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26836A -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836A
KR20120026836A KR1020100088988A KR20100088988A KR20120026836A KR 20120026836 A KR20120026836 A KR 20120026836A KR 1020100088988 A KR1020100088988 A KR 1020100088988A KR 20100088988 A KR20100088988 A KR 20100088988A KR 20120026836 A KR20120026836 A KR 2012002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bject
data
display
displayed
proces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299B1 (ko
Inventor
박선민
심효선
김대현
정지운
장원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299B1/ko
Priority to PCT/KR2011/006488 priority patent/WO2012033306A2/en
Priority to CN201180043671.0A priority patent/CN103098003B/zh
Priority to EP11180005.8A priority patent/EP2428884B1/en
Priority to US13/229,168 priority patent/US20120066622A1/en
Publication of KR2012002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29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데이터 객체를 그룹핑하는 단계;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중에서 대표 데이터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줌 아웃 시, 대표 데이터 객체를 제외한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를 줌 아웃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objec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지 영상(still image) 또는 동영상(moving picture) 등의 이미지 기반 데이터 객체(data object)와 텍스트(text) 기반 데이터 객체 등의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장치에 저장된 순서에 따른다.
그러나 메모리 기술의 발달로 장치의 저장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 가능한 데이터 객체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좀 더 용이하게 데이터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데이터 객체 식별이 용이한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은, 데이터 객체를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중에서 대표 데이터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줌 아웃 시, 상기 대표 데이터 객체를 제외한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를 줌 아웃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객체를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객체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객체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의 소팅 기준 정보 변경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소팅 기준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객체 표시 방법은, 선택된 소팅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객체 표시 방법은, 서치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객체 표시 방법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대각선 방향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이동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객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객체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 객체와 텍스트 기반 데이터 객체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명령과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복수의 데이터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 객체를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데이터 객제중에서 대표 데이터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줌 아웃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대표 데이터 객체를 제외한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를 줌 아웃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객체의 메타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 제어 방법은,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 제어 방법과 같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에 대한 그룹핑 화면 예이다.
도 3b 내지 도 3d는 도 3a의 화면에 대한 줌 아웃시 화면 예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의 배열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와 같이 배열된 데이터 객체에 대한 줌 아웃 시 화면 예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소팅 기준 변경 명령에 따라 소팅 기준을 변경하는 화면 예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서치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되는 데이터 객체의 화면 예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선택된 소팅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객체를 필터링한 화면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카메라, 전자 액자(Digital photo frame),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Network)와 연결이 가능한 컴퓨터,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IPTV(Internet Protocol TV)와 같은 유저 디바이스(user device)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디바이스로 언급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Phone), i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 및 게임기와 같은 휴대용 기기일 수 있다. IPTV는 모바일 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IPTV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저 인터페이스 유니트(110), 데이터 객체 수신부(120), 데이터 객체 획득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40), 저장부(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한다.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거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객체 수신부(120), 데이터 객체 획득부(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4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30)는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유니트(110)는 입력부(111)와 디스플레이부(112)를 포함한다. 유저는 입력부(111)를 이용하여 정보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11)로부터 프로세서(160)로 전송되는 신호는 입력 정보 또는 입력 명령 또는 입력 신호 또는 입력 데이터로 언급될 수 있다. 입력부(111)는 터치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 위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입력부(111)는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1)는 디스플레이부(112)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데이터 객체는 정지 영상(still image) 또는 동영상(moving picture) 등의 이미지 기반 데이터 객체와 텍스트(text) 기반 데이터 객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데이터 객체는 파일로 언급될 수 있다. 즉, 데이터 객체는 이미지 파일이나 텍스트 파일로 언급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은 이미지 기반 파일로 언급될 수 있고, 텍스트 파일은 텍스트 기반 파일로 언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는 2차원 격자 구조에 기초하여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과 같은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는 출력부로 언급될 수 있다.
