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3144B1 -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144B1
KR101383144B1 KR1020120125666A KR20120125666A KR101383144B1 KR 101383144 B1 KR101383144 B1 KR 101383144B1 KR 1020120125666 A KR1020120125666 A KR 1020120125666A KR 20120125666 A KR20120125666 A KR 20120125666A KR 101383144 B1 KR101383144 B1 KR 10138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pressure
replenishment
wind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엽
안찬솔
주상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14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고층건물의 제연구역인 부속실에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보충량 급기풍도에 배기댐퍼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적정한 설계범위에서 운전함으로써, 모든 피난문이 닫힌 상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속실 및 옥내 간의 적정 압력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에 설치된 배기댐퍼를 신속하게 개폐 운전함으로써, 부속실 및 옥내 간의 적정 압력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PRESSURE DIFFERENTIAL-TYPE SMOKE CONTROL SYSTEM HAVING EXHAUST DAMPER FOR ADJUSTING PRESSURE OF SUPPLEMENTARY AIR SUPPLY DUCT,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부속실에서 안전한 피난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누설량과 보충량을 각각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리급기형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하,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이라 함)에 있어서,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을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고도화 및 집적화되면서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 및 복합화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화재에 취약한 건축물이 증가되고 있어, 인명안전을 위한 효과적인 화재 대책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화재 발생시 피난 및 소화활동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인명안전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연기의 제어를 위한 제연 시스템(Smoke Control System)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고층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피난계단으로의 연기 침투를 방지하여 안전한 피난경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화재안전기준 NFSC 501A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화재안전기준에서는 제연구역으로 연기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연구역과 옥내 사이에 40Pa 이상의 차압(또는 스프링클러 설치시 12.5Pa 이상)을 유지하고,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개방력을 110N 이하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피난을 위하여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제연구역의 선정방식에 따라 0.5㎧ 이상의 방연풍속 또는 0.7㎧ 이상의 방연풍속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식으로서, 제연용 송풍기와 수직풍도를 이용하여 옥내와 계단실 사이에 위치하는 부속실에 외부 공기를 급기함으로써 부속실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건물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건물의 평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에서 급기댐퍼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은, 제연용 송풍기(10)와 공동구(70)를 통과하는 하나의 수직풍도(20)를 이용하여 옥내(60), 사무실의 복도 및 계단실(50) 사이의 부속실(40)에 마련된 급기댐퍼(30)를 통해 외기를 공급하고, 이를 통해 부속실(40) 내의 기압을 높여주는 제연 시스템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은, 제연구역으로 부속실(40)을 설정하고, 화재가 발생한 옥내(60)에서 부속실(40)로의 연기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부속실(40)과 옥내(60) 사이에 기준치 이상의 차압, 예를 들면, 40Pa 이상의 차압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연기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일정 기준 이상의 차압을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재실자가 피난을 위하여 출입문(80)을 여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출입문(80)의 개방력을 일정 기준 이하, 예를 들면, 110N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차압, 즉, 부속실(40)에 과압이 걸리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차압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옥내(60)와 부속실(40)간 차압은 하한치와 상한치 사이에서 조절되어야 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에서, 부속실(40)과 옥내(60) 사이에 기준치의 차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차압이 형성되었을 때, 부속실(40)에 설치된 출입문(80)의 틈새를 통하여 부속실(40)로부터 흘러나가는 공기량만큼 부속실로 공급하여야 하는데, 이를 누설량이라 한다.
또한, 부속실(40)의 출입문(80)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옥내(60)로부터 부속실(40) 내로 연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연풍속, 예를 들면, 0.5㎧ 이상의 방연풍속 또는 0.7㎧ 이상의 방연풍속을 유지하도록 외부 공기를 부속실(40) 내로 공급하여야 하는데, 이를 보충량이라 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은 전술한 누설량과 보충량을 계산한 후, 제연용 송풍기(10)의 급기량을 누설량과 보충량의 합으로 계산한다. 이때, 누설량과 보충량을 합한 풍량이 제연용 송풍기(10)에서 수직풍도(20)를 통해 각 층의 부속실(40)로 공급되는 경우, 각 층별로 부속실(40)로 공급되는 풍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부속실(40)의 출입문(80)이 닫혀 있는 경우, 출입문 틈새를 통한 연기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준 이상의 차압을 유지해야 하며, 동시에 재실자가 피난을 위하여 출입문을 여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출입문의 개방력을 일정 기준 이하로 하기 위한 과압 방지, 즉, 부속실(40)에 과압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과압 방지를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옥내(60)와 부속실(40) 간의 차압이 하한치와 상한치 사이에서 조절되도록 각층의 부속실(40)에 공급되는 풍량을 조절해야 한다. 또한, 부속실(40)의 출입문(80)이 개방되었을 경우, 기준치 이상의 방연풍속이 생성되도록 부속실로 풍량을 공급해야 한다. 이와 같은 부속실에서의 압력과 방연풍속의 설계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대다수 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는 설비가 자동차압 및 과압조절형 급기댐퍼(30)이다.
