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152A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Google Patents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9152A KR20120029152A KR1020100091065A KR20100091065A KR20120029152A KR 20120029152 A KR20120029152 A KR 20120029152A KR 1020100091065 A KR1020100091065 A KR 1020100091065A KR 20100091065 A KR20100091065 A KR 20100091065A KR 20120029152 A KR20120029152 A KR 201200291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ck
- motor
- housing
- electric power
- type electr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62D5/0424—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the axes of motor and final driven element of steering gear, e.g. rack, being parall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랙바와 볼 스크류를 감싸는 랙 하우징;과 모터를 감싸며 일측에 모터축이 관통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끝단에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랙 하우징의 관통공에 고정부가 안착되면서, 상기 랙 하우징에 장착되는 모터 풀리 하우징;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모터축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 풀리를 통하여 랙바로 전달시키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랙 하우징의 관통공 내주면을 따라 모터 풀리 하우징의 경사부가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에 모터 풀리 하우징이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와 고정부의 단차만큼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 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ack housing for forming a through-hole on one side and surrounding the rack bar and the ball screw; A motor pulley housing slidably mounted to the rack housing while being fix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rack housing; And a belt configured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rack bar through a driving pulley mounted at an end of the motor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otor pulley housing slid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rack housing, and the motor pulley housing is coupled to the rack housing, there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belt by the step between the guide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thereby generating noise and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dam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랙 하우징의 관통공 내주면을 따라 모터 풀리 하우징의 경사부가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에 모터 풀리 하우징이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와 고정부의 단차만큼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 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otor pulley housing slid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rack housing, and the motor pulley housing is coupled to the rack housing, there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belt by the step between the guide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thereby generating noise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in advance.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조향 핸들을 돌려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자유로이 바꿀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 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다.The steering device is a device that allows the driver to freely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car by turning the steering wheel. The steering device is a device that assists the driver in advancing the car in a desired direction by arbitrarily chang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car's front wheel.
자동차가 정지한 상태에서 바퀴를 조향시키기 위해서는 바퀴와 노면과의 마찰력보다 큰 힘을 주어 핸들을 돌려야 하며, 특히 자동차의 중량이 큰 경우와 바퀴의 폭이 넓은 경우에 노면과의 마찰력이 증가하면 운전자의 조향력은 더욱 증가한다.To steer the wheels while the vehicle is stationary, the steering wheel must be turned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friction between the wheels and the road surface.In particular, when the weight of the car is large and the wheels are wide, Steering power is further increased.
이러한 조향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의 힘을 덜어주기 위해 동력 보조 조향장치(Power Steering System)가 추가되는데, 자동차의 동력 보조 조향장치로는 유압 펌프의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가 사용되고 있지만, 1990년대 이후 전기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가 점차로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In this steering system, a power steering system is added to relieve the driver's power, and the automobile power assist steering system is a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using hydraulic pressure of a hydraulic pump. Has been used, but since 1990, th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ic motor is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기존의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동력을 보조해 주는 동력원인 유압 펌프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조향휠의 회전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에너지를 소모하는 데 비해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휠이 회전하여 토크가 발생되면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는 