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55250A -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250A
KR20120055250A KR1020100116875A KR20100116875A KR20120055250A KR 20120055250 A KR20120055250 A KR 20120055250A KR 1020100116875 A KR1020100116875 A KR 1020100116875A KR 20100116875 A KR20100116875 A KR 20100116875A KR 20120055250 A KR20120055250 A KR 20120055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force
piston
cylinder
breast pu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주테크
권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주테크, 권상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주테크
Priority to KR102010011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5250A/ko
Publication of KR20120055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25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4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9Means for improving milking yield
    • A61M1/0693Means for improving milking yield with programmable or pre-programmed sucking 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3Suction drainage systems comprising sensors or indicators for physical val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27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07Breast; mamm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이 최소화되며 사용자의 사용 여건에 따라 흡입력을 여러 단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 형상의 실린더의 내부에 파이프 형상인 수나선로드가 형성된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수나선로드와 나선결합되는 암나선홀이 형성된 회전체가 정역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어 피스톤을 직선 왕복 운동시키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장치를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흡입력발생부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의 양 끝단 중 흡입력이 생성되는 끝단에 하나 이상의 흡입관이 형성되는 흡입노즐을 연결하여 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시켜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모유를 유축하는 흡착부에 흡입력을 공급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하는 유축기의 흡입력 발생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스위치의 조작으로 피스톤의 행정거리를 여러 단계로 조절함으로써 흡입력의 강도를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거부감 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suction device structure of breastpump}
본 발명은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음이 최소화되며 사용자의 사용 여건에 따라 흡입력을 여러 단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축기는 산모가 분만 후 초유를 짜내거나 수유 중 남아도는 모유를 강제로 짜낼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보통 손으로 눌러 사용하는 수동식과 전동 모터를 이용하는 자동식이 있다.
보통, 임산부가 분만 후 첫 일주일 동안 초유에서 성숙유로 변화하면서 유방에 모유가 차게 되는데 이는 3 ?5일 내에 차츰 줄어든다.
이때, 유아(乳兒)에게 모유의 적당한 수유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유방이 단단해지며 화끈거리는 통증을 수반하는 유방 울혈(Breast engorgement)로 발전하게 된다.
이로써, 산모의 유방 울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1일 8?12회 정도로 수유를 자주 실시해야 하며, 수유의 기회를 놓쳤을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모유를 짜내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산모 또는 수유모의 모유를 인위적으로 짜내기 위해서 유축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동식 유축기는 산모가 직접 손으로 눌러가면서 펌핑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많이들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최근에는 수동식 유축기의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식 유축기가 많이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전의 자동식 유축기는 다음과 같은 여러 단점들이 있었다.
첫째, 흡입력의 강약을 외부공기의 유입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사용중 모터를 계속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전류의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둘째, 유축기 본체가 모유 저장병의 상부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모유의 유입으로 인한 유축기 본체의 고장이나 내부오염 등의 우려가 높다.
