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7457A - 열가소성 재료 사출 노즐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재료 사출 노즐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457A
KR20120037457A KR1020127000716A KR20127000716A KR20120037457A KR 20120037457 A KR20120037457 A KR 20120037457A KR 1020127000716 A KR1020127000716 A KR 1020127000716A KR 20127000716 A KR20127000716 A KR 20127000716A KR 20120037457 A KR20120037457 A KR 2012003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injection
longitudinal
manifold
nozz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드리쉐
Original Assignee
뤼닙시스 에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뤼닙시스 에호프 filed Critical 뤼닙시스 에호프
Publication of KR2012003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2045/2796Axially movable nozzles or nozzle tips
    • B29C2045/2798Axially movable nozzles or nozzle tip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사출하는 노즐로서, 서로에 대해 실링된 방식으로 슬라이딩하는 두 부분,
- 종 사출 방향(X)에서, 열가소성 재료가 통과하는 종방향 채널(20)을 갖는 노즐 본체(20)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 상기 노즐 본체가 실링된 방식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통로(26)를 갖는 링킹 링(61)을 포함하는 제 2 부분과,
상기 두 부분과 협력하여, 전방 종방향(X)에서 상기 노즐 본체(2)에 하중을 인가하고 후방 종방향(X)에서 상기 링킹 링(61)에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 하중 수단(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재료 사출 노즐 및 시스템{NOZZLE AND SYSTEM FOR INJECTING THERMOPLASTIC MATERIAL}
본 발명은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주형 캐버티(mould cavity)에 사출하는 노즐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핫 블록(hot block)" 또는 "핫 러너(hot runner)" 타입의 사출 시스템은 보통:
o 주형 캐버티의 경계를 부분적으로 정하는 전면, 후면 그리고 그 후면에서 그 전면으로 다이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통로(passage)를 갖는 단단한 몰딩 다이,
o 상기 통로 내부에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종방향 채널을 포함하는 종방향 사출 노즐,
o 노즐 채널에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공급하며, 다이의 후면 뒤에 위치하여 이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매니폴드(manifold)로서, 노즐의 종방향 채널과의 유체 관계에서 전면 쪽으로 이어지는 종방향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사출 시스템은 매니폴드에 사출할 재료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급 수단을 더 포함한다.
재료를 주형 캐버티에 만족스럽게 사출하기 위해, 재료는 유체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이 상태는, 재료가 주위 공기 온도보다 더 높은 결정된 한계 온도가 될 때 얻어진다.
이를 위해, 매니폴드는,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그 온도와, 그에 따라 그 디스펜싱(dispensing) 채널 내를 이동하는 재료의 온도를, 재료의 유체 상태에 대한 제한 이동 온도보다 더 높은 소위 "사출 온도"로 유지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유체 상태의 재료는 공급 수단을 통해 매니폴드의 디스펜싱 채널에 놓여 사출 노즐의 이동 경로에 들어간다.
사출 노즐에는 또한, 노즐 주위를 감는 전기 저항으로 통상 이루어진 가열 수단이 제공된다.
노즐의 실링을 그 후방 단부에서 매니폴드에 대해 그리고 그 전방 단부에서 다이의 전면에 대해 보장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노즐의 두 단부에 실링을 보장하는 기존의 수단은 그러나 아주 만족스럽지는 못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사출 노즐을 고정하기 위한 통용되는 세 가지 모드를 예시한다.
이들 세 가지 시스템에서, 노즐(2) 전방 단부의 다이(1)에 대한 실링이 노즐의 전방부(21)의 직경(D)으로 보장된다.
도 1a에 도시한 구성에서, 노즐은, 나사(V)에 의해 그 후방 단부(22)를 통해 매니폴드(3)에 고정된다.
사출 시스템의 온도가 변동하는 동안, 매니폴드(3)는 단면방향으로 나사(V)의 탄력성 범위까지 팽창한다.
