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49590A -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590A
KR20120049590A KR1020100110923A KR20100110923A KR20120049590A KR 20120049590 A KR20120049590 A KR 20120049590A KR 1020100110923 A KR1020100110923 A KR 1020100110923A KR 20100110923 A KR20100110923 A KR 20100110923A KR 20120049590 A KR20120049590 A KR 20120049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makeup
makeup composition
amino acid
glutamic acid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운
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1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9590A/ko
Publication of KR2012004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59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글루타민산/라이신/글루타민산으로 구성된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b) 정제수, (c) 폴리올 및 (d) 오일을 함유하여 물과 폴리올을 다량 함유할 수 있어 피부에의 보습 효과 및 청량감을 증진하고 오일에 의한 끈적임을 줄일 수 있는 립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Lip makeup composition for improved moisturizing using amino acid surfactant}
본 발명은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글루타민산/라이신/글루타민산으로 구성된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b) 정제수, (c) 폴리올 및 (d) 오일을 함유하여 물과 폴리올을 다량 함유할 수 있어 피부에의 보습 효과 및 청량감을 증진하고 오일에 의한 끈적임을 줄일 수 있는 립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립메이크업 조성물은 주로 오일과 왁스의 유성성분으로 조성물이 구성되어 있어 유성성분에 의한 수분 증발 방지 효능을 주요 보습 기능으로 소개해 왔다. 여기에 수성 보습성분을 추가하기 위한 노력으로 유중수형(water in oil) 에멀젼을 이용한 방법을 연구하여 왔다(국내출원 공개번호 제1999-0009865호). 하지만 상기의 방법에서는 피부자극의 우려가 있는 소르비탄 유도체 등을 상용하였다. 특히, 립메이크업 조성물의 경우 구강으로 섭취될 가능성이 있어 합성 계면활성제의 사용은 최소화하거나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전하면서 보습감, 청량감 및 끈적임 없는 사용감의 립메이크업 조성물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중 글루타민산/라이신/글루타민산으로 구성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은 적절한 점도의 오일겔을 형성할 수 있고 섭취시에도 안전하고 다량의 물과 폴리올도 안정화할 수 있으며, 우수한 보습감, 청량감 및 끈적임 없는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안전하면서 보습감, 청량감 및 끈적임 없는 사용감의 립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글루타민산/라이신/글루타민산으로 구성된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b) 정제수, (c) 폴리올 및 (d) 오일을 함유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오일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은 기존의 무수 제형이나 유중수형 제형에서 부족한 보습감, 청량감, 끈적임 없는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기존 합성 계면활성제에서 벗어나 안전성이 증대된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입으로 섭취 시에도 보다 안전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성성분으로만 구성된 입술화장료에 비해 다량의 친수 성분인 물과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친수성의 수용성 유효 성분을 안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기존의 일반적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유화내용물과 달리 굴절률 조절을 통해 투명한 상태의 겔을 만들 수 있어 투명한 외관을 가지는 미려한 립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립메이크업 조성물의 유화 입자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외관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외관 사진이다.
본 발명은 (a) 글루타민산/라이신/글루타민산으로 구성된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b) 정제수, (c) 폴리올 및 (d) 오일을 함유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a) 글루타민산/라이신/글루타민산으로 구성된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글루타민산/라이신/글루타민산을 단량체로 하고 양쪽 말단의 글루타민산에 알킬기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듐 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 라이신(sodium dllauramidoglutamide lysine)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a)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화장료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오일겔을 형성하는 효과가 적고, 10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과량의 계면활성제 사용으로 화장 후 피부 위에서 하얗게 거품이 형성되는 외관상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b) 정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흔히 화장품에서 사용되는 이온교환수지에 의한 이온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b) 정제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40중량%로 함유된다.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청량감을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얻을 수 없고, 40중량%를 초과하면 입술에서 건조한 사용성이 발현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c) 폴리올은 보습감과 끈적임 없는 사용감을 부여하기 위해 함유되는 성분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c)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보습감 효과가 작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유화 안정도가 낮아지고 끈적이는 느낌이 들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d)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천연오일 등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오일을 포함한다.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트리이소스테아린, 폴리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폴리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페닐트리 메치콘, 디메치콘, 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등을 포함한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스쿠알란, 유동파라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올레핀폴리머, 이소헥사데칸, 수첨 폴리부텐를 포함한다.
