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0985A - 유도 결합에 의한 능동 부하 변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결합에 의한 능동 부하 변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985A
KR20120030985A KR1020110095238A KR20110095238A KR20120030985A KR 20120030985 A KR20120030985 A KR 20120030985A KR 1020110095238 A KR1020110095238 A KR 1020110095238A KR 20110095238 A KR20110095238 A KR 20110095238A KR 20120030985 A KR20120030985 A KR 20120030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scillator
antenna
oscillation mode
ck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072B1 (ko
Inventor
브뤼노 샤라
플로리앙 뻬르니섹
Original Assignee
인사이드 씨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2118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3098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사이드 씨큐어 filed Critical 인사이드 씨큐어
Publication of KR2012003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0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5Transpo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8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the synchronisation signals recurring cyc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Amplitude Modulation (AREA)

Abstract

안테나 신호(AS, AS')가 나타나는 유도 안테나 회로(ACT), 상기 안테나 신호(AS, AS')로부터 제1 주기 신호(CKe)를 추출하는 수단(CKCT), 제1 주기 신호(CKe)를 수신하고 제2 주기 신호(Cks)를 공급하는 동기 발진기(SO, OSC1), 및 상기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능동 부하 변조 회로(MCT)를 포함하는 유도 결합에 의한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ND1). 상기 장치는, 상기 안테나 회로로 상기 제2 주기 신호(CKs)의 버스트를 각각 인가하기 전에 상기 발진기를 상기 동기 발진 모드에 두도록 구성되고, 그 후 상기 발진기를 상기 자유 발진 모드에 두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도 결합에 의한 능동 부하 변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CTIVE LOAD MODULATION BY INDUCTIVE COUPLING}
본 발명은 유도 결합에 의해 데이터를 방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교류 외부 자기장 하에 유도 안테나 회로를 써서 안테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신호로부터 제1 주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주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기화 입력을 가지는 동기 발진기를 써서 제2 주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발진기는 제1 주기 신호와 동일 위상으로 설정되는 동기 발진 모드 및 자유 발진 모드를 가지는, 단계 및 능동 부하 변조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방출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s)" 또는 NFC라고 알려진 유도 결합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유도 결합에 의한 통신은 일반적으로 "수동" 장치 및 "능동"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두 개의 장치는 안테나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능동 장치는 예를 들어 13.56MHz로 발진하는 자기장을 방출하고, 상기 자기장을 변조함으로써 상기 수동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하, 이러한 자기장은 "외부 자기장"으로 지시된다. 상기 수동 장치는 상기 능동 장치에 부하 변조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부하 변조는 수동이거나 능동일 수 있다. 수동 부하 변조는 데이터-전달 부하 변조 신호의 속도로 상기 수동 장치의 안테나 코일의 임피던스를 변조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임피던스 변조는 상기 능동 장치의 안테나 코일의 임피던스에서 유도 결합에 의해 반향(echo)된다. 따라서 상기 능동 장치는 상기 능동 장치의 안테나 신호로부터 상기 수동 장치에 의해 사용된 부하 변조 신호를 추출할 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상기 수동 장치가 전송한 데이터를 연역해 낼 수 있다.
능동 부하 변조는 데이터 전달 변조 신호의 속도로 교류 자기장의 버스트(burst)를 방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기장 버스트는 상기 능동 장치에 의해 수동 부하 변조로서 인식된다. 이러한 기술은 특허 출원 EP 1 327 222(US 7,098,770B2)의 명세서 및 상기 명세서의 074 단락, 8페이지의 표4 및 도 4A 내지 4E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능동 부하 변조는 수동 부하 변조에 비하여, 푸코 전류(와 전류(eddy current))를 만들어내는 금속 물체에 의해 교란되는 환경과 같이 불리한 환경하에서도 더 넓은 통신 거리 및/또는 더 좋은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한편, 능동 부한 변조는 안테나 코일을 여자시키는 수단과 전류원을 필요로 하지만, 자기장의 계속적 방출 시 전류 소비보다 전류를 매우 덜 소비한다.
따라서 능동 부하 변조 장치는 전기 공급 장치라는 관점에서 볼 때 순수하게 수동적일 수 없지만(순수한 수동 장치는 능동 장치에 의해 방출된 자기장에 의해서 전기 공급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신에 필요한 상기 외부 자기장을 방출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서 "수동"으로 여겨진다.
최대 통신 거리를 얻기 위하여, 상기 능동 부하 변조는 상기 능동 장치에 의해 방출된 외부 자기장과 상기 부하 변조 자기장이 동일한 위상이라는 점도 필요로 한다. 상기 능동 부하 변조 자기장과 상기 외부 자기장 사이의 위상 회전(Phase rotation)은 바람직하지 못한 통신 거리 변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특허 EP 1 801 741은 부하 변조 자기장을 제어하기 위하여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ing loop)를 사용하는 능동 부하 변조 NFC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이 문서 도 19를 참조). 상기 위상 고정 루프는 전압-제어 발진기(Voltage-Controlled Oscillator, VCO), 위산 비교기 및 상기 VCO에 제어 전압을 공급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위상 비교기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유도된 안테나 신호로부터 추출된 제1 주기 신호를 기준 주파수로서 수신한다. 상기 위상 고정 루프는 상기 위상이 제1 주기 신호의 위상으로 설정된 제2 주기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 방출 모드에 있어서,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는 자기장 버스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에 인가된다.
상기 장치가 데이터 방출 모드로 바뀐 때, 상기 제1 주기 신호는 더 이상 상기 위상 비교기에 인가되지 않고 샘플링 회로(HLD("샘플 홀드"))는 상기 VCO에 인가된 제어 전압을 유지한다. 상기 위상 고정 루프는 동기 기능 모드를 자유 발진 모드로 바꾸고, 상기 데이터 방출이 끝날 때까지 이러한 기능 모드로 남아있다.
만약 자기장 버스트가 외부 자기장과 동일한 위상이라는 점이 희망된다면, 상기 위상 고정 루프는 반드시 적어도 데이터 방출 기간과 동일한 데이터 방출 모드의 전체 작동 기간 동안에 약간의 위상 흔들림(blurring)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이러한 기간 동안 용인되는 최대 디페이징은 일반적으로 13.56MHz로 발진하는 자기장 주기의 1/4 정도이다.
예로서, ISO 14443-A 프레임은 대게 25.6ms 정도의 작동 기간을 가진다. 상기 주기 신호의 주파수는 13.56MHz일 때, 자유 발진 모드의 위상 고정 루프의 위상 흔들림은 바람직하게 13.56MHz에서 발진하는 자기장 주기의 1/4인 18ns 미만이다.
하지만, 25.6ms의 작동 기간에 걸쳐 18ns보다 더 큰 안정성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위상 고정 루프가 약 0.7ppm((18x10-9/25.6x10-3)*106) 정도의 극도의 정밀성을 제공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밀성은 매우 높은 품질 및 고가의 회로를 요구한다.