셋째, 흡입구를 통해 모유 저장병으로 들어오는 모유가 모유 저장병 캡의 내면에 그대로 묻기 때문에 사용시 매번 소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모유를 자동으로 흡입하는 기존의 자동식 모유 착유기는 진공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일정한 진공도로 모유를 흡입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산모의 체질 및 모유량에 따라 진공을 조절하지 못해 유두 및 유선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스톤식 진공 펌프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피스톤와 피스톤의 마찰열로 그리스의 점도가 떨어지고,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진공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피스톤에 공업용 그리스를 발라야하지만, 진공펌프를 분해하고 그리스를 도포하는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모유량이 많은 산모의 경우에는 진공시간 조절이 불가능하여 유축 효율이 떨어지고, 진공시 과흡입이 발생하여 모유가 기계속으로 역류하여 기계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축기는 산모가 엎드리거나, 누운 자세로 모유를 짜내는 경우에 모유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벨트로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나선결합에 의해 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어 조용하면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의 조작으로 피스톤의 행정거리를 여러 단계로 조절함으로써 흡입력의 강도를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거부감 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피스톤링의 외주면에 돌기링을 형성하여 실린더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흡입력이 소실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력발생부와 호스로 연결되는 흡착나팔의 하부로 모유를 저장하는 젖병으로 구성되는 유축기에 있어서, 통 형상의 실린더의 내부에 파이프 형상인 수나선로드가 형성된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수나선로드와 나선결합되는 암나선홀이 형성된 회전체가 정역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되어 피스톤을 직선 왕복 운동시키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장치를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하여 흡입력발생부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의 양 끝단 중 흡입력이 생성되는 끝단에 하나 이상의 흡입관이 형성되는 흡입노즐을 연결하여 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시켜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모유를 유축하는 흡착부에 흡입력을 공급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하는 유축기의 흡입력 발생장치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벨트로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나선결합에 의해 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어 조용하면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위치의 조작으로 피스톤의 행정거리를 여러 단계로 조절함으로써 흡입력의 강도를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거부감 없이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피스톤링의 외주면에 돌기링을 형성하여 실린더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흡입력이 소실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축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축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흡입력발생부의 흡입력 발생을 위한 작동도,
도 5는 흡입력발생부의 흡입력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도,
도 6은 흡입력발생부에서 흡입력이 발생되어 모유가 유축되어 밀폐부재에 저장되는 작동도,
도 7은 흡입력발생부에서 흡입력이 해제되어 유축된 모유가 젖병에 저장되는 작동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는 흡입력발생장치와 호스로 연결되는 흡착관의 하부로 모유를 저장하는 젖병으로 구성되는 유축기에 관한 것으로, 피스톤(13)이 회전체(16)를 회전시키는 정역모터(17)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시켜 피스톤(13)을 실린더(11)의 내부를 따라 왕복 이동시키며 흡입력을 생성시키는 흡입력발생자장치(18)와, 상기 실린더(11)에 결합된 흡입노즐(20)에 연결하는 호스(22)와, 상기 호스(22)를 통해 흡입력을 공급받아 모유를 유착하여 저장하는 흡착부(30)와, 흡입력의 작용시 밀착 폐쇄되고 흡입력 비 작용시 밀착 해제로 유축된 모유를 유동시켜 저장되도록 하는 밀폐부재(40)로 유축기(100)가 구성된다.
상기 흡입력발생부(10)의 흡입력발생장치(18)는 통 형상의 실린더(11)의 내부에 파이프 형상인 수나선로드(12)가 형성된 피스톤(13)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수나선로드(12)의 중앙을 관통하는 가이드홀(12a)의 내주면에 막대형 자석(13a)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1)는 제1실린더(11e)와 제2실린더(11f)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 해체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실린더(11f)는 내측면에 가이드바(11c)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이드바(11c)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위치센서(11a)가 등 간격으로 설치된 센서기판(11b)이 자석(13a)과 마주보게 고정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13)에는 실린더(11)의 내주면(11d)에 밀폐를 위해 접촉되는 피스톤링(13b)이 결합된다.
즉, 상기 피스톤(13)은 전방에 위치되는 제1피스톤(13d)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2피스톤(13e)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수나선로드(12)는 제2피스톤(13e)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피스톤링(13b)은 제1,2피스톤(13d)(13e)의 사이에 협착 끼움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링(13b)의 외주 정점에는 얇은 두께로 일체되어 돌기링(13c)이 형성되어 내주면(11d)과 마찰력은 최소화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11)의 내부에는 수나선로드(14)와 나선결합되는 암나선홀(15)이 형성된 회전체(16)가 정역모터(17)의 구동력으로 회전되어 피스톤(13)을 직선 왕복 운동시키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케이스(19)의 내부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16)와 정역모터(17)는 벨트 풀리 방식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정역모터(17)는 제2실린더(11f)의 거치대(11f')에 고정 결합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9)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장착홈(19c)이 형성되어 흡착부(30)를 사용 여부에 따라 한 개나 두 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피스톤(13)은 회전체(16)가 제자리에서 정역모터(17)의 정역 방향 구동력을 벨트로 전달받아 회전하면 회전체(16)의 암나선홀(15)에 결합된 수나선로드(12)가 나선 이동하면서 피스톤(13)이 전후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수나선로드(12)의 가이드홀(12a)에 실린더(11)의 가이드바(11c)가 삽입되어 피스톤(13)이 회전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는 것이며, 가이드홀(12a)과 가이드바(11c)는 다각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피스톤(13)의 직선 운동시 케이스(19)의 표면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19a)의 작동으로 선택되는 센서기판(11b)의 위치센서(11a)에 자석(13a)의 자력을 감응된다.