상기 천연오일은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잇꽃오일(safflower oil), 알간오일(argan oil), 녹차씨오일, 대두유, 살구씨오일, 라이스오일(rice oil), 올리브유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d)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9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입술위에서 건조함을 유발하며, 90중량%를 초과하면 일반적 유분산 제형과 사용감에 차별점이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립메이크업 조성물은 그 외의 화장료 조성물, 특히 립메이크업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으로서 왁스, 오일, 안료, 영양성분, 휘발성 용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향 등과 같은 기타 통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립메이크업 조성물은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가열, 혼합, 교반 등의 처리를 거침으로써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또는 립펜슬, 메이크업 리무버, 클렌징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립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1) (a)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b) 정제수와 (c) 폴리올을 교반하면서 1차 균질화(homogenization)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균질화된 혼합물에 (d) 오일을 천천히 투입하면서 2차 균질화(homogenization)하는 단계;
(3) 투입시 생기는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4) 향 성분을 투입하는 단계;
(5) 30℃ 이하로 냉각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립메이크업 조성물은 상기 (1)~(5)단계로 각 단계에서 시간, 온도, 교반 속도 등을 상기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하여 제조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립메이크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는 아미노산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은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실시예 1의 유화입자 현미경 사진과 외관 사진을 도 1 및 도 2, 비교예 2의 외관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측정기기의 기종은 니콘 이클립스(Nikon Eclipse) 80i로 200배 비율로 관찰하였으며, IMT I-솔루션(Solution) v 6.5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처리하였다.
구분 비교예1
(중량%)
비교예2
(중량%)
실시예1
(중량%)
(b) 정제수 10 10 10
(c) 글리세린 30 30 30
(a) 소듐 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 라이신 - - 1
(d)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60 57 59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 3 -
<실시예 1 의 제조 방법>
(1) 소듐 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 라이신, 정제수 및 글리세린을 3600rpm, 40℃로 교반하면서 1차 균질화하였다.
(2) 상기 (1) 단계의 균질화된 혼합물에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를 60℃에서 천천히 투입하면서 1000rpm으로 교반하여 2차 균질화하였다.
(3) 상기 (2) 단계의 균질화된 혼합물을 500rpm이하로 천천히 교반하면서 투입시 생기는 기포를 제거하였다.
(4) 상기 (3) 단계의 탈기된 혼합물을 믹서에서 패들 속도를 조절하면서 향을 투입한 후 천천히 교반하였다.
(5) 30℃ 이하로 냉각하여 립메이크업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1~2의 제조방법>
(1) 정제수 및 글리세린을 3600rpm, 40℃로 교반하면서 1차 균질화하였다.
(2) 상기 (1) 단계의 균질화된 혼합물에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비교예1) 또는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와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의 혼합물(비교예 2)을 60℃에서 천천히 투입하면서 1000rpm으로 교반하여 2차 균질화하였다.
(3) 상기 (2) 단계의 균질화된 혼합물을 500rpm이하로 천천히 교반하면서 투입시 생기는 기포를 제거하였다.
(4) 상기 (3) 단계의 탈기된 혼합물을 믹서에서 패들 속도를 조절하면서 향을 투입한 후 천천히 교반하였다.
