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843A - Muntipurpose cup - Google Patents
Muntipurpose cu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3843A KR20120103843A KR1020110021733A KR20110021733A KR20120103843A KR 20120103843 A KR20120103843 A KR 20120103843A KR 1020110021733 A KR1020110021733 A KR 1020110021733A KR 20110021733 A KR20110021733 A KR 20110021733A KR 20120103843 A KR20120103843 A KR 201201038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wall
- cut
- wall surface
- 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0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of variable capac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목적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팝콘 등 과자류를 수용한 상태에서 과자류를 편리하게 먹을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먹고 남은 것을 자체적으로 포장하여 휴대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cup that can be convenient to eat the confectionery in the state accommodating the confectionery such as popcorn, and to be able to carry and package the leftover itself.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 및 바닥면이 폐쇄된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취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paper cup is made of a cylindrical or square cylinder with the top open and the side and bottom closed, and the food cup is accommodated therein for eating.
일반적으로 커피 등 음료를 수용하는 종이컵의 경우 약 200ml 용량으로 되어 크 깊이가 낮기 때문에 음식물을 먹을 때 특별히 불편함이 없다.In general, a paper cup contain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is about 200ml capacity is low because the depth is not particularly uncomfortable when eating food.
그러나 최근 대형극장 등에서 판매하고 있는 팝콘의 경우 1000ml 이상의 용량으로 되어 깊이가 깊고 크기때문에 팝콘 저장량이 감소한 상태에서 바닥에 위치한 팝콘을 꺼내기에 불편함이 따른다.However, the popcorn sold in large theaters has a capacity of more than 1000ml deep and large size, which is inconvenient to take out the popcorn located on the floor while the popcorn storage capacity is reduced.
즉, 바닥에 위치한 팝콘을 꺼내기 위해서는 그만큼 깊은 곳까지 손을 넣어야 하고, 이 경우 조명이 어두운 극장에서는 용기 깊은 곳까지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으므로 팝콘을 꺼내기가 불편할 뿐 아니라, 손등이나 손목 등, 손가락이 아닌 다른 부분에 음식물 찌꺼기가 닿아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take out the popcorn on the floor, you have to put your hand to the depth.In this case, it is not convenient to take out the popcorn because it is not visible to the naked eye deeply in the dark theatre. Food debris can reach other parts, causing discomfort.
더욱이, 몸집이 작은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용기 깊은 곳까지 손을 넣어서 팝콘을 꺼내 먹기가 대단히 어려우며 자칫 내용물을 엎지르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Moreover, in the case of a small infant or child, it is very difficult to take out popcorn by putting a hand deep into a container and spills the contents.
또한, 내용물을 모두 먹지 못하고 남은 경우, 별다른 포장방법이 없기 때문에 종이컵을 휴대하는데 대단히 불편하다. In addition, when the contents are not eaten all left, there is no packaging method is very inconvenient to carry a paper cup.
이를 위해 종이컵 판매자가 해당 종이컵에 대응하는 뚜껑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더욱이 그러한 뚜껑은 단지 1회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조되는 것임을 고려하면 자원을 낭비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For this purpose, the paper cup seller may provide a lid corresponding to the paper cup, but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furthermore, the waste is a waste of resources considering that the lid is manufactured for single use only. .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에 수용된 팝콘 등의 과자류가 줄더라도 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면서도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cup that can be easily and easily take out, even if the confectionery such as popcorn accommodated in the cup to induce interest.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제공되는 뚜껑 없이 컵 자체에서 뚜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먹고 남은 음식물이 있도라도 간편하게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multi-purpose cup to be a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carry even if there is leftover food by forming a lid in the cup itself without a lid provided separate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과 측면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된 컵으로서, 상기 측면은, 복수 개의 벽면이 상호 연결되고, 각 벽면 내에 가로 방향으로 굽힘선이 형성되어 상부가 컵의 내측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한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벽면의 어느 하나에는 그 대향하는 벽면의 상부면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슬릿부가 형성됨으로써 각 상부면이 결합하여 뚜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up with a bottom and side closed and the top open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the side is a plurality of wall surfaces are interconnected,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each wall surfac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ide can be fold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cup, and any one of the wall surface is formed with a slit for fix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pposing wall surface by combining the respective upper surface lid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각 벽면의 연결부분은 절취하여 상호 분리할 수 있도록 절취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절취부는 각 벽변의 상단에서 굽힘선까지 형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nection portion of each of the wall surface may be formed to cu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ut portion is formed from the top of each wall side to the bend line.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굽힘선은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弧形)으로 형성하여 굽힘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포장된 컵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nd line is formed in an arc convex downward to increase the bending force an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packaged cup firm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벽면의 어느 하나에는 가로 방향으로 절개 가능한 파단선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되어 필요시 해당 벽면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break lines that may be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any one of the wall surfaces to lower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wall surface if necessary.
