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795A -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4795A KR20120044795A KR1020100106294A KR20100106294A KR20120044795A KR 20120044795 A KR20120044795 A KR 20120044795A KR 1020100106294 A KR1020100106294 A KR 1020100106294A KR 20100106294 A KR20100106294 A KR 20100106294A KR 20120044795 A KR20120044795 A KR 201200447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kage
- pressure
- amount
- differential pressure
- replenish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구에 연결되어 누설량과 보충량의 공급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제연구역인 부속실과 거실간의 차압이 기준치 이상의 과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반대로 기준치 이하의 저압으로 유지되는 경우를 사전에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안전한 피난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 1b는 종래의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을 도시한 건물의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서 급기 댐퍼가 닫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서 급기 댐퍼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가 적용되는 제연 시스템을 구비한 건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가 건물의 부속실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의 제어방법을 차례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조건 | 급기댐퍼(100) 제어방안 | |
누설량 조절용 날개(110a) | 보충량 조절용 날개(110b) | |
○부속실(40)의 출입문(42)이 닫힘 ○△P가 △P1 보다 높게 형성됨 |
○ △P가 △P1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열림 ○ △P가 △P2을 유지하도록 누설량 조절용 날개(110a)의 개도를 조절하여 공급되는 누설량 풍량을 조절함 |
○ △P가 △P1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닫힘 |
조건 | 급기댐퍼(100) 제어방안 | |
누설량 조절용 날개(112a) | 보충량 조절용 날개(112b) | |
○ 부속실(40)의 출입문(42)이 열림 ○△P가 △P1 보다 낮게 형성됨 |
○ △P가 △P1 이하가 되는 시점에서 닫힘 |
○ △P가 △P1 이하가 되는 시점에서 완전 열림 |
20..... 풍도 22..... 공동구
30..... 거실 32..... 급기댐퍼
40...... 부속실 42..... 출입문
100.....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110a..... 누설량 조절용 날개 110b...... 보충량 조절용 날개
112a..... 누설량 연결 덕트 112b...... 보충량 연결 덕트
140...... 압력센서 150a,150b.... 구동모터
152a,152b..... 링크 160...... 제어기
200...... 제연 시스템 210...... 송풍수단
212a...... 누설량 급기 송풍기 212b..... 보충량 급기 송풍기
220...... 통풍수단 212a..... 누설량 급기 송풍기
212b..... 보충량 급기 송풍기 222a..... 누설량 공급 풍도
222b...... 보충량 공급 풍도
300......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PA....... 거실압력 PL...... 부속실 압력
△P..... 차압 △P1...... 일차 차압
△P2...... 설계기준 차압
Claims (6)
- 고층건물에 설치되는 제연시스템의 급기 댐퍼에 있어서,
누설량과 보충량을 각각 분리하여 공급하는 공동구의 누설량 공급 풍도와 보충량 공급 풍도에 각각 누설량 연결 덕트와 보충량 연결 덕트를 통해 연결되면서 누설량과 보충량의 공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누설량 조절용 날개와 보충량 조절용 날개를 나란하게 구비하며,
부속실 압력과 거실압력의 차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을 받아서 상기 누설량 조절용 날개와 보충량 조절용 날개를 각각 개폐시키는 모터들을 개별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서 얻어진 상기 부속실 압력과 거실압력의 차압을 이용하여 각각의 구동모터들을 통하여 상기 누설량 조절용 날개 또는 보충량 조절용 날개의 개도율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누설량 또는 보충량의 공급 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부속실 출입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부속실 압력과 거실압력의 차압을 연속적으로 감지하고, 현재 검출된 차압이 그 이전에 검출된 일차 차압보다 높게 형성되면 부속실로 누설량만 공급되도록 누설량 조절용 날개를 열고, 보충량 조절용 날개는 닫히도록 하며, 동시에 부속실 압력과 거실압력의 차압을 설계기준 차압으로 유지하도록 누설량 조절용 날개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부속실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부속실 압력과 거실압력의 차압을 연속적으로 감지하고, 현재 검출된 차압이 그 이전에 검출된 일차 차압보다 낮게 형성되면 부속실로 보충량만 공급되도록 보충량 조절용 날개는 열고, 누설량 조절용 날개는 닫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 고층건물에 설치되는 제연시스템의 급기 댐퍼 제어방법에 있어서,