(5) 30℃ 이하로 냉각하여 립메이크업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도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유화 입자가 고루 분산되어 있었다. 시험예 1에서의 안정도 테스트 후에도 입자 크기에 변함없이 안정도를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도 2는 실시예 1은 투명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반면, 도 3 의 비교예 2는 일반적인 유백색의 외관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립메이크업 조성물은 투명한 질감을 가짐으로써 외관에서 미려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고온(45℃) 안정도, 사이클링테스트(0~45℃, 1일 6회 사이클링) 및 쉐이킹테스트(150~200rpm)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육안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45℃고온안정도(1주) 분리 안정 안정
45℃고온안정도(4주) 분리 분리 안정
사이클링테스트(3일) 분리 분리 안정
사이클링테스트(1주) 분리 분리 안정
쉐이킹테스트(1시간) 분리 안정 안정
쉐이킹테스트(2시간) 분리 분리 안정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는 고온 안정도, 사이클링테스트 및 쉐이킹 테스트의 모든 평가 항목에서 안정도가 우수함을 나타냈지만, 비교예 1은 바로 분리가 일어나고 비교예2는 사이클링 테스트시 불안정하였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립메이크업 조성물의 사용감을 비교하기 위해 20~30대 20명의 여성에게 도포하도록 한 후, 보습감, 청량감 및 끈적임 없는 사용감의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평가하고 평균내어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보습감, 청량감, 끈적임 없는 사용감
(평가 기준)
1점: 아주 나쁨, 2점: 나쁨, 3점: 보통, 4점: 좋음, 5점: 아주 좋음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보습감 1.5 3.5 4.0
청량감 2.0 2.0 4.2
끈적임 없는 사용감 2.0 2.0 4.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1~2와 비교하여 보습감, 청량감 및 끈적임 없는 사용감의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Claims (8)

  1. (a) 글루타민산/라이신/글루타민산으로 구성된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b) 정제수, (c) 폴리올 및 (d) 오일을 함유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글루타민산/라이신/글루타민산을 단량체로 하고 양쪽 말단의 글루타민산에 알킬기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소듐 디라우라미도글루타미드 라이신을 특징으로 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정제수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4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9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
KR1020100110923A 2010-11-09 2010-11-09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Ceased KR20120049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23A KR20120049590A (ko) 2010-11-09 2010-11-09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23A KR20120049590A (ko) 2010-11-09 2010-11-09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590A true KR20120049590A (ko) 2012-05-17

Family

ID=4626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923A Ceased KR20120049590A (ko) 2010-11-09 2010-11-09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95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7254A (zh) * 2013-03-08 2014-09-10 广东雅威生物科技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及其用途与制备工艺
KR102462996B1 (ko) * 2022-04-05 2022-11-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입술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7254A (zh) * 2013-03-08 2014-09-10 广东雅威生物科技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及其用途与制备工艺
KR102462996B1 (ko) * 2022-04-05 2022-11-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입술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5018B1 (ko)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JP5657455B2 (ja) 油性化粧料基剤および油性化粧料
KR101145060B1 (ko) 제형 안정성을 개선시킨 o/w 형 화장료 조성물
JP7443032B2 (ja) 固形整髪剤組成物
KR102013619B1 (ko)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14101344A (ja) 化粧料
JP5964560B2 (ja) 乳化型整髪料
JP7682661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9064932A (ja) 毛髪化粧料
JP2025501591A (ja) 水中油型乳化化粧品組成物
KR102680075B1 (ko) 휘발안정성 및 경도형성능이 개선된 수중유형 고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361A (ko) 병풀 정량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49590A (ko)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EP4003287A1 (en) A water-in-oil emulsion with emolli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JP7114043B2 (ja) 整髪料
KR102539798B1 (ko) 고형상 밤 타입의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5240B1 (ko) 백탁 현상이 없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3661A (ko) 킬레이팅 효과가 있는 폴리머를 이용한 알진 캡슐 붕해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2698A (ko)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607459A (zh) 棒状化妆品
JP5873330B2 (ja) 二層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1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