이러한 자동차압 및 과압조절형 급기댐퍼(3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실(40) 벽면과 수직풍도(20) 사이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댐퍼 날개(31)가 닫힌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수직풍도(20)와 부속실(40)간 기류가 흐르지 않게 하고, 화재가 발생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날개(31)가 구동모터(32)에 의해 회전하면서 수직풍도(20)의 공급 공기가 부속실(40)로 급기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부속실(40)과 옥내(60) 사이의 차압을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감지하여 부속실(40)로 공급되는 풍량이 조절되도록 댐퍼 날개(31)의 개도를 조절하고, 결과적으로, 부속실(40)과 옥내(60) 간의 차압유지와 과압 방지 및 방연풍속 형성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압 및 과압조절형 급기댐퍼(30)는 화재가 발생하면 작동을 시작하여 댐퍼 날개(31)가 열리면서 제연에 필요한 공기를 부속실(4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부속실(40)과 옥내(60) 간의 차압이 설계 차압이 될 때까지 댐퍼 날개(31)의 개도를 증가시키면서 공급 풍량을 늘린다. 이와 같이 늘어나는 풍량에 따라 차압이 증가하다가 설계 차압 이상으로 차압이 형성되면, 댐퍼 날개(31)의 개도를 역방향으로 감소시켜 공급 풍량을 줄이고, 부속실(40)과 옥내(60) 간의 차압이 줄어들게 한다.
그러나 차압이 설계차압보다 떨어지면, 다시 댐퍼 날개(31)의 개도를 증가시켜 풍량을 늘린다. 즉, 부속실(40)과 옥내(60) 사이에 형성되는 차압과 설계차압을 비교하고, 이에 따라 공급 풍량을 조절한다.
또한, 부속실(40)의 출입문(80)이 개방되어 부속실(40)과 옥내(60) 사이의 차압이 거의 "0"이 되면, 댐퍼(30)의 개도가 100%로 완전히 열리고, 공급 풍량이 최대가 되면서 출입문(80)으로의 방연풍속이 형성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차압 및 과압조절형 급기댐퍼(30)는, 부속실(40)과 옥내(60) 간의 차압을 압력센서로 감지하고, 댐퍼 날개(31)의 개도를 조절하여 부속실(40)과 옥내(60) 간의 차압이 설계차압을 유지하도록 하고, 동시에 출입문 개방시의 방연풍속을 형성한다.
그러나 실제 고층건물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에 대한 현장 성능평가의 결과를 검토해 보면, 상당수의 고층건물에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이 소정의 운전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연구역인 부속실(40)과 옥내(60) 간의 차압이 기준치 이상의 과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반대로 기준치 이하의 저압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피난을 위해 부속실(40)의 출입문(80)이 개방되면, 출입문(80)이 열린 층 이외의 층에서 개방 전에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던 차압이 크게 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급기 풍량을 누설량과 보충량의 합으로 산출하여 이를 하나의 수직풍도(20)로 공급하는 설계 개념, 및 누설량과 보충량의 공급풍량을 동시에 제어하는 자동차압 및 과압조절형 급기댐퍼(30)의 동작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적정한 제연 차압을 형성하기 위한 정상 누설량 이외에 방연풍속을 만족시키기 위한 보충량을 추가적으로 급기하기 때문에 전체 층의 출입문(80)이 닫혀 있을 경우, 과다 급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부속실(40)의 출입문(80)이 개방되면, 출입문(80)이 개방된 층에서 보충량과 함께 누설량 중 일부가 배출되기 때문에 다른 층에서는 정상 누설량보다 적은 풍량이 급기되어 부속실(40)과 옥내(60) 간의 차압이 기준치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은, 한 개의 수직풍도(20)를 통해 누설량과 보충량을 동시에 공급하고, 누설량과 보충량을 동일한 유로로 공급하면서 함께 제어하는 자동차압 및 과압조절형 급기댐퍼(30)를 바탕으로 하는 제연 시스템(1)을 고층건물에 설치하여 운영하게 될 경우, 부속실(40)과 옥내(60) 사이에 형성되는 차압이 설계기준에 미달하거나, 또는 과압이 형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의 설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누설량의 공급과 보충량의 공급을 각기 다른 유로를 통해 부속실에 공급하는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2-44795호에는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본 명세서 내에 참조되어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루며,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시 송풍량-압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피난문이 열린 상태의 운전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피난문이 모두 닫힌 상태의 운전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100)의 경우, 그 기능과 역할에서 서로 독립적인 누설량과 보충량을 각기 다른 유로(120a, 120b)로 분리하여 각 층의 부속실(140)로 공급함으로써, 출입문(180)이 닫힌 층에는 누설량만 공급하여 부속실(140)과 옥내(160) 간의 과압을 방지하고, 출입문(180)이 열린 층에는 보충량만 공급함으로써, 누설량의 유출과 이에 따른 부속실(140)과 옥내(160) 간의 저압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100)은 기능과 역할에서 서로 독립적인 누설량과 보충량을 각기 다른 유로로 분리하여 각 층의 부속실(140)로 급기하게 되며, 이때, 표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속실(140)의 출입문(180)의 개폐 조건에 따라 합당한 급기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2091619610-pat00001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100)은 연기로부터 안전한 피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개선된 성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출입문(180)인 피난문이 모두 닫히는 상태에서는 누설량만 공급함으로써 보충량 급기풍도(120b) 내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이 요구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문(180)이 열린 상태에서는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110b)에서 보충량에 해당하는 공기를 급기하고, 보충량 급기풍도(120b)와 보충량 급기용 댐퍼(130b)를 통해 피난문(180)으로 방연풍속을 발생하게 된다.