따라서, 극도의 정밀함 및 고가의 회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외부 자기장에 비하여 작은 흔들림을 가지는 자기장 버스트가 제공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동기 발진기의 사용을 제시하고 있으며, 안테나 회로로 상기 발진기에 의해 공급된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각각 인가하기 전에 외부 자기장에 상기 발진기를 재동기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도 결합에 의해 데이터를 방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교류 외부 자기장에서의 유도 안테나 회로를 써서 안테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신호로부터 제1 주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주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기화 입력을 가지는 동기 발진기를 써서 제2 주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발진기는 제1 주기 신호와 동일 위상으로 설정된 동기 발진 모드 및 자유 발진 모드를 가지는, 단계 및 능동 부하 변조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안테나 회로로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각각 인가하기 전에, 상기 발진기를 상기 동기 발진 모드에 두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 회로로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인가하는 동안에, 상기 발진기를 자유 발진 모드에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안테나 회로로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인가한 후, 상기 발진기가 상기 동기 발진 모드로 되돌아가기 전에, 안테나 신호의 인정화 시간 동안 상기 발진기가 상기 자유 발진 모드를 지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변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변조 신호가 제1 논리 값을 가질 때, 상기 제2 주기 신호를 상기 안테나 회로에 인가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변조 신호가 상기 제1 논리 값을 가질 때, 차폐(masking) 값을 가지는 차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폐 신호가 상기 차폐 값을 가질 때, 상기 발진기의 동기화 입력으로의 상기 제1 주기 신호의 인가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안테나 신호의 안정화 시간 동안에 상기 발진기가 상기 자유 발진 모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조 신호의 상기 제1 논리 값의 지속 기간보다 더 긴 지속 기간을 상기 차폐 신호의 상기 차폐 값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안테나 신호에 관하여 상기 제2 주기 신호(CKs)를 디페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도 결합에 의한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테나 신호가 교류 외부 자기장이 있을 때 나타나는 유도 안테나 회로, 상기 안테나 신호로부터 제1 주기 신호를 추출하는 수단, 제1 주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기화 입력를 가지는 동기 발진기로서, 제2 주기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1 주기 신호와 동일 위상으로 설정된 동기 발진 모드 및 자유 발진 모드를 가지는 상기 동기 발진기, 및 상기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능동 부하 변조 자기장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능동 부하 변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상기 안테나 회로로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각각 인가하기 전에, 상기 발진기를 상기 동기 발진 모드에 두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테나 회로로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인가하는 동안에, 상기 발진기를 상기 자유 발진 모드에 두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치는 상기 안테나 회로로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인가한 후에, 상기 발진기가 다시 동기 발진 모드로 되돌아 가기 전에, 상기 안테나 신호의 안정화 시간 동안 상기 발진기가 자유 발진 모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치는 부하 변호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조 신호가 제1 논리 값을 가질 때 상기 제2 주기 신호를 상기 안테나 회로에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변조 신호가 상기 제1 논리 값을 가질 때 차폐 값을 가지는 차폐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폐 신호가 상기 차폐 값을 가질 때 발진기의 동기 입력으로의 상기 제1 주기 신호(CKe)의 인가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치는 상기 안테나 신호의 안정화 시간 동안에 상기 발진기가 상기 자유 발진 모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변조 신호의 상기 제1 논리 값의 지속 기간보다 더 긴 지속 기간을 상기 차폐 신호의 상기 차폐 값에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기 발진기(SO, OSC1, OSC11)는 발진기의 구성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발진기 자신의 자동-발진 주파수를 가지는 비안정 발진기 형식의 발진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기 발진기는 디지털 형식의 발진기이고, 상기 동기 발진 모드에서 상기 동기화 입력에서 인가된 주기 신호의 주기를 출력에서 재복사하고, 상기 자유 발진 모드에서 상기 동기 발진 모드 동안에 동기화 입력에서 수신된 주파수를 출력에서 재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기 발진기는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고정 루프는, 위상 신호를 공급하는 위상 비교기, 상기 위상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전압을 공급하는 능동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제어 전압을 수신하고 제2 주기 신호를 공급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상기 자유 발진 모드로 바뀌는 동안에 상기 위상 비교기를 차단하고,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의 입력에서의 제어 전압의 값을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치는 상기 안테나 신호에 관하여 상기 제2 주기 신호를 디페이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 및 상기 장치로 데이터를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호스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치는 휴대용 지지대 내부 또는 표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칩 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비한정적인 방법으로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동기 발진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NFC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2d는 능동 부하 변조에 의한 데이터 방출 동안에 도 1의 장치의 기능으로서 사용된 신호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3d는 능동 부하 변조에 의한 데이터 방출 동안에 도 1의 장치의 기능으로서 사용된 그 밖의 신호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장치에 의해서 사용된 제1 주기 신호 및 제2 주기 신호 사이의 위상 에러를 나타낸다.
도 5는 동기 발진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동기 발진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데이터 수신 및 방출 동안에 도 1의 장치의 안테나 신호 형성을 나타내고, 도 7b 내지 7e는 상기 안테나 신호와 관련된 신호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 장치의 일 부분의 수행상 변경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1 장치의 그 밖의 수행상 변경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ND1)을 나타내며, 상기 장치는 유도 결합에 의한 기능을 가진다. 장치(ND1)는,
- 접촉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ICT),
- 반송 주파수로 향해진 안테나 회로(ACT)로서, 안테나 코일(AC1)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커패시터 및/또는 인덕터와 같이 다양한 그 밖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상기 안테나 회로,
- 안테나 회로를 통해 데이터(DTr)를 수신하기 위하여 디코딩 회로(DCCT)에 연결되는 복조 회로(DMCT),
- 클럭 회로(CKCT), 및
- 동기 발진기(SO)를 포함한다.
접촉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ICT)는 장치(ND1)가 하나 이상의 호스트 프로세서(HP1)에 연결되게 한다. 호스트 프로세서(HP1)는 데이터(DTx)를 공급하며 데이터(DTr)를 수신한다. 데이터(DTx/DTr)는 일반적으로 NFC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업무 처리, 지불, 정보 교환 등등)이다. 하나의 변형 예에 있어서, 장치(ND1)는 자율적으로 되어 있을 수 있고, 비접촉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내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내부 프로세서는 내부 프로세서 자신이 데이터(DTx) 및 프로세서 데이터(DTr)를 관리할 수 있다.
클럭 회로(CKCT) 및 복조 회로(DMCT)는 안테나 회로(ACT)에 존재하는 안테나 신호(AS)를 수신한다. 안테나 신호(AS)는 예를 들어 증폭기(A1)에 의해 상기 안테나 회로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증폭기의 게인(gain) 값은 자동 게인 제어 회로(AGC)로 제어된다. 안테나 신호(AS)는 NFC리더 형식의 외부 장치(EDV)에 의해 방출되는 교류 외부 자기장(FLD1)의 존재 하에 나타나며, 상기 외부 장치(EDV)는 안테나 코일(AC2)을 구비하고 능동 모드(계속적으로 자기장을 방출하는 모드)로서 기능한다. 자기장(FLD1)은 예를 들어 13.56MHz(표준 ISO 14443, ISO 13693, Sony Felica (r))의 반송 주파수로 발진한다.
클럭 회로(CKCT)는 외부 클럭 신호(CKe)를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언급된 표준 틀 내 13.56MHz인 "제1 주기 신호"(상기 제1 주기 신호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상기 반송 주파수와 동일하다)를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CKCT)는 자기장(FLD2)이 탐지되는 때, 예를 들어 1과 같은 소정의 값을 가지는 신호(DET)도 공급한다. 신호(DET)는 장치(ND1)의 특정 실시예에 유용할 수 있는 반송 탐지 신호를 형성한다.
