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394B1 - 전동식 모유 착유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모유 착유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9394B1 KR101209394B1 KR1020100055723A KR20100055723A KR101209394B1 KR 101209394 B1 KR101209394 B1 KR 101209394B1 KR 1020100055723 A KR1020100055723 A KR 1020100055723A KR 20100055723 A KR20100055723 A KR 20100055723A KR 101209394 B1 KR101209394 B1 KR 1012093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 cylinder
- vacuum
- negative pressure
- pist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61M1/782—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using valves with freely moving parts, e.g. float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07—Breast; mamm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일반적으로 모유 착유기(일명 '유축기' 라고도 함)는, 유아에게 모유를 먹이는 산모의 젖을 짜서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방에 젖이 과다하게 남아 산모가 고통을 느낄 때, 산모가 홀로 장기 여행 중일 때, 모유량을 줄이고 싶을 때 또는 모유량을 늘리고 싶을 때 등에 사용되고 있는데, 현재 여러 형태로 시중에 시판되고 있으며 동력원의 형태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대별된다.
4) 피스톤이 왕복 운동할 때 번갈아 발생하는 진공압력(음압)과 공기압력(양압) 때문에 크랭크 축의 상한점에서 실린더 내에 형성되어있는 진공압력(음압)에 의하여 피스톤이 갑자기 빨려드는 현상이 발생하여 모터의 부하가 급격하게 감소와 증가하는 반복 현상에 의한 충격으로 심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불규칙한 모터의 부하 량에 의하여 전력 소비증가 및 기기의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고 있다.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실린더 전, 후에서 발생하는 공기압력(양압) 및 역류한 모유를 지정된 배출구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하므로 실린더 내의 인체에 유해한 윤활유, 역류한 모유에 의하여 발생한 유해한 미생물과 악취 등이 모유저장용기에 혼입되는 문제점이 해결되어 위생적인 모유를 아기에게 수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린더의 전, 후에 동일한 진공압력(음압)이 생성되므로 압력차이가 없어 진동, 소음 문제점 해소 및 불규칙한 모터의 기동부하 문제가 해결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실린더형 기존 모유 착유기와 본 발명 모유 착유기의 진공압력(음압) 및 공기압력(양압)의 흐름을 나타낸 공기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 전동식 모유 착유기중 펌프 부와 압력합산 부의 상세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및 역류방지밸브의 사시도.
도 5는 기존 모유 착유기와 본 발명 착유 기의 진공압력 발생 및 운용 비교 그래프.
도 6은 전동식 모유 착유기 중 흡입기, 공기 차단막 홀더, 공기 차단막, 저장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모 터부(100)는 모터와 감속기가 일체화된 상용제품으로 원형의 회전판(110)과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210)에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한다.
펌프 부(200)는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피스톤(240)이 실린더(220) 내에 구성된 일반적인 형태이나, 실린더(220) 상, 하의 상호 기체 흐름이 가능하도록 각각 분리된 두 개의 연결관(250a, 250b)이 추가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두 개의 연결관 중 하나의 연결관(250a)은 진공압력(음압)의 흡입을 위한 음압 흡입구(330a)와, 나머지 하나의 연결관(250b)은 공기압력(양압)의 배출을 위한 양압 배출구(330b)가 각각 연결관의 통로 상에 구성된다.
압력합산 부(300)는 실린더(220)의 양 끝단에 구성되어 피스톤(240)의 왕복운동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합산해주기 위한 것으로, 압력의 합산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연결관(250a, 250b) 입구에 각각 하나씩, 즉, 네 개의 역류방지밸브(340a, 340b, 340c, 340d)를 대칭으로 고정한다.
압력분기부(400)는 펌프 부(200)에서 진공압력(음압)이 발생하여 압력합산 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진공압력(음압)을 하나 또는 두 개로 분리하여 선택적으로 기기외부의 흡입기(1200)로 전달하며, 진공상태의 파기를 위해 전자밸브부(500)와 연결되어 있다.
전자밸브 부(500)는 제어부(9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밸브를 개폐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여 밸브가 열리는 순간에 압력분기부(400)를 통해 흡입기(1200) 내부로 대기압이 유입되면서 진공압력이 파기된다. 이때 산모의 유방으로부터 착유한 모유가 일시적으로 모여있는 공기 차단막 홀더(1210)에 장착한 공기 차단막(1220)이 대기 압력에 의하여 열리면서 모여있던 모유가 저장용기(1330)로 배출된다.
압력조절 부(800)는 노브의 회전에 따라 미세하게 공기가 유입되어 진공압력(음압)을 조절 수 있도록 하는 기구 적 장치로서 일반적인 니들밸브로 구성된다.
