 and an upper end of the fourth cut portion 76. Cake box,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support panels (7b) are formed.
상기 바닥부(2)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향으로 절곡되는 두 개의 측면부(4)와;
상기 측면부(4) 중 하나와 연결되는 상면부(5)와;
상기 바닥부(2)와 측면부(4) 및 상면부(5)의 전후 방향에서 연장되어 절첩되면서 각각 정면과 배면을 마감하도록 하는 마감부(6)와;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은 상기 측면부(4)와 바닥부(2)의 절첩선에서 상기 받침대(11)의 두께보다 소폭 더 이격된 위치에서 평행하게 절개되는 제5 절단부(35)와, 제5 절단부(35)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절개되는 제6 절단부(36)와, 상기 제5 절단부(35)의 양측 끝단과 상기 제6 절단부(36)의 상단을 연결하는 두 개의 제3 절첩부(37)로 구성되어 상기 측면부(4)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
The cake box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ottom portion (2)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Two side portions 4 which are bent upwar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2;
An upper surface portion 5 connected to one of the side portions 4;
A finishing part 6 extending from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ottom part 2, the side part 4, and the upper part 5 so as to close the front and the back, respectively;
The pedestal fixing means (3) is the fifth cut portion (35) which is cut in parallel at a position spaced apart a little more than the thickness of the pedestal 11 in the fold line of the side portion (4) and the bottom portion (2), A fifth cutout 36 vertically cut at the center of the fifth cutout 35, and two third folded portion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fth cutout 35 and an upper end of the sixth cutout 36 ( 37) Cake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two or more on the side portion (4).
상기 받침대 고정수단(3)은 상기 바닥부(2)의 상기 관통홀(12)에 상응하는 부분에 십자로 절개된 제7 절단부(38)와, 상기 제7 절단부(38)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4 절첩부(3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The through hole (12) is further formed adjacent to the four corners of the pedestal (11);
The pedestal fixing means (3)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venth cut portion 38 and the seventh cut portion 38 cut crosswise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 of the bottom portion (2) Cake box,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four folds (3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7828A KR20120056349A (en) | 2010-11-25 | 2010-11-25 | The cake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7828A KR20120056349A (en) | 2010-11-25 | 2010-11-25 | The cake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6349A true KR20120056349A (en) | 2012-06-04 |
Family
ID=4660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7828A Abandoned KR20120056349A (en) | 2010-11-25 | 2010-11-25 | The cake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56349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8837B1 (en) * | 2012-12-27 | 2014-07-17 | 권성일 | Cake box |
KR20220000098U (en) * | 2020-07-02 | 2022-01-11 |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 Cake Box Capable of Fixing Cake Support |
-
2010
- 2010-11-25 KR KR1020100117828A patent/KR20120056349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8837B1 (en) * | 2012-12-27 | 2014-07-17 | 권성일 | Cake box |
KR20220000098U (en) * | 2020-07-02 | 2022-01-11 |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 Cake Box Capable of Fixing Cake Suppor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96392B1 (en) | Foldable egg-tray | |
US8556278B2 (en) | Packaging assembly having casters | |
KR20120056349A (en) | The cake box | |
JP5508065B2 (en) | Paper container | |
KR20190031817A (en) | Food packaging box | |
KR20140005679U (en) | Box for keeping fruit | |
RU98108417A (en) | BOX FOR PACKING AND DEMONSTRATION OF PRODUCTS | |
KR20110108076A (en) | Beverage cup box and assembly method | |
KR200406261Y1 (en) | Fast food packaging box | |
KR102023277B1 (en) | Supporting plate to be assembled into a packing box | |
JP3139506U (en) | Partition member | |
KR200367531Y1 (en) | A packing case | |
JP7632239B2 (en) | Packaging box | |
JP3145446U (en) | Deco case assembly paper bottom plate | |
JP3108901U (en) | Assembled paper box | |
KR200496657Y1 (en) | Combined use tray of tteokbokki cake and bar rice cake | |
KR200493907Y1 (en) | Cake Holder | |
KR20120103843A (en) | Muntipurpose cup | |
KR200382932Y1 (en) | A polygonal box for Pizza packing | |
AU2017101812A4 (en) | Container structure | |
JP2008125733A (en) | Knock-down coffin | |
JP3138544U (en) | Paper box with cooler storage space | |
WO2007092348A3 (en) | Carrier and method | |
KR200331028Y1 (en) | A packing box | |
KR200364734Y1 (en) | Pizza packing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4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