모터가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비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Conventional hydraulic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consumes energy at all times regardless of whether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by the hydraulic pump driven by the engine. When generated, a motor driven by electrical energy provides steering assistance power. Therefore, when th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is used,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hydraul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휠(101)부터 양측 바퀴(108)까지 이어지는 조향 계통(100) 및 조향 계통(100)에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 동력 기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a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of a vehicle generally provides steering assistance power to the
조향 계통(100)은 일측이 조향휠(101)에 연결되어 조향휠(101)과 함께 회전하고 타측은 한 쌍의 유니버설 조인트(103)를 매개로 피니언축(104)에 연결되는 조향축(1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피니언축(104)은 랙-피니언 기구부(105)를 통해 랙바(109)에 연결되고, 랙바(109)의 양단은 타이로드(106)와 너클암(107)을 통해 차량의 바퀴(108)에 연결된다. The
랙-피니언 기구부(105)는 피니언축(104)에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부(111)와 랙바(109)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랙 기어부(112)가 서로 맞물려서 형성되므로 운전자가 조향휠(101)을 조작하면 조향 계통(100)에서 토크가 발생하고, 발생한 토크에 의해서 랙-피니언 기구부(105)와 타이로드(106)를 통하여 바퀴(108)를 조향하게 된다.The rack-
보조 동력 기구(120)는 운전자가 조향휠(101)에 가하는 토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토크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토크 센서(121)와 토크 센서(121)로부터 전해지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123), 전자 제어 장치(123)로부터 전해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0) 및 벨트를 매개로 모터(130)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을 랙바(109)에 전달하는 벨트식 전동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따라서,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휠(10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가 랙-피니언 기구부(105)를 거쳐서 랙바(109)에 전달되고, 발생된 토크에 따라 모터(130)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벨트식 전동장치(140)에 의해 볼 스크류부(150)를 거쳐서 랙바(109)에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즉, 조향 계통(100)에서 발생한 토크와 모터(130)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합쳐져서 랙바(109)를 축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n the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torqu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차량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 일측에 랙 기어부를 형성하고 있는 랙바(109), 랙 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부를 형성하고 있는 피니언축(104), 볼(201)을 매개로 볼 스크류(203)와 맞물리는 볼 너트(205)로 구성되는 볼 스크류부(150), 볼 너트(205)와 모터축(221)을 연결하는 벨트식 전동장치(140) 및 모터(130)를 포함하며, 또한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모터를 감싸며 랙 하우징(223)에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As shown in FIG. 2, the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피니언축(104)은 조향축을 통해 조향휠에 연결되고, 외주면 일측에 일정 길이의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랙바(109)는 랙 하우징(223)에 내장된다. The
볼 스크류부(150)는 랙바(109)와 동축 상에 형성되되 랙바(109)를 둘러싸는 볼 너트(205)와 랙바(109)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 스크류(203)에 접하는 볼(2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 너트(205)는 모터축(221)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데, 볼 너트(205)의 매끄러운 회전을 위해 볼 너트(205)의 외주면과 랙 하우징(2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207)이 구비된다. The
벨트식 전동장치(140)는 모터축(221) 및 볼 너트(205)를 서로 연결하는 벨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조향휠에 가해진 조향 토크에 비례하여 모터(130)에서 발생하는 보조 동력을 볼 너트(205)를 통해 랙바(109)에 전달한다. 즉, 모터축(221)이 회전함에 따라 벨트(230)에 의해 모터축(22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볼(201) 및 볼 스크류(203)의 운동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e bel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 하우징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motor pulley housing and a rack hous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모터(130)는 모터(130)를 감싸는 모터 풀리 하우징(240)과 랙 하우징(223)의 볼트(300)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조향시 모터축(221)이 회전하면서 벨트(230)를 구동하여 볼 너트(205)부위를 회전하게 되면 벨트(230)의 장력에 의해 모터축(221)과 볼 너트(205)를 구비한 랙바(109)의 축이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위와 같이 발생한 힘은 기구적으로 가장 취약한 부분인 모터 풀리 하우징(240)과 랙 하우징(225)의 볼트(300) 결합 부위로 집중되는 한편 조향시 모터축(221)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 등에 의한 볼트(300) 풀림 현상으로 모터축(221)이 볼 너트(205)를 구비한 랙바(109)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벨트(230)의 장력이 낮아지고 벨트(230)와 구동 풀리(310), 피동 풀리(320)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하며 벨트(230)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랙 하우징의 관통공 내주면을 따라 모터 풀리 하우징의 경사부가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에 모터 풀리 하우징이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와 고정부의 단차만큼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 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otor pulley housing slid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rack housing so that the motor pulley