도 4의 송풍량-압력 관계 그래프에서, 피난문(180)이 열린 상태의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100)은, 제1 운전점(운전점 A)과 시스템곡선A로 나타나게 된다. 즉, 설계 보충량(
Figure 112012091619610-pat00002
)이 공급되고, 보충량 급기풍도(120) 내의 압력은
Figure 112012091619610-pat00003
가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피난문(180)이 닫힌 상태가 되면,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110b)에서 급기되는 보충량이 충분히 배기되지 않기 때문에 보충량 급기풍도(120b) 내 압력이 설계 범위를 넘어서 높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4의 송풍량-압력 관계 그래프에서, 피난문(180)이 모두 닫힌 상태의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100)은, 제2 운전점(운전점 B)과 시스템곡선B로 나타나게 되며, 이때의 보충량 급기풍도(120b) 내의 압력은
Figure 112012091619610-pat00004
로서, 적정 압력인
Figure 112012091619610-pat00005
보다 높은 과압이 형성된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100)에서는 모든 층의 피난문(180)이 닫히게 되면,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110b)에서 급기되는 보충량이 충분히 배기되지 않기 때문에 보충량 급기풍도(120) 내의 압력이 설계 범위를 넘어서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충량 급기풍도(120)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부속실(140) 내의 압력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설계에 따른 부속실(140) 및 옥내(160) 간의 적정 압력 제어가 곤란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2-44795호(공개일: 2012년 5월 8일), 발명의 명칭: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893205호(출원일: 2007년 8월 21일), 발명의 명칭: "급기가압 제연장치" 3)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32628호(출원일: 2007년 10월 31일), 발명의 명칭: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4)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1999-19237호(공개일: 1999년 1월 26일), 발명의 명칭: "가압식 배연 방법 및 가압식 배연 장치" 5)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1997-287787호(공개일: 1997년 11월 4일), 발명의 명칭: "배연 제어 시스템" 6)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2005-90885호(공개일: 2005년 4월 7일), 발명의 명칭: "건물" 7)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82277호(공개일: 2011년 7월 19일), 발명의 명칭: "급기가압 제연장치" 8) 미국 등록특허번호 제7,241,218호(출원일: 2004년 5월 4일), 발명의 명칭: "화재/연기 댐퍼 제어 시스템(Fire/Smoke Damper Control System)"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에 배기댐퍼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적정한 설계범위에서 운전함으로써, 모든 피난문이 닫힌 상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속실 및 옥내 간의 적정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에 설치된 배기댐퍼를 신속하게 개폐 운전함으로써, 부속실 및 옥내 간의 적정 압력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은, 고층건물의 각 층에 형성된 제연구역인 부속실에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속실의 방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속실에 보충하여야 할 공기량인 보충량에 대응하는 공기를 상기 부속실에 공급하는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 상기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에 연결되고, 고층건물의 공동구를 따라 연장되어 보충량 급기 유로를 형성하는 보충량 급기풍도;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에 연결되고, 고층건물의 각 부속실에 보충량별로 공기를 공급하는 보충량 급기댐퍼;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된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 및 상기 압력 측정용 센서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공기를 배기시킴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을 조절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Exhaust Damp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에 의해 운전점을 전환시킴으로써 적정 설계값을 유지하고, 피난문이 열리고 닫히는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전점은 상기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의 송풍량에 대응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에 따라 제1 운전점(운전점 A), 제2 운전점(운전점 B), 제3 운전점(운전점 C) 및 제4 운전점(운전점 D)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여기서, 상기 제1 운전점(운전점 A)은 상기 피난문이 열리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닫히는 조건으로서 적정 차압에서 운전되고, 상기 제2 운전점(운전점 B)은 상기 피난문이 닫히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닫히는 조건으로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과압에서 운전되며, 상기 제3 운전점(운전점 C)은 상기 피난문이 닫히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열리는 조건으로서 적정 차압에서 운전되고, 상기 제4 운전점(운전점 D)은 상기 피난문이 열리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열리는 조건으로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저압에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난문이 닫혀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적정 설계값보다 높은 과압으로 형성될 경우(운전점 B 상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열어서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적정 상태(운전점 C)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난문이 닫혀서 제1 운전점(운전점 A)에서 제2 운전점(운전점 B)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 운전점(운전점 A) 및 제2 운전점(운전점 B) 사이의 압력차인 △PH보다 적은 압력차인 △PHS의 압력 상승을 감지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상태인 운전점 C로 신속하게 운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과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열은 상태에서 상기 피난문이 열려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설계값보다 낮은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운전점 D 상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닫아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적정 상태(운전점 A)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난문이 열려서 제3 운전점(운전점 C)에서 제4 운전점(운전점 