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25187A -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187A
KR20120025187A KR1020100087415A KR20100087415A KR20120025187A KR 20120025187 A KR20120025187 A KR 20120025187A KR 1020100087415 A KR1020100087415 A KR 1020100087415A KR 20100087415 A KR20100087415 A KR 20100087415A KR 20120025187 A KR20120025187 A KR 20120025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rame
data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화성
김동규
이계헌
김향율
장주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5187A/ko
Priority to US13/029,077 priority patent/US8842103B2/en
Publication of KR2012002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187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43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 G09G2300/0447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for multi-domain technique to improve the viewing angl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such as multi-vertical alignment [MV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한다.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 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한다.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이에 따르면, 화소를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이격 거리가 다른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으로 공간 분할하고, 화소에 하이 데이터와 로우 데이터를 시간 분할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하나로서,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어 확고한 시장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는 두 장의 유리판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을 주입하여 유리판 위 전극의 전압 차에 의해 액정의 분자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도형, 문자, 영상 등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LCD는 기본적으로 응답속도가 느리고 해상도가 낮으며 시야각이 넓지 못해 대화면화의 단점이 있다.
최근 게임, 영화 등과 같은 분야에서 3차원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LCD는 2차원 영상은 물론, 3차원 영상을 표시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3차원 영상은 사람의 두 눈을 통한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의 원리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시간 분할되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주기적으로 표시하고, 이 주기에 동기된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를 개폐하는 안경을 쓰는 셔터 안경(Shutter Glass) 방식 등이 있다. 상기 LCD는 프로그래시브 스캔(Progressive Scan) 방식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좌안 영상(또는 우안 영상)과 우안 영상(또는 좌안 영상)으로 변하는 구간에 두 영상간의 계조 차이에 의해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 이러한 크로스토크는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 상기 크로스토크를 개선하기 위해 240Hz의 구동 주파수로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사이에 블랙 영상을 삽입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구동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한다.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 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한다. 상기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 데이터 생성부 및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는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소에 하이 데이터와 로우 데이터를 시간 분할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이격 거리가 다른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으로 공간 분할된 화소에 하이 데이터와 로우 데이터를 시간 분할하여 표시시킴으로써 시인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생성부의 블록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데이터 생성부에 적용된 감마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에 따른 시인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에 따른 V-T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c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에 따른 라이징 타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른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른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는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른 영상의 시인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라 시분할된 2차원 영상의 시인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c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라 시분할된 3차원 영상의 시인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생성부의 블록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데이터 생성부에 적용된 감마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모드 결정부(210),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 타이밍 제어부(250), 데이터 생성부(270), 패널 구동부(300) 및 액정 표시 패널(400)을 포함한다.
상기 모드 결정부(210)는 수신된 데이터의 영상 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모드 결정부(210)는 수신된 동기 신호, 모드 정보 신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영상 모드를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영상 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드 결정부(210)는 수신된 데이터가 2차원 영상 모드인지, 3차원 영상 모드인지를 결정한다.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 타이밍 제어부(250) 및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상기 모드 결정부(210)에서 결정된 상기 영상 모드에 따라서 동작한다.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Frame Rate Control : FRC)부(230)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 단위의 영상데이터로 정의한다.
상기 3차원 영상 모드인 경우,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는 수신된 데이터를 좌안 데이터와 우안 데이터로 분리하고,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데이터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데이터 프레임으로 각각 스케링하고, 상기 스케일링된 좌안 및 우안 데이터 프레임들(L, R)을 반복하여 N(N은 M/2인 자연수이고, M은 8이상의 자연수)개의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들 및 N개의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들을 생성하여, 총 M개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생성한다. 상기 2차원 영상 모드인 경우,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는 수신된 현재 데이터 프레임과 후속하는 다음 데이터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는 (N-1)(N은 M/2인 자연수이고, M은 8이상의 자연수)개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현재 데이터 프레임과 (N-1)개 데이터 프레임들을 각각 더블링하여 총 M개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는 영상 모드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에서 제공된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에 제공한다. 상기 3차원 영상 모드인 경우,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는 상기 좌안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우안 데이터 프레임 사이에 블랙 데이터 프레임을 삽입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타이밍 제어부(270)는 (N-1)개의 좌안 데이터 프레임들, 좌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 (N-1)개의 우안 데이터 프레임들 및 우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을 차례대로 출력한다. 상기 2차원 영상 모드인 경우,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는 상기 M개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에 그대로 제공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상기 영상 모드에 따라서 상기 M개의 데이터 프레임들 각각을 설정된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제1 데이터 테이블(271) 및 제2 데이터 테이블(27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이터 테이블(271)에는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이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하이 데이터는 기준 감마 곡선(NG)에 비해 고휘도를 갖는 하이 감마 곡선(HG)이 적용된 데이터이다. 상기 제2 데이터 테이블(272)은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로우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로우 데이터는 상기 기준 감마 곡선(RG)에 비해 저휘도를 갖는 로우 감마 곡선(LG)이 적용된 데이터이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상기 영상 모드에 따라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로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설정된 시분할 비율(I:J)(I 및 J 는 1 이상의 자연수)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테이블들(271, 272)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이 데이터 또는 로우 데이터로 보정한다.