게다가, 노즐은, 그러나 직경(D)에서 실링을 위태롭게 하지 않고도 약간 휠 수 있다.
노즐(2)은 종방향으로 방향(X)에서 팽창할 수 있어, 직경(D)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즐 선단(23)의 다이에 구비된 구멍(orifice)(14)에 대한 위치는 노즐의 팽창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특히 소형 사출 게이트(사출 게이트는, 열가소성 재료가 노즐로부터 주형 캐버티 내로 이동할 때 거치는 통로임)의 경우, 사출 게이트의 막힘이 일어날 수 있거나 사출 게이트가 평형 상태를 잃을 수 있다.
그러나 재료가 더 가열되어 더 유동성을 갖게 된다면, 노즐은 그에 따라 팽창되어 더욱더 사출 게이트를 막게 된다.
상기 시스템은 그러므로 특히 조절하기 곤란하다.
게다가, 멀티-캐버티 시스템에서, 노즐은 서로 다르게 팽창할 수 있어 캐버티를 매우 이질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이들 문제는, 매니폴드(3)가 나사(V)(여기서는 단 하나가 예시됨)에 의해 다이(1)에 고정되는 도 1b의 시스템과, 탄력성 와셔(R)가 노즐의 후방 단부(22)를 매니폴드(3)를 향해 가압하는 도 1c의 시스템에서도 발생한다.
이들 모든 경우에서, 사출 게이트 크기는 그러므로 시스템 온도에 따라 다르다.
다른 시스템은 공개공보(WO2007/051857)에 기술되어 있다.
이 공보에서, 노즐은 비압축성 링에 평평하게 지지된다(bear flatly).
노즐의 열 팽창을 보상하기 위해, 노즐의 후방은 매니폴드 내부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가동적이다.
탄력성 디스크가 노즐의 전면부를 비압축성 링에 가압한다.
그러나 매니폴드 온도가 크게 변동함으로 인해, 매니폴드 팽창을 횡방향, 즉 노즐 축에 수직인 방향에서 또한 관찰한다.
횡방향으로 확장함으로써(dilating), 매니폴드는 그 내부에 수용된 노즐의 후방을 밀어(drive with it) 노즐을 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휨은, 특히 노즐이 짧은 경우, 그 전면이 그 평평한 지지 중 일부를 상실하게 하며, 그에 따라 실링 상실을 초래한다. 평평한 면 실링(flat surfce sealing)은 직경에 관한 실링보다 훨씬 더 민감하다.
또한, 탄력성 디스크는, 노즐에서 순환하는 재료를 국부적으로 냉각시키는 히트 브릿지(heat bridge)를 생성한다.
게다가, 비압축성 링은 링에 해로운 전단력(shear force)을 받는다.
그러므로 전술한 문제를 피하면서, 노즐의 양단부에서 실링을 보장하는 수단을 설계하고자 한다.
특히, 사출 시스템은, 사출 시스템의 서로 다른 소자의 열 팽창, 특히 매니폴드의 횡방향 팽창을 견디면서, 노즐 선단을 정밀하고 반복적으로 위치 지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사출하는 노즐로서,
서로에 대해 실링된 방식으로 슬라이딩하는 두 부분,
- 종 사출 방향에서, 열가소성 재료가 통과하는 종방향 채널을 갖는 노즐 본체(body)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 상기 노즐 본체가 실링된 방식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통로를 가진 링킹 링(linking ring)을 포함하는 제 2 부분과,
상기 두 부분과 협력하여, 전방 종방향에서 노즐 본체를 가압하고, 후방 종방향에서 링킹 링을 가압하는 탄성 하중 수단을 포함하는 사출 노즐이 제안된다.