D)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3 운전점(운전점 C) 및 제4 운전점(운전점 D) 사이의 압력차인 △PL보다 적은 압력차인 △PLS의 압력하강을 감지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상태인 운전점 A로 신속하게 운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은, 고층건물의 제연구역인 부속실에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누설량 급기용 송풍기 및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가 누설량 급기풍도 및 보충량 급기풍도를 통해 각각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부속실로 급기하는 단계; b)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열린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과압인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과압인 경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닫고 운전점을 전환시키는 단계; e)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닫힌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저압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저압인 경우,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열고 운전점을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에 배기댐퍼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적정한 설계범위에서 운전함으로써, 모든 피난문이 닫힌 상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속실 및 옥내 간의 적정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에 설치된 배기댐퍼를 신속하게 개폐 운전함으로써, 부속실 및 옥내 간의 적정 압력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안전한 피난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건물의 평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에서 급기댐퍼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시 송풍량-압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피난문이 열린 상태의 운전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피난문이 모두 닫힌 상태의 운전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보충량 급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 공급하는 급기댐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피난문의 개폐와 배기댐퍼의 개폐에 따른 보충량 급기시의 운전조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시 운전점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시 운전점 간의 압력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시 운전점 간의 압력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기존 고층빌딩에는 화재 시 사람들의 피난을 돕기 위해 옥내와 피난계단 사이에 부속실이 있다. 이러한 부속실은 사람들이 피난계단으로 대피할 때 옥내의 화재로 발생한 연기가 피난계단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부속실이 제대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부속실의 공기 압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게 만들어 화재로 발생한 연기가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고층빌딩에는 제연용 송풍기와 수직풍도로 외부의 공기를 항상 이 부속실로 공급해주는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기존의 공기공급 장치는 부속실의 문이 열렸을 때 옥내의 연기가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바람의 양(보충량)과 문이 닫혔을 때의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바람의 양(누설량)을 합한 공기의 양을 부속실에 공급한다.
이처럼 하나의 송풍기와 수직풍도를 통해서 보충량과 누설량의 합계에 해당하는 공기를 빌딩에 있는 여러 층의 부속실에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부속실로 필요 이상의 과다한 외부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옥내에서 계단실로 대피할 때, 지나가야 하는 피난문을 열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부속실의 피난문이 열리면 부속실로 제연 시스템에 의해 공급된 공기 대부분이 부속실의 피난문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다른 층의 부속실 압력이 낮아져 화재로부터 발생한 연기가 계단실로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즉, 기능과 역할에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누설량과 보충량을 하나의 수직풍도로 함께 공급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은 누설량과 보충량을 각기 다른 풍도로 분리하여 공기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평상시에는 제연 시스템이 공기의 누설량만을 공급함으로써 부속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부속실의 문이 열릴 경우에는 공기의 보충량만을 공급할 수 있어 부속실로 연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는 모든 층의 피난문이 닫히게 되면,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에서 급기되는 보충량이 충분히 배기되지 않기 때문에 보충량 급기풍도 내 압력이 설계 범위를 넘어서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부속실 내의 압력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설계에 따른 부속실 및 옥내 간의 적정 압력 제어가 곤란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건물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보충량 급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200)은, 고층건물(201)의 각 층에 형성된 제연구역인 부속실(240)에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으로서, 누설량 급기용 송풍기(210a),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b), 누설량 급기풍도(220a), 보충량 급기풍도(220b), 누설량 급기댐퍼(230a), 보충량 급기댐퍼(230b),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310) 및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연구역"이라 함은 제연하고자 하는 계단실 및 부속실을 말한다.
누설량 급기용 송풍기(210a)는 상기 부속실(240)의 피난문(280) 틈새를 통하여 상기 부속실(240)로부터 흘러나가는 공기량인 누설량에 대응하는 공기를 상기 부속실(240)에 공급한다. 여기서, "누설량"이라 함은 틈새를 통하여 제연구역으로부터 흘러나가는 공기량을 말한다.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b)는 상기 부속실(240)의 방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속실(240)에 보충하여야 할 공기량인 보충량에 대응하는 공기를 상기 부속실(240)에 공급한다. 여기서, "보충량"이라 함은 방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연구역에 보충하여야 할 공기량을 말하며, "방연풍속"이라 함은 옥내로부터 제연구역내로 연기의 유입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풍속을 말한다.
누설량 급기풍도(220a)는 상기 누설량 급기용 송풍기(210a)에 연결되고, 고층건물(201)의 공동구(270)를 따라 연장되어 누설량 급기 유로를 형성한다.