이때, 상기 위치센서(11a)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마이콤(19b)에서 전달받아 정역모터(17)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피스톤(11)의 이송거리 제어함으로써 흡입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11)의 양 끝단 중 흡입력이 생성되는 끝단에 하나 이상의 흡입관(21)이 형성되는 흡입노즐(20)을 연결하여 케이스(19)의 일측으로 노출시켜 연결되는 호스(22)를 통해 모유를 유축하는 흡착부(30)에 흡입력을 공급하도록 결합한다.
먼저, 상기 흡입노즐(20)은 제1실린더(11e)의 돌기관(11e')에 연결되고 두개의 호스(22)가 연결되도록 'Y'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호스(22)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것이며, 흡입노즐(20)의 흡입관(21)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노즐(20)에는 마개(23)가 일체로 형성되어 마개(23)를 흡입관(21)에 끼움시켜 흡입관(21)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흡착부(30)는 가슴에 밀착되는 흡착나팔(31)의 후방으로 흡입력발생부(1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전달을 위한 호스(22)가 연결되는 연결관(32)이 형성된 연장관(33)이 젖병(34)의 상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어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흡착부(30)의 연장관(33) 끝단에는 흡입력의 작용시 밀착 폐쇄되고 흡입력 비 작용시 밀착 해제로 유축된 모유를 유동시켜 젖병(34)에 저장되도록 하는 밀폐부재(40)가 결합되어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40)는 연장관(33)에 연결 결합되며 모유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몸체(41)의 하부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 한 쌍의 밀폐막(42)이 긴밀하게 접촉된다.
즉, 상기 흡착부(30)에 호스(22)를 통해 공급되는 흡입력이 작용할 때는 밀폐막(42)이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고 흡입력이 사라지면 밀착이 해제되어 모유가 젖병(34)으로 유동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축기(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1피스톤(13d)와 제2피스톤(13e)의 사이에 피스톤링(13b)를 위치시킨 후 결합하여 피스톤(13)을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3)을 제1실린더(11e)와 제2실린더(11f)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수나선로드(12)에 회전체(16)의 암나선홀(15)에 체결하여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제1실린더(11e)와 제2실린더(11f)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정역모터(17)를 제2실린더(11f)의 거치대(11f')에 고정시키고, 정역모터(17)와 회전체(16)를 벨트로 연결하면서 결합한다.
한편, 상기 수나선로드(12)의 중앙을 관통하는 가이드홀(12a)의 내주면에 막대형 자석(13a)이 부착하고, 센서기판(11b)을 자석(13a)과 마주보게 실린더(11)의 가이드바(11c)의 내부에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19b)은 케이스(19)의 내부에 설치하면서 작동스위치(19a)와 정역모터(17)에 신호가 전달되도록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13)의 제1실린더(11e)의 돌기관(11e')에 흡입노즐(20)을 연결 결합하고, 상기 흡입노즐(20)의 흡입관(21)과 흡착부(30)의 연결관(32)에 호스(22)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흡착부(30)는 케이스(19)의 장착홈(19c)에 젖병(34)을 삽입하여 고정하여 결합을 완료한다.
이후, 상기 정역모터(17)에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흡착부(30)의 흡착나팔(31)을 가슴에 밀착시킨 후 작동스위치(19a)를 작동시킨다.