이때 상기 파단선이 형성된 벽면의 양측 연결부분을 절취할 수 있도록 절취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절취부는 각 벽면의 상단에서 최하위의 파단선까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orm a cutout to cut both connecting portions of the wall formed with the break l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out is formed from the upper end of each wall surface to the lowest break line.
본 발명에 따르면, 컵 자체에서 뚜껑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이 남더라도 이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포장하여 휴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d can be formed in the cup itself, the contents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packaged and carried even if the contents remain.
또한, 남은 음식물의 처리를 놓고 고민할 필요가 없게 되어 만족감을 높일 수 있으며, 컵 외에 별도로 뚜껑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소중한 자원 낭비를 초래하지 않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the disposal of food left over, which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lid besides the cup, thus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without causing waste of precious resources. Has the effect.
또한, 컵의 상부부터 일부분씩 절개하여 접는 독특한 구조를 통해 컵의 일부 높이를 자유롭게 낮출 수 있으므로 내용물이 감소하더라도 쉽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게 되어 어린이에게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cup can be freely lowered through the unique structure of folding by cutting a portion from the top of the cup,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taken out even if the contents are reduced, and thus can be useful for childr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구성 변경 과정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구성 변경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싱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의 구성 변경 과정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의 구성 변경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hange process of th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change of th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hange process of the c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change of the c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컵의 상부면을 내측으로 접어서 뚜껑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남은 음식물을 포장 가능하게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inwardly the lid portion The remaining foods can be packaged by forming a mold.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컵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닥과 측면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된 컵으로서, 상기 측면은, 복수 개의 벽면이 상호 연결되며, 각 벽면이 연결된 부분은 모서리를 이루고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multi-purpose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p having a bottom and a side closed and the top open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the side is a plurality of walls are interconnected, each wall is The connected part forms a corner.
예시된 형태와 같이 상기 벽면은 제1벽면(10) 내지 제4벽면(40)을 이룬 4각 컵 형태이고, 각 벽면(10)(20)(30)(40) 내에는 가로 방향으로 제1굽힘선(11) 내지 제4굽힘선(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굽힘선(11~41)의 상부에 형성된 제1상부면(12) 내지 제4상부면(42)은 컵의 내측으로 접을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wall surface is in the form of a quadrilateral cup forming the
또한, 상기 각 벽면(10)(20)(30)(40) 중 어느 하나, 예시된 바와 같이 제3벽면(30)에는 일정 길이 절개된 슬릿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33)는 그 대향하는 벽면, 즉 예시된 바와 같이 제4벽면(40)의 제4상부면(42)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상기 각 벽면(10)(20)(30)(40)의 연결부분은 모서리 부분이므로, 이를 임의로 절취할 수 있으나, 제조과정에서 절취부(50)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절취부는 칼선이 점선 형태로 되어 이웃한 각 벽면을 상호 분리할 수 있도록, 즉 절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Since the connection portions of each of the
상기 절취부(50)는 각 벽면(10)(20)(30)(40)의 연결부분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각 벽변(10)(20)(30)(40)의 상단에서 각 굽힘선(11)(21)(31)(41)까지의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범위는 제한이 없다.The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굽힘선(11)(21)(31)(41)은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弧形)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각 상부면(12)(22)(32)(42)의 굽힘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포장된 컵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구성 변경 과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의 구성 변경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3 내지 도 5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3 and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hange process of th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hange of the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embodi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FIG. 5.