보충량 급기풍도(220b)는 상기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b)에 연결되고, 고층건물(201)의 공동구(270)를 따라 연장되어 보충량 급기 유로를 형성한다.
누설량 급기댐퍼(230a)는 상기 누설량 급기풍도에 연결되고, 고층건물의 각 부속실에 누설량별로 공기를 공급한다.
보충량 급기댐퍼(230b)는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에 연결되고, 고층건물의 각 부속실에 보충량별로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상기 누설량 급기댐퍼(230a) 및 상기 보충량 급기댐퍼(230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날개 급기댐퍼(230)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중날개 급기댐퍼(230)는 누설량 조절용 날게(232a) 및 보충량 조절용 날개(232b)를 구비할 수 있다.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310)는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는 상기 압력 측정용 센서(310)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공기를 배기시킴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의 압력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에 의해 운전점을 전환시킴으로써 적정 설계값을 유지하고, 상기 피난문(280)이 열리고 닫히는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댐퍼(320)의 제1 가동조건은 상기 배기댐퍼(320)가 열리는 것이고, 상기 배기댐퍼(320)의 제2 가동조건은 상기 배기댐퍼(320)가 닫히는 것이며, 상기 피난문(280)의 제1 가동조건은 상기 피난문(280)이 열리는 것이고, 상기 피난문(280)의 제2 가동조건은 상기 피난문(280)이 닫히는 것이고, 상기 배기댐퍼(320)의 제1 및 제2 가동조건, 상기 피난문(280)의 제1 및 제2 가동조건에 따라 운전점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운전점은, 후술하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b)의 송풍량에 대응하는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압력에 따라 제1 운전점(운전점 A), 제2 운전점(운전점 B), 상기 제3 운전점(운전점 C) 및 제4 운전점(운전점 D)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운전점(운전점 A)은 상기 피난문(280)이 열리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가 닫히는 조건으로서 적정 차압에서 운전되고, 상기 제2 운전점(운전점 B)은 상기 피난문(280)이 닫히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가 닫히는 조건으로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가 과압에서 운전되며, 상기 제3 운전점(운전점 C)은 상기 피난문(280)이 닫히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가 열리는 조건으로서 적정 차압에서 운전되고, 상기 제4 운전점(운전점 D)은 상기 피난문(280)이 열리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가 열리는 조건으로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가 저압에서 운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220b)에 배기댐퍼(320)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의 압력을 적정한 설계범위에서 운전함으로써, 모든 피난문(280)이 닫힌 상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속실(240) 및 옥내(260) 간의 적정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 공급하는 급기댐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 공급하는 급기댐퍼(230)는, 누설량 급기풍도(220a) 및 보충량 급기풍도(220b)에 각각 연결되어 건물(201)의 각 부속실(240)에 공기를 누설량과 보충량별로 각각 공급하는 이중날개 급기댐퍼(230)로서, 상기 이중날개 급기댐퍼(230)는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을 위해 누설량 급기댐퍼(230a) 및 보충량 급기댐퍼(230b)를 포함한다.
상기 이중날개 급기댐퍼(230)는 상기 누설량 급기풍도(220a) 및 보충량 급기풍도(220b)에 누설량 연결 덕트(231a)와 보충량 연결 덕트(112b)를 통하여 각각 연결되어 건물(201)의 각 부속실(240)에 공기를 공급하는 누설량 조절용 날개(232a)와 보충량 조절용 날개(232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이중날개 급기댐퍼(230) 중에서 누설량 급기댐퍼(230a)는 누설량 급기풍도(220a)에 누설량 연결 덕트(231a)를 통하여 연결된 누설량 조절용 날개(232a)가 누설량 급기유로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이중날개 급기댐퍼(230) 중에서 보충량 급기댐퍼(230b)는 보충량 급기풍도(220b)에 보충량 연결 덕트(231b)를 통하여 연결된 보충량 조절용 날개(232b)가 보충량 급기 유로를 형성하여 건물(201) 내에 공기 누설량의 공급과 보충량의 공급을 각기 다른 유로를 통해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이중날개 급기댐퍼(230)는, 상기 부속실 압력(PL)과 옥내압력(PA)의 차압(△P)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35)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센서(235)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받아서 상기 누설량 조절용 날개(232a)와 보충량 조절용 날개(232b)를 각각 개폐시키는 구동모터(233a, 233b)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키는 댐퍼 개폐 제어부(234)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이중날개 급기댐퍼(230)는, 상기 압력센서(235)에 의해서 얻어진 상기 부속실 압력(PL)과 옥내압력(PA)의 차압(△P)을 이용하여 댐퍼 개폐 제어부(234)가 각각의 구동모터(233a, 233b)를 통하여 상기 누설량 조절용 날개(232a) 또는 보충량 조절용 날개(232b)의 개도율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누설량 또는 보충량의 공급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310) 및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가 보충량 급기풍도(220b)에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의 압력을 적정한 설계범위에서 운전함으로써, 모든 피난문(280)이 닫힌 상태에서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속실(240) 및 옥내(260) 간의 적정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은, 고층건물의 제연구역인 부속실에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으로서, 먼저, 누설량 급기용 송풍기(210a) 및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b)가 각각 누설량 급기풍도(220a) 및 보충량 급기풍도(220b)를 통해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부속실(240)로 급기한다(S110).