부속실의 출입문이 닫쳐 있는가를 판별하고;
부속실의 압력과 거실 압력의 차압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며;
상기 검출 차압이 그 이전에 검출된 일차 차압보다 높은가를 판별하고; 그리고
상기 검출 차압에 기초하여 누설량 조절용 날개 또는 보충량 조절용 날개의 개도율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누설량 또는 보충량의 공급 풍량을 별개로 조절하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실 출입문이 닫혀 있고, 상기 검출 차압이 그 이전에 검출된 일차 차압보다 높게 형성되면, 상기 검출 차압이 일차 차압의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누설량 조절용 날개를 열고, 검출 차압이 설계기준 차압을 유지하도록 누설량 조절용 날개의 개도를 조절하며, 동시에 보충량 조절용 날개는 상기 검출 차압이 일차 차압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닫히도록 하여 부속실로는 누설량만 공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실 출입문이 열린 상태이고, 상기 검출 차압이 그 이전에 검출된 일차 차압보다 낮게 형성되면, 상기 검출 차압이 일차 차압의 이하가 되는 시점에서 누설량 조절용 날개를 닫고, 동시에 보충량 조절용 날개는 상기 검출 차압이 일차 차압의 이하가 되는 시점에서 완전히 열리도록 하여 부속실로는 보충량만 공급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6294A KR101223239B1 (ko) | 2010-10-28 | 2010-10-28 |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
US13/634,882 US9784466B2 (en) | 2010-10-28 | 2011-10-21 | Air supply damper for separately supplying leakage air flow and supplementary air flow,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moke control system utilizing the same |
CN201180022032.6A CN102869410B (zh) | 2010-10-28 | 2011-10-21 | 空气供应调节门及其控制方法以及烟气控制系统 |
PCT/KR2011/007889 WO2012057474A1 (ko) | 2010-10-28 | 2011-10-21 |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6294A KR101223239B1 (ko) | 2010-10-28 | 2010-10-28 |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795A true KR20120044795A (ko) | 2012-05-08 |
KR101223239B1 KR101223239B1 (ko) | 2013-01-21 |
Family
ID=4599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6294A Active KR101223239B1 (ko) | 2010-10-28 | 2010-10-28 |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784466B2 (ko) |
KR (1) | KR101223239B1 (ko) |
CN (1) | CN102869410B (ko) |
WO (1) | WO2012057474A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3144B1 (ko) * | 2012-11-07 | 2014-04-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
KR101409791B1 (ko) * | 2012-11-07 | 2014-06-2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
KR101989275B1 (ko) * | 2018-03-21 | 2019-06-13 | 이상훈 | 활성탄 재생식 배기가스 정화장치 |
KR102054889B1 (ko) * | 2019-07-05 | 2019-12-11 | 홍성완 | 급기가압 차압제연장치 |
KR102113241B1 (ko) * | 2019-05-29 | 2020-05-25 |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
KR20210019251A (ko) * | 2019-08-12 | 2021-02-22 | 유병규 |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
KR102368341B1 (ko) * | 2021-09-23 | 2022-03-02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계단실을 이용한 부속실 제연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12221758B2 (en) | 2011-02-24 | 2017-05-04 | Eximo Medical Ltd. | Hybrid catheter for tissue resection |
KR101146850B1 (ko) * | 2012-02-16 | 2012-05-16 | 대림산업 주식회사 | 체인기어 방식의 블레이드 진퇴장치를 구비한 무지향성 제연댐퍼 |
JP6119270B2 (ja) * | 2013-01-29 | 2017-04-26 | 株式会社大林組 | 加圧防排煙設備および加圧防排煙設備を備えた建物 |
CN104056374B (zh) * | 2013-03-19 | 2018-01-02 | 王盘龙 | 建筑物内管道应急定点输氧装置系统 |
US10184678B2 (en) | 2013-09-06 | 2019-01-22 | Carrier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duct leakage in a HVAC system |
EP3145430B1 (en) | 2014-05-18 | 2019-07-03 | Eximo Medical Ltd. | System for tissue ablation using pulsed laser |
DE102014108531A1 (de) | 2014-06-17 | 2015-12-17 | Günter Schulte | Abströmvorrichtung für die Ableitung von Rauch und/oder Überdruck aus einem Geschoss eines Gebäudes |