데이터 객체 수신부(12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와 같은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미 도시됨)로부터 데이터 객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외부 장치는 데이터 객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 USB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매체, PC,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데이터 객체 획득부(130)는 카메라 모듈과 같은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데이터 객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객체 획득부(130)는 촬영부로 언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객체와 데이터 객체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전에 저장될 수 있으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다운받아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 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어기나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데이터 객체 수신부(120), 데이터 객체 획득부(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40)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객체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유저 인터페이스유니트(110)의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를 그룹핑한다(S201). 데이터 객체에 대한 그룹핑은 데이터 객체의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 객체가 생성된 날짜, 시간, 장소, 및 관계자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날짜, 시간, 장소, 및 관계자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세서(160)는 데이터 객체를 그룹핑할 수 있다. 그룹핑시 이용되는 메타 데이터는 입력부(111)를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객체를 기반으로 그룹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를 저장된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한다. 입력부(111)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부(112)상의 드래그(drag) 동작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객체들에 대해 영역(또는 블록)이 설정되면, 프로세서(160)는 설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 객체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데이터 객체에 대한 그룹핑을 설명하는 화면의 예이다. 입력부(111)를 통해 터치 기반 또는 시프트(shift) 키와 같은 특수 기능키 기반으로 데이터 객체가 선택될 경우에, 프로세서(160)는 선택된 데이터 객체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터치 기반 또는 특수 기능키 기반의 상기 데이터 객체 선택은 랜덤하게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중에서 대표 데이터 객체(representative data object)를 선택한다(S202). 입력부(111)를 통해 대표 데이터 객체를 선택하는 정보 또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60)는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내에서 첫 번째 데이터 객체를 대표 데이터 객체로써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부(111)를 통해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들중에서 대표 데이터 객체를 선택하는 정보 또는 신호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60)는 선택된 데이터 객체를 대표 데이터 객체로써 선택한다. 만약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된 정보 또는 신호에 의해 선택된 대표 데이터 객체가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들중에서 첫 번째 데이터 객체가 아닌 경우에, 프로세서(160)는 대표 데이터 객체로써 선택된 데이터 객체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중에서 첫 번째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각 그룹의 대표 데이터 객체가 선택된 후, 입력부(111)로부터 줌 아웃(zoom out)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 3a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한다(S203, S204). 도 3b는 각 그룹에 대표 데이터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객체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가로 세로 각각 1/2로 줄여서 디스플레이 한 화면 예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10-1, 10-14, 10-21로 표시된 데이터 객체가 각 그룹의 대표 데이터 객체임을 알 수 있다. 도 3b는 일부 데이터 객체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생략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할 데이터 객체가 도 3a에 도시된 것보다 더 존재하는 경우에, 줌 아웃 명령에 의해 도 3b에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객체는 도 3a에 디스플레이 된 데이터 객체보다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줌 아웃 명령으로 한 화면에 더 많은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고, 대표 데이터 객체를 기반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데이터 객체를 빠르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2)에 데이터 객체가 디스플레이될 때. 입력부(111)로부터 다시 줌 아웃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 3b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한다. 도 3c는 대표 데이터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객체의 사이즈를 원 사이즈에서 가로 세로 각각 1/3로 줄인 화면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2)에 데이터 객체가 디스플레이 될 때, 입력부(111)로부터 다시 줌 아웃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 3c에서 도 3d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d는 대표 데이터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은 화면 예이다. 이는 도 3c에 도시된 나머지 데이터 객체의 사이즈보다 더 작은 사이즈로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할 경우에, 데이터 객체의 내용을 식별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줌 아웃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줄어드는 데이터 객체의 사이즈는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데이터 객체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도별로 배열(arrangement) 또는 소팅(sorting)되어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될 경우에,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는 도 4b의 (410)과 같이 2차원 격자 구조로 배열 또는 소팅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데이터 객체의 배열 예이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가 도 4b의 (410)과 같은 구조로 저장된 경우에, 입력부(111)를 통해 상하 방향(422), 좌우 방향(421), 및 대각선 방향(423)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이동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60)는 수신된 이동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객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411)에서 (412)로 변경될 수 있다. (411) 화면은 도 4a에 도시된 데이터 객체와 동일한 데이터 객체를 포함한 화면이다. 이동 방향에 따라 중간에 존재하는 데이터 객체들이 디스플레이부(112)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이동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객체를 변경하면서, 프로세서(160)는 단계 S201에서의 데이터 객체 그룹핑 및 단계 S202에서의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중에서 대표 데이터 객체를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 데이터 객체에 대해 대표 데이터 객체가 선택된 후, 줌 아웃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도 5a에 도시된 화면을 도 5b에 도시된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a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데이터 객체가 배열된 화면 예이다. 도 5b는 도 3b와 같이 대표 데이터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객체의 사이즈를 가로 세로 각각 1/2로 줄인 화면 예이다.
도 5b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111)로부터 다시 줌 아웃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60)는 도 5b의 화면을 도 5c에 도시된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c는 도 3c와 같이 대표 데이터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객체의 사이즈를 가로 세로 각각 1/3로 줄인 화면의 예이다. 도 5c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111)로부터 다시 줌 아웃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60)는 도 5c의 화면을 도 5d에 도시된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d는 도 3d와 같이 대표 데이터 객체만 디스플레이 된 화면의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 또는 소팅된 데이터 객체에 대한 줌 아웃시 화면 예들이다.
한편, 도 2에서 입력부(111)로부터 줌 아웃 명령이 아닌 다른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60)는 수신된 명령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S205, S206).
