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127A - Cabinet for rescue equipment - Google Patents
Cabinet for rescue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8127A KR20120048127A KR1020100109587A KR20100109587A KR20120048127A KR 20120048127 A KR20120048127 A KR 20120048127A KR 1020100109587 A KR1020100109587 A KR 1020100109587A KR 20100109587 A KR20100109587 A KR 20100109587A KR 20120048127 A KR20120048127 A KR 201200481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door
- locking device
- lever member
- frame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구급장비가 수용되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1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2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으로, 상기 제1 잠금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 상기 보관함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한다.A first aid kit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body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where the first aid equipment is accommodated and a first locking device is installed. A first door and a first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aid equipment including a second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locking device is installed, the first door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A cover member to be coupled; A frame member provided on the storage body and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And a lever member coupled to the frame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면서도 구급장비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관함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or emergency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storage box that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in the inspection or maintenance of the emergency equipment while reducing the risk of theft or damage of the emergency equipment.
구급장비용 보관함이란, 심장제세동기, 방독면, 구명복 등을 포함한 구급장비를 보관하고 있다가 구급 혹은 응급 상황시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보관함을 말한다. 이러한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이나 공공 장소 등에 스탠드형이나 벽걸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First aid kit is a locker for storing first aid equipment, including cardiac defibrillators, gas masks, and life jackets, and for those in need of an emergency or emergency. Such emergency equipment storage box may be installed in a stand type or a wall-mounted type in a building or a public place over a certain size.
일반적으로,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내부에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관함 몸체와, 보관함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를 포함한다.In general, the first aid equipment storage box includes a storage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first aid equipment therein, a door coupled to the storage body to open and clos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door.
한편, 구급장비용 보관함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잠금장치가 잠금 해제 상태로, 즉 열쇠가 없어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운용되는데, 이는 초를 다투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급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만약 잠금장치가 평상시 잠금 상태로 운용된다면, 구급장비용 보관함에서 구급장비를 꺼내기 위해서는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열쇠가 필요한데, 사용자가 열쇠를 찾지 못하거나 찾더라도 오랜 시간이 걸린 경우에는 구급장비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Except for special cases, the locker for emergency equipment is operated with the lock unlocked, i.e. the door can be opened even without a key, which must be used promptly in a first-aid or emergency situ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irst-aid equipment that can achieve the purpose. In other words, if the lock is operated normally, the key is required to unlock the lock in order to take it out of the emergency kit locker. This is because first aid equipment can be useless if caught.
그런데, 위와 같이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운용할 경우에는, 아무런 제약 없이 누구나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operating the storage box for emergency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anyone can open the door without any restrictions,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stored emergency equipment is stolen or damaged.
본 발명의 목적은,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면서도, 구급장비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elping to reduce the risk of theft or damage of emergency equipment, to provide a storage box for emergency equipment that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in the inspection or maintenance of emergency equip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관함을 운용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구급장비가 보관된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잠금장치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to operate the storage box, to provide a storage box for emergency equipment that can open the door without operating the door lock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in which the emergency equipment is stor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구급장비가 수용되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1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2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으로, 상기 제1 잠금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 상기 보관함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box body is formed with a first compartment and a second compartment receiving space is formed,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receiving space in which first aid equipment is accommodated and the first locking device is installed A first-aid and storage device for emergency equipment including a second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receiving space and is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device, and coupled to the first door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Cover members; A frame member provided on the storage body and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And a lever member coupled to the frame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잠금장치를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의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 시트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may be provided as an adhesive sheet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to cover the first locking device.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 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lever member may exten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to th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상기 레버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 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 위치할 수 있다.One end of the lever member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member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a state coupled to the frame member, and may include a second opening that overlaps with the first opening formed in the frame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re disposed up and down, and the lever member has a lowered position for closing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verlaps the first opening to form the first opening. It can move to an up-down direction between opening position which opens.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member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ame member.