다음으로,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280)이 열린 상태인지 판단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280)이 열린 상태인 경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310)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가 과압인지 판단한다(S130).
다음으로,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28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가 과압인 경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를 닫고 운전점을 전환시킨다(S140). 즉,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28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가 과압인 경우는 운전점 B에서 운전되고 있으므로, 운전점 A로 변경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닫힌 상태인지 판단한다(S150).
다음으로,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저압인지 판단한다(S160).
다음으로,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저압인 경우,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열고 운전점을 전환시킨다(S170). 즉,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저압인 경우는 운전점 D에서 운전되고 있으므로, 운전점 C로 변경한다.
결국,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에 의해 운전점을 전환시킴으로써 적정 설계값을 유지하고, 상기 피난문이 열리고 닫히는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피난문의 개폐와 배기댐퍼의 개폐에 따른 보충량 급기시의 운전조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시 운전점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200)은, 전술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를 설치하면, 피난문(280)의 개폐와 배기댐퍼(320)의 개폐에 따라서 표 2 및 도 11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4가지 운전조건이 결정된다. 여기서, 표 2는 피난문의 개폐와 배기댐퍼의 개폐에 따른 보충량 급기 시스템의 운전조건을 나타낸다.
표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전점(운전점 A)은 피난문(280)이 열리고 배기댐퍼(320)가 닫힌 상태로서,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압력과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b)의 송풍량은 각각
Figure 112012091619610-pat00006
Figure 112012091619610-pat00007
가 된다. 제1 운전점(운전점 A)은 보충량 급기 시스템의 설계조건으로서 풍도압력이 적정한 값이
Figure 112012091619610-pat00008
로 형성된다.
제2 운전점(운전점 B)은 피난문(280)이 닫히고 배기댐퍼(320) 역시 닫힌 상태로서,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압력과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b)의 송풍량은 각각
Figure 112012091619610-pat00009
Figure 112012091619610-pat00010
가 된다. 제2 운전점(운전점 B)은 피난문(280)이 닫혀서 보충량의 배기가 곤란하고, 이에 따라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의 압력이 적정치인
Figure 112012091619610-pat00011
보다 높은 과압인
Figure 112012091619610-pat00012
로 형성된다.
제3 운전점(운전점 C)은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에 과압이 형성되는 제2 운전점(운전점 B)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난문(280) 대신 배기댐퍼(320)를 열어서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압력을 적정한 설계값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운전조건이다. 즉, 상기 제3 운전점(운전점 C)에서는 피난문(280)이 닫히고 배기댐퍼(320)가 열린 상태로서,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압력과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b)의 송풍량은 각각
Figure 112012091619610-pat00013
Figure 112012091619610-pat00014
가 된다. 이때, 상기 제3 운전점(운전점 C)의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압력과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b)의 송풍량인
Figure 112012091619610-pat00015
Figure 112012091619610-pat00016
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200)의 제1 운전점(운전점 A) 설계값인
Figure 112012091619610-pat00017
Figure 112012091619610-pat00018
와 동일한 값이 된다. 또한, 상기 배기댐퍼(320)가 열린 상태에서 피난문(280)이 열리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200)은 제4 운전점(운전점 D)의 운전 상태가 된다.
제4 운전점(운전점 D)은 피난문(280)이 열리고 배기댐퍼(320)도 열린 상태로서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압력과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b)의 송풍량은 각각
Figure 112012091619610-pat00019
Figure 112012091619610-pat00020
가 된다. 이러한 제4 운전점(운전점 D)에서는 피난문(280)과 배기댐퍼(320)로 보충량 이상의 풍량이 배기되고, 이에 따라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의 압력은 적정치인
Figure 112012091619610-pat00021
보다 낮은 저압인
Figure 112012091619610-pat00022
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4 운전점(운전점 D)로 운전될 경우, 상기 배기댐퍼(320)를 닫아서 제1 운전점(운전점 A)으로 변경되어야 한다.
Figure 112012091619610-pat00023
다시 말하면, 상기 운전점은 상기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210a)의 송풍량에 대응하는 보충량 급기풍도(220b)의 압력에 따라 제1 운전점(운전점 A), 제2 운전점(운전점 B), 상기 제3 운전점(운전점 C) 및 제4 운전점(운전점 D)로 구분되며, 상기 제1 운전점(운전점 A)은 상기 피난문(280)이 열리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가 닫히는 조건으로서 적정 차압에서 운전되고, 상기 제2 운전점(운전점 B)은 상기 피난문(280)이 닫히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가 닫히는 조건으로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가 과압에서 운전되며, 상기 제3 운전점(운전점 C)은 상기 피난문(280)이 닫히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가 열리는 조건으로서 적정 차압에서 운전되고, 상기 제4 운전점(운전점 D)은 상기 피난문(280)이 열리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가 열리는 조건으로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가 저압에서 운전된다.
