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7144A -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144A
KR20120037144A KR1020100098724A KR20100098724A KR20120037144A KR 20120037144 A KR20120037144 A KR 20120037144A KR 1020100098724 A KR1020100098724 A KR 1020100098724A KR 20100098724 A KR20100098724 A KR 20100098724A KR 20120037144 A KR20120037144 A KR 20120037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host device
regis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훈
최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8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7144A/ko
Priority to US13/067,159 priority patent/US20120086965A1/en
Publication of KR2012003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14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computing resources, e.g. memory,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28Image push arrangements, e.g. from an image reading device to a specific network dest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0081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user specified instructions, e.g. user selection of read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54Scheduling operations or managing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호스트장치 중 어느 하나를 타겟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호스트장치의 타겟 설정을 이용한 작업수행방법은,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사용하는 작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작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사용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장치를 타겟으로하는 작업이 등록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결정결과에 따라 상기 작업의 등록여부를 포함하는 등록여부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수신된 등록여부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이벤트의 등록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타겟 설정을 위한 별도의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LCD 패널이 없거나, 입력버튼이 최소화된 화상형성장치에서도 타겟 설정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HOST APPARATUS AND JOB PERFORM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호스트장치 중 어느 하나를 타겟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PC 즉, 호스트장치와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특정 기능에 대한 작업 데이터를 소정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타겟(Target) 호스트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 투 PC(Scan to PC)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스캔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타겟 호스트장치로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스크린 프린트(Screen Prin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타겟 호스트장치의 스크린을 캡쳐(capture)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프린트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상에서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스캔 투 PC, 스크린 프린트와 같은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LCD 패널과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된 복수의 호스트장치 중 타겟이 되는 호스트장치를 선택하면, 스캔작업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선택된 타겟 호스트장치로 전송되거나, 타겟 호스트장치의 스크린 이미지가 화상형성장치로 전송되어 작업이 수행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 중 LCD 패널이 없는 경우에는 타겟 설정이 불가능하므로, 타겟 설정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CD 패널을 이용해 타겟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LCD 패널 상에 표시된 IP주소(IP Address), 포트(Port) 정보와 같은 제한적인 정보로 자신의 호스트장치를 구별할 필요가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되는 입력버튼은 그 수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므로 조작이 복잡하므로 네트워크 다중 사용자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정확한 타겟을 찾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에 미리 등록한 호스트장치가 아닌 경우, 복잡한 등록 과정을 먼저 수행하지 않으면,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크린 프린트 기능의 경우 호스트장치의 스크린 화면을스크린 이미지를 출력하기 때문에, USB와 같은 로컬 연결된 화상형성장치가 아닌 네트워크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호스트장치의 사용요청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사용 가능여부를 결정하고, 작업 데이터를 타겟 호스트장치에 전송하므로, 화상형성장치에서 타겟 설정을 위한 별도의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LCD 패널이 없거나, 입력버튼이 최소화된 화상형성장치에서도 타겟 설정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보다 용이한 호스트장치의 조작을 통해 타겟 호스트장치를 선택하여 다중 사용자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미리 등록된 호스트장치가 아니더라도 타겟 설정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편의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스크린 프린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호스트장치 중 어느 하나를 타겟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호스트장치의 타겟 설정을 이용한 작업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사용하는 작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작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사용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장치를 타겟으로하는 작업이 등록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결정결과에 따라 상기 작업의 등록여부를 포함하는 등록여부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수신된 등록여부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이벤트의 등록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작업수행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요청 메시지는 작업의 종류, 사용자 정보,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작업의 개수, 요청 사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은 스캔 투 PC, 스크린 프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작업의 등록이 가능한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등록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 작업정보는 작업의 종류,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록시간, 요청 사용시간, 총 작업의 개수, 남은 작업의 개수, 작업의 수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의 수행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작업의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작업의 예약여부를 문의하는 알림창을 표시하는 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예약문의 