housing is coupled to the rack housing, thereby providing a guide portion and a high-speed guid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tension of the belt by the government step, thereby preventing noise and damage to the bel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랙바와 볼 스크류를 감싸는 랙 하우징;과 모터를 감싸며 일측에 모터축이 관통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끝단에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랙 하우징의 관통공에 고정부가 안착되면서, 상기 랙 하우징에 장착되는 모터 풀리 하우징;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모터축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 풀리를 통하여 랙바로 전달시키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ack housing formed with a through-hole on one side and surrounding the rack bar and the ball screw; A motor pulley housing mounted on the rack housing while being secur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rack housing by sliding along the inclined portion; And a belt configured to transf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rack bar through a driving pulley mounted at an end of the motor shaf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랙 하우징의 관통공 내주면을 따라 모터 풀리 하우징의 경사부가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에 모터 풀리 하우징이 결합됨으로써, 가이드부와 고정부의 단차만큼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 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otor pulley housing slid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rack housing, and the motor pulley housing is coupled to the rack housing, there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belt by the step between the guide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noise generation and damage to the bel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 하우징의 결합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랙 하우징의 결합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side view of a motor pulley housing and a rack hous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equence of the motor pulley housing and the rack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equence of a motor and a rack hous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nfigur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휠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가 랙-피니언 기구부를 거쳐서 랙바에 전달되고, 발생된 토크에 따라 모터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벨트식 전동장치에 의해 볼 스크류부를 거쳐서 랙바에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즉, 조향 계통에서 발생한 토크와 모터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합쳐져서 랙바를 축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torqu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is transmitted to the rack bar through the rack-pinion mechanism part, and auxiliary power generated from the motor is passed through the ball screw part by the belt-type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ted torque. It is formed to be delivered to the bar. That is, the torque generated from the steering system and the auxiliary power generated from the motor are combined to move the rack bar in the axial direc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30)는 외부로 연장된 모터축(221)을 갖는다. 또한, 모터축(221)의 단부에는 구동 풀리(3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 풀리(310)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벨트(230)는 구동 풀리(310)와 피동 풀리(320)에 감긴 상태인데 모터(130)가 회전하면 모터축(221), 구동 풀리(310), 벨트(230) 및 피동 풀리(320)를 통하여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랙 하우징(225)은 랙바(109)를 감싸고, 랙바(109)를 둘러싸는 볼 너트(205)가 안착되되 볼 너트(205)의 매끄러운 회전을 위해 볼 너트(205)의 외주면과 랙 하우징(2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207)이 구비된다.The
상기 랙 하우징(225)의 일측에는 랙바(109)의 축방향으로 관통공(4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30)에 모터(130)를 감싸는 모터 풀리 하우징(240)이 삽입되어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One side of the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모터(130)를 감싸며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고정부(420)와 고정부(420)보다 중심의 원통외경이 작으며,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400)로 연결된 가이드부(410)로 이루어져있다.The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일측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정부(420)는 랙 하우징(225)의 관통공(430)에 삽입되기 위한 외경을 가지며, 관통되는 모터축(221)의 단부에는 구동 풀리(310)가 장착되어 있고,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 풀리(310)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상기 구동 풀리(310)의 길이(L1)는 벨트(230)의 폭(L2) 보다 1.5배 이상 길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 풀리(310)의 길이(L1)는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가이드부(410)가 랙 하우징(250)의 관통공(430)에 삽입될 때 상기 벨트(230)의 일부가 구동 풀리(310)에 감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length L1 of the driv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풀리 하우징과 랙 하우징의 결합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equence of the motor pulley housing and the rack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조향휠에 가해진 조향 토크에 비례하여 모터(130)에서 발생하는 보조 동력을 랙바(109)에 전달한다. 즉, 모터축(221)이 회전함에 따라 벨트(230)에 의해 모터축(22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auxiliary power generated by the