상기 프레임 부재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lot may be formed in the frame member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ever member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상기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구급장비가 수용되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1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2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으로, 상기 보관함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의해 달성된다.The other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box body is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the second receiving space partitioned,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first aid equipment is accommodated and the first locking device is installed A first door and a storage box for emergency equipment including a second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locking device is installed, which is provided in the storage body and corresponds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A frame member in which a first opening is formed at a position; And a lever member coupled to the frame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 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lever member may exten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to th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member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a state coupled to the frame member, and may include a second opening that overlaps with the first opening formed in the frame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re disposed up and down, and the lever member has a lowered position for closing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verlaps the first opening to form the first opening. It can move to an up-down direction between opening position which opens.
본 발명은, 제1 수용공간과 제2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구급장비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1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1 도어와, 제2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제2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에 있어서, 제1 잠금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를 통해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면서도, 제1 잠금장치를 조작하는 대신에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1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구급장비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마다 커버 부재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box body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 first door which opens and closes a first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first-aid equipment is accommodated, and a first locking device is installed; 2 In the storage box for emergency equipment including a second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receiving space and the second locking device is installed, first aid equipment through the cover member coupled to the first door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While helping to reduce the risk of theft or damage, the first door can be opened using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frame member and lever member, instead of operating the first locking device, Each has an advantage tha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such as the need to replace the cover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커버 부재와의 관계에서 갖는 이점 이외에도, 제1 잠금장치의 열쇠가 없더라도, 예컨대 열쇠가 분실되었더라도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의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제1 도어를 개방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은, 보관함을 운용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구급장비가 보관된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의 잠금장치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in relation to the cover member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no key of the first locking device, for example, even if the key is lost, by opening the first door through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frame member and the lever member, necessary measures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tak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in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box, the door can be opened without operating the door lock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where the emergency equipment is s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개방된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에서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box for emergency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id kit storage box of FIG. 1 with the first and second doors ope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A' of FIG. 1.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locking device shown in FIG.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rame member and the lever member in the first aid kit storage box of FIG. 1.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member and the lever member of FIG. 5.
7 and 8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storage box for emergency equipment of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obsc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가 개방된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id kit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id kit storage box of FIG. 1 with the first and second doors open, and FIG. A 'area is enlarged,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shown in FIG.