알림창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예약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예약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예약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예약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예약 작업정보는 작업의 종류,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록시간, 요청 사용시간, 총 작업의 개수, 남은 작업의 개수, 작업의 수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의 수행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작업에 대응하는 작업 이벤트를 전송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등록된 작업이 수행 완료되면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등록작업의 요청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복수의 호스트장치 중 어느 하나를 타겟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호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사용하는 작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표시부와; 상기 작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장치를 타겟으로하는 작업의 등록여부를 포함하는 등록여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등록여부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이벤트의 등록여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요청 메시지는 작업의 종류, 사용자 정보,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작업의 개수, 요청 사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은 스캔 투 PC, 스크린 프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작업의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작업의 예약여부를 문의하는 알림창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예약문의 알림창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예약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복수의 호스트장치 중 어느 하나를 타겟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하며, 상기 복수의 호스트장치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사용하는 작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장치를 타겟으로하는 작업이 등록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결과에 따라 상기 작업의 등록여부를 포함하는 등록여부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작업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의 등록이 가능한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등록 작업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등록 작업정보는 작업의 종류,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록시간, 요청 사용시간, 총 작업의 개수, 남은 작업의 개수, 작업의 수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의 수행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의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예약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예약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예약 작업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예약 작업정보는 작업의 종류,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록시간, 요청 사용시간, 총 작업의 개수, 남은 작업의 개수, 작업의 수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의 수행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작업에 대응하는 작업 이벤트를 송신 또는 수신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작업의 요청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은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호스트장치의 사용요청에 따라 화상형성장치가 사용 가능여부를 결정하고, 작업 데이터를 타겟 호스트장치에 전송하므로, 화상형성장치에서 타겟 설정을 위한 별도의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LCD 패널이 없거나, 입력버튼이 최소화된 화상형성장치에서도 타겟 설정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보다 용이한 호스트장치의 조작을 통해 타겟 호스트장치를 선택하여 다중 사용자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미리 등록된 호스트장치가 아니더라도 타겟 설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스크린 프린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이 다른 사용자에 의해 등록중인 경우 예약이 가능하고, 등록중인 작업이 완료되면 예약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복수의 사용자가 불편없이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호스트장치와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표시되는 스마트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호스트장치와 화상형성장치간의 타겟설정에 의한 작업수행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의 옵션설정 UI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알림창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웹페이지 화면 및 전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타겟 설정을 이용한 작업수행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호스트장치(101, 102, ... , 103)와 화상형성장치(2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화상형성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복수의 호스트장치(101, 102, ... , 103)는 PC로 구현되어 화상형성장치(200)와 유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200)는 프린터, 복사기, 팩스,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200)는 복수의 호스트장치(101, 102, ... , 103) 중 어느 하나를 타겟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장치(101, 102, ... , 103)는 제1 사용자 입력부(110), 표시부(120), 제1 저장부(130), 제1 통신부(140) 및 제1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선택을 입력 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를 타겟 화상형성장치로 선택하고,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에 대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선택한다. 여기서,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은 스캔 투 PC, 스크린 프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선택된 기능의 작업(Job)에 대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되는 옵션은 작업의 개수, 요청 사용시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사용자 입력부(110)는 후술하는 등록불가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작업을 예약하도록 선택하고, 사용가능 메시지에 대응하여 예약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등록 작업이 수행되지 않고 요청 사용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해당 작업을 삭제 또는 요청 사용시간을 연장하는 입력도 수신 가능하다.
한편, 제1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타겟 설정에 의한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을 사용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Software)를 설치하도록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는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화상형성장치(200)와 연동 가능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솔루션(Solution)을 포함한다.
제1 사용자 입력부(110)는 호스트장치(101)의 입력장치로서 마련되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 등을 포함하며, 드라이버나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솔루션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입력부(110)는 도 2의 스마트 패널(20)에 표시되는 각종 메뉴항목이나, 도 3의 옵션설정 UI(User Interface)(30)를 포함한다.