결론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200)이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의 압력이 설계값인 적정값에서 유지되는 운전점 A 또는 운전점 C로 운전되도록 배기댐퍼(320)의 개폐 상태를 조절하게 한다. 즉, 설계조건인 제1 운전점(운전점 A) 상태로 운전되다가 피난문(280)이 닫혀서 제2 운전점(운전점 B) 상태로 변경되면 배기댐퍼(320)를 열어서 제1 운전점(운전점 A) 상태와 동일한 상태인 제3 운전점(운전점 C) 상태로 변경한다. 또한, 제3 운전점(운전점 C) 상태로 운전되다가 피난문(280)이 열려서 제4 운전점(운전점 D) 상태로 변경되면 배기댐퍼(320)를 닫아서 제1 운전점(운전점 A) 상태로 변경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시 운전점 간의 압력차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서 보충량 급기시 운전점 간의 압력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난문이 닫혀서 제1 운전점(운전점 A)에서 제2 운전점(운전점 B)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운전점(운전점 A) 및 제2 운전점(운전점 B) 사이의 압력차인 △PH보다 적은 압력차인 △PHS의 압력 상승을 감지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상태인 운전점 C로 신속하게 운전하게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난문이 열려서 제3 운전점(운전점 C)에서 제4 운전점(운전점 D)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운전점(운전점 C) 및 제4 운전점(운전점 D) 사이의 압력차인 △PL보다 적은 압력차인 △PLS의 압력하강을 감지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압력 조절용 배기댐퍼(320)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220b)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상태인 운전점 A로 신속하게 운전하게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200)에서 보충량 급기풍도에 설치된 배기댐퍼(320)를 신속하게 개폐 운전함으로써, 부속실(240) 및 옥내(260) 간의 적정 압력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201: 건물
210a: 누설량 급기용 송풍기
210b: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
220a: 누설량 급기풍도
220b: 보충량 급기풍도
230: 이중날개 급기댐퍼
230a: 누설량 급기댐퍼
230b: 보충량 급기댐퍼
240: 부속실
250: 계단실
260: 옥내(또는 거실)
270: 공동구
280: 출입문(피난문)
310: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
320: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
231a: 누설량 연결 덕트
231b: 보충량 연결 덕트
232a: 누설량 조절용 날개
232b: 보충량 조절용 날개
233a: 누설량 조절용 날개 구동모터
233b: 보충량 조절용 날개 구동모터
234: 댐퍼 개폐 제어부
235: 압력센서
PA: 옥내 압력
PL: 부속실 압력

Claims (16)

  1. 고층건물의 각 층에 형성된 제연구역인 부속실에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속실의 방연풍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속실에 보충하여야 할 공기량인 보충량에 대응하는 공기를 상기 부속실에 공급하는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
    상기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에 연결되고, 고층건물의 공동구를 따라 연장되어 보충량 급기 유로를 형성하는 보충량 급기풍도;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에 연결되고, 고층건물의 각 부속실에 보충량별로 공기를 공급하는 보충량 급기댐퍼;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설치된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 및
    상기 압력 측정용 센서의 측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공기를 배기시킴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을 조절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Exhaust Damper)를 포함하며,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에 의해 운전점을 전환시킴으로써 적정 설계값을 유지하고, 피난문이 열리고 닫히는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점은 상기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의 송풍량에 대응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에 따라 제1 운전점(운전점 A), 제2 운전점(운전점 B), 제3 운전점(운전점 C) 및 제4 운전점(운전점 D)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전점(운전점 A)은 상기 피난문이 열리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닫히는 조건으로서 적정 차압에서 운전되고,
    상기 제2 운전점(운전점 B)은 상기 피난문이 닫히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닫히는 조건으로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과압에서 운전되며,
    상기 제3 운전점(운전점 C)은 상기 피난문이 닫히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열리는 조건으로서 적정 차압에서 운전되고,
    상기 제4 운전점(운전점 D)은 상기 피난문이 열리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열리는 조건으로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저압에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이 닫혀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적정 설계값보다 높은 과압으로 형성될 경우(운전점 B 상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열어서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적정 상태(운전점 C)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이 닫혀서 제1 운전점(운전점 A)에서 제2 운전점(운전점 B)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 운전점(운전점 A) 및 제2 운전점(운전점 B) 사이의 압력차인 △PH보다 적은 압력차인 △PHS의 압력 상승을 감지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상태인 운전점 C로 신속하게 운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과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열은 상태에서 상기 피난문이 열려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설계값보다 낮은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운전점 D 상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닫아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적정 상태(운전점 A)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이 열려서 제3 운전점(운전점 C)에서 제4 운전점(운전점 D)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3 운전점(운전점 C) 및 제4 운전점(운전점 D) 사이의 압력차인 △PL보다 적은 압력차인 △PLS의 압력하강을 감지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상태인 운전점 A로 신속하게 운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9. 고층건물의 제연구역인 부속실에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누설량 급기용 송풍기 및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가 누설량 급기풍도 및 보충량 급기풍도를 통해 각각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부속실로 급기하는 단계;
    b)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열린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열린 상태인 경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과압인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과압인 경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닫고 운전점을 전환시키는 단계;