도 5는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에서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프레임 부재와 레버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rame member and the lever member in the first aid kit storage box of FIG. 1,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member and the lever member of FIG. 5.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심장제세동기, 방독면, 구명복 등을 포함한 구급장비를 보관하고 있다가 구급 혹은 응급 상황시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이나 공공 장소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스탠드형 보관함으로 심장제세동기(defibrillator)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제안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급장비'라는 용어는 구급물품, 응급장비, 응급의료장비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The first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보관함 몸체(110), 제1 도어(120), 제2 도어(130), 커버 부재(140), 프레임 부재(150) 및 레버 부재(16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도어(130) 및 제2 도어(140)에는 제1 잠금장치(125) 및 제2 잠금장치(135)가 설치된다.1 to 6, the firs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보관함 몸체(110)는 구급장비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보관함 몸체(110)의 수용공간(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구획벽(115)에 의해 제1 수용공간(111a)과 제2 수용공간(111b)으로 구획된다. 즉, 보관함 몸체(110)는 제1 수용공간(111a)과 제2 수용공간(111b)으로 구획되는 수용공간(11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용공간(111a)과 제2 수용공간(111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된다. 즉, 보관함 몸체(110)는 상하 구획되는 수용공간(111)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 수용공간(111a)과 제2 수용공간(111b)의 배치 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상하 배치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제1 수용공간(111a)과 제2 수용공간(111b)은 본 실시예와 다르게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1 and 2, the
여기서, 제1 수용공간(111a)은 구급장비(본 실시예의 경우 '심장제세동기')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고, 제2 수용공간(111b)은 구급장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도구(예컨대, '심장제세동기'의 경우 여분의 배터리)를 보관하거나, 사이렌 등의 부속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에서 구급장비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제1 수용공간(111a)이 아닌 제2 수용공간(111b)으로 지정할 수 있다.Here, the first
한편, 보관함 몸체(110)는 가로 대비 세로가 긴 사각 박스 형상으로 스탠드형으로 제작된 것이나, 보관함 몸체(110)의 형상, 타입 등은 구급장비의 종류 및 개수, 설치되는 장소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보관함 몸체(110)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과 다르게 벽걸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보관함 몸체(110)는 통상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130)는 전술한 보관함 몸체(110)의 제1 수용공간(111a) 및 제2 수용공간(111b)을 각각 개폐한다. 먼저, 제1 도어(120)는 제1 수용공간(111a)을 개폐하도록 보관함 몸체(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도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를 구성하는 오른쪽 측벽에 경첩(121) 등을 통해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120)의 중앙 영역에는 유리 등의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시창(123)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시창(123)을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보관함 몸체(110)의 제1 수용공간(111a)에 보관된 구급장비의 유무 및 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2 도어(130)는 전술한 제1 도어(120)와 같은 방식으로 제2 수용공간(111b)을 개폐하도록 보관함 몸체(110)에 결합된다. 즉, 제2 도어(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를 구성하는 오른쪽 측벽에 경첩(131) 등을 통해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130)의 세부 구성은 한편,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13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장치(125) 및 제2 잠금장치(135)가 각각 설치된다. 제1 잠금장치(125) 및 제2 잠금장치(135)는 보관함 몸체(110)에 대해 각각 제1 도어(120) 및 제2 도어(130)를 잠그기 위한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잠금장치(125)와 제2 잠금장치(135)는 통상 '평면 핸들장치'라고 하는 잠금장치로 제공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 잠금장치(125)의 구성 및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제2 잠금장치(135)는 제1 잠금장치(12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1 and 2,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잠금장치(125)는 핸들부(126), 열쇠부(127), 누름버튼부(128) 및 걸림부(129)를 포함한다. 제1 잠금장치(125)에서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 사이의 전환은 열쇠부(127)의 열쇠구멍(127a)에 삽입되는 열쇠(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잠금장치(125)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누름버튼부(128)가 눌러지면 핸들부(126)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앞으로 튀어나오고 이에 따라 걸림부(129)가 도 4(a)의 걸림 위치에서 도 4(b)의 걸림 해제 위치로 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 해제 위치에서 제1 도어(120)는 개방될 수 있다. 반면, 잠금 상태에서 제1 잠금장치(125)는 핸들부(126) 및 걸림부(129)의 작동이 구속되므로, 누름버튼부(128)가 눌러지더라도 제1 도어(120)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잠금장치(125)는 각종 보관함(예컨대, 소화전함, 사물함, 무인택배함 등)에서 도어를 잠그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 잠금장치(125)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구조, 즉 평면 핸들장치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구조를 갖는 잠금장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잠금장치(135) 또한 마찬가지이다.3 and 4, the