*동기 발진기(SO)는 외부 클럭 신호(CKe)를 수신하고 내부 클럭 신호(CKs), 또는 "제2 주기 신호"를 공급한다. 발진기(SO)는 신호(CKs)가 신호(CKe)의 위상으로 설정되는 주기 발진 모드, 및 신호(CKs)가 더 이상 신호(CKe)와 동일한 위상으로 설정되지 않는 자유 발진 모드를 가진다.
데이터(DTr)를 장치(ND1)에 전송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EDV)는 데이터 전달 변조 신호(MS(DTr))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진폭 변조와 같은 변조를 자기장(FLD1)에 인가한다. 전달자 억제 이후에, 신호(MS(DTr))가 안테나 신호(AS)에서 반향되고, 복조 회로(DMCT)에 의해 안테나 신호(AS)로부터 추출된다. 회로(DMCT)는 변조 신호(MS(DTr))를 회로(DCCT)에 공급하고, 상기 회로(DCCT)는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ICT) 또는 (만약 상기 장치(ND1)가 내부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경우에) 장치(ND1)의 내부 프로세서로 데이터(DTr)를 디코딩하고 공급한다.
외부 장치(EDV)로 보내기 위한 데이터(DTx)는 코딩 회로(CCT)에 공급되고, 상기 코딩 회로(CCT)는 데이터 전달 변조 신호(MS(DTx))를 변조 회로(MCT)에 공급한다. 상기 변조 신호(MS(DTx))는 상기 반송 주파수로부터 파생된 서브-전달자(예를 들어 848kHz(ISO 14443) 또는 424kHz(ISO 15693)의 서브-전달자)를 사용하여 변조될 수 있거나 또는 서브-전달자를 사용하지 않는 기저 대역으로 코딩될 수 있다(Sony Felica?). 상기 서브-전달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회로(MCT)는 동기 발진기에 의해 공급되는 내부 클럭 신호(CKs)를 수신한다.
변조 회로(MCT)는 여기서 특허 문헌 EP 1 327 222(US 7,098,770 B2)에서 설명되는 방법을 수행하는 능동 부하 변조 회로이다. 회로(MCT)는 내부 클럭 신호(CKs)의 버스트(파열(wavetrain))을 포함하는 능동 부하 변조 신호(Slm)를 안테나 회로(ACT)에 공급하며, 상기 능동 부하 변조 신호(Slm)는 상기 신호(Slm)가 0과 같은 디폴트 값을 가지는 경우 비-변조 주기에 의해 분리된다. 여기서 변조 회로(MCT)는 신호(CKs)와 MS(DTx))를 수신하고 신호(Slm)를 공급하는 AND 형식의 논리 게이트(G2)를 포함하고, 게이트(G2)의 출력과 연결되고 안테나 회로(ACT)로의 신호(Slm) 인가 지점과 연결된 증폭기(A2)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Slm)는 신호(MS(DTx))가 0일 때 0이고, 신호(MS(DTx))가 1일 때 신호(CKs)를 재복사한다. 따라서, 신호(MS(DTx))가 1일 때 안테나 회로(ACT)는 신호(CKs)의 버스트를 수신하고 안테나 코일(AC1)은 자기장(FLD2)의 대응 버스트를 방출한다. 상기 자기장(FLD2)의 버스트는 외부 장치(EDV)에 의해 수동 부하 변조로서 탐지된다. 이 이후에 장치(ND1)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DTx)를 상기 신호(Slm)로부터 추론해내기 위하여, 상기 신호(Slm)가 가지는 안테나 신호에서 신호(MS(DTx))를 추출할 수 있다.
동기 발진기(SO)는 차폐 회로(G1)(여기서는 AND 게이트)의 출력과 연결된 동기화 입력을 포함하는 발진기 회로(OSC1)를 포함한다. 게이트(G1)는 외부 클럭 신호(CKe) 및 차폐 신호(MSK)를 상기 게이트(G1)의 입력에서 수신한다. 신호(MSk)는 차폐 생성기(MG)에 의해 변조 신호(MS(DTx))로부터 공급된다. 신호(MSK)는 여기서 차폐 값으로 0, 및 투명 값으로 1을 가진다. 발진기 회로(OSC1)는 동기화 입력에 차폐되지 않을 때(MSK=1) 자기 자신을 외부 클럭 신호(CKe)에 동기화하고, 신호(CKe)가 차폐된 때(MSK=0) 자유 발진 모드로 기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변조 신호(MS(DTx))는 자기장(FLD2)의 버스트 방출에 대응하는 값(여기서는 1)을 가질 때만 상기 차폐 신호는 상기 차폐 값(MSK=0)을 가지고, 그렇지 않으면 투명 값(MSK=1)을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발진기 회로(OSC1)는 오직 자기장의 버스트 방출 동안에만 자유 발진 모드로 기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폐 신호는 자기장(FLD2)의 버스트 방출 동안에 상기 차폐 값을 가지고, 안테나 신호(AS)에 안정화된 시간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음 버스트 방출의 부가적인 시간 경과 동안에 상기 차폐 값으로 지속된다. 도 2a 내지 2d는 이러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2a는 신호(CKs)를 나타내고, 도 2b는 신호(MS(DTx))를 나타내고, 도 2c는 신호(MSK)를 나타내고, 도 2d는 신호(CKs)의 버스트로 구성된 신호(Slm)를 보여준다. 도면을 단순화 시키기 위해서, 신호(Cks)의 주파수는 그 크기를 나타내지 않으며, 신호(MS(DTx))는 일정한 기간(Tp)의 논리 값 1의 피크 값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일정한 기간(Tp)은 일정한 시간 간격(Tp')에 의해 나뉘어져 있다. 실제로, 신호(MS(DTx))는 (데이터(DTx)에 인가된 코딩의) DTx를 방출하는 기능 및 DTx를 생성하는 방법(특히 서브-전달자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가지는 그 밖의 모든 형식일 수 있다.
도 2d는 변조 신호(MS(DTx))가 1일 때 기간(Tp) 동안의 신호(Cks)의 버스트가 안테나 회로에 인가되는 것을 보여준다(역 컨벤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c는 신호(MSK)가 신호(MS(DTx))가 1일 때 0으로 설정되고, Tp보다 더 크고 Tp + Tp' 보다 작은 Tm 동안에 유지된다. 재동기화 주기 기간(도 2c에서 Tsyn로 나타남) 동안에 상기 발진기 회로는 동기 발진 모드에 있고, 따라서 상기 재동기화 주기 기간은 Tp + Tp' - Tm과 동일하다.
도 3a 내지 3d는 자기장(FLD2)의 두 버스트 방출 사이에서 신호(CKe)에 관한 신호(CKs)의 재동기화 메커니즘을 보다 자세히 나타낸다. 도 3a는 신호(MSk)를 나타내고 이는 도 2c와 동일하다. 도 3b는 신호(CKe)를 나타내고, 도 3c는 발진기 회로(OSC1)의 내부 발진 신호(CKi)를 나타내고, 도 3d는 신호(CKs)를 나타내고, 신호(CKi) 및 신호(CKs)는 주파수는 동일하지만 진폭만은 다르다. 신호(CKs)의 진폭은 논리 레벨 1 또는 0을 발생시킨다.