    e)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닫힌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측정용 센서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저압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부속실의 피난문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저압인 경우,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열고 운전점을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및 g) 단계에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은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에 의해 운전점을 전환시킴으로써 적정 설계값을 유지하고, 상기 피난문이 열리고 닫히는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점은 상기 보충량 급기용 송풍기의 송풍량에 대응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에 따라 제1 운전점(운전점 A), 제2 운전점(운전점 B), 제3 운전점(운전점 C) 및 제4 운전점(운전점 D)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운전점(운전점 A)은 상기 피난문이 열리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닫히는 조건으로서 적정 차압에서 운전되고,
    상기 제2 운전점(운전점 B)은 상기 피난문이 닫히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닫히는 조건으로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과압에서 운전되며,
    상기 제3 운전점(운전점 C)은 상기 피난문이 닫히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열리는 조건으로서 적정 차압에서 운전되고,
    상기 제4 운전점(운전점 D)은 상기 피난문이 열리고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가 열리는 조건으로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가 저압에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문이 닫혀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적정 설계값보다 높은 과압으로 형성될 경우(운전점 B 상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열어서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적정 상태(운전점 C)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피난문이 닫혀서 제1 운전점(운전점 A)에서 제2 운전점(운전점 B)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1 운전점(운전점 A) 및 제2 운전점(운전점 B) 사이의 압력차인 △PH보다 적은 압력차인 △PHS의 압력 상승을 감지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상태인 운전점 C로 신속하게 운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과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열은 상태에서 상기 피난문이 열려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이 설계값보다 낮은 저압으로 형성될 경우(운전점 D 상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닫아서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적정 상태(운전점 A)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피난문이 열려서 제3 운전점(운전점 C)에서 제4 운전점(운전점 D)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3 운전점(운전점 C) 및 제4 운전점(운전점 D) 사이의 압력차인 △PL보다 적은 압력차인 △PLS의 압력하강을 감지하여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보충량 급기풍도 내의 압력을 설계값과 동일한 상태인 운전점 A로 신속하게 운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의 운전 제어 방법.
KR1020120125666A 2012-11-07 2012-11-07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8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666A KR101383144B1 (ko) 2012-11-07 2012-11-07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666A KR101383144B1 (ko) 2012-11-07 2012-11-07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144B1 true KR101383144B1 (ko) 2014-04-09

Family

ID=5065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6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3144B1 (ko) 2012-11-07 2012-11-07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1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664B1 (ko) * 2019-06-26 2020-02-28 박재현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113241B1 (ko) 2019-05-29 2020-05-25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20210019251A (ko) * 2019-08-12 2021-02-22 유병규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US11545014B1 (en) 2020-08-18 2023-01-03 ArchAngel Fire Systems Holdings, LLC Fire dete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their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80B1 (ko) * 2007-01-10 2007-05-25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가이드베인을 이용한 건축물의 제연구역에 대한 자동제연구조
KR20120044795A (ko) * 2010-10-28 2012-05-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80B1 (ko) * 2007-01-10 2007-05-25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가이드베인을 이용한 건축물의 제연구역에 대한 자동제연구조
KR20120044795A (ko) * 2010-10-28 2012-05-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241B1 (ko) 2019-05-29 2020-05-25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102082664B1 (ko) * 2019-06-26 2020-02-28 박재현 통합 제연 시스템
KR20210019251A (ko) * 2019-08-12 2021-02-22 유병규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102289665B1 (ko) 2019-08-12 2021-08-12 유병규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US11545014B1 (en) 2020-08-18 2023-01-03 ArchAngel Fire Systems Holdings, LLC Fire dete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their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239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1409791B1 (ko)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516232B1 (ko) 제연시스템
KR101969947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0985894B1 (ko) 수직 통로 내 공기의 급기 및 배기를 통한 고층건물수직통로에서의 연돌 효과 저감방법 및 장치
KR101383144B1 (ko)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102928B1 (ko) 복합댐퍼
KR102009894B1 (ko) 제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연방법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054889B1 (ko) 급기가압 차압제연장치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1123934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시스템
KR101529463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20090044172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200419718Y1 (ko) 건축물 자동제연시스템의 송풍라인 풍압 자동조절장치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KR101035869B1 (ko) 수직 통로내 공기의 급기 및 배기를 통한 고층건물 수직통로에서의 연돌효과 저감을 위한 설계방법
JP2003019221A (ja) 附室加圧排煙システム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368341B1 (ko) 계단실을 이용한 부속실 제연 시스템
KR200490733Y1 (ko) 고층건물 제연구역의 과압제어 복합리턴 장치
JP2006077540A (ja) 煙突効果削減システム
KR100556676B1 (ko) 건물 샤프트내의 압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