표시부(120)는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을 선택하기 위한 스마트 패널(20), 작업의 옵션설정 UI(30), 작업 이벤트의 등록여부, 예약 가능여부 등과 관련된 각종 알림창(도 5 내지 도 7 참조)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표시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LCD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30)는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수행에 따라 생성되어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작업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되는 작업 데이터는 스캔 투 PC에 의한 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30)는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수행에 따라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되는 작업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되는 작업 데이터는 스크린 프린트에 의한 스크린 캡쳐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호스트장치(101, 102, ... , 103)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정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생성되어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되는 인쇄데이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30)는 호스트장치(101, 102, ... , 103)에 마련되는 HDD와 같은 내장용 저장매체나, USB 메모리, 메모리카드(메모리 스틱, CF 카드, MMC)와 같은 외장용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40)는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부(140)는 화상형성장치(200)와 소정 프로토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이나, USB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부(140)는 사용자의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200)에 메시지를 송신하고, 송신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200)로 송신되는 메시지는 사용요청 메시지, 예약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며,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는 등록여부 메시지(등록가능 메시지, 등록불가 메시지 포함), 사용가능 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통신부(140)는 등록된 작업의 수행이 완료에 따라 생성된 작업 데이터(예컨대, 스캔 이미지)를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작업 수행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예컨대, 타겟 호스트장치(100)의 스크린 이미지), 인쇄명령에 따라 생성된 인쇄데이터 등을 화상형성장치(200)로 송신한다.
제1 제어부(150)는 호스트장치(101, 102, ... , 103)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표시되는 스마트패널(20)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제어부(150)는 제1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타겟 설정에 의한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을 사용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Software)를 설치하도록 선택되면 해당 소프트웨어를 호스트장치(101)에 설치한다. 여기서,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는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화상형성장치(200)와 연동 가능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나 솔루션(Solution)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네트워크 상에 공유된 화상형성장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를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하도록 추가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설치된 소프트웨어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가 추가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패널(20)에 추가된 화상형성장치(200)를 선택 가능한 메뉴(21)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스마트패널(20)은 도 2와 같이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작업표시줄(10) 상에 표시되는 아이콘(11)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click)하여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패널(20)에 추가된 화상형성장치(200) 중에서 어느 하나(21)를 선택하면, 제1 제어부(150)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 목록(22,24)을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사용자는 스마트패널(20)에 표시된 기능 목록(22,24) 중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표시된 기능 목록은 스캔 투 PC와 스크린 프린트 만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은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 중 특정 호스트장치를 타겟으로 하는 기능이라면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제1 제어부(150)는 위와 같이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에 대응하는 작업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해당 호스트장치(101)를 등록하도록 요청받아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하는 등록 수행부, 등록에 대한 화상형성장치(200)의 응답을 받아 처리하고 사용자에게 피드백(feedback)하는 응답 처리부, 등록 완료 후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등록된 작업을 실행 시 필요한 작업 이벤트를 송수신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이벤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호스트장치(101, 102, ... , 103)와 화상형성장치(200)간의 타겟설정에 의한 작업수행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스마트패널(20)에 표시된 기능 목록(22,24) 중에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예컨대, 스캔 투 PC(Scan To PC)(22))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호스트장치(101)에서 스캔 투 PC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의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수행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작업수행은 다른 호스트장치(102, , 103)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 이벤트 선택에 대응하여 작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송신하고,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해당 작업의 등록여부를 포함하는 등록여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1 통신부(140)를 제어한다.
여기서, 호스트장치(101)와 화상형성장치(200)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XML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태그(Tag)를 통해 메시지의 종류, 작업의 종류 등과 같이 포함되는 정보가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요청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의 종류, 사용자 정보,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작업의 개수, 요청 사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oot>
<Scan2PCType="Registration" UserID="com-id" Address="10.88.193.23" Port="23414" />
</root>
위의 사용요청 메시지는 IP 주소가 10.88.193.23인 호스트장치(101)가 23414 포트(Port)를 이용하여 스캔 투 PC(Scan 2 PC) 작업에 대한 사용을 요청하는 것이 된다.
여기서, 사용요청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의 개수, 요청 사용시간과 같은 옵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oot>
<Scan2PC Type="Registration" Address="10.88.193.23" Port="23414" TimeOut="180" Job="1" />
</root>
즉, 위의 사용요청 메시지는 IP 주소가 10.88.193.23인 호스트장치(101)가 23414 포트를 이용하여 180초 동안 1개의 스캔 투 PC(Scan 2 PC) 작업에 대한 사용을 요청하는 것이 된다.