도 3b는 자유 발진 주기 동안에 변동할 수 있는 위상을 외부 클럭 신호(CKe)가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자유 발진 주기 동안에, 내부 클럭 신호(CKs)는 안테나 회로에 삽입되고 외부 자기장(FLD1)에 의해 유도된 신호에 중첩된다. 비록 신호(CKs)가 외부 클럭 신호(CKe)에 충분히 좋은 정밀성으로 동기화된다고 할지라도, 상기 유도된 신호와 삽입된 신호 사이의 디페이징은, 안테나 신호가 믿을 만한 외부 클럭 신호(CKe)를 제공할 수 없게 하는 위상 변동을 유발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하지만 도 3c 및 3d는 내부 클럭 신호(CKs)의 위상이 상기 자유 발진 주기(P2로 나타남) 동안에 기간(Tsyn)의 빈번한 재동기화 주기(P1으로 나타남) 덕분에 기본적으로 안정한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신호(MSK)가 다시 1이 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신호(CKs)가 신호(CKe)에 재동기화되는 순간에, 신호(CKs)와 신호(CKe) 사이의 디페이징(Dtmax)(일시적 이동으로 표시됨)을 보여준다. 유도 인가의 기능으로서 선택된 상기 Dtmax 값은 발진기 회로(OSC1)의 정확성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신호(CKe) 주기의 1/4의 최대 디페이징이 관찰된다.
자기장(FLD2) 버스트의 각각의 방출 전에 개입하는 재동기화 덕분에, 발진기 회로(OSC1)는 데이터 프레임(DTx)의 전체 기간에 걸친 주기의 1/4의 최대 디페이징을 보장하는 극도의 정밀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반드시 필요한 정밀성는 데이터(DTx)의 비트의 스케일을 가져오고, 보다 정확하게 자기장의 버스트 기간의 스케일을 가져오고, 사용된 코딩에 의존한 DTx의 비트의 파편만을 나타낼 수 있다(2진 데이터가 자기장의 여러 버스트로서 코딩될 수 있다).
동기 발진기(OS)를 만들기 위하여 발진기 회로의 다양한 형식이 제공될 수 있다. 한가지 예로서, 도 5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형식(비안정 발진기라고도 알려짐)의 발진기 코어를 포함하는 발진기 회로(OSC11)를 보여준다. 상기 발진기 코어는 두 개의 셀프-인덕터(L1, L2), 커패시터(C1), MOS 형식의 두 개의 트랜지스터(T1, T2), 및 전류원(CG1)을 포함한다. 인덕터(L1)는 전압(Vcc)를 수신하는 공급 노드와 노드(N1)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인덕터(L2)는 전압(Vcc) 공급 노드와 노드(N2)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커페시터(C1)은 노드(N1)와 노드(N2)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1)는 노드(N2)에 연결된 소스(S), 전류원(CG1)을 매개로 지면에 연결된 드레인(D), 및 노드(N1)에 연결된 게이트(G)를 가진다. 트렌지스터(T2)는 노드(N2)에 연결된 소스(S), 전류원(CG1)을 매개로 지면에 연결된 드레인(D), 및 노드(N1)에 연결된 게이트(G)를 가진다.
더욱이, 발진기 회로(OSC11)의 동기화 입력은 에미터(E)가 지면과 연결되고 콜렉터(C)가 노드(N1)에 연결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B)로 형성되어 있다. 발진기 회로의 출력은 신호(CK)를 공급하는 인버터 게이트(I1)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버터 게이트(I1)의 입력은 노드(N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입력에는 내부 발진 신호(CKi)가 존재한다.
신호(CKe)가 트랜지스터(T3)의 베이스(B)에 인가되는 때(MSK=1), 노드(N1) 상의 신호(CKi)의 위상이 신호(CKe)에 의해서 부과된다. 발진기 회로의 코어는 더 이상 비안전 발진기로서 기능을 하지 않지만 단안정 발진기로서 기능한다.
신호(MSk)가 0 일 때, 트랜지스터(T3)는 더 이상 전도하지 않으며, 상기 발진기 회로의 코어는 비안정 발진기 모드로 기능하고, 자유롭게 자동-발진 주파수에서 발진한다. 이러한 주파수는 인턱터(L1, L2) 및 커패시트(C1)의 적절한 선택에 의하여 가능한 신호(Cke)(상기 설명된 인용 표준 틀에서는 13.56MHz)에 가깝게 설정된다.
일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발진기 회로(OSC1)는 디지털 형식의 것일 수 있고, 동기 발진 모드에서 상기 동기화 입력에서 수신된 신호(CKe) 주파수를 분석하고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발진기 회로(OSC1)의 출력에 신호(CKe)를 재복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진기 회로가 자유 발진 모드로 바뀐 때, 상기 발진기 회로는 상기 저장된 값으로부터 신호(CKs)를 재구축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은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는 발진기 회로(OSC12)를 보여준다. 회로(OSC12)는 익스클루시브OR(XOR) 형식의 게이트(G10), 능동 저역 통과 필터(FT1), 전압-제어 발진기(VCO), 팔로워 회로(SCT), 및 AND 형식의 게이트(G11)를 포함한다. 상기 VCO는 내부 발진 신호(CKi)를 공급한다. 상기 신호(CKi)는 회로(SCT)에 인가되고, 상기 회로(SCT)의 출력은 내부 클럭 신호(CKs)이다. 또한 내부 발진 신호(CKi)는 게이트(G11)를 매개로 하여 게이트(G10)의 입력에 되돌려 보내지며, 상기 게이트(G11)는 또 다른 입력 신호(MSK)를 수신한다. 게이트(G10)의 또 다른 입력은 회로(OSC12)의 동기화 입력을 형성하고 게이트(G1)의 출력에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G1)의 출력은 신호(MSK)가 1일 때 외부 클럭 신호(CKe)를 공급한다. 게이트(G10)는 위상 비교기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G10)의 출력은 능동 저역 통과 필터(FT1)를 매개로 하여 VCO의 제어 입력에 전송된다.
신호(MSK)가 1일 때, 게이트(G11)는 전도하고 있고, 게이트(G10)는 신호(CKi)와 신호(CKe) 양쪽 모두를 수신하고 위상차 신호를 공급한다. 이러한 차분 신호(differential signal)는 저역 통과 필터 작업 후에 VCO의 임계 전압을 형성한다. 이렇게 신호(CKi)는 신호(CKe)와 동일 위상으로 종속된다. 신호(MSK)가 0이 될 때, 게이트(G1) 및 (G11)의 출력은 0이 된다. 게이트(G10)의 출력은 0으로 강제된다. VCO의 입력에서 특정 수단은 VCO를 신호(MSK)가 0으로 되기 전에 수신한 상기 임계 전압을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수단은 예를 들어 충전 펌프(charge pump)와 같은 능동 저역 통과 필터(FT1)에 배치된 전압원을 포함한다. 이리하여, VCO는 신호(CKi)를 계속 공급하고 신호(CKi)의 위상이 신호(CKe)의 위상에 근접하게 유지한다.
도 7a 내지 7e는 데이터 수신(DTr) 순서(도면의 왼쪽 편)뿐만 아니라 데이터 방출(DTx) 순서(도면의 오른쪽 편)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7a는 안테나 신호(AS)의 형태를 보여준다. 도 7b는 회로(DMCT)에 의해 안테나 신호(AS)로부터 추출된 변조 신호(MS(DTr))를 보여준다. 도 7c는 신호(CKs)의 버스트를 포함하는 능동 부하 변조 신호(Slm)를 보여준다. 도 7d는 변조 신호(MS(DTx))를 보여주고, 도 7e는 신호(CKs)를 보여준다. 신호(AS)는 여기서 수신 모드에서의 자기장(FLD1)의 이미지인 교류 신호가 정류된 전파(full-wave)이다. 하지만 안테나 회로(ACT)의 실시예는 안테나 신호의 정류기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테나 신호는 반-교류(semi-alternating) 신호이다.