예를 들어, 수신된 명령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메뉴(601) 기반의 소팅 기준 터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소팅 기준 정보 변경 명령인 경우에, 프로세서(16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2)로 "어떤 기준으로 데이터 객체를 소팅할까요"와 선택 가능한 소팅 기준인 나이(age), 연도(year) 정보를 포함하는 질의어 또는 메시지 창(602)을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질의어 또는 메시지 창(602)은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객체에 중첩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소팅 기준 정보 변경 명령은 별도의 메뉴를 기반으로 입력되거나 전용키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질의어 또는 메시지 창(602)의 내용은 상술한 바로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되는 질의어 또는 메시지 창(602)의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부(111)를 통해 나이 정보를 선택한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 6b에서 도 6c로 변경하면서, 사용자의 태어난 년도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창(603)을 디스플레이 한다. 입력 창(603)에 사용자가 태어난 년도를 입력하면, 프로세서(160)는 입력된 년도를 기반으로 나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에 기초하여 소팅 기준 정보를 년도에서 나이로 변경한 화면을 도 6d와 같이 디스플레이 한다. 데이터 객체가 사진인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의 나이를 기준으로 소팅된 사진을 볼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데이터 객체들은 사용자의 라이프 스토리 앨범(life story album) 또는 전자 앨범(electron album)으로 언급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소팅 기준 변경 명령에 따라 소팅 기준을 변경하는 화면 예이다.
예를 들어, 수신된 명령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 메뉴(701) 기반의 서치 명령이면, 프로세서(16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치하고자 하는 데이터 객체들의 년, 월, 일을 선택하라는 질의어 또는 메시지 창(702)을 디스플레이부(112)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되는 질의어 또는 메시지 창(702)은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객체와 중첩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출력된 질의어 또는 메시지 창(702)에 기초하여 12월 25일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중에서 12월 25일에 관련된 데이터 객체만을 서치한다. 서치는 데이터 객체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서치 결과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도 7b에서 도 7c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도 7c는 매년 12월 25일에 수집된 데이터 객체만을 디스플레이한 화면 예이다. 그러나 도 7c는 년도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매년 12월 25일에 수집된 데이터 객체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으로 재정의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입력된 서치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되는 데이터 객체의 디스플레이 화면 예이다. 상기 서치 정보는 조건 정보로 언급될 수 있다.
수신된 명령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년도로 소팅된 데이터 객체 화면에서 특정한 년도(예를 들어 2008년) 터치 또는 클릭에 의한 소팅 정보 선택을 나타내는 것이면, 프로세서(160)는 선택된 소팅 정보(특정한 년도)를 필터링 조건으로 이용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를 필터링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도 8a에서 도 8b로 변경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에서 소팅 정보 클릭 또는 터치 기반으로 데이터 객체를 필터링한 화면 예이다. 따라서 도 8b는 선택된 특정한 년도의 데이터 객체만 디스플레이한 화면 예이다. 소팅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년도, 월, 일 등의 데이터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팅 정보는 관계자 또는 장소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데이터 객체를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중에서 대표 데이터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줌 아웃 시, 상기 대표 데이터 객체를 제외한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를 줌 아웃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객체를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객체의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객체 표시 방법은,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의 소팅 기준 정보 변경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소팅 기준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객체 표시 방법은,
    선택된 소팅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객체 표시 방법은,
    서치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된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객체 표시 방법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대각선 방향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이동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객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객체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 객체와 텍스트 기반 데이터 객체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의한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
  9.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명령과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복수의 데이터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데이터 객체를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핑된 데이터 객제중에서 대표 데이터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줌 아웃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대표 데이터 객체를 제외한 그룹핑된 데이터 객체를 줌 아웃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객체의 메타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그룹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소팅 기준 정보 변경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되는 소팅 기준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이용하여 선택된 소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데이터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서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 객체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데이터 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하, 좌우, 대각선 방향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이동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되는 이동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객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객체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 객체와 텍스트 기반 데이터 객체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088988A 2010-09-10 2010-09-10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1747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88A KR101747299B1 (ko) 2010-09-10 2010-09-10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PCT/KR2011/006488 WO2012033306A2 (en) 2010-09-10 2011-09-01 Method, softwar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objects
CN201180043671.0A CN103098003B (zh) 2010-09-10 2011-09-01 用于显示数据对象的方法、软件和设备
EP11180005.8A EP2428884B1 (en) 2010-09-10 2011-09-05 Method, softwar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objects
US13/229,168 US20120066622A1 (en) 2010-09-10 2011-09-09 Method, apparatus, and software for displaying data obj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88A KR101747299B1 (ko) 2010-09-10 2010-09-10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36A true KR20120026836A (ko) 2012-03-20