그러나 벨트(230)의 장력이 약할 경우 모터(130)의 회전 운동이 랙바(109)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However, when the tension of the
따라서, 벨트(230)의 장력을 높이기 위해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가이드부(410)를 랙 하우징(225)의 관통공(430)에 삽입 후 벨트(230)의 일부를 구동 풀리(310)에 감는다.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tension of the
상기 모터(130)를 감싸는 모터 풀리 하우징(240)을 조립용 치구(500)를 이용하여 관통공(430)에 삽입하면,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경사부(400)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225)에 안착되며,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경사부(400)가 랙 하우징(225)에 슬라이딩 될 때 모터축(221)과 랙바(109)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 즉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경사부(400)가 랙 하우징(225)에 슬라이딩 되기 전 모터축(221)과 랙바(109)와의 거리 "A"가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경사부(400)가 랙 하우징(225)에 슬라이딩되어 안착되었을때 모터축(221)과 랙바(109)와의 거리 "B"인 상태로 멀어진다.When the
따라서,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고정부(420)와 경사부(400)로 연결된 가이드부(410)의 단차 만큼 구동 풀리(310)와 피동 풀리(3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 상태로 유지된다.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모터(130)를 감싸며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고정부(420)와 고정부(420)의 끝단에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 콘 형상의 테이퍼진 경사부(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모터(130)를 감싸는 모터 풀리 하우징(240)을 조립용 치구(500)를 이용하여 관통공(430)에 삽입하면,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경사부(400)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225)에 안착되며,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경사부(400)가 랙 하우징(225)에 슬라이딩 될 때 모터축(221)과 랙바(109)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Whe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은 모터(130)를 감싸며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고정부(420)와 고정부(420)의 끝단에서부터 단면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인 경사부(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모터(130)를 감싸는 모터 풀리 하우징(240)을 조립용 치구(500)를 이용하여 관통공(430)에 삽입하면,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경사부(400)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225)에 안착되며,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경사부(400)가 랙 하우징(225)에 슬라이딩 될 때 모터축(221)과 랙바(109)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When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살펴보면, 모터(130)와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형태가 일체로 위의 실시예와 상이하게 형성된다.Looking at the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ure 8, the shape of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30)는 외부로 연장된 모터축(221)을 갖는다. 또한, 모터축(221)의 단부에는 구동 풀리(3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 풀리(310)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벨트(230)는 구동 풀리(310)와 피동 풀리(320)에 감긴 상태인데 모터(130)가 회전하면 모터축(221), 구동 풀리(310), 벨트(230) 및 피동 풀리(320)를 통하여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랙 하우징(225)은 랙바(109)를 감싸고, 랙바(109)를 둘러싸는 볼 너트(205)가 안착되되 볼 너트(205)의 매끄러운 회전을 위해 볼 너트(205)의 외주면과 랙 하우징(223)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207)이 구비된다.The
상기 랙 하우징(225)의 일측에는 랙바(109)의 축방향으로 관통공(4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30)에 모터(130)가 삽입되어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One side of the
상기 모터(130)는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고정부(420)와 고정부(420)보다 중심의 원통외경이 작으며, 테이퍼 형상의 경사부(400)로 연결된 가이드부(410)로 이루어져있다.The
상기 모터(130)의 일측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정부(420)는 랙 하우징(225)의 관통공(430)에 삽입되기 위한 외경을 가지며, 관통되는 모터축(221)의 단부에는 구동 풀리(310)가 장착되어 있고, 모터축(221)이 회전하면 구동 풀리(310)가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상기 구동 풀리(310)의 길이(L1)는 벨트(230)의 폭(L2) 보다 1.5배 이상 길게 형성되며, 상기 구동 풀리(310)의 길이(L1)는 모터 풀리 하우징(240)의 가이드부(410)가 랙 하우징(250)의 관통공(430)에 삽입될 때 상기 벨트(230)의 일부가 구동 풀리(310)에 감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length L1 of the driving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랙 하우징의 결합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equence of a motor and a rack hous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향휠에 가해진 조향 토크에 비례하여 모터(130)에서 발생하는 보조 동력을 랙바(109)에 전달한다. 즉, 모터축(221)이 회전함에 따라 벨트(230)에 의해 모터축(22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볼 너트(205)도 회전하고, 볼 너트(205)가 회전함에 따라 랙바(109)가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auxiliary power generated by the
그러나 벨트(230)의 장력이 약할 경우 모터(130)의 회전 운동이 랙바(109)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However, when the tension of the
따라서, 벨트(230)의 장력을 높이기 위해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30)의 가이드부(410)를 랙 하우징(225)의 관통공(430)에 삽입 후 벨트(230)의 일부를 구동 풀리(310)에 감는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tension of the
상기 모터(130)를 조립용 치구(500)를 이용하여 관통공(430)에 삽입하면, 상기 모터(130)의 경사부(400)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225)에 안착되며, 상기 모터(130)의 경사부(400)가 랙 하우징(225)에 슬라이딩 될 때 모터축(221)과 랙바(109)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 즉 모터(130)의 경사부(400)가 랙 하우징(225)에 슬라이딩 되기 전 모터축(221)과 랙바(109)와의 거리 "A"가 모터(130)의 경사부(400)가 랙 하우징(225)에 슬라이딩되어 안착되었을때 모터축(221)과 랙바(109)와의 거리 "B"인 상태로 멀어진다.When the