데이터(DTr)의 수신 중에, 외부 장치(EDV)(도 1 참조)는 선택된 통신 프로토콜에 의존하는 변조 깊이를 통해 자기장(FLD1)의 진폭을 변조하고, 안테나 신호(AS)는 유사한 진폭 변조를 가진다. 안테나 신호의 진폭이 최대인 비-변조 주기(NM)와 안테나 신호의 진폭이 최소인 변조 주기(AM)가 구분되어 보여질 수 있다. 신호(AS)의 전압 최대값 및 최소값은 실제로 외부 장치(EDV)와 장치(ND1)의 거리에 의존한다.
데이터(DTx)의 방출 중에, 안테나 신호(AS)는 비 변조 주기(NM)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비 변조 주기(NM)는 데이터 수신 동안에 상기 비 변조 주기 동안 관찰된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가진다. 상기 안테나 신호의 진폭은 오직 외부 장치(EDV)에 의해 방출된 자기장(FLD1) 및 상기 두 장치 사이의 거리에만 의존한다. 또한 신호(AS)는 자기장(FLD2)의 버스트 전송 동안에 과전압 주기(ALM)를 가진다. 즉, 신호(CKs)는 안테나 회로에 주입되고 외부 자기장(FLD1)에 의해 유도된 신호에 중첩된다. 이로써 안테나 신호는 유도된 요소 및 주입된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ND1)는 다양한 실시예의 여지가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특히, 변조 회로(MCT)는 추가적으로 상기 설명된 능동 부하 변조 수단 외에, 안테나 회로(ACT)에 연결된 부하 변조 단속기와 같은 종래의 수동형 부하 변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MSK)는 게인 제어 회로(AGC)에 인가되고, 상기 게인 제어 회로는 증폭기(A2)의 출력을 0으로 강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발진기 회로(OSC1)의 동기화 입력으로의 신호(CKe) 인가를 막는 것은 불필요 할 수 있고, 신호(CKe)가 0이 될 때 자동적으로 자유 발진 모드로 바뀐다.
또한 장치(ND1)는 국지적 공급원이 없을 때 장치(ND1)가 순수한 수동형 모드로 기능시키기 위하여 평활 커패시터에 의해 수행되는 정류기 회로와 같이, 안테나 신호로부터 공급 전압(Vcc)을 추출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여지는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ND1)는 예를 들어 수정 발진기 같이 외부 클럭 신호(CKe)에 동기화되지 않은 발진기(OSC2)도 포함할 수 있다. 발진기(OSC2)는 수동형 비접촉 집적 회로와 통신하기 위하여 또는 수동형 모드로 구성된 유사 장치와 통신하기 위하여 장치(DV1)가 NFC 읽기 모드로 기능하게 하는 클럭 신호(CK2)를 공급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동기 발진 회로(OSC1)는 내부 클럭 신호(CKs)를 계속 공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회로(OSC1)의 동기화 입력에 인가된 클럭 신호(CKe) 또는 (CK2)의 선택은, 상기 수동 모드에 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설명된 신호(DET)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과 관련하여, 두 개의 게이트(G3) 및 (G4)가 추가되고 게이트(G1)은 세 개의 입력을 가지도록 수정된다. 게이트(G3)는 세 개의 입력을 가지는 AND게이트로서, 상기 세 개의 입력 중 하나는 인버터이다. 게이트(G4)는 두 개의 입력을 가지는 OR 게이트이다. 게이트(G3)는 두 개의 비- 신호(CK2) 및 신호(MSK)를 수신하고, 그 반전 입력에서 신호(DET)를 수신한다. 게이트(G1)는 그 입력에서 신호(CK2), (DET), 및 (CKe)를 수신한다. 게이트(G1) 및 (G3)의 출력은 게이트(G4)에 인가되고, 게이트(G4)의 출력은 발진기 회로(OSC1)의 동기화 입력에 연결된다. 신호(DET)가 1일 때(외부 자기장(FLD1)가 존재할 때), 게이트(G3)의 입력은 0으로 강제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설명된 방법을 통해 수동형 모드로 기능한다. 신호(DET)가 0일 때, 게이트(G1)의 출력은 0으로 강제되고 신호(MSK)는 회로(MG)에 의해 1로 강제된다. 클럭 신호(CK2)는 자기장(FLD1)의 항구적 방출을 위하여 발진기 회로(OSC1)의 입력에 인가된다. 신호(CKs) 및 (MS(DTx))를 수신하고 신호(Slm)를 공급하는 게이트(G2)의 구조는, 특히 상기 장치가 표준 ISO 14443A 및 1443B에 부합하는 것이라면, 100% 이하의 조절 가능한 변조 깊이를 가지는 신호(KCs)의 변조를 보장하기 위하여 수정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여지는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ND1)는 디페이저(DPH)를 포함한다. 상기 디페이저는 예를 들어 증폭기(A1)의 출력에 배치된다. 디페이저(DPH)는 안테나 신호(AS)에 디페이징(Dp)을 인가하고 디페이징된 안테나 신호(AS')를 클럭 회로(CKCT) 및 비변조 회로(DMCT)에 공급한다. 디페이징(Dp)은 디페이저(DPH)의 고안 시 결정되고 설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디페이징(Dp)는 상기 디페이저에 인가된 명령(PHC)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상기 명령(PHC)는 예를 들어 0과 360˚ 사이의 디페이징(Dp) 값을 조건으로 지정할 수 있다.
디페이저(DPH)는 외부 자기장(FLD1)에 관한 디페이징(Dp)를 가지는 자기장(FLD2)의 버스트를 장치(ND1)가 방출하게 한다. 이는 예를 들어 통신 거리가 특정 한계 값(예를 들어, 보안상 한계 값)을 넘어서는 안 된다 등의 특정 응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계 값보다 낮게 상기 통신 거리를 감소시키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동기 발진기(SO)를 통한 신호(CKs)의 위상 제어가 단지 자기장(FLD2)와 자기장(FLD1) 사이의 영 위상차(zero phase difference)뿐 만 아닌 그 이상을 가능케 한다. 또한 두 개의 자기장 사이의 디페이징(Dp)를 가능한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는 동안에, 동기 발진기(SO)를 통한 신호(CKs)의 위상 제어는 자기장(FLD1)에 관한 자기장(FLD2)의 임의의 비동기화를 제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ND1)는 다양한 적용으로 응용되기 쉽다. 도 10에서 보여지는 응용 예에 있어서, 장치(ND1)는 휴대용 장치(HD1)에 통합되고, 하나 이상의 호스트 프로세서, 여기서는 장치(ND1)를 비접촉 통신 인터페이스(NFC 인터페이스)로서 사용하는 두 개의 호스트 프로세서(HP1, HP2)에 연결된다. 휴대용 장치(HD1)는 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 디지털 음악 재생기, 또는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PDA)일 수 있다. 프로세서(HP1)는 장치의 주요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SIM 카드 프로세서와 같이 보안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HP2)는 예를 들어 GSM 채널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전화기의 기저 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다.