KR101699895B1 (ko) | 2015-06-19 | 2017-01-26 | (주) 금강씨에스 |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
US11684420B2 (en) | 2016-05-05 | 2023-06-27 | Eximo Medical Ltd. | Apparatus and methods for resecting and/or ablating an undesired tissue |
RU2633276C1 (ru) * | 2016-05-17 | 2017-10-11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дружбы народов" (РУДН) | Клапан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й |
KR101911323B1 (ko) | 2016-12-12 | 2018-10-24 | 김광태 |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
KR101923461B1 (ko) * | 2017-12-21 | 2018-11-30 | (주)이엔에프테크 | 화재 대피실 |
US11325712B2 (en) * | 2018-11-05 | 2022-05-10 | The Boeing Company |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infiltration of cabin air into the flight deck of an aircraft |
US11435098B2 (en) * | 2019-03-15 | 2022-09-06 |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using differential air pressure |
KR102419300B1 (ko) * | 2020-07-27 | 2022-07-12 |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 제연댐퍼 시스템 |
KR102404661B1 (ko) * | 2020-09-11 | 2022-06-02 | 김용광 | 고층 건축물 계단실의 급기가압제연설비의 구조 |
CN113639445A (zh) * | 2021-07-16 | 2021-11-12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空调的控制方法及其系统、装置、存储介质 |
US11255559B1 (en) * | 2021-08-23 | 2022-02-22 | William E Nowlin | Automatic smoke removal system |
KR102398031B1 (ko) * | 2021-09-23 | 2022-05-12 | 윤성환 | 건물의 제연 설비 및 그 시공 방법 |
US12038322B2 (en) | 2022-06-21 | 2024-07-16 | Eximo Medical Ltd. | Devices and methods for testing ablation systems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54946A (en) * | 1965-07-30 | 1967-11-28 | Tempmaster Corp | Air conditioning system |
GB1438001A (en) * | 1973-06-26 | 1976-06-03 | Kg Smoke Dispersal Ltd | Fire safety systems |
US3884133A (en) * | 1974-08-21 | 1975-05-20 | Edward J Miller | Fire control system for multi-zone buildings |
GB1479793A (en) * | 1975-04-02 | 1977-07-13 | Kg Smoke Dispersal Ltd | Fire safety systems |
US4054084A (en) * | 1975-11-18 | 1977-10-18 | William Francis Palmer | Fire and smoke free system for high rise building stairways |
US4738116A (en) * | 1985-07-08 | 1988-04-1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Apparatus for deflect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in an air conditioner |
JP3047105B2 (ja) * | 1990-04-02 | 2000-05-29 | 能美防災株式会社 | 防煙方法及び防煙装置 |
US5788571A (en) * | 1997-01-22 | 1998-08-04 | Ivison; John T. | Method of venting smoke from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
US5718627A (en) * | 1997-02-03 | 1998-02-17 | Wicks; Edward A. | System and method for smoke free elevator shaft |
DE19848736B4 (de) * | 1998-10-22 | 2004-11-11 | Horch, Fabian | Rauchschutzeinrichtung für Treppenräume oder dergleichen |
KR100297973B1 (ko) * | 1999-05-17 | 2001-09-22 | 문병수 | 고층 주거건물의 제연방법 및 그 장치 |
KR100317243B1 (ko) * | 1999-09-07 | 2001-12-22 | 황해웅 | 수두차 스위치를 이용한 특별피난구역의 자동 차압 유지방법 및 그 장치 |
KR200177021Y1 (ko) * | 1999-10-13 | 2000-04-15 | 우성상역주식회사 | 급기 가압형 제연설비의 댐퍼 |
JP4230071B2 (ja) | 1999-10-29 | 2009-02-25 | 鹿島建設株式会社 | 加圧排煙システム |
KR100419390B1 (ko) * | 2000-06-16 | 2004-02-19 | 원희섭 | 건축물의 제연구역에 대한 자동제연시스템 |
KR100421805B1 (ko) * | 2001-08-31 | 2004-03-11 | 박재현 | 제연방법 |
US7798418B1 (en) | 2005-06-01 | 2010-09-21 | ABT Systems, LLC | Ventilation system control |
CN2932194Y (zh) * | 2006-04-27 | 2007-08-08 |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 一种风门系统 |
CN101153733B (zh) * | 2006-09-30 | 2010-05-12 | 海尔集团公司 | 一种具有上排风的三出风口空调的不对称排风控制方法 |