유리하게도, 상기 탄성 하중 수단은, 링킹 링을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된 제 1 탄력성 부재, 및 노즐 본체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된 제 2 탄력성 부재를 포함하고, 제 2 탄력성 부재는 노즐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 소자와 링킹 링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주형 캐버티에 사출하는 시스템으로서, 종 사출 방향을 기준으로,
o 주형 캐버티의 경계를 부분적으로 정하는 전면, 후면 그리고 다이를 그 후면에서부터 그 전면으로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통로를 갖는 단단한 몰딩 다이,
o 상기 통로 내부에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종방향 채널을 포함하는 종방향 사출 노즐,
o 노즐 채널에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공급하며, 다이의 후면 뒤에 위치하여 이것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매니폴드로서, 전면 쪽으로 이어지는 종방향 공급 채널을 포함하는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사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노즐이 서로에 대해 실링 방식으로 슬라이딩하는 두 부분,
- 하나의 전면 영역이 다이 상에 지지되는 노즐 본체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 노즐 본체가 실링 방식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통로를 갖고 매니폴드의 전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후면을 포함하는 링킹 링을 포함하는 제 2 부분과,
두 부분과 협력하여, 전방 종방향에서 노즐 본체를 가압하고 후방 종방향에서 링킹 링을 가압하는 탄성 하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도, 노즐 전방 단부는 쇼울더(shoulder)를 통해 환상형 실링 링(annular sealing ring)에 평평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하중 수단은:
o 다이의 후면과 링킹 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킹 링 상에서 후방 종방향 반응을 보장하는 제 1 탄력성 부재,
o 노즐 본체에 확고히 고정되는 서포트 와셔,
o 상기 링킹 링과 서포트 와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와셔 상에서 전방 종방향 반응을 보장하는 제 2 탄력성 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주위 온도에서, 매니폴드의 채널 축은, 주위 온도에서 사출 온도가 될 경우의 매니폴드의 횡방향 팽창과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만큼, 노즐의 채널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사출 시에, 매니폴드와 노즐의 채널은 동축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사출 노즐을 고정하기 위한 세 개의 종래 모드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노즐 전방의 실링 링에 대한 지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후방에서의 탄성 하중 수단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즐 후방에서의 탄성 하중 수단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사출 시스템은 도 2에 예시한다.
화살표(X)는 종 사출 방향을 나타내고, 사출 방향에서 사출 시스템의 후방으로부터 전방 쪽으로 향한다.
사출 시스템은, 알려진 방식에서, 주형 캐버티(4)의 경계를 부분적으로 정하는 전면(10)을 갖는 단단한 다이(1)를 포함한다.
다이(1)는 또한 전면(10) 반대편에 후면(11)을 갖는다.
다이(1)에는, 그 후면(11)으로부터 전면(10)으로, 사출 노즐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통로(12)가 통과한다.
또한, 다이(1)는 몇 개의 사출 노즐을 수용하기 위한 몇 개의 종방향 통로(12)를 포함할 수 도 있고, 그러한 노즐은 하나의 단일 주형 캐버티나 몇 개의 분리된 주형 캐버티에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다이(1)는 반드시 단일 블록을 형성하기보다는, 몇 개의 플레이트 스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변형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그러므로 상세하게 기술하지는 않는다.
사출 시스템은 또한, 다이(1)의 통로(12) 내부에 동축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사출 노즐을 포함한다.
사출 노즐은, 서로에 대해 실링된 방식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된 두 부분(2, 61)을 포함한다.
노즐의 제 1 부분은, 열가소성 재료가 유체 상태로 통과하는 종방향 채널(20)을 내부에서 포함하는 노즐 본체(2)를 포함하며, 이 채널은, 노즐의 전방부(21)에서, 사출 구멍(14)을 통해 주형 캐버티(4)에 이르게 된다.
사출 노즐은 또한, 종방향 채널(20)에서 순환하는 열가소성 재료를 적절한 사출 온도로 유지하는 가열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가열 수단은 그 자체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특히 유리한 실시예를 이후에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사출 시스템은 또한, 노즐의 종방향 채널(20)에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공급하는 매니폴드(3)를 포함한다.
매니폴드(3)는 다이(1)의 후면(11) 뒤에 위치하여 이것과 기계적으로 링크된다.