도 11a 및 11b에서 보여지는 도 따른 응용 예에 있어서, 장치(ND1)는 호스트 프로세서(HP1)에 연결되어 있고, 그 전체가 플라스틱 지지대(CD)에 칩 카드(HD2)를 형성하도록 통합되어 있다. 안테나 코일(AC1)은 예를 들어 한 번 이상으로 감겨진 공면(coplanar) 안테나 코일이다. 칩 카드의 뒷면(도 11b)에, 카드(HD2)는 접촉 그룹(CP)을 구비한다. 카드(HD2)는 예를 들어 SIM-NFC 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촉 그룹은 이 경우 표준 ISO 7816에 따른 접촉면(C1 내지 C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드(HD2)는 SD 형식의 카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SD 형식의 카드는 모든 종류의 장치(이동 전화기, 개인용 컴퓨터 등등)에 NFC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삽입될 수 있다.

Claims (16)

  1. 유도 결합에 의해 데이터를 방출하는 방법으로서,
    - 교류 외부 자기장 하에서 유도 안테나 회로(ACT, AC1)를 통해 안테나 신호(AS, AS')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안테나 신호(AS, AS')로부터 제1 주기 신호(CKe)를 추출하는 단계,
    - 상기 제1 주기 신호(CKe)를 수신하는 동기화 입력을 가지는 동기 발진기(SO, OSC1)를 이용하여 제2 주기 신호(CKs)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발진기는 제1 주기 신호(CKe)와 동일 위상으로 설정되는 동기 발진 모드 및 자유 발진 모드를 가지는, 단계, 및
    - 능동 부하 변조 자기장(FLD2)을 생성하기 위하여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CKs)의 버스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 상기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CKs)의 버스트를 각각 인가하기 전에, 상기 발진기를 상기 동기 발진 모드에 두는 단계, 및
    - 상기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Cks)의 버스트를 인가하는 동안에, 상기 발진기를 자유 발진 모드에 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CKs)의 버스트를 인가한 후, 상기 발진기가 상기 동기 발진 모드로 되돌아가기 전에, 안테나 신호의 안정화 시간 동안 상기 발진기를 상기 자유 발진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변조 신호(MS(DTx))를 전달하는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
    - 상기 변조 신호(MS(DTx))가 제1 논리 값을 가질 때, 상기 제2 주기 신호(Cks)를 상기 안테나 회로에 인가하는 단계,
    - 적어도 상기 변조 신호(MS(DTx))가 상기 제1 논리 값을 가질 때, 차폐(masking) 값을 가지는 차폐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 상기 차폐 신호가 상기 차폐 값을 가질 때, 상기 발진기(SO, OSC1)의 동기화 입력으로 상기 제1 주기 신호(CKe)를 인가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신호의 안정화 시간 동안에 상기 발진기가 자유 발진 모드를 유지하도록, 변조 신호(MS(DTx))의 제1 논리 값의 지속 기간보다 더 긴 지속 기간을 상기 차폐 신호의 차폐 값에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신호(AS)에 관하여 상기 제2 주기 신호(CKs)를 디페이징(dephas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유도 결합에 의한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ND1)로서,
    - 안테나 신호(AS, AS')가 교류 외부 자기장이 있을 때 나타나는 유도 안테나 회로(ACT),
    - 상기 안테나 신호(AS, AS')로부터 제1 주기 신호(CKe)를 추출하는 수단(CKCT),
    - 제1 주기 신호(CKe)를 수신하는 동기화 입력를 가지는 동기 발진기(SO, OSC1)로서, 제2 주기 신호(Cks)를 공급하고, 상기 제1 주기 신호와 동일 위상으로 설정되는 동기 발진 모드 및 자유 발진 모드를 가지는 동기 발진기, 및
    - 상기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의 버스트를 인가하고, 능동 부하 변조 자기장(FLD2)을 생성하는 능동 부하 변조 회로(MCT)를 포함하는, 유도 결합에 의한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ND1)에 있어서,
    - 상기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CKs)의 버스트를 각각 인가하기 전에, 상기 발진기를 상기 동기 발진 모드에 두고,
    - 상기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CKs)의 버스트를 인가하는 동안에, 상기 발진기를 상기 자유 발진 모드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회로에 상기 제2 주기 신호(CKs)의 버스트를 인가한 후에, 상기 발진기가 다시 동기 발진 모드로 되돌아 가기 전에, 안테나 신호의 안정화 시간 동안 상기 발진기가 자유 발진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 부하 변조 신호(MS(DTx))를 전달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수신하고,
    - 상기 변조 신호(MS(DTx))가 제1 논리 값을 가질 때, 상기 제2 주기 신호(CKs)를 상기 안테나 회로에 인가하고,
    - 적어도 상기 변조 신호가 상기 제1 논리 값을 가질 때, 차폐 값을 가지는 차폐 신호를 생성하고,
    - 상기 차폐 신호가 상기 차폐 값을 가질 때, 발진기(SO, OSC1)의 동기 입력으로 상기 제1 주기 신호(CKe)를 인가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신호의 안정화 시간 동안에 상기 발진기가 상기 자유 발진 모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변조 신호(MS(DTx))의 상기 제1 논리 값의 지속 기간보다 더 긴 지속 기간을 상기 차폐 신호의 차폐 값에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발진기(SO, OSC1, OSC11)는 발진기의 구성요소(L1, L2, C1)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발진기 자신의 자동-발진 주파수를 가지는 비안정 발진기 형식의 발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발진기(SO, OSC1)는 디지털 형식의 발진기이고, 상기 동기 발진 모드에서 상기 동기화 입력에 인가된 주기 신호(CKe)의 주기를 출력에서 재복사하고, 상기 자유 발진 모드에서 상기 동기 발진 모드 동안에 동기화 입력에 수신된 주파수를 출력에서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발진기(SO, OSC1, OSC12)는 위상 고정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고정 루프는,
    - 위상 신호를 공급하는 위상 비교기(G10),
    - 상기 위상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전압을 공급하는 능동 저역 통과 필터(FT1),
    - 상기 제어 전압을 수신하고 제2 주기 신호(Cki, CKs)를 공급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 및
    - 상기 자유 발진 모드로 바뀌는 동안에 상기 위상 비교기(G10)를 차단하고,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VCO)의 입력에서의 제어 전압의 값을 유지하는 수단(FT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신호(AS)에 관하여 상기 제2 주기 신호(CKs)를 디페이징하는 수단(DP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ND1), 및
    상기 장치로 (DTx)를 방출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호스트 프로세서(HP1, HP2)를 포함하는 장치(HD1, HD2).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휴대용 지지대(CD) 내부 또는 표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HP1, HP2) 및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방출/수신 장치(ND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카드(HD2).