한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을 운용함에 있어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잠금장치(125)는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 잠금장치(125)가 설치된 제1 도어(120)는 해당 열쇠가 없어도 누름버튼부(128)만 누르면 개방될 수 있는 상태로 운용된다. 이는 초를 다투는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되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급장비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만약 제1 잠금장치(125)가 평상시 잠금 상태로 운용된다면, 보관함(100)에서 구급장비를 꺼내기 위해서는 제1 잠금장치(12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열쇠가 필요한데, 사용자가 열쇠를 찾지 못하거나 찾더라도 오랜 시간이 걸린 경우에는 구급장비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렇게 운용할 경우, 보관함(100)에 보관된 구급장비가 도난당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는데, 이하 설명할 커버 부재(140)는 이러한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구성요소이다.On the other hand, in operating the emergency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부재(140)는 제1 잠금장치(12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제1 도어(12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부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장치(125)의 대부분을 덮도록 제1 도어(12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 시트(140)로 제공된다. 접착 시트(140)는 다른 커버 부재 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커버 부재(140)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접착 시트(14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잠금장치(125)를 덮도록 제1 도어(120)에 부착 가능하면서 구급 상황 혹은 응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제1 도어(120)로부터 큰 어려움 없이 떼어낼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접착 시트(140)는 사용자가 제1 잠금장치(125)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다르게 불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접착 시트(140) 상에는 소정의 문구, 예컨대 "응급 상황 발생시 본 접착 시트를 떼어낸 후 잠금장치의 버튼을 누르면 도어가 열립니다" 및/또는 "응급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현재 CCTV 감시 중입니다"라는 문구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접착 시트(140)의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착 돌출부(145)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비접착 돌출부(145)는 접착 시트(140)의 일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 도어(120)에 접착되지 않는 것으로, 접착 시트(140)를 제1 도어(120)로부터 신속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1 and 3,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버 부재(140)가 구비됨으로써, 구급장비가 보관된 제1 수용공간(111a)을 개방하려면, 즉 제1 도어(120)를 열려면 제1 잠금장치(125)의 누름버튼부(128)를 누르기 앞서 또는 누른 다음에 제1 도어(120)에 부착된 커버 부재(140)를 떼어내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140)는 보관함(100)에 보관된 구급장비를 훔치려는 사람이나 응급 상황이 아닌데도 호기심 또는 장난으로 제1 도어(120)를 열어보려는 사람 등에게 심리적인 부담과 행동의 번거로움을 줌으로써, 구급장비의 도난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First aid
다만, 커버 부재(140)는 관리자가 구급장비를 주기적으로 관리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관리자가 보관함(100)에 보관된 구급장비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제1 도어(120)를 열어 구급장비를 꺼내야 하는데, 이때 제1 도어(120)에 부착된 커버 부재(140)를 떼어내는 작업이 필요하고,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마치면 구급장비를 다시 보관함(100)에 넣은 후 제1 도어(120)에 새로운 커버 부재(140)를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울러,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마다 커버 부재(140)를 교체해야 하므로, 여분의 커버 부재(140)를 다수개 미리 제작하여 준비해 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커버 부재(140)의 부작용은 프레임 부재(150) 및 레버 부재(160)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데,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owever, the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 부재(150)는 보관함 몸체(110)에 마련되고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부(129)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155)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부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 몸체(110)의 일 측벽(도 2에서 왼쪽 측벽)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되, 수용공간(111)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마련된다. 이와 다르게, 프레임 부재(150)는 전체 수용공간(111) 중 제1 잠금장치(125)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한 일부 영역에만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단면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프레임 부재(150)는 단순히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는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 위치(도 4(a)의 위치)에서 걸림부(129)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걸림부(129)와 간섭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제1 개구부(155)는 사각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레임 부재(150)는 제1 개구부(155)를 중심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슬롯(151,15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슬롯(151,15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5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슬롯(151,152)은 후술할 레버 부재(160)의 상하 이동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레버 부재(160)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2, 5, and 6, the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레버 부재(160)는 프레임 부재(150)에 결합되어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를 개폐한다. 이때, 레버 부재(160)는 제2 도어(130)를 개방한 후 제2 수용공간(111b) 측에서 제1 개구부(155)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2 수용공간(111b) 측까지 연장된다. 즉, 레버 부재(160)의 일단부(상단부)는 제1 수용공간(111a) 측에 위치하는 반면, 레버 부재(160)의 타단부(하단부)는 제2 수용공간(111b) 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레버 부재(160)는 프레임 부재(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와 중첩되는 제2 개구부(165)를 포함한다. 제2 개구부(16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155)가 레버 부재(16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제1 개구부(155)에서 하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레버 부재(160)에 의한 제1 개구부(155)의 개폐 조작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2, 5, and 6, the