매니폴드(3)는, 매니폴드(3) 전방으로 이어지는 종방향 공급 채널(30)에 링크되는 공급 채널의 내부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노즐의 채널(20)과 정렬되어 노즐에 열가소성 채널을 공급한다.
동작할 때, 즉 사출 시스템이 사출 온도가 될 때, 채널(20) 및 채널(30)은 그에 따라 동축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매니폴드의 채널(30)은 매니폴드(3)에 고정되는 삽입부(31)에 형성하고, 그 전면(32)은 그라운드이다. 삽입부의 전면(32)은 일반적으로 매니폴드의 전면(33)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한다. 전면(32)은 이때 매니폴드의 전면(33)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환상형 실링 링
노즐 본체(2)는, 그 전방부(21)에서, 환상형 실링 링(5)에 받쳐져 있으며, 이 링(5)은 다이(1)에서 이를 위해 제공된 하우징에 놓인다.
링(5)은 예컨대 세라믹과 같은 비압축성 열절연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의 전방부(21)와 링(5) 사이의 접촉은 노즐의 쇼울더(25)에 의해 평평면 지지(flat surface bearing)를 통해 달성된다.
링(5)은 또한 다이의 그 하우징 내부에서 평평하게 놓인다.
종래기술 해법과 비교해, 링(5)으로 인해, 노즐(2)의 배출 구멍의 정밀하고, 반복적이며 온도에 무관한 위치 지정을 보장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이것이 이 구멍에 가능한 가까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링은 압축 스트레스만을 받는다.
탄성 하중 수단
노즐은 또한, 노즐 본체가 실링된 방식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통로(26)를 갖는 링킹 링(61)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링킹 링(61)은, 상대적인 종방향 슬라이딩이 노즐 본체(2)와 링킹 링(61) 사이에 가능하도록, 노즐 본체의 후방 영역(22)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 4에서 더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링킹 링(61)의 후면(60)은 매니폴드에 ( 및 더 정밀하게는 삽입부(31)의 전면(32)에) 지지되어, 그러한 면(60 및 32) 사이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노즐은 또한 탄성 하중 수단(6)을 포함하며, 이 수단(6)의 기능은 전방 종방향에서 노즐 본체(2)에 그리고 후방 종방향에서 링킹 링(61)에 힘을 가하여, 매니폴드의 팽창과 무관하게, 실링 링(5)과 매니폴드(3) 각각에 대해 실링을 보장하는 것이다.
게다가, 탄성 하중 수단(6)은 노즐 본체의 후방부(22)에, 예컨대 이를 위해 제공된 홈에 프레스-피팅(press-fitting)함으로써 고정되고, 서클립(66)과 같은 탄력성 링에 의해 유지되는 서포트 와셔(65)를 포함한다. 일 변형에 따르면, 서포트 와셔(65)는 노즐의 일체형 부분이며, 그 위에 배치된 쇼울더에 의해 형성된다.
링킹 링(61)은, 다이(1)의 후면(11)에 지지되는 제 1 탄력성 부재(63)의 후방 방향 가압에 대비해 그리고 더 정밀하게는 다이의 후면(11)에 형성된 하우징의 바닥(13)에 대비해 노즐 본체의 후방 부분(22)에 장착된다. 바닥(13)은 다이(11)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 제 1 탄력성 부재(63)는, 예컨대, 와셔(62)에 지지되어 배치된 "벨빌(Belleville)" 와셔와 같은 탄력성 와셔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제 1 탄력성 부재(63)의 기능은 그러므로 평평한 링킹 링(61)을 매니폴드에 대해 프레스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러므로 링킹 링의 후면(60)과 매니폴드의 전면(32)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을 유지한다.
탄성 하중 수단(6)은 또한, 서포트 와셔(65)와 링킹 링(61) 사이에 배치된 제 2 탄력성 부재(64)를 포함한다.