이를 위해, 제1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한 옵션설정 UI(30)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도 4는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의 옵션설정 UI(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옵션설정 UI(30)의 상하 화살표키(31, 32)를 이용하여 사용 요청시간 즉, 해당 작업 이벤트에 대한 타임아웃(Time Out) 시간을 선택하고, 작업의 개수를 지정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사용을 위한 타임아웃을 설정하고, 작업개수도 지정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여러 번의 작업등록을 위해 호스트장치(101)와 화상형성장치(200)를 반복하여 왔다 갔다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50)는 도 4와 같이 미리 설정된 디폴트 옵션으로 사용요청 시간을 180초, 작업의 개수를 1개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디폴트 옵션은 변경 가능하다. 또한, 디폴트 옵션에도 제한(예컨대, 10분 이하)을 두어 특정 사용자가 지나치게 오랜 시간동안 화상형성장치(200)를 점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등록여부 메시지는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며, 아래와 같이 작업의 종류, 사용메시지의 작업이 등록 가능한지 여부(REGI_OK 또는 REGI_FAIL)를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한다.
<root>
<Scan2PC Result="REGI_OK" />
</root>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해 표시되는 알림창(41,42,43)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제어부(150)는 등록가능 메시지를 수신하면, 도 5와 같이 등록이 성공하였음을 알려주는 알림창(41)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등록 성공 알림창(41)은 해당 작업의 사용가능 시간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요청된 작업이 등록 불가능한 경우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아래와 같은 등록불가 메시지가 수신된다.
<root>
<Scan2PC Result="REGI_FAIL" Reason=""REGIST_BY_OTHER_USER" >
<User IP="10.88.194.114" TimeOut="180" RemainedJob="1"/>
<User IP="10.88.193.100" TimeOut="300" RemainedJob="1"/>
</Scan2PC>
</root>
여기서, 위와 같이 등록불가 메시지는 등록이 불가능한 이유(예컨대, 네트워크 접속 실패,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가 존재 등)를 나타내는 태그(Reason)를 포함하며,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IP 주소, 등록 사용시간, 남은 작업의 개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를 예로 들면, 호스트장치(101)에서 스캔 투 PC 작업에 대하여 사용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사용가능 메시지가 수신된 상태에서, 호스트장치(102)에서 스캔 투 PC(또는, 스크린 프린트) 작업에 대한 사용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 해당 호스트장치(102)는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사용불가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1 제어부(150)는 등록불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등록이 불가능한 이유를 나타내는 알림창(42,43)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한다.
즉, 네트워크 연결 실패에 의한 등록불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도 6과 같이 이를 나타내는 알림창(42)이 표시된다.
여기서, 도 6에 표시된 알림창(42)은 사용자가 사용요청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를 선택 가능한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요청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재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미리 등록된 다른 작업으로 인해 작업의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 도 7과 같이 이를 나타내는 알림창(43)이 표시된다.
여기서, 도 7과 같이 알림창(43)은 등록된 작업정보 확인 아이콘(44)과, 사용자가 예약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예약요청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업정보 확인 아이콘(44)를 선택하면, 제1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200)로부터 등록작업에 대한 정보를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등록작업 정보(등록 사용자의 IP 주소, 작업개수, 남은 작업시간 등)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등록작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예약하거나, 다른 화상형성장치(200)를 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약요청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태그(Tag)를 통해 메시지의 종류(Reservation)가 구분되는 XML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작업의 종류, 사용자 정보,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oot>
<Scan2PC Type="Reservation" UserID="com-id" Address="10.88.193.133" Port="23414" />
</root>
즉, 위의 예약요청 메시지는 IP 주소가 10.88.193.133인 호스트장치(102)가 23414 포트를 이용하여 스캔 투 PC(Scan 2 PC) 작업에 대한 예약을 요청하는 것이 된다.
또한, 예약요청 메시지는 사용요청 메시지와 같이 예약하고자 하는 작업의 개수, 요청 사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200)는 도 3과 같이, 사용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작업의 등록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등록여부 메시지를 호스트장치(101)에 송부한다. 또한, 등록된 작업의 수행에 따라 해당 호스트장치(101)에 작업 이벤트를 송부한다. 또한, 예약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등록작업이 완료되면, 예약 호스트장치(102)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송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화상형성부(260), 제2 사용자 입력부(210), 제2 저장부(230), 제2 통신부(240) 및 제2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200)가 2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인 경우, 도 1과 같이 화상독취부(270), 팩스부(28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260)는 인쇄명령이 있으면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매체(용지)에 인쇄되는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인쇄는 원고를 스캔한 후의 복사를 위한 인쇄, 수신된 팩스데이터의 인쇄, 서버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101, 102, ... , 103)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화상형성장치(200)의 내부(HDD) 또는 외부(USB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의 인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화상형성부(260)는 상담지체를 포함하는 현상유니트, 광주사유니트, 전사유니트 및 정착유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200)는 화상형성부(260)가 단색 현상제(일반적으로 블랙)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단색 화상형성장치와 4색 현상제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화상형성장치 및 4색 현상제 이외에 백색 현상제와 같은 보조 현상제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다색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한다.