KR101747299B1 KR101747299B1 (ko) 2017-06-15

Family

ID=4453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9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47299B1 (ko) 2010-09-10 2010-09-10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66622A1 (ko)
EP (1) EP2428884B1 (ko)
KR (1) KR101747299B1 (ko)
CN (1) CN103098003B (ko)
WO (1) WO20120333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3297A1 (de) * 2012-02-18 2013-08-22 Abb Technology Ag Verfahren zur Anpassung der graphischen Darstellung auf der Bedienoberfläche einer Computeranwenderstation
KR101822463B1 (ko) 2013-01-21 2018-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아이콘들을 화면상에 배치하는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JP5897778B1 (ja) * 2013-03-28 2016-03-30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見かけのサイズをもつオーディオ・オブジェクトの任意のラウドスピーカー・レイアウトへのレンダリング
DE112016001451T5 (de) * 2015-03-27 2017-12-21 Google Inc. Techniken für das Anzeigen von Layouts und Übergangslayouts von Sätzen von Inhaltselementen in Reaktion auf Touch-Eingaben von Benutzern
CN109254810B (zh) * 2018-08-03 2022-09-02 五八有限公司 列表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61678B1 (en) * 2021-10-28 2023-01-24 Micro Focus Llc Automatic zoom on device screen to improve artificial intelligence identification rat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9626B2 (en) * 2000-04-14 2006-03-07 Picsel Technologi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graphical data and digital document processing
JP4730571B2 (ja) * 2000-05-01 2011-07-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6918132B2 (en) * 2001-06-14 2005-07-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namic interface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duced-scale broadcasts
KR20040029452A (ko) * 2001-08-27 2004-04-06 그레이스노트 아이엔씨 플레이리스트 생성, 전송 및 검색
US7970240B1 (en) * 2001-12-17 2011-06-28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rchiving and visualizing digital images
US7062723B2 (en) * 2002-05-20 2006-06-13 Gateway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agnifying portions of a display
US8046705B2 (en) * 2003-05-08 2011-10-25 Hillcrest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solution consistent semantic zooming
US7818689B2 (en) * 2003-09-29 2010-10-19 Olympus Corporation Information managing method,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AU2004240229B2 (en) * 2004-12-20 2011-04-07 Canon Kabushiki Kaisha A radial, three-dimensional, hierarchical file system view
JP4894252B2 (ja) * 2005-12-09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AU2006202063B2 (en) * 2006-05-16 2009-03-12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navigating large image sets using sort orders
US20080040665A1 (en) * 2006-07-06 2008-02-14 Carsten Waldeck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locating and browsing data files
JP4446983B2 (ja) * 2006-07-07 2010-04-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0800889B1 (ko) * 2006-08-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항목이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WO2008139571A1 (ja) * 2007-05-08 2008-11-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メニュー画面表示プログラム及びメニュー画面表示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1428715B1 (ko) * 2007-07-24 2014-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물 별로 디지털 컨텐츠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시스템 및방법
JP4938733B2 (ja) * 2008-06-30 2012-05-2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装置
WO2010016015A1 (en) * 2008-08-06 2010-02-11 Nxp B.V. Simd parallel processor architecture
EP2352118B1 (en) * 2008-11-25 2017-08-1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Image display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nd information storing medium
CA2744463C (en) * 2008-12-02 2019-05-28 Erik Bator Visualizing relationships between data elements
KR101124236B1 (ko) 2009-02-02 2012-03-27 주식회사 씨아이케미칼 초기 접착력이 향상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실란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66622A1 (en) 2012-03-15
EP2428884A3 (en) 2015-04-01
WO2012033306A3 (en) 2012-06-14
CN103098003B (zh) 2016-06-08
EP2428884B1 (en) 2019-08-28
KR101747299B1 (ko) 2017-06-15
CN103098003A (zh) 2013-05-08
WO2012033306A2 (en) 2012-03-15
EP2428884A2 (en)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918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9009141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of contents
KR101683356B1 (ko) 브라우저 내의 콘텐츠 아이템들 사이에서의 어레이 모드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US20120032988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that displays list of images onto display unit,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CN103810221B (zh) 一种文件的预览方法及装置
US2014005946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ile arrangement
CN105005429B (zh) 一种终端展示图片的方法及终端
TR201809777T4 (tr) Büyütme komutlarının alındısına yanıt verilmesi.
US9778824B1 (en) Bookmark overlays for displayed content
CN101896905A (zh) 用于提供媒体收藏的内容项目呈现的系统、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CN10509453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7013955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747299B1 (ko) 데이터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US1016250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nd program
US9317177B2 (en) Causing elements to be displayed
US1093917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 grouping and management of content in real-time
WO2015092379A1 (en) A method an apparatus for cataloguing data items
JP201204425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052915A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50293B2 (ja) 画像分類表示装置及び画像分類表示プログラム
US97919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4146248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13703B2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159021B2 (ja) キャラクタアイデンティティおよび場所アイデンティティの視覚表現
KR101434773B1 (ko) 포토 태그 클라우드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9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