KR1020110095238A 2010-09-21 2011-09-21 유도 결합에 의한 능동 부하 변조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1819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03754A FR2965082B1 (fr) 2010-09-21 2010-09-21 Procede et dispositif de modulation de charge active par couplage inductif
FR1003754 2010-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985A true KR20120030985A (ko) 2012-03-29
KR101819072B1 KR101819072B1 (ko) 2018-01-16

Family

ID=4421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238A Active KR101819072B1 (ko) 2010-09-21 2011-09-21 유도 결합에 의한 능동 부하 변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8838023B2 (ko)
EP (2) EP2431925B1 (ko)
KR (1) KR101819072B1 (ko)
CN (1) CN102411698B (ko)
CA (1) CA2752757C (ko)
ES (2) ES2421618T3 (ko)
FR (1) FR2965082B1 (ko)
WO (1) WO20120386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1678B2 (en) 2005-02-22 2009-09-01 Tyfone, Inc. Electronic transaction card
US8451122B2 (en) 2008-08-08 2013-05-28 Tyfone, Inc. Smartcard performance enhancement circuits and systems
US12147863B2 (en) 2008-08-08 2024-11-19 Icash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via NFC for mobile applications including mobile payments and ticketing
FR2965082B1 (fr) 2010-09-21 2012-09-28 Inside Contactless Procede et dispositif de modulation de charge active par couplage inductif
FR2974209B1 (fr) * 2011-04-14 2013-06-0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detection d'un recepteur sans contact
SI23786A (sl) 2011-06-29 2012-12-31 Ids D.O.O. Postopek in vezje za visokofrekvenčno komuniciranje med izpraševalnikom in pametno nalepko
US9331378B2 (en) * 2012-05-29 2016-05-03 Nxp B.V. Active load modulation antenna
US8934836B2 (en) 2012-06-28 2015-01-13 Broadcom Corporation NFC device with PLL controlled active load modulation
GB2583591B (en) 2012-07-17 2021-06-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 Universal protocol for power tools
US20140087657A1 (en) * 2012-09-27 2014-03-27 Broadcom Corporation Remote Antenna Driver for Reduc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missions and/or Distortion Within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apable Device
US9601930B2 (en) * 2012-09-28 2017-03-21 Broadcom Corporation Power transmitting device having device discovery and power transfer capabilities
SI24283A (sl) * 2013-01-15 2014-07-31 Ams R&D Analogni Polprevodniki, D.O.O. Postopek in vezje aktivne pametne nalepke za komuniciranje z izpraševalnikom
US9513609B2 (en) 2013-02-01 2016-12-06 Nxp B.V.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active modulation
KR102072522B1 (ko) 2013-03-07 202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접촉 통신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한 유저 장치
US9727767B2 (en) 2013-03-12 2017-08-08 Nxp B.V. Clock synchronization in an RFID equipped device
EP2816737B1 (en) * 2013-06-19 2016-06-01 ST-Ericsson SA Secure near field communication
EP2824612B1 (en) 2013-07-08 2018-04-18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RFID transponder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n RFID transponder device
FR3010817B1 (fr) * 2013-09-13 2016-12-23 Inside Secure Procede et dispositif d'emission de donnees par couplage inductif a auto-oscillation controlee
US20150091523A1 (en) * 2013-10-02 2015-04-02 Mediatek Singapore Pte. Ltd. Wireless charger system that has variable power / adaptive load modulation
CN104660536A (zh) * 2013-11-21 2015-05-27 北京同方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源标签直接发送副载波的调制系统
EP2988427B1 (en) * 2014-08-22 2019-04-24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Method for a phase calibration in a frontend circuit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 device, frontend circuit and NFC tag device
US9577718B2 (en) * 2014-11-19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ductively coupled communications
JP6593349B2 (ja) * 2015-02-10 2019-10-2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9673964B2 (en) * 2015-02-18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Active load modulation in near field communication
EP3273609B1 (en) * 2015-03-17 2021-03-0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EP3076552B1 (en) * 2015-03-30 2019-01-30 Nxp B.V. Digital synchronizer
EP3121755B1 (en) * 2015-07-21 2019-03-13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ransponder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by means of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EP3145092B1 (en) * 2015-09-21 2019-06-19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Method and transmitter circuit for communication using active load modulation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TW201717570A (zh) * 2015-11-09 2017-05-16 新力股份有限公司 通信裝置及通信方法
US10019608B2 (en) 2015-12-09 2018-07-10 Nxp B.V. Method and device for phase calibration with active load modulation
EP3232374B1 (en) 2016-04-14 2019-12-04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transponder and method for sending a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message
US10396975B2 (en) * 2016-06-29 2019-08-27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Clock recovery system and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active load modulation
US9755679B1 (en) 2016-07-08 2017-09-05 Nxp B.V. Load dependent receiver configuration
FR3054760A1 (fr) * 2016-07-27 2018-02-02 Stmicroelectronics Sa Procede de communication sans contact entre un objet, par exemple un telephone mobile emule en mode carte, et un lecteur par modulation active de charge
US10756881B2 (en) 2016-08-01 2020-08-25 Nxp B.V.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s device that communicates via inductive coupling
US9935689B2 (en) 2016-08-01 2018-04-03 Nxp B.V. Method and system to measure the phase offset based on the frequency response in a NFC system
US9997829B2 (en) * 2016-08-03 2018-06-12 Nxp B.V. Modulation control through adaptive phase adjustment
US9911075B1 (en) 2016-09-01 2018-03-06 Nxp B.V. RFID transponder and method for supplying energy thereto
SG10201608437WA (en) * 2016-10-07 2018-05-30 Huawei Int Pte Ltd Active load modulation technique in near field communication
US10447350B2 (en) 2017-01-11 2019-10-15 Mediatek Singapore Pte. Ltd. High-speed circuits for active load modulation and related methods
US10491437B2 (en) 2017-01-11 2019-11-26 Mediatek Singapore Pte. Ltd. Circuits for amplitude demodulation and related methods
US10374848B2 (en) 2017-01-11 2019-08-06 Mediatek Singapore Pte. Ltd. Amplitude demodulators and related methods
US9883383B1 (en) 2017-01-27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cure near field communications
EP3399655B1 (en) * 2017-05-02 2020-07-01 STMicroelectronics razvoj polprevodnikov d.o.o. Synchronization method of an active load modulation clock within a transponder, and corresponding transponder
WO2018208990A1 (en) 2017-05-09 2018-11-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s and methods for low-power near-field-communication
TWI681659B (zh) * 2017-05-23 2020-01-01 新加坡商聯發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用於有源負載調製的方法及通信裝置
EP3648648A4 (en) 2017-07-05 2021-03-3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DAPTERS FOR COMMUNICATION BETWEEN POWER TOOLS
EP3429087B1 (en) 2017-07-12 2021-08-25 STMicroelectronics razvoj polprevodnikov d.o.o. Method for synchronizing an active load modulation clock within a transponder, and corresponding transponder
WO2019036519A1 (en) 2017-08-14 2019-02-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AD-INDUCED RESONANCE DISPLACEMENT MODULATION SCHEME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NEAR-FIELD WIRELESS ENERGY AND DATA THROUGH A PAIR OF INDUCTIVE COIL
US10567092B2 (en) * 2017-09-01 2020-02-18 Nxp B.V. System to calibrate phase using system information
US10511347B2 (en) * 2017-11-14 2019-12-17 Nxp B.V. Device detection in contactless communication systems
EP3512107B1 (en) 2018-01-11 2020-07-15 Nxp B.V. Active load modulation transceiver