레버 부재(16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50)의 후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레버 부재(160)는 프레임 부재(150)와 마찬가지로 대략 'ㄴ'자 단면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 부재(150)의 내측에 삽입 배치된다. 다만, 레버 부재(160)는 형상 및 배치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레버 부재(160)는 단순히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레버 부재(160)는 한 쌍의 볼트(171,172)와 너트(171a,172a)를 통해 프레임 부재(150)와 결합하는데, 이를 위해 레버 부재(160)에는 프레임 부재(150)의 한 쌍의 슬롯(151,152)과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체결공(161,16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볼트(171)는 프레임 부재(150)의 앞쪽에서 제1 슬롯(151)과 제1 체결공(161)을 차례로 관통하여 레버 부재(160)의 뒤쪽에서 제1 너트(171a)와 체결되고, 제2 볼트(172)는 프레임 부재(150)의 앞쪽에서 제2 슬롯(152)과 제2 체결공(162)을 차례로 관통하여 레버 부재(160)의 뒤쪽에서 제2 너트(172a)와 체결된다. 이때, 볼트(171,172)와 너트(171a,172a)는 레버 부재(16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지 않을 정도로 상호 체결된다. 이에 따라, 레버 부재(160)는 프레임 부재(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 부재(15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슬롯(151,152)을 따라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한편, 레버 부재(160)의 하단부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63)가 프레임 부재(15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부(163)는 관리자가 레버 부재(16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편의를 제공한다. 즉, 관리자는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의 개폐 조작이 필요할 때 핸들부(163)를 잡고 레버 부재(160)를 위쪽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the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구급장비용 보관함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의 작동 원리를 프레임 부재(150)와 레버 부재(16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7 and 8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storage box for emergency equipment of FIG. 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first aid
레버 부재(160)는 평상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부(129)는 레버 부재(160)와 간섭되기 때문에, 제1 도어(1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도어(120)에 부착된 커버 부재(140)를 떼어내고 제1 잠금장치(125)의 누름버튼부(128)를 눌러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부(129)가 걸림 위치(도 4a 참조)에서 걸림 해제 위치(도 4b 참조)로 이동하도록 해야 한다.The
그런데, 레버 부재(160)가 위와 같은 하강 위치에 있다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위치로 이동하면, 레버 부재(160)의 제2 개구부(165)가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와 중첩되어 제1 개구부(155)를 개방한다. 이 경우, 제1 잠금장치(125)의 걸림부(129)는 프레임 부재(150)와 간섭되지 않음은 물론 레버 부재(160)와도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제1 도어(1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커버 부재(140)의 제거 및 제1 잠금장치(125)의 조작이 없이도 열리게 된다. 여기서, 레버 부재(160)의 조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도어(130)를 개방한 후 제2 수용공간(111b) 측에서 가능하다.However, when the
다시 말해서, 레버 부재(160)는 프레임 부재(150)의 제1 개구부(155)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와 레버 부재(160)의 제2 개구부(165)가 제1 개구부(155)와 중첩되어 제1 개구부(155)를 개방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레버 부재(160)의 이동 조작은 제2 도어(130)를 개방한 후 제2 수용공간(111b) 측에서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프레임 부재(150) 및 레버 부재(160)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자가 구급장비를 주기적으로 관리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함에 있어서 커버 부재(140)로 인해 나타나는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구급장비에 대한 점검 및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프레임 부재(150)와 레버 부재(160)의 작동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1 도어(120)를 개방함으로써, 구급장비에 대한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마다 커버 부재(140)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aid
한편, 본 발명에서 프레임 부재(150)와 레버 부재(16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은 커버 부재(140)와의 관계를 떠나 다른 기술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구급장비용 보관함(100)은 관리상의 이유 등으로 제1 도어(120)에 설치된 제1 잠금장치(125)를 잠금 상태로 운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잠금장치(125)의 열쇠가 없더라도, 프레임 부재(150)와 레버 부재(160)의 작동 메커니즘을 통해 제1 도어(120)를 개방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은 특히 관리자가 제1 잠금장치(125)의 열쇠를 분실하였거나 분실하지 않았더라도 보관함(1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프레임 부재(150)와 레버 부재(160)의 구성은 커버 부재(140)와의 관계에서 갖는 기술적 의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구급장비용 보관함
110 : 보관함 몸체
120 : 제1 도어
125 : 제1 잠금장치
129 :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
130 : 제2 도어
135 : 제2 잠금장치
140 : 커버 부재(접착 시트)
150 : 프레임 부재
155 : 제1 개구부
160 : 레버 부재
165 : 제2 개구부100: First Aid Kit Locker
110: storage box body
120: first door
125: first locking device
129: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130: second door
135: second locking device
140: cover member (adhesive sheet)
150: frame member
155: first opening
160: lever member
165: second opening
Claims (12)
상기 제1 잠금장치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
상기 보관함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A storage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a first door which opens and closes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where emergency equipment is accommodated, and a first locking device is installed,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A first aid kit storage box including a second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space and a second locking device is installe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first door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A frame member provided on the storage body and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And
The first aid kit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ver member coupled to the frame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잠금장치를 덮도록 상기 제1 도어의 전면에 부착되는 접착 시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cover member,
First aid kit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adhesive sheet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irst door to cover the first locking device.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 측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lever member,
After opening the second door is a first-aid equipment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side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opening from the second receiving space side.