예컨대 스프링 형태인 이 제 2 탄력성 부재(64)는 전방 종방향 힘을 서포트 와셔(65)에 가한다.
그러므로 이 제 2 탄력성 부재의 기능은 노즐 본체(2)의 전방부(21)를 실링 링(5)에 대해 가압하는 것이다.
탄력성 하중 수단은 그러므로 노즐의 두 단부를 각각 실링 링에 대해 그리고 매니폴드의 전면에 대해 가압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링킹 링(61)에 조여진 너트(67)가, 노즐 본체(2)에 배치된 쇼율더(65)와 링킹 링(61)의 전면 사이에 배치된 제 2 탄력성 부재(64)를 에워싼다. 제 2 탄력성 부재(64)는 그러므로 노즐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게다가, 제 1 탄력성 부재(63)는, 다이의 후면(11)에 형성된 하우징의 바닥(13)에 대해 지지된다.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비압축성 열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와셔(62)가 바닥(13)과 제 1 탄력성 부재(63) 사이에 삽입되어 탄력성 부재(63)와 다이(1) 사이의 임의의 히트 브릿지를 피한다.
제 1 탄력성 부재(63)는 너트(67)를 가압하고, 그리하여 링킹 링(61)을 매니폴드의 전면에 대해 후방으로 가압한다.
이 실시예는 유지관리 작업을 간략화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사출 노즐을 떼어낼 경우, 탄성 하중 수단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너트(67)에 트랩해 두기 때문이다.
탄력성 하중 수단이 사출 시스템이 팽창 스트레스를 받는지와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시스템이 주위 온도에 있을 때에도, 탄성 하중 수단은 노즐에 "프리-스트레스" 힘을 효과적으로 발휘한다.
그러나 이것은, 시스템의 서로 다른 구성요소들이 열팽창을 받는 경우 노즐의 두 단부에 실링을 보장하는 특정한 장점이 있다.
종 사출 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으로 팽창하는 경우, 매니폴드는 링킹 링(61)의 후면(60)에서 슬라이딩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노즐의 임의의 휨을 초래하지 않아, 평평한 지지를 링(5)에 대해 유지하게 하며, 그에 따라 실링을 이 수준으로 유지하게 한다.
또한, 노즐 본체(2)가 종방향으로 팽창하는 경우, 제 2 탄력성 부재(64)가 가한 힘이 증가하여, 이 효과는 노즐의 전방부의 가압을 강화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즐의 두 부분의 실링된 슬라이딩으로 인해, 노즐의 열팽창은 흡수되게 된다.
사출 시스템의 크기는 그러므로, 주위 온도로부터 사출 온도로의 증가 시에 서로 다른 구성요소 각각의 팽창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매니폴드(3)는 종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으로 팽창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위 온도에서 매니폴드의 종방향 채널(30)은 노즐의 채널(20)과 약간 오프셋되어야 한다.
채널(20 및 30)의 축 사이의 오프셋은 매니폴드가 겪게 될 팽창(즉, 채널(30) 축이 움직일 거리)에 해당해야 하며, 그에 따라 사출 온도에서 채널(20 및 30) 축은 정렬되게 된다.
이 오프셋의 결정은, 고려 중인 사용 재료, 매니폴드의 크기 및 노즐의 위치와 관련하여 당업자가 파악할 수 있는 범위(reach) 내에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오프셋은 대략 수백 mm 내지 수 mm이다.
사출 노즐 가열 장치
노즐의 종방향 채널(20)에서 플라스틱 재료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노즐은 가열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도, 가열 수단은, 실질적으로 그 전체 높이에 걸쳐서 노즐 본체(2)를 에워싸는 가열 슬리브(24)로 구성된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가열 슬리브는 예컨대 세러그래피(serigraphy)로 형성된 탄력성 저항을 포함한다.