이렇게, 상기 작동스위치(19a)를 작동시키면 센서기판(11b)의 위치센서(11a)가 선택되는 동시에 정역모터(174)가 동작하면서 구동력이 벨트를 통해 회전체(16)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기 회전체(16)의 회전으로 암나선홀(15)에 결합된 제2피스톤(13e)에 형성된 수나선로드(12)의 가이드홀(12a) 내부로 실린더(11)의 가이드바(11c)가 삽입되어 실린더(13)가 회전하지 않고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13a)은 피스톤(13)과 함께 이동하면서 작동스위치(19a)의 조작으로 선택된 위치센서(11a)에 자력이 감지되면 신호를 마이콤(19b)으로 전달하고, 상기 마이콤(19b)에서 정역모터(17)에 신호를 송출하여 회전방향을 전환시킨다.
즉, 상기 작동스위치(19a)의 작동으로 자석(13a)와 원거리에 위치된 위치센서(11a)를 선택할 경우 피스톤(13)의 이동거리가 증대되어 흡입력이 증대된다.
이때, 상기 돌기링(13c)이 실린더(11)의 내주면(11c)에 밀착될 때 밀폐력은 유지되면서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마찰력이 감소된다.
즉, 상기 피스톤(13)이 실린더(11)의 제1실린더(11e) 측에서 제2실린더(11f) 측으로 이동할 때 피스톤링(13b)의 돌기링(13c)이 실린더(11)의 내주면(11c)에 밀착되어 제1실린더(11e)의 전방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된다.
반대로, 상기 정역모터(17)가 반대로 회전하여 피스톤(13)이 반대로 이동할때는 흡입력이 사라지게 되며 미세하게 압축력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력이 작용하면 흡입력은 흡입노즐(20) -> 호스(22) -> 흡착부(30)의 연결관(32) -> 연장관(33) -> 흡착나팔(31) -> 가슴흡입의 순으로 전달된다.
이렇게, 가슴흡입시 밀폐부재(40)의 밀폐막(42)은 서로 긴밀하려 밀착 폐쇄되고, 유착되는 모유는 흡착나팔(31)에 연결되는 연장관(33)을 따라 유동하여 폐쇄되어진 몸체(41)에 일시적으로 모여지게 된다.
이후, 상기 피스톤(13)이 흡입력을 생성시키기 위한 반대로 이동할때는 흡입력이 사라지게 되는 동시에 미세하게 발생되는 압축력에 의해 밀폐부재(40)의 밀폐막(42)은 서로 이격되어 유착된 모유를 젖병(34)의 내부로 유동시켜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모유를 유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흡입력발생부 11 : 실린더
11a : 위치센서 11b : 센서기판
11c : 가이드바 11d : 내주면
11e : 제1실린더 11e' : 돌기관
11f : 제2실린더 11f' : 거치대
12 : 수나선로드 13 : 피스톤
13a : 자석 13b : 피스톤링
13c : 돌기링 13d : 제1피스톤
13e : 제2피스톤 15 : 암나선홀
16 : 회전체 17 : 정역모터
18 : 흡입력발생장치 19 : 케이스
19a : 작동스위치 19b : 마이콤
19c : 장착홈 20 : 흡입노즐
21 : 흡입관 22 : 호스
23 : 마개 30 : 흡착부
31 : 흡착나팔 32 : 연결관
33 : 연장관 34 : 젖병
40 : 밀폐부재 41 : 몸체
42 : 밀폐막 100 : 유축기

Claims (5)

  1. 흡입력발생부(10)와 호스(22)로 연결되는 흡착나팔(31)의 하부로 모유를 저장하는 젖병(34)으로 구성되는 유축기에 있어서,
    통 형상의 실린더(11)의 내부에 파이프 형상인 수나선로드(12)가 형성된 피스톤(13)을 설치하고, 상기 수나선로드(14)와 나선결합되는 암나선홀(15)이 형성된 회전체(16)가 정역모터(17)의 구동력으로 회전되어 피스톤(13)을 직선 왕복 운동시키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장치(18)를 케이스(19)의 내부에 설치하여 흡입력발생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11)의 양 끝단 중 흡입력이 생성되는 끝단에 하나 이상의 흡입관(21)이 형성되는 흡입노즐(20)을 연결하여 케이스(19)의 일측으로 노출시켜 연결되는 호스(22)를 통해 모유를 유축하는 흡착부(30)에 흡입력을 공급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선로드(12)의 중앙을 관통하는 가이드홀(12a)의 내주면에 막대형 자석(13a)이 부착되고,
    다수개의 위치센서(11a)가 등 간격으로 설치된 센서기판(11b)이 자석(13a)과 마주보게 실린더(11)의 가이드바(11c)의 내부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 피스톤(13)의 직선 운동시 케이스(19)의 표면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19a)의 작동으로 선택되는 센서기판(11b)의 위치센서(11a)에 자석(13a)의 자력을 감응시, 상기 위치센서(11a)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마이콤(19b)에서 전달받아 정역모터(17)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피스톤(11)의 이송거리 