화상독취부(270)는 스캔대상 문서(원고)를 독취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캔대상 문서는 문서(document), 사진(Photo), 필름(film) 등을 포함한다. 화상독취부(270)는 CCD, CIS 등으로 구성된 광변환소자와, 광변화소자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문서를 이미지데이터화하는 이미지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독취부(270)는 광변환소자와 이미지프로세서를 구동하는 스캔모터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화상독취부(270)에서 스캔된 스캔 데이터는 팩스 신호로 바뀌어 팩스부(280)에 의해 외부의 팩스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다.
팩스부(280)는 화상독취부(270)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팩스 신호로 바꾸어 팩스 망(PSTN)을 이용하여 외부의 팩스장치(팩스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포함)로 전송하거나, 외부의 팩스장치로부터 팩스 신호를 수신하는 팩스 통신모듈(예컨대,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부터 데이터나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2 사용자 입력부(210)는 화상형성장치(200)에 마련되는 입력 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0)를 조작하여 호스트장치(101)로부터 수신된 등록작업 메시지에 대응하는 작업을 화상형성장치(2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에는 LCD 패널과 같은 별도의 표시부가 마련되지 않고, 제한된 개수의 입력버튼 만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저장부(230)는 인쇄를 위한 각종 인쇄 데이터, 팩스 송신을 위한 팩스 데이터, 화상독취부(270)를 통해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제2 통신부(250)를 통해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101, 102, ... , 103), 서버 등을 포함하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제2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한 화상형성장치(200)의 각종 설정정보, 각 사용자 계정 별 사용자 인증정보, 사용권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제2 저장부(230)는 팩스부(280)를 통해 외부의 팩스장치로부터 수신된 팩스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200)의 제2 저장부(230)는 호스트장치(101, 102, ... , 103)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요청 메시지, 예약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작업정보를 관리하는 작업관리부를 포함한다.
제2 저장부(230)는 HDD와 같은 내장용 저장매체나, USB 메모리, 메모리카드(메모리 스틱, CF 카드, MMC), 메모리카드 슬롯(slot) 등과 같은 외장용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제2 통신부(240)는 호스트장치(101, 102, ... , 103), 서버를 포함한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로부터 소정 프린트 언어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200)의 제2 통신부(240)는 호스트장치(101, 102, ... , 103)로브터 사용요청 메시지, 예약요청 메시지 등을 수신하며, 작업의 등록가능여부에 따라 등록가능 또는 등록불가를 나타내는 등록여부 메시지를 호스트장치(101, 102, ... , 103)에 송신한다.
또한, 제2 통신부(200)는 타겟 설정에 의한 작업 수행에 의한 작업 이벤트를 대응하는 호스트장치(101)에 송신하고,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102)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40)는 호스트장치(101, 102, ... , 103) 와 같은 외부장치와 소정 프로토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이나, USB 메모리와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예컨대, USB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50)는 화상형성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50)는 제2 통신부(240)를 통해 복수의 호스트장치(101, 102, ... , 103) 중 어느 하나의 호스트장치(101)로부터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사용하는 작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해당 호스트장치(101)를 타겟으로하는 작업이 등록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작업정보를 제2 저장부(240)의 작업관리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2 제어부(250)는 소정 호스트장치(101)로부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등록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응답을 생성하는 등록 응답부, 수신된 등록 요청에 대하여 타임아웃, 예약 알림, 작업 이벤트 전송을 위해 작업관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등록관리부,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등록된 작업 실행 시 이벤트 송수신을 수행하는 이벤트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 내지 표 3은 제2 저장부(240)의 작업관리부의 예를 나타낸다.