FR3076972A1 (fr) * 2018-01-15 2019-07-19 Stmicroelectronics (Grenoble 2) Sas Procede de synchronisation de signaux au sein d'un dispositif sans contact communiquant avec un lecteur par une modulation active de charg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FR3077174B1 (fr) * 2018-01-19 2021-04-09 St Microelectronics Sa Synchronisation entre un lecteur et un objet communiquant sans contact avec le lecteur par modulation active de charge
FR3080476A1 (fr) 2018-04-24 2019-10-25 Stmicroelectronics (Rousset) Sas Procede de reglage de la phase du signal emis par un objet capable de communiquer sans contact avec un lecteur par modulation active de charge, et objet correspondant
CA3050762A1 (en) 2018-07-31 2020-01-31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power tool device control
DE102018212957B3 (de) 2018-08-02 2020-01-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Übertragung von daten von einem benutzerendgerät zu einem anderen gerät
US10771116B2 (en) * 2018-09-12 2020-09-08 The University Of Vermont And State Agricultural College Vibrating magnet antenna
DE102018124480B4 (de) * 2018-10-04 2020-12-10 Infineon Technologies Ag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ennenschwingkreises
KR102640294B1 (ko) 2018-11-27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Nfc 회로 및 이의 동작 방법
DE102019201152B3 (de) 2019-01-30 2020-06-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idirektionale Konfiguration von Sensorknoten mit Mobiltelefon ohne Erweiterung
EP3703269B1 (en) 2019-02-26 2022-06-08 Nxp B.V. Phase alignment of a controller clock to a field
EP3751462B1 (en) 2019-06-11 2022-01-05 Nxp B.V. Transponder and corresponding operating method
US12154111B2 (en) 2020-09-09 2024-11-26 Icashe, Inc. Digital document validation
US12273937B2 (en) 2021-02-16 2025-04-0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dust extractor and a power tool
US11848668B2 (en) * 2022-03-11 2023-12-19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 inductor mod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1150A (en) 1970-06-11 1972-10-24 Motorola Inc Rf transmission and detection system
CA1229926A (en) * 1984-07-30 1987-12-01 Larry J. Conway Intelligent broad band digital rf memory
US4916329A (en) * 1987-10-05 1990-04-10 Square D Company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5251235A (en) * 1988-06-14 1993-10-05 Bengt Henoch Single receiver for receiving wireless transmission of signals is for use with a serial two-conductor data bus
US5453667A (en) * 1992-06-30 1995-09-2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Inverter having frequency changing function
US5450088A (en) * 1992-11-25 1995-09-12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Transponder arrangement
US5453748A (en) * 1993-11-15 1995-09-26 Westinghouse Norden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an interrogation signal
JPH09218263A (ja) 1995-10-11 1997-08-19 Texas Instr Inc <Ti> トランスポンダ・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US5929779A (en) 1996-05-31 1999-07-27 Lucent Technologies Inc. Read/write protocol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DK0990355T3 (da) 1997-06-16 2002-07-01 Swisscom Mobile Ag Chipkort og fremgangsmåde ved kommunikation mellem en ekstern indretning og et chipkort
EA006841B1 (ru) * 2000-03-01 2006-04-28 Гейр Монсен Вавик Транспондер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ндеров
FR2815490B1 (fr) 2000-10-16 2006-07-07 Inside Technologies Lecteur de circuit integre sans contact
US6314002B1 (en) 2000-11-20 2001-11-06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Voltage clamping system and method for a DC/DC power converter
US7106246B1 (en) * 2003-02-05 2006-09-12 Kevin W Lindell Oscillator coupled to an antenna and an application
US8373544B2 (en) * 2003-10-29 2013-02-12 Innovision Research & Technology Plc RFID apparatus
DE102005005436A1 (de) * 2004-04-14 2005-11-24 Atmel Germany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Transponder
DE102004031092A1 (de) 2004-06-28 2006-01-12 Giesecke & Devrient Gmbh Transpondereinheit
JP4738771B2 (ja) * 2004-07-29 2011-08-0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7667575B2 (en) * 2004-07-30 2010-02-23 Reva Systems Corporation Location virtualization in an RFID system
US7345539B2 (en) 2005-02-10 2008-03-18 Raytheon Company Broadband microwave amplifier
JP2007041666A (ja) 2005-08-01 2007-02-15 Ricoh Co Ltd Rfid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5061660A1 (de) * 2005-12-22 2007-06-28 Giesecke & Devrient Gmbh Tragbarer Datenträger mit aktiver Kontaktlosschnittstelle
US9022293B2 (en) * 2006-08-31 2015-05-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receiving device
DE102007004814B4 (de) * 2007-01-31 2013-06-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Güteanpassung eines Empfangsschaltkreises
US8193916B2 (en) 2007-05-18 2012-06-05 Cambridge Resonant Technologies Ltd. RFID transmitter
DE102007061361A1 (de) 2007-06-28 2009-01-02 Tamarack Products, Inc., Waucond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FID-Gegenstandes
US9311766B2 (en) 2007-09-12 2016-04-12 Devicefidelity, Inc. Wireless communicating radio frequency signals
US20090284377A1 (en) 2008-05-15 2009-11-19 Keystone Technology Solutions, Llc Flexible RFID Label
US7948421B2 (en) * 2008-06-03 2011-05-24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Frequency counter based analog-to-digital converter
US20100190528A1 (en) 2009-01-23 2010-07-29 Phytrex Technology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Device
JP5323517B2 (ja) * 2009-01-30 2013-10-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携帯通信端末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FR2965082B1 (fr) 2010-09-21 2012-09-28 Inside Contactless Procede et dispositif de modulation de charge active par couplage inductif
DE102011101763A1 (de) 2011-05-17 2012-11-22 Giesecke & Devrient Gmbh Phasenkopplung der Signale eines Datenträgers und eines Lesegerä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08584A1 (en) 2016-10-20
WO2012038664A2 (fr) 2012-03-29
US9331748B2 (en) 2016-05-03
WO2012038664A3 (fr) 2012-07-19
ES2421618T3 (es) 2013-09-04
EP2625653B1 (fr) 2014-11-26
EP2431925A1 (fr) 2012-03-21
US9941934B2 (en) 2018-04-10
US20170180008A1 (en) 2017-06-22
KR101819072B1 (ko) 2018-01-16
US20130288599A1 (en) 2013-10-31
US20180227016A1 (en) 2018-08-09
CN102411698B (zh) 2016-08-03
EP2431925B1 (fr) 2013-04-17
US8838023B2 (en) 2014-09-16
US20120071089A1 (en) 2012-03-22
CA2752757C (fr) 2019-05-07
CA2752757A1 (fr) 2012-03-21
EP2625653A2 (fr) 2013-08-14
FR2965082B1 (fr) 2012-09-28
US10560156B2 (en) 2020-02-11
FR2965082A1 (fr) 2012-03-23
ES2531200T3 (es) 2015-03-11
US10305546B2 (en) 2019-05-28
CN102411698A (zh)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072B1 (ko) 유도 결합에 의한 능동 부하 변조 방법 및 장치
JP5323517B2 (ja) 半導体装置、携帯通信端末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US10264540B2 (en) Active load modulation technique in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7547111B (zh) 时钟恢复系统和方法
ES2362785T3 (es) Unidad de transpondedor.
US101779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by inductive coupling with controlled self-oscillation
US10447350B2 (en) High-speed circuits for active load modulation and related methods
US10841887B2 (en) Synchronization between a reader and an object in contact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ader by active load modulation
KR20210064791A (ko) Nfc 트랜시버를 위한 클럭 복원 회로, nfc 트랜시버, 및 nfc 트랜시버의 제어 방법
US12132816B2 (e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for clock recovery in an RFID tag
US8253469B2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9175976A (ja) 送受信回路、情報処理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135085A1 (en) Transponder unit,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less data transmission
CN108933613B (zh) 用于有源负载调制的方法及通信装置
CN113836953A (zh) 标签及其主动负载调制的方法
JPH05135226A (ja) 非接触型情報媒体
JP3961215B2 (ja) 半導体記憶装置
JPH05143792A (ja) 非接触形情報媒体に対するデータ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9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