제어함으로써 흡입력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3)에는 실린더(11)의 내주면(11d)에 밀폐를 위해 접촉되는 피스톤링(13b)이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링(13b)의 외주 정점에는 얇은 두께로 일체되어 돌기링(13c)이 형성되어 내주면(11d)과 마찰력은 최소화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6)와 정역모터(17)는 벨트 풀리 방식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흡입노즐(20)에는 마개(23)가 일체로 형성되어 마개(23)를 흡입관(21)에 끼움시켜 흡입관(21)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5. 제 1 있어서, 상기 케이스(19)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장착홈(19c)이 형성되어 흡착부(30)를 사용 여부에 따라 한 개나 두 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KR1020100116875A 2010-11-23 2010-11-23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Abandoned KR20120055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75A KR20120055250A (ko) 2010-11-23 2010-11-23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875A KR20120055250A (ko) 2010-11-23 2010-11-23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250A true KR20120055250A (ko) 2012-05-31

Family

ID=4627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875A Abandoned KR20120055250A (ko) 2010-11-23 2010-11-23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52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5822A (zh) * 2018-11-16 2019-01-04 湖北科技学院 一种吸奶器上的负压缓和装置
CN118549039A (zh) * 2024-07-17 2024-08-27 广东幼萌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吸奶器负压测试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5822A (zh) * 2018-11-16 2019-01-04 湖北科技学院 一种吸奶器上的负压缓和装置
CN109125822B (zh) * 2018-11-16 2023-11-24 湖北科技学院 一种吸奶器上的负压缓和装置
CN118549039A (zh) * 2024-07-17 2024-08-27 广东幼萌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吸奶器负压测试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995B2 (en) Breast pump system and methods
US6004288A (en) Breast pump
US8398584B2 (en) Breast pump and method of use
CA2227859C (en) Volumetric pump with bi-directional sphincter seal
CN204039767U (zh) 洗衣机及其投放泵
KR20120055250A (ko)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KR101209394B1 (ko) 전동식 모유 착유기
CN202228318U (zh) 一种可调节压管间隙的蠕动泵泵头
CN201401313Y (zh) 扭力转簧装卸的蠕动泵及其动力机构
KR101430672B1 (ko) 모유 역류 방지 및 맛사지 기능을 갖는 전동식 유축기
KR20120055249A (ko) 유축기의 포집부 구조
CN202203088U (zh) 蒸发器进料泵
US20150190572A1 (en) Trace Control System for an Intravenous Drip
KR100390618B1 (ko) 모유 착유기
KR101614743B1 (ko) 역류방지 기능이 있는 모유 착유기
DE50303530D1 (de) Exzenterschneckenpumpe
KR100463742B1 (ko) 모유 착유기
KR200219781Y1 (ko) 모유 착유기
CN201043350Y (zh) 抽吸式高压灌注堵漏机
CN218467813U (zh) 一种自由浮动的连接装置
CN216102895U (zh) 一种灌装系统
KR200313778Y1 (ko) 압력조절기 및 그 압력조절기를 포함한 유축기
CN222276896U (zh) 一种用于扫地机的蠕动泵
RU2129777C1 (ru) Доильный аппарат
CN212318237U (zh) 一种新型活塞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1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