제어부(900)는 PCB보드에 장착된 마이컴이 조작스위치 등의 신호를 참조하여 전자밸브 부(500)를 제어하는 신호와 각종 램프 시그널 및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핵심인 펌프부(200)과 압력합산 부(300)의 분해 도이다. 도 4에 나타내었듯이 펌프 부(200)는 실린더(220) 외부 상하로 분리된 두 개의 연결관(250a, 250b)이 실린더(220)와 평행하게 일체화되어 있으며, 압력합산 부(300)는 실린더(220)의 양단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관(250a, 250b)으로 유입되는 기체의 흐름 조절을 위한 네 개의 역류방지밸브(340a, 340b, 340c, 340d)가 연결관(250a, 250b)의 각 입구에 위치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네 개의 역류방지밸브(340a, 340b, 340c, 340d)의 고정을 위해 고정판이 필요하며, 실린더(220)의 끝단 측은 고무패킹(370)과 고정판(330)이 구성되고 피스톤 로드(210) 측은 기체의 손실을 막기 위해 이중으로 고무패킹(350, 360) 및 고정판(310, 3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밸브(340a, 340b, 340c, 340d)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도 4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344)의 하부에 고정을 위한 테두리(343)를 돌출시키고, 상부에는 대칭된 경사면(342)을 주어 그 경사면(342) 끝 단이 일자(一字)로 모이도록 하여 그 끝 단에 미세한 절개부(341)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역류방지밸브를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하게 되면, 원통(344) 내부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해 절개부(341) 방향으로는 기체가 흐를 수 있지만, 반대로 절개부(341) 외부에서 발생한 압력은 절개부(341)를 닫히게 하여 원통(344) 방향으로는 기체가 흐를 수 없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실린더(220)의 끝단 측에 위치한 고정판(330)에는 실린더(220) 내의 진공압력(음압) 흡입을 위한 음압 흡입구(330a)가 상기 연결관(250a)의 경로 상에 구성되며, 공기압력(양압) 배출을 위한 양압 배출구(330b)는 나머지 연결관(250b)의 경로 상에 구성되어 있다.
모 터부(100)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회전판(110)과 피스톤 로드(210)를 통하여 피스톤(240)에 왕복운동을 일으키면, 밀폐된 실린더(220) 내부에 진공압력(음압)과 공기압력(양압) 압력이 동시에 발생한다.
즉, 피스톤(240)이 하사 점에서 상사 점으로 이동하면(도 3의 (나)의 앞에서 뒤로) 실린더(220) 내의 공기압력(양압)은 연결관(250b)과 역류방지밸브(340d) 및 양압 배출구(330b)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지며 동시에 역류방지밸브(340c)는 닫친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220)에 발생한 진공압력(음압)은 연결관(250a)과 역류방지밸브(340a) 및 음압 흡입구(330a)를 통하여 외부의 흡입기(1200)에 작용하여 젖을 짜내기 위한 압력으로 작용하며 동시에 역류방지밸브(340b)는 닫친다.
반대로, 피스톤(240)이 상사 점에서 하사 점으로 이동하면(도 3의 (나)의 뒤에서 앞으로) 공기압력(양압)은 연결관(250b)과 역류방지밸브(340d) 및 양압 배출구(330b)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지며 동시에 역류방지밸브(340a)를 닫친다. 이와 동시에 연결관(250a)과 역류방지밸브(340c)를 통하여 실린더(220)에 발생한 진공압력(음압)은 음압 흡입구(330a)를 통하여 외부의 흡입기(1200)에 작용하여 젖을 짜내기 위한 압력으로 작용하며 동시에 역류방지밸브(340d)를 닫친다. 상기 각 역류방지밸브(340a, 340b, 340c, 340d)의 사이클 행정에 따른 동작은 도 3의 (나)에 표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피스톤(240)의 왕복운동이 한 사이클을 이루는 동안 공기압력(양압)은 계속해서 밖으로 배출되고, 진공압력(음압)은 계속해서 젖을 짜기 위한 압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피스톤(240)의 왕복운동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면 진공압력(음압)은 계속 누적되어 발생하게 되므로, 진공압력(음압)은 시간적인 제어에 의해 그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00: 모터부 110: 회전판
200: 펌프부 210: 피스톤 로드
220: 실린더 240: 피스톤
250a, 250b: 연결관 300: 압력합산부
310, 320, 330: 고정판 330a: 음압 흡입구
330b: 양압 배출구 341: 절개부
340a, 340b, 340c, 340d: 역류방지밸브
350, 360, 370: 고무패킹 400: 압력분기부
500: 전자밸브부 700: 하부케이스
800: 압력조절부 900: 제어부
1000: 상부케이스 1200: 흡입기
1210: 공기 차단막 홀더 1220: 공기 차단막
1300: 저장용기
Claims (4)
-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피스톤운동을 일으켜 실린더 내에 발생하는 진공압력을 이용하여 산모의 유방으로부터 모유를 착유하는 모유 착유기에 있어서,
피스톤의 전진과 후진시에 발생하는 전진압력과 후진압력을 연속적으로 착유압력으로 사용하는 연속진공압력발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유 착유기. - 제1항에 있어서, 연속진공압력발생수단은 피스톤(240)의 왕복운동에 의해 양방향 압력을 발생시키는 밀폐된 실린더(220)와, 실린더(220)와 평행하게 구성되며 실린더(220) 양단을 연결하는 각각 분리된 두 개의 연결관(250a, 250b)과, 상기 두 개의 연결관(250a, 250b)의 각각 끝단에 위치하며 피스톤(240)의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역류방지밸브(340a,340b,340c,340d)와, 상기 연결관(250a)의 중간경로에 위치하며 실린더(220)에서 발생한 연속적인 진공압력(음압)을 흡입하기 위한 음압 흡입구(330a)와, 상기 연결관(250b)의 중간경로에 위치하며 실린더(220)에서 발생한 연속적인 공기압력(양압)을 배출하기 위한 양압 배출구(3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유 착유기.