따라서, 모터(130)의 고정부(420)와 경사부(400)로 연결된 가이드부(410)의 단차 만큼 구동 풀리(310)와 피동 풀리(3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 상태로 유지된다.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모터(130)는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고정부(420)와 고정부(420)의 끝단에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 콘 형상의 테이퍼진 경사부(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모터(130)를 조립용 치구(500)를 이용하여 관통공(430)에 삽입하면, 상기 모터(130)의 경사부(400)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225)에 안착되며, 상기 모터(130)의 경사부(400)가 랙 하우징(225)에 슬라이딩 될 때 모터축(221)과 랙바(109)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When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모터(130)는 일측에 원통형상으로 모터축(221)이 관통되는 고정부(420)와 고정부(420)의 끝단에서부터 단면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인 경사부(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모터(130)를 조립용 치구(500)를 이용하여 관통공(430)에 삽입하면, 상기 모터(130)의 경사부(400)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225)에 안착되며, 상기 모터(130)의 경사부(400)가 랙 하우징(225)에 슬라이딩 될 때 모터축(221)과 랙바(109)와의 사이가 멀어져 벨트(230)의 장력이 증가된다.Wh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랙 하우징의 관통공 내주면을 따라 모터 풀리 하우징의 경사부가 슬라이딩 되어 랙 하우징에 모터 풀리 하우징이 결합됨으로써, 걸림부와 안착부의 단차만큼 벨트의 장력이 높아지고 그로인해 소음 발생 및 벨트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otor pulley housing slid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rack housing, and the motor pulley housing is coupled to the rack housing, thereby increasing the tension of the belt by the step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noise and damage to the bel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조향 계통 101 : 조향휠
102 : 조향축 103 : 유니버설 조인트
104 : 피니언축 105 : 랙-피니언 기구부
106 : 타이로드 107 : 너클암
108 : 바퀴 109 : 랙바
111 : 피니언 기어부 112 : 랙 기어부
120 : 보조 동력 기구 130 : 모터
140 : 벨트식 전동장치 150 : 볼 스크류부
201 : 볼 203 : 볼 스크류
205 : 볼 너트 207 : 베어링
223 : 랙 하우징 230 : 벨트
240 : 모터 풀리 하우징 300 : 볼트
310 : 구동 풀리 320 : 피동 풀리
400 : 경사부 410 : 가이드부
420 : 고정부 430 : 관통공
500 : 조립용 치구100: steering system 101: steering wheel
102: steering shaft 103: universal joint
104: pinion shaft 105: rack-pinion mechanism
106: tie rod 107: knuckle arm
108: wheel 109: rack bar
111: pinion gear portion 112: rack gear portion
120: auxiliary power mechanism 130: motor
140: belt type transmission device 150: ball screw portion
201: ball 203: ball screw
205: ball nut 207: bearing
223
240: motor pulley housing 300: bolt
310: driven pulley 320: driven pulley
400: inclined portion 410: guide portion
420: fixed part 430: through hole
500: assembly jig
Claims (11)
모터를 감싸며 일측에 모터축이 관통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끝단에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랙 하우징의 관통공에 고정부가 안착되면서, 상기 랙 하우징에 장착되는 모터 풀리 하우징;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모터축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 풀리를 통하여 랙바로 전달시키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A through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rack housing surrounding the rack bar and the ball screw;
The motor wraps around the motor and consists of a fixed portion through which the motor shaft penetrates and an inclined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from the end of the fixed portion. The fixed portion is moun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rack housing by sliding along the inclined portion. A motor pulley housing; And
A bel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rack bar through a driving pulley mounted at an end of the motor shaft;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a.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의 경사부는 고정부의 끝단에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 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otor pulley housing is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ical cone shape of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from the end of the fixing portion.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의 경사부는 고정부의 끝단에서부터 단면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otor pulley housing is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gentle in shape from the end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상기 경사부의 끝단부에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portion having a constant diameter at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구동 풀리는 상기 모터 풀리 하우징과 상기 랙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관통공의 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벨트가 장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rive pulley is a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upling of the motor pulley housing and the rack housing is formed to a length that the belt can be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guide portion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through hole.