컵 내부의 내용물이 남은 경우,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벽면(10)의 제1상부면(12)을 꺾어서 컵의 내측으로 접은 후, 그 대향하는 제2벽면(20)의 제2상부면(22)을 꺾어서 상기 제1상부면(12)의 상부에 덮는다. 이때 상기 각 상부면(12)(22)의 꺾이는 기준선은 제1굽힘선(11) 및 제2굽힘선(21)이다.When the contents inside the cup remain, as shown in FIG. 3, the first
이후, 도 4와 같이 슬릿부(33)가 형성된 제3상부면(32)은 제3굽힘선(31)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꺾어서 제2상부면(22) 상으로 접은 후, 도 5와 같이 제4상부면(42)을 접혀진 제3상부면(32) 상으로 꺾어서 접으면, 각 상부면(12)(22)(32)(42)이 컵의 뚜껑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4상부면(42)의 단부가 제3상부면(32)의 절개된 슬릿부(33) 내에 끼워져서 제3상부면(32)과 제4상부면(42)이 상호 고정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4, the third
이때 상기 각 벽면(10)(20)(30)(40)에 형성된 상기 각 굽힘선(11)(21)(31)(41)은 도 2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弧形)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상부면(12)(22)(32)(42)이 꺾였을 때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고 꺾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각 굽힘선의 양측 연결부분(모서리 부분)이 호에 의해 연결, 지지되므로 도 5와 같이 포장된 박스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여기서 상기 컵(10)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이재 또는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절취부(50)를 쉽게 절개할 수 있으면서도 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Here, the material of the
도 1 내지 도 5에서 예시된 도면은 4개의 벽면이 연결된 컵을 도시하였지만,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서 그 형태나 벽면의 개수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다.
1 to 5 illustrate a cup connected to four walls, the shape or number of walls can be freely chang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6. May also be modifi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의 구성 변경 과정을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의 구성 변경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더하여, 상기 각 벽면의 어느 하나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한 것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hange process of the c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change of the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of Figure 1, it is possible to lower the height of any one of the respective wall surface.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벽면(10)에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파단선(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단선(60)은 컵의 제조 과정에서 점선 형태로 칼선을 형성하여 쉽게 절취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공지의 제조 기술로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
상기 파단선(60)은 1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파단선(60)이 형성된 제1벽면(10)의 양측 연결부분에도 절취부(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절취부는 제1벽면의 상단에서 최 하부에 위치한 파단선(60)까지 형성된 절취연장부(51)을 이루도록 한다.One or a plurality of
파단선(60)이 복수 개 형성된 경우, 컵 내용물의 양이 점차 줄어들때 그 양에 따라 각 파단선(60)을 순차적으로 절개하여 제1벽면(1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면 컵 내부의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즉, 도 8과 같이 제1벽면(10)의 양측 절취연장부(51)를 최상위 파단선(60)까지 절취한 다음, 최상위 파단선(60)을 절취하면 제1벽면(10)의 높이가 낮아지며, 이러한 순서를 반복하여 모든 파단선(60)을 절취하면 도 9와 같은 상태를 이룰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8, when both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 제1벽면 11: 제1굽힘선 12: 제1상부면
20: 제2벽면 21: 제2굽힘선 22: 제2상부면
30: 제3벽면 31: 제3굽힘선 32: 제3상부면
33: 슬릿부
40: 제4벽면 41: 제4굽힘선 42: 제4상부면
50: 절취부 51: 절취연장부
60: 파단선10: first wall surface 11: first bending line 12: first upper surface
20: second wall surface 21: second bending line 22: second upper surface
30: third wall surface 31: third bending line 32: third upper surface
33: slit section
40: fourth wall 41: fourth bending line 42: fourth upper surface
50: cutout 51: cutout extension
60: breaking line
Claims (6)
상기 측면은, 복수 개의 벽면이 상호 연결되고, 각 벽면 내에 가로 방향으로 굽힘선이 형성되어 상부가 컵의 내측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한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벽면의 어느 하나에는 그 대향하는 벽면의 상부면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슬릿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A cup with the bottom and sides closed and the top open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The side surface includes a top surface of the plurality of wall surfaces are interconnected, and a bend line is formed in each wall surfa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top can be fold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cup,
Cup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wall surface is formed with a slit portion for fixing the upper surface of the opposite wall surface.