- 제1항에 있어서, 연속진공압력발생수단은 제어부(900)에 프로그램된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전자밸브 부(500)를 통해 제공되는 대기공기가 압력분기부(400)를 통해 음압 흡입구(330a)로 제공되어 흡입기(1200) 내부의 진공압력을 파기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유 착유기.
- 제2항에 있어서, 역류방지밸브(340a,340b,340c,340d)는 피스톤(240)의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장착 방향에 따라 개폐되도록, 원통(344)의 하부에 고정을 위한 테두리(343)를 돌출시키고 상부에는 대칭된 경사면(342)을 주어 그 경사면(342) 끝 단이 일자(一字)로 모이도록 하여, 그 끝 단에 미세한 절개부(341)를 형성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모유 착유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723A KR101209394B1 (ko) | 2010-06-12 | 2010-06-12 | 전동식 모유 착유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5723A KR101209394B1 (ko) | 2010-06-12 | 2010-06-12 | 전동식 모유 착유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4097A KR20100074097A (ko) | 2010-07-01 |
KR101209394B1 true KR101209394B1 (ko) | 2012-12-07 |
Family
ID=4263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5723A KR101209394B1 (ko) | 2010-06-12 | 2010-06-12 | 전동식 모유 착유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939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57895A2 (ko) * | 2011-05-16 | 2012-11-22 | Hong Sang Hyun | 모유 착유기 |
KR200477328Y1 (ko) * | 2013-09-16 | 2015-06-04 | 홍상현 | 전동 유축기 진공 생성 장치 |
KR101659479B1 (ko) * | 2015-08-31 | 2016-09-23 | (주)클래시스 | 음압을 이용한 치료용 의료기기 |
KR20180076538A (ko) * | 2016-12-28 | 2018-07-06 | (주)시밀레 | 듀얼형 자동 유축기 |
KR102133295B1 (ko) * | 2018-11-28 | 2020-07-13 | 이나경 | 가축용 착유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00836A1 (de) | 1996-04-14 | 1997-10-15 | Medela AG | Einrichtung zum Absaugen von Muttermilch |
EP0990445A2 (en) | 1996-06-03 | 2000-04-05 | Medela Holding AG | Breastpump capable of double-breast pumping |
KR100432368B1 (ko) | 2002-01-21 | 2004-06-07 | 김종선 | 모유착유기 |
-
2010
- 2010-06-12 KR KR1020100055723A patent/KR1012093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00836A1 (de) | 1996-04-14 | 1997-10-15 | Medela AG | Einrichtung zum Absaugen von Muttermilch |
EP0990445A2 (en) | 1996-06-03 | 2000-04-05 | Medela Holding AG | Breastpump capable of double-breast pumping |
KR100432368B1 (ko) | 2002-01-21 | 2004-06-07 | 김종선 | 모유착유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74097A (ko) | 201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9394B1 (ko) | 전동식 모유 착유기 | |
JP4024860B2 (ja) | ダブル搾乳可能な搾乳ポンプ | |
KR101714555B1 (ko) | 사람의 모유를 짜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4607596A (en) | Milking methods and apparatus | |
JP5112509B2 (ja) | バランス型(balanced)往復駆動によるハンズフリー搾乳器 | |
CA2327111C (en) | Diaphragm pump and pump for double-breast pumping | |
JPH08336588A (ja) | 母乳ポンプ | |
JP2002112654A (ja) | 搾乳機 | |
AU5186601A (en) | Apparatus for expressing milk | |
CA2962497C (en) | A breast pump device | |
KR100390618B1 (ko) | 모유 착유기 | |
AU2020231193B2 (en) | Breastpump with functional vacuum pulses | |
KR200219781Y1 (ko) | 모유 착유기 | |
KR100432368B1 (ko) | 모유착유기 | |
KR101070932B1 (ko) | 모유 착유기 | |
KR200327301Y1 (ko) | 모유착유기 | |
KR200219694Y1 (ko) | 자동 유축기 | |
KR20130000272U (ko) | 진공 생성 탱크를 갖는 전동식 모유 착유기 | |
CN113349065B (zh) | 一种奶牛挤奶用储奶罐 | |
KR100463742B1 (ko) | 모유 착유기 | |
KR20120055250A (ko) | 유축기의 흡입력발생 장치 구조 | |
CN213852353U (zh) | 一种防滴落的吸奶器 | |
KR200313778Y1 (ko) | 압력조절기 및 그 압력조절기를 포함한 유축기 | |
KR200243200Y1 (ko) | 자동 착유기 | |
KR200470467Y1 (ko) | 모유착유기용 자동펌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