탄력성 저항은, 다이(1)에 배치된 전기 공급 수단(예시되지 않음)(예컨대 전도성 스트립)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게 되는 전기 전도성 패드(예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다이에 위치한 접촉 스트립으로의 전기 저항 연결은 공개공보(WO2007/006899)에 기술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 장치에서, 다수의 전기 전도성 패드는 슬리브의 후방부, 즉 노즐 본체의 후방부에 위치한다는 점을 간단히 상기해야 한다.
슬리브는 또한, 전기 전도성 패드가 결정된 각도 위치에 배치되는 관계에 있는 인덱싱 수단(예컨대, 종방향 노치)을 포함한다.
또한, 다이는, 인덱싱 수단 및 전기 전도성 패드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들 수단은, 사출 노즐의 후방부에서 이것의 종방향 통로(12) 주위에 배치된 홈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 전기 절연 재료로 된 환상형 링으로 형성된다.
환상형 링은, 한 단부가 다이에 배치된 전기 커넥터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가 가열 슬리브의 전기 전도성 패드와 전기 접촉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는 전도성 스트립을 운반한다.
환상형 링은 다이에 대해 결정된 방향에 위치한다.
환상형 링은 또한, 가열 슬리브의 인덱싱 수단과 협력할 수 있는 인덱싱 수단(예컨대, 핑거)을 포함하여, 전기 전도성 패드와 스트립 사이의 전기 접촉이, 가열 슬리브가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해 있을 경우에만 셋업될 수 있다.
이 장치로 인해 또한 유지관리 작업, 특히 가열 슬리브의 교체는 간략해 진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임의의 다른 가열 수단을 사용하는 것- 심지어 가열 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것 -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설계는 매우 작은 크기 그리고 특히 작은 직경의 노즐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내부를 통해, 즉 비-가시 측의 오목부(예컨대, 플러그)에 사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성형된 부분의 만족스런 외양을 개선한다.
게다가, 이 시스템은 열적 사양에 관해 최적화되며, 이는, 재료의 국부적 냉각을 초래할 위험이 있는 모든 히팅 브릿지가 회피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링킹 링(61)은 매니폴드와의 접촉에 의해 가열된다. 노즐 본체는, 실링 링(5)이 사출 지점 인근에 있는 한, 서포트 와셔(65)로부터 실질적으로 그 전체 높이에 걸쳐 슬리브(24)에 의해 가열된다. 마지막으로, 와셔(62)는 비압축성 열절연 재료로 만들어진다.

Claims (8)

  1.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사출하는 노즐로서,
    서로에 대해 실링된 방식으로 슬라이딩하는 두 부분,
    - 종 사출 방향(X)에서, 열가소성 재료가 통과하는 종방향 채널(20)을 포함하는 노즐 본체(2)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 상기 노즐 본체가 실링된 방식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통로(26)를 갖는 링킹 링(61)을 포함하는 제 2 부분과,
    상기 두 부분과 협력하여, 전방 종방향(X)에서 상기 노즐 본체(2)를 가압하고, 후방 종방향(X)에서 상기 링킹 링(61)을 가압하는 탄성 하중 수단(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하중 수단(6)은, 상기 링킹 링(61)을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된 제 1 탄력성 부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노즐.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하중 수단(6)은, 상기 노즐 본체(2)를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된 제 2 탄력성 부재(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노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력성 부재(64)는, 상기 노즐 본체(2)에 고정된 서포트 요소(65)와 상기 링킹 링(6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노즐.