IP/Port 등록시간 사용 요청시간/Time out(초) 총 작업 수 남은 작업 수 현재 작업 수행여부
등록작업 10.88.194.114 2010.07.19
12:12:13
180 3 3 No
예약작업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업관리부는 등록작업으로는 하나의 호스트장치(101)의 작업정보를 저장하며, 예약작업은 하나 이상의 호스트장치의 작업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등록작업 및 예약작업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IP 주소가 10.88.194.114인 호스트장치(101)로부터 180초 동안 3개의 스캔 투 PC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제어부(250)는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작업 이벤트를 등록작업으로서 작업관리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등록 작업정보는 표 1과 같이 작업의 종류, 호스트장치(101)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록시간, 요청 사용시간, 총 작업의 개수, 남은 작업의 개수, 작업의 수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각각의 정보는 필드로 관리된다.
등록작업의 저장이 완료되면, 제2 제어부(250)는 등록가능 메시지를 해당 호스트장치(101)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240)를 제어한다.
IP/Port 등록시간 사용 요청시간/Time out (초) 총 작업 수 남은 작업 수 현재 작업 수행여부
등록작업 10.88.194.114 2010.07.19
12:12:13
180 3 1 Yes
예약작업
작업관리부에 저장된 등록작업은 표 2와 같이 화상형성장치(200)에서 해당 작업의 수행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즉, 작업의 수행여부에 따라 남은 작업의 개수가 변경된다.
IP/Port 등록시간 사용 요청시간/Time out (초) 총 작업 수 남은 작업 수 현재 작업 수행여부
등록작업 10.88.194.114 2010.07.19
12:12:13
180 3 1 Yes
예약작업 10.88.193.100. 2010.07.19
12:14:22
300 1 1 No
표 3과 같이 등록작업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IP 주소가 10.88.194.100인 호스트장치(102)로부터 300초 동안 1개의 스캔 투 PC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제어부(250)는 등록불가 메시지를 호스트장치(102)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240)를 제어하고, 수신된 예약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작업 이벤트를 예약작업으로서 작업관리부에 저장한다.
여기서, 예약 작업정보는 표 3과 같이, 작업의 종류, 호스트장치(102)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록시간, 요청 사용시간, 총 작업의 개수, 남은 작업의 개수, 작업의 수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제어부(250)는 도 3과 같이 등록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완료된 등록작업에 대응하는 작업 이벤트(예컨대, 스캔 투 PC에 의한 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대응하는 호스트장치(101)에 전송하고,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도록 제2 통신부(240)를 제어하고, 작업관리부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예약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제어부(250)는 예약작업을 등록작업의 필드로 옮기고, 예약작업이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사용가능메시지를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102)에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240)를 제어한다.
한편, 등록작업이 스크린 프린트 작업인 경우, 제2 제어부(250)는 작업 이벤트로서 해당 호스트장치(101)의 캡쳐(Capture)된 스크린 화면을스크린 이미지를 수신하고, 스크린 화면을스크린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260)를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호스트장치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타겟 설정을 이용한 작업수행방법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타겟 설정을 이용한 작업수행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호스트장치(101, 102, ... , 103) 중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장치(101)에 화상형성장치(200)의 타겟설정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S50).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단계 S50에서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200)를 추가한다(S5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단계 S51에서 추가된 화상형성장치(200)가 지원하는 타겟설정에 의한 기능을 선택한다(S52). 여기서, 제1 제어부(150)는 선택된 기능을 사용하는 작업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호스트장치(101)는 단계 S52의 작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한다(S53). 여기서, 사용요청 메시지는 작업의 종류, 사용자 정보,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작업의 개수, 요청 사용시간을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하는 XML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200)는 단계 S53에서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작업이 등록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한다(S54).
단계 S54의 결정 결과 등록이 가능한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는 등록가능 메시지를 호스트장치(101)로 전송한다(S55). 등록가능 메시지는 등록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태그를 포함하는 XML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200)는 단계 S54에서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작업정보를 제2 저장부(230)에 저장한다(S56). 여기서, 저장되는 작업정보는 표 1 내지 표 3과 같은 각 필드 별 정보를 포함하며, 작업수행 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화상형성장치(200)는 단계 S56에 저장된 작업정보에 따라 등록작업의 요청 사용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7).