상기 레버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수용공간 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버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3,
One end of the lever member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receiving space, the other end of the lev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side.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lever member,
A first aid kit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state coupled to the frame member, the second opening overlapping the first opening formed in the frame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s disposed up and down,
The lever member is moved up and down between a lowered position for closing the first opening and a raised position for overlapping the first opening and opening the first opening. Cost locker.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5,
The lever member,
First aid kit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protruding from the frame member.
상기 프레임 부재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이동을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frame member,
At least one slo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ever member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is formed for emergency equipment storage.
상기 보관함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잠금장치의 걸림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A storage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a first door which opens and closes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where emergency equipment is accommodated, and a first locking device is installed,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A first aid kit storage box including a second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space and a second locking device is installed.
A frame member provided on the storage body and having a first opening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device; And
The first aid kit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ver member coupled to the frame memb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opening.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한 후 상기 제2 수용공간 측에서 상기 제1 개구부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수용공간 측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lever member,
After opening the second door is a first-aid equipment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to the second receiving space side to enabl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irst opening from the second receiving space side.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
The method of claim 9 or 10,
The lever member,
A first aid kit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state coupled to the frame member, the second opening overlapping the first opening formed in the frame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폐쇄하는 하강 위치와, 상기 제2 개구부가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개방하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장비용 보관함.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is disposed up and down,
The lever member is moved up and down between a lowered position for closing the first opening and a raised position for overlapping the first opening and opening the first opening. Cost lock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9587A KR101201882B1 (en) | 2010-11-05 | 2010-11-05 | Cabinet for rescue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9587A KR101201882B1 (en) | 2010-11-05 | 2010-11-05 | Cabinet for rescue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8127A true KR20120048127A (en) | 2012-05-15 |
KR101201882B1 KR101201882B1 (en) | 2012-11-15 |
Family
ID=4626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95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1882B1 (en) | 2010-11-05 | 2010-11-05 | Cabinet for rescue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18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7006B1 (en) * | 2012-09-26 | 2014-04-21 |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 Cabinet for rescue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3926A (en) | 2002-03-05 | 2003-09-10 | Yukio Kashiwagi | Unlawful unlocking prevention device |
KR200447263Y1 (en) | 2007-10-26 | 2010-01-12 | 정옥교 | Integrated function door handle fastening for prefab wardrobe |
KR200450161Y1 (en) * | 2008-09-19 | 2010-09-08 | 주식회사 명성기업 | Unmanned locker |
-
2010
- 2010-11-05 KR KR1020100109587A patent/KR10120188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7006B1 (en) * | 2012-09-26 | 2014-04-21 | 주식회사 대한에스엠 | Cabinet for rescue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1882B1 (en) | 2012-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01589A (en) | Quick opening hand gun safe | |
JP2011019920A (en) | Dispenser housing with locking mechanism | |
BR112018001992B1 (en) | ELEVATOR CABIN | |
KR101201882B1 (en) | Cabinet for rescue equipment | |
JP2010189178A (en) | Emergency kit storage box | |
JP4942096B2 (en) | Emergency box | |
JP3153302U (en) | Toilet hook with anti-theft and left-behind prevention function | |
KR101387006B1 (en) | Cabinet for rescue equipment | |
KR100947250B1 (en) | Lockerroom with double locking device | |
JP5364900B2 (en) | Locking device | |
JP4593335B2 (en) | Padlock storage box | |
JP5364899B2 (en) | Storage fixtures | |
JP6685211B2 (en) | Safety fence and lockout device | |
JP4638778B2 (en) | Storehouse | |
JP5856800B2 (en) | Emergency equipment storage | |
CN216921726U (en) | Door lock system for mobile washroom | |
CN210144202U (en) | Self-service access cabinet | |
CN108868321A (en) | A kind of smart lock low-power consumption safety device | |
JP5188462B2 (en) | Device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unlocking device in anti-theft device | |
KR200241286Y1 (en) |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emergency entrance door | |
KR200396880Y1 (en) | Crime prevention of crimes window in a state of emergency | |
JP2018048529A5 (en) | ||
JP2004027810A (en) | Lock releasable from outside | |
JPS589951Y2 (en) | emergency supplies storage | |
KR100947251B1 (en) | Doorloc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