  5.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주형 캐버티(mold cavity)에 사출하는 시스템으로서, 종 사출 방향(X)을 기준으로 하여,
    o 상기 주형 캐버티(4)의 경계를 부분적으로 정하는 전면(10), 후면(11) 그리고 그 후면(11)으로부터 그 전면(10)으로 다이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통로(12)를 갖는 단단한 몰딩 다이(1),
    o 상기 통로(12) 내부에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종방향 채널(20)을 포함하는 종방향 사출 노즐,
    o 상기 노즐의 채널(20)에 유체 상태의 열가소성 재료를 공급하고, 상기 다이(1)의 후면(11) 뒤에 위치하여 이것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면 쪽으로 이어지는 종방향 공급 채널(30)을 포함하는 매니폴드(3)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서로에 대해 실링된 방식으로 슬라이딩하는 두 부분,
    - 상기 다이(1)에 지지되는 전방 영역(21)을 갖는 노즐 본체(2)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 상기 노즐 본체(2)가 실링된 방식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통로(26)를 갖고, 상기 매니폴드의 전면에 대해 슬라이딩 접촉하는 후면(60)을 포함하는 링킹 링(61)을 포함하는 제 2 부분과,
    상기 두 부분과 협력하여, 전방 종방향(X)에서 상기 노즐 본체(2)를 가압하고, 후방 종방향(X)에서 상기 링킹 링(61)을 가압하는 탄성 하중 수단(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전방 단부(21)는, 쇼율더(shoulder)(25)를통해, 환상형 실링 링(5)에 대해 평평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시스템.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하중 수단(6)은,
    o 상기 다이(1)의 후면(11)과 상기 링킹 링(6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킹 링(61)에서 후방 종방향 반응을 보장하는 제 1 탄력성 부재(63),
    o 상기 노즐 본체(2)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서포트 와셔(65),
    o 상기 링킹 링(61)과 상기 서포트 와셔(6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 와셔(65)에서 전방 종방향 반응을 보장하는 제 2 탄력성 부재(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시스템.
  8.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위 온도에서, 상기 매니폴드의 채널(30) 축이, 상기 매니폴드가 주위 온도에서 사출 온도가 될 경우의 상기 매니폴드의 횡방향 팽창과 실질적으로 같은 거리만큼, 상기 노즐의 채널(20)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사출 시에, 상기 매니폴드(3)와 상기 노즐(2)의 채널(30 및 20)은 동축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시스템.
KR1020127000716A 2009-06-17 2010-06-17 열가소성 재료 사출 노즐 및 시스템 KR201200374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4065 2009-06-17
FR0954065A FR2946914B1 (fr) 2009-06-17 2009-06-17 Buse et systeme d'injection de matiere thermoplast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457A true KR20120037457A (ko) 2012-04-19

Family

ID=4157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716A KR20120037457A (ko) 2009-06-17 2010-06-17 열가소성 재료 사출 노즐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97019B2 (ko)
EP (1) EP2442958B1 (ko)
KR (1) KR20120037457A (ko)
CN (1) CN102458792B (ko)
BR (1) BRPI1010094A2 (ko)
CA (1) CA2765302A1 (ko)
FR (1) FR2946914B1 (ko)
WO (1) WO2010146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22814C (en) * 2011-01-04 2015-11-24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tool system having manifold extension and biasing assembly
US9011139B2 (en) * 2011-05-10 2015-04-21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tool system having a nozzle position adjustment assembly
DE102012001747A1 (de) * 2012-01-30 2013-08-01 Georg Menshen Gmbh & Co. Kg Spritzgießwerkzeug
DE102013014883A1 (de) * 2013-09-06 2015-03-12 Braunform Gmbh Kaltkanal-Schmelzeverteiler
WO2015107178A1 (en) * 2014-01-16 2015-07-23 Otto Männer Innovation GmbH Side gating hot runner nozzle and associated floating manifold seals
CA2939116C (en) 2014-03-07 2018-11-2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anifold system nozzle retention
FR3027837A1 (fr) * 2014-10-29 2016-05-06 Imediaplast Systeme pour l'injection d'un article avec amenee de matiere annulaire
CN110366484B (zh) 2017-03-20 2020-11-06 圣万提注塑工业(苏州)有限公司 阀销位置和速度控制方法及装置