US9372009B2 (en) * | 2007-08-17 | 2016-06-21 | Siemens Industry, Inc. | Pressure control with coarse and fine adjustment |
KR20070001065U (ko) * | 2007-08-30 | 2007-10-04 | 김창환 |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
KR100932628B1 (ko) | 2007-10-31 | 2009-12-17 | 유병규 |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
KR100985894B1 (ko) * | 2008-06-24 | 2010-10-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수직 통로 내 공기의 급기 및 배기를 통한 고층건물수직통로에서의 연돌 효과 저감방법 및 장치 |
-
2010
- 2010-10-28 KR KR1020100106294A patent/KR101223239B1/ko active Active
-
2011
- 2011-10-21 US US13/634,882 patent/US9784466B2/en active Active
- 2011-10-21 CN CN201180022032.6A patent/CN10286941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0-21 WO PCT/KR2011/007889 patent/WO201205747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3144B1 (ko) * | 2012-11-07 | 2014-04-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
KR101409791B1 (ko) * | 2012-11-07 | 2014-06-2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
KR101989275B1 (ko) * | 2018-03-21 | 2019-06-13 | 이상훈 | 활성탄 재생식 배기가스 정화장치 |
KR102113241B1 (ko) * | 2019-05-29 | 2020-05-25 |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
KR102054889B1 (ko) * | 2019-07-05 | 2019-12-11 | 홍성완 | 급기가압 차압제연장치 |
KR20210019251A (ko) * | 2019-08-12 | 2021-02-22 | 유병규 |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
KR102368341B1 (ko) * | 2021-09-23 | 2022-03-02 |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 계단실을 이용한 부속실 제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3239B1 (ko) | 2013-01-21 |
US9784466B2 (en) | 2017-10-10 |
CN102869410B (zh) | 2015-03-11 |
US20130005236A1 (en) | 2013-01-03 |
WO2012057474A1 (ko) | 2012-05-03 |
CN102869410A (zh) | 2013-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3239B1 (ko) |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16232B1 (ko) | 제연시스템 | |
KR101409791B1 (ko) |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 |
KR101969947B1 (ko) |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 |
KR102082664B1 (ko) | 통합 제연 시스템 | |
KR100985894B1 (ko) | 수직 통로 내 공기의 급기 및 배기를 통한 고층건물수직통로에서의 연돌 효과 저감방법 및 장치 | |
KR101934034B1 (ko) |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 |
KR20110019798A (ko) | 복합댐퍼 | |
KR20180109269A (ko) |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 |
KR20110124463A (ko) |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 |
KR101123934B1 (ko) |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시스템 | |
KR101529463B1 (ko) |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 |
KR101383144B1 (ko) |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 |
KR101683535B1 (ko) | 제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
KR20090044172A (ko) |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 |
KR101911323B1 (ko) |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 |
KR20130006253U (ko) | 제연 시스템 댐퍼 | |
KR100421806B1 (ko) |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 |
KR100671477B1 (ko) |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 |
KR102413971B1 (ko) | 급기가압 시스템의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 및 이의 운영방법 | |
KR102080793B1 (ko) |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 |
KR102565051B1 (ko) |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 |
KR102472580B1 (ko) | 자동 차압급기댐퍼를 구비한 고층건물 제연 시스템 | |
KR200375672Y1 (ko) |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 |
JPH10311577A (ja) | ビルディン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