사용자는 단계 S55에서 전송된 작업등록 메시지에 따른 작업등록 알림창(41)를 호스트장치(101)에서 확인하고, 요청 사용시간 이내에 화상형성장치(200)에서 등록작업 예컨대, 스캔 투 PC 또는 프린트 스크린 작업을 선택한다(S58).
제2 제어부(250)는 단계 S58에서 선택된 작업을 수행한다(S59). 여기서, 선택된 작업이 스캔 투 PC인 경우, 제2 제어부(250)는 스캔대상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화상독취부(270)를 제어하고,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타겟 호스트장치(101)로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240)를 제어한다. 또한, 선택된 작업이 스크린 프린트인 경우, 제2 제어부(250)는 제2 통신부(240)를 통해 타겟 호스트장치(101)의 캡쳐된 스크린 이미지화면를을 수신하고, 수신된 스크린 이미지를화면을 인쇄하도록 화상형성부(260)를 제어한다. 여기서, 스캔 이미지를 타겟 호스트장치(101)로 전송 또는 캡쳐된 스크린 화면을스크린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은, 등록작업의 작업 이벤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이 된다.
단계 S54의 결정 결과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는 제2 제어부(250)는 제2 저장부(230)의 등록관리부에 등록된 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단계 S60에서 등록된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200)는 등록불가 메시지를 호스트장치(101)에 송신하고, 호스트장치(101)는 사용자에게 해당 작업의 예약여부를 문의하도록 알림창(43)을 표시한다(S61).
사용자는 단계 S61에서 표시된 알림창(43)에 대응하여 작업을 예약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S62).
단계 S62에서 사용자가 작업을 예약하도록 선택하면, 호스트장치(101)는 예약요청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00)에 전송하고, 화상형성장치(200)는 수신된 예약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예약작업 정보를 작업관리부에 저장한다(S63).
그리고, 제2 제어부(250)는 저장된 예약작업이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64).
단계 S64에서 예약작업이 사용 가능하도록 판단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101)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전송한다(S65). 여기서, 제2 제어부(250)는 예약작업을 등록작업이 되도록 작업관리부를 업데이트한다.
사용자는 호스트장치(101)에서 사용가능 메시지를 확인하고, 단계 S57 내지 단계 S59와 같이 등록작업을 수행한다.
화상형성장치(200)는 단계 S29의 등록수행작업이 완료되면, 작업관리부에 예약작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6).
단계 S66에서 예약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제어부(250)는 단계 S64 및 단계 S65의 과정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예약작업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계 S60에서 등록된 작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등록작업이 없는 상태에서 작업이 등록이 불가능(예컨대, 네트워크 접속이 실패)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호스트장치(101)에 등록불가 메시지를 송신하고, 사용자는 사용요청 메시지의 재시도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S67).
단계 S67에서 사용자가 다시 시도하도록 선택하면, 호스트장치(101)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화상형성장치(200)에 다시 전송한다(S53).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타겟 설정에 의한 화상형성장치(200)의 기능으로서 스캔 투 PC, 스크린 프린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상형성장치(200)에서 타겟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기능이라면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1, 102, ..., 103 : 호스트장치 110 : 제1 사용자 입력부
120 : 표시부 130 : 제1 저장부
140 : 제1 통신부 150 : 제1 제어부
200 : 화상형성장치 210: 제2 사용자 입력부
230 : 제2 저장부 240 : 제2 통신부
250 : 제2 제어부 260 : 화상형성부
270 : 화상독취부 280 : 팩스부

Claims (20)

  1. 복수의 호스트장치 중 어느 하나를 타겟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호스트장치의 타겟 설정을 이용한 작업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사용하는 작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작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사용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장치를 타겟으로하는 작업이 등록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결정결과에 따라 상기 작업의 등록여부를 포함하는 등록여부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수신된 등록여부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이벤트의 등록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수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요청 메시지는 작업의 종류, 사용자 정보,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작업의 개수, 요청 사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수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은 스캔 투 PC, 스크린 프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수행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작업의 등록이 가능한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등록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 작업정보는 작업의 종류,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록시간, 요청 사용시간, 총 작업의 개수, 남은 작업의 개수, 작업의 수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의 수행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수행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작업의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작업의 예약여부를 문의하는 알림창을 표시하는 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수행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는 상기 예약문의 알림창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예약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수행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예약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예약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예약 작업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예약 작업정보는 작업의 종류,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록시간, 요청 사용시간, 총 작업의 개수, 남은 작업의 개수, 작업의 수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의 수행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수행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작업에 대응하는 작업 이벤트를 전송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수행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등록된 작업이 수행 완료되면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수행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등록작업의 요청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수행방법.