FR3088847B1 (fr) * 2018-11-28 2020-10-30 Runipsys Europe Systeme de commande d’un obturateur d’un systeme d’injection de matiere plastique
EP3725489B1 (en) * 2019-04-17 2022-01-26 Mold-Masters (2007) Limited Hot runner system
EP3804950B1 (en) * 2019-10-08 2023-07-05 Milacron LLC Injection molding apparatus with a thermal brid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61579A (en) 1987-03-19 1989-09-26 Mold-Masters Limited Replaceable rocker arm assembly for injection molding system
US5162125A (en) * 1991-05-30 1992-11-1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Heated and cooled valve stem for a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6220851B1 (en) * 1999-04-19 2001-04-24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Detachable nozzle body
FR2821010A1 (fr) 2001-02-19 2002-08-23 Plastiques Appliquees Epa Et Dispositif de commande du mecanisme d'obturation d'une buse d'injection dans le domaine de l'injection des matieres plastiques et silicones
FR2831644B1 (fr) 2001-10-31 2005-04-29 Delachaux Sa Clapet automatique
US7189071B2 (en) * 2003-02-12 2007-03-13 Mold-Masters Limited Telescopic manifold nozzle seal
US7165958B2 (en) * 2004-04-23 2007-01-2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pparatus for adjustable hot runner assembly seals and tip height using active material elements
FR2888153B1 (fr) 2005-07-05 2007-09-07 Delachaux Sa Sa Dispositif d'injection-moulage a chauffage de buse indexe
FR2892968A1 (fr) 2005-11-04 2007-05-11 Creations Nivernaises E C N Sa Dispositif d'injection-moulage d'une matiere thermoplastique
CN2882970Y (zh) * 2006-02-21 2007-03-28 贾瑞 注塑模具用热喷嘴
US7614869B2 (en) * 2007-05-08 2009-11-10 Mold-Masters (2007) Limited Manifold nozzle connection for an injection molding system
US20090194910A1 (en) 2008-01-31 2009-08-06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Two Stage Spring Pack Device for Hot Runner Sealing
FR2939353B1 (fr) 2008-12-09 2017-04-14 Runipsys Europe Systeme d'injection de matiere thermoplas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6124A1 (fr) 2010-12-23
BRPI1010094A2 (pt) 2016-03-15
FR2946914B1 (fr) 2011-06-17
US20120100242A1 (en) 2012-04-26
FR2946914A1 (fr) 2010-12-24
CA2765302A1 (fr) 2010-12-23
CN102458792B (zh) 2014-11-05
EP2442958A1 (fr) 2012-04-25
CN102458792A (zh) 2012-05-16
EP2442958B1 (fr) 2014-01-22
US8597019B2 (en)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7457A (ko) 열가소성 재료 사출 노즐 및 시스템
US7614869B2 (en) Manifold nozzle connection for an injection molding system
US7465165B2 (en) Configurable manifold
US7845936B2 (en) Sealing arrangement for an edge gated nozzle in an injection molding system
US7168941B2 (en) Thermal seal between manifold and nozzle
US7252498B2 (en) Hot runner nozzle with melt sealing
EP2661347B1 (en) Mold-tool system having manifold extension and biasing assembly
US7244118B2 (en) Hot runner nozzle and manifold seal
KR101326250B1 (ko) 사출성형의 사이드 게이트
JP2001212853A (ja) エジェクタプレート移動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CN110248793B (zh) 成型用模具
KR101575761B1 (ko) 몰딩된 플라스틱 재료의 송풍 유닛과 관련되기에 특히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몰딩을 위한 시스템
CN116749467A (zh) 注射喷嘴、注射装置及注射成型机
CN103402729A (zh) 注塑成型机
JP4267990B2 (ja) 射出成形機
EP3113924B1 (en) Manifold system nozzle retention
JP7265255B2 (ja) 射出成形装置
JP2831364B2 (ja) 射出成型ノズルの供給方法と射出成型ノズル
JPS588525Y2 (ja) ホツトランナ−式射出成形装置
EP0698466A1 (en) Hot nozzle and side-gate runnerless injection molding system incorporating hot nozzle
JPH1134111A (ja) 射出成形装置
JP2013095002A (ja) 射出成形装置及び射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8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