상기 각 벽면의 연결부분을 절취할 수 있도록 절취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The method of claim 1,
Cu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out is formed so as to cut off the connecting portion of each wall.
상기 절취부은, 각 벽변의 상단에서 굽힘선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The method of claim 2,
The cut portion is a cu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from the upper end of each wall side to the bend line.
상기 굽힘선은 아래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弧形)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The method of claim 1,
The bending line is a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arc (弧形) convex downward.
상기 벽면의 어느 하나에는 가로 방향으로 절개 가능한 파단선이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break lines which can be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on any one of the wall surfaces.
상기 파단선이 형성된 벽면의 양측 연결부분을 절취할 수 있도록 절취부이 형성되되, 상기 절취부은 벽면의 상단에서 최하위의 파단선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6. The method of claim 5,
Cup is formed to cut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all is formed break line, the cu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 portion formed from the top of the wall to the lowest break l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733A KR101380304B1 (en) | 2011-03-11 | 2011-03-11 | Muntipurpose cu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733A KR101380304B1 (en) | 2011-03-11 | 2011-03-11 | Muntipurpose cu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3843A true KR20120103843A (en) | 2012-09-20 |
KR101380304B1 KR101380304B1 (en) | 2014-04-01 |
Family
ID=4711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17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0304B1 (en) | 2011-03-11 | 2011-03-11 | Muntipurpose cu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030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73599A1 (en) * | 2019-10-17 | 2021-04-22 | Addless Design Limited | 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837U (en) | 2019-02-11 | 2020-08-20 |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 Foldable snack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62545A (en) * | 2001-06-12 | 2002-12-18 | Yusen Fresh Chain Co Ltd | Corrugated fiberboard box |
KR20050043450A (en) * | 2003-11-06 | 2005-05-11 | 철 양 | Paper vessel with a cover |
-
2011
- 2011-03-11 KR KR1020110021733A patent/KR10138030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73599A1 (en) * | 2019-10-17 | 2021-04-22 | Addless Design Limited | 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0304B1 (en) | 2014-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27780B2 (en) | Egg and other product packaging | |
WO2011078890A1 (en) | Packages for consumable produ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 |
EP1216926A1 (en) | Package for delicacies and method for packaging delicacies | |
KR100934457B1 (en) | Cake Packaging Box, Reduced in Half | |
US20120325831A1 (en) | Packages for consumable produ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 |
JP5618658B2 (en) | Food container | |
KR20130042705A (en) | Vessel for packing foods | |
KR101380304B1 (en) | Muntipurpose cup | |
KR20170004381U (en) | Modular food container capable of connecting various divided spaces | |
KR200442946Y1 (en) | Cake or pizza container | |
KR20180000716U (en) | A packing box | |
JP2017226448A (en) | container | |
AU2010100275A4 (en) | Egg and other product packaging | |
KR200359298Y1 (en) | Packing box for eggs | |
KR200400831Y1 (en) | Box for packing eggs | |
KR101380302B1 (en) | Multipurpose cup | |
KR102076680B1 (en) | A packing case for a piece of cake | |
RU113253U1 (en) | PERSONALIZED BOX, IN PARTICULAR, FOR PACKING CHOCOLATE PRODUCTS AND CONFECTIONERY GOODS | |
EP2666729A1 (en) | Packaging for sliced cheese | |
KR20130051258A (en) | Disposable container having chopsticks | |
KR200474424Y1 (en) | Disposable food container | |
KR101843524B1 (en) | Packing box | |
JP3183850U (en) | container | |
JP2019116294A (en) | Packaging container | |
KR200378661Y1 (en) | portable food vess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120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