  11. 복수의 호스트장치 중 어느 하나를 타겟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호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사용하는 작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표시부와;
    상기 작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장치를 타겟으로하는 작업의 등록여부를 포함하는 등록여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등록여부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이벤트의 등록여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요청 메시지는 작업의 종류, 사용자 정보,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작업의 개수, 요청 사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은 스캔 투 PC, 스크린 프린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작업의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작업의 예약여부를 문의하는 알림창을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예약문의 알림창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예약요청 메시지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장치.
  15. 복수의 호스트장치 중 어느 하나를 타겟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지원하며, 상기 복수의 호스트장치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타겟 설정에 의한 기능을 사용하는 작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장치를 타겟으로 하는 작업이 등록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결과에 따라 상기 작업의 등록여부를 포함하는 등록여부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작업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의 등록이 가능한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등록 작업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작업정보는 작업의 종류,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록시간, 요청 사용시간, 총 작업의 개수, 남은 작업의 개수, 작업의 수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의 수행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의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 예약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예약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예약 작업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예약 작업정보는 작업의 종류, 상기 호스트장치의 IP 주소, 포트정보, 등록시간, 요청 사용시간, 총 작업의 개수, 남은 작업의 개수, 작업의 수행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의 수행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작업에 대응하는 작업 이벤트를 송신 또는 수신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작업의 요청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예약작업에 대응하는 호스트장치에 사용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00098724A 2010-10-11 2010-10-11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 Withdrawn KR20120037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724A KR20120037144A (ko) 2010-10-11 2010-10-11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
US13/067,159 US20120086965A1 (en) 2010-10-11 2011-05-12 Image forming apparatus, host apparatus and job perform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724A KR20120037144A (ko) 2010-10-11 2010-10-11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144A true KR20120037144A (ko) 2012-04-19

Family

ID=4592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724A Withdrawn KR20120037144A (ko) 2010-10-11 2010-10-11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86965A1 (ko)
KR (1) KR201200371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3111A1 (en) * 2011-06-30 2013-01-03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diagnostics which shows possible causes on a displa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002396A (ja) * 2013-06-14 2015-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80393B2 (ja) * 2014-02-28 2018-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20777B1 (ko) 2014-08-28 2017-03-28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단말
KR20160025885A (ko)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단말
KR101893447B1 (ko) 2014-08-28 2018-08-30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단말
JP2022177632A (ja) * 2021-05-18 2022-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0173B2 (ja) * 1998-12-24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6871243B2 (en) * 2000-12-28 2005-03-2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system that communicates with a portable device having user information
US7769837B2 (en) * 2003-12-12 2010-08-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ireless LAN setting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6965A1 (en)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154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to support printing by users of chat application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8206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502534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1091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s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es,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llowing the instruction of the processing to be executed next without waiting for the completion of cooperative processing and allows checking of the processing status of cooperative processing being executed
KR20120037144A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작업수행방법
US20100103456A1 (en) Apparatus and system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control program
US8902453B2 (en) System for requiring authentication for generation of new printing job profiles from a client device
JP2007300334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201816338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249372A1 (en) Work form management method, host apparatus to manage work form, work form management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work form management system
JP5998657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6492711B2 (ja) 中継装置、操作画面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107686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93676B2 (ja) 連携システム
JP2011061366A (ja) 複合機及びシステム
US9047023B2 (en) Host device, managing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ation thereof
US842955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8195268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642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evice setup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7170759A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233995A (ja) 端末装置、機器、およびユーザ認証システム
KR20170074837A (ko) 호스트 장치, 관리 서버 및 그들의 화상 형성 제어 방법
JP2007087399A (ja) 画像形成装置の表示調整方法
JP6399062B2 (ja) 可搬型情報端末、制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20115606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