상기 구동 풀리는 상기 벨트의 폭보다 1.5배이상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e pulley is a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more than 1.5 time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belt.
모터축이 관통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끝단에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랙 하우징의 관통공에 고정부가 안착되면서, 상기 랙 하우징에 장착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모터축의 단부에 장착된 구동 풀리를 통하여 랙바로 전달시키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A through hol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rack housing surrounding the rack bar and the ball screw;
A motor mounted to the rack housing while the fixed shaft through which the motor shaft penetrates and an inclined portion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from the end of the fixed portion, are slid along the inclined portion and seated at the through hole of the rack housing; And
A bel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rack bar through a driving pulley mounted at an end of the motor shaft;
Rack-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a.
모터의 경사부는 고정부의 끝단에서부터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 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otor is a cone cone shape of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from the end of the fixed portion.
모터의 경사부는 고정부의 끝단에서부터 단면이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otor is a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gentle in shape from the end of the fixed portion and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상기 경사부의 끝단부에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portion having a constant diameter at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구동 풀리는 상기 모터와 상기 랙 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관통공의 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벨트가 장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10,
The drive pulley is a rack type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hen the coupling of the motor and the rack housing the length of the belt can be mounted in the state where the guide portion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through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1065A KR101218866B1 (en) | 2010-09-16 | 2010-09-16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1065A KR101218866B1 (en) | 2010-09-16 | 2010-09-16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9152A true KR20120029152A (en) | 2012-03-26 |
KR101218866B1 KR101218866B1 (en) | 2013-01-07 |
Family
ID=4613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10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18866B1 (en) | 2010-09-16 | 2010-09-16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886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4015A (en) * | 2015-01-30 | 2016-08-09 | 주식회사 만도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KR20160094038A (en) * | 2015-01-30 | 2016-08-09 | 주식회사 만도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KR101650327B1 (en) * | 2015-04-14 | 2016-08-23 | 주식회사 만도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of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1628B1 (en) * | 2006-03-08 | 2011-07-26 | 주식회사 만도 | Electric steering with acyclic ball nut |
-
2010
- 2010-09-16 KR KR1020100091065A patent/KR10121886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4015A (en) * | 2015-01-30 | 2016-08-09 | 주식회사 만도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KR20160094038A (en) * | 2015-01-30 | 2016-08-09 | 주식회사 만도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KR101650327B1 (en) * | 2015-04-14 | 2016-08-23 | 주식회사 만도 |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of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18866B1 (en) | 2013-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36099B2 (en) | Rack-driven steering apparatus and rack-driven auxiliary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10017204B2 (en)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0651141B1 (en) | Electric power assist steering in cars | |
EP1886899A1 (en)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a transmission belt | |
KR20130019217A (en)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US9932065B2 (en) | Steering device | |
US20070095603A1 (en) | Belt-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20120034906A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0646406B1 (en) | Electric power assist steering in motor vehicle with belt transmission | |
KR102408739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1218866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
KR20190104672A (en) | Steer-By-Wire Type Steering Apparatus | |
KR20080022425A (en) | Electric steering with reduced rattle noise | |
KR101260553B1 (en)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of Ball Screw Type | |
KR101393166B1 (en) | Rack Assist Type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20160111065A (en)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US9409593B2 (en) | Rack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1421339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20140000384A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20120027624A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101268244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20110075081A (en) | Intermediate shaft of automobile steering system and automobile steering device using same | |
KR20070092019A (en) | Electric steering with acyclic ball nut | |
KR101261699B1 (en) | Universal Joint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
KR20120139968A (en) | Torque sensor system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