예를 들면, 480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3차원 영상 모드의 경우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1:2로 설정된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4개의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들 중 블랙 프레임 데이터를 제외한 3개의 좌안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해 하나의 좌안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2개의 좌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4개의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들 중 블랙 프레임 데이터를 제외한 3개의 우안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해 하나의 우안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2개의 우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들을 생성한다. 2차원 영상 모드의 경우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1:1로 설정된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교대로 반복하여 생성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300)는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에 프레임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300)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의 데이터 라인에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310)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의 게이트 라인에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33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3차원 영상 모드의 경우 상기 패널 구동부(300)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는 (N-1)개의 좌안용 프레임 영상들, 블랙 프레임 영상, (N-1)개의 우안용 프레임 영상들 및 블랙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2차원 영상 모드의 경우 상기 패널 구동부(300)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M개의 프레임 영상들을 표시한다.
도 3은 도 1의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액정 표시 패널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에는 데이터 배선(DL), 게이트 배선(GL), 전압 배선(VL), 제1 스위칭 소자(TR1), 제2 스위칭 소자(TR2), 제1 쉴드부(SH1), 제2 쉴드부(SH2), 제1 화소 전극(PE1) 및 제2 화소 전극(PE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에는 컬러 필터 및 차광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각 화소(P)는 제1 스위칭 소자(TR1), 제2 스위칭 소자(TR2), 제1 쉴드부(SH1), 제2 쉴드부(SH2), 제1 화소 전극(PE1) 및 제2 화소 전극(PE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칭 소자(TR1)는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연결된 제어 전극과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연결된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화소 전극(PE1)과 제1 콘택홀(C1)을 통해 연결된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스위칭 소자(TR2)는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연결된 제어 전극과 상기 전원 배선(VL)과 연결된 입력 전극 및 상기 제2 화소 전극(PE2)과 제3 콘택홀(C3)을 통해 연결된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배선(VL)에는 기준 전압 대비 음극성의 제1 전압 및 양극성의 제2 전압이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DL)에는 계조 레벨에 따라서 상기 제1 전압 및 제2 전압 사이의 전압이 인가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 배선(VL)에 상기 음극성의 제1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 배선(DL)에는 상기 제1 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전압보다 높은 전압(양극성)이 계조 레벨에 따라서 인가된다. 반면, 상기 전원 배선(VL)에 상기 양극성의 제2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데이터 배선(DL)에는 상기 제2 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전압보다 낮은 전압(음극성)이 계조 레벨에 따라서 인가된다.
상기 제1 쉴드부(SH1)는 상기 화소(P)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DL)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쉴드부(SH1)는 상기 데이터 배선(DL)의 전계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고 또한 광을 차단한다. 상기 제1 쉴드부(SH1)는 서로 이격된 제1 상부 쉴드(SU1) 및 제1 하부 쉴드(SD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 쉴드(SU1)는 상기 화소(P)가 정의되는 화소 영역의 상부 영역에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하부 쉴드(SD1)는 상기 화소(P)가 정의되는 화소 영역의 하부 영역에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쉴드부(SH2)는 상기 전원 배선(VL)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쉴드부(SH2)는 상기 전원 배선(VL)의 전계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고, 또한 광을 차단한다. 상기 제2 쉴드부(SH2)는 서로 이격된 제2 상부 쉴드(SU2), 제2 하부 쉴드(SD2) 및 상기 제1 하부 쉴드(SD1)와 상기 제2 상부 쉴드(SU2)를 연결하는 연결 쉴드(SC)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제2 쉴드부(SH2)는 이웃한 이웃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이웃 데이터 배선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쉴드(SU1)의 단부는 상기 제2 방향(DI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상부 쉴드(SU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하부 쉴드(SD1)는 단부에서 상기 제2 방향(DI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하부 쉴드(SD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쉴드(SU1)는 제7 콘택홀(C7)을 통해 상기 제2 화소 전극(P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화소 전극(PE2)과 중첩되며, 상기 제2 하부 쉴드(SD2)는 제5 콘택홀(C5)을 통해 상기 제2 화소 전극(P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화소 전극(PE2)과 중첩된다. 상기 제1 상부 쉴드(SU1)는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상기 제2 화소 전극(PE2) 사이에서 발생되는 빛샘을 차단하고, 상기 제2 하부 쉴드(SD2)는 상기 전원 배선(VL)과 상기 제2 화소 전극(PE2) 사이에서 발생되는 빛샘을 차단한다.
상기 제1 하부 쉴드(SD1)는 제2 콘택홀(C2)을 통해 상기 제1 화소 전극(P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상기 제2 상부 쉴드(SU2)는 제6 콘택홀(C6)을 통해 상기 제1 화소 전극(P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PE1)과 중첩된다. 상기 제1 하부 쉴드(SD1)는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상기 제1 화소 전극(PE1) 사이에서 발생되는 빛샘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상부 쉴드(SU2)는 상기 전원 배선(VL)과 상기 제1 화소 전극(PE1) 사이에서 발생되는 빛샘을 차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쉴드부(SH1, SH2)는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동일한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전극(PE1)은 상기 데이터 배선(DL) 및 상기 전원 배선(VL)과 중첩된 제1 줄기부(E11)와 상기 제1 줄기부(E11)로부터 약 45도(또는 약 -45도)로 화소 영역 측으로 뻗은 제1 가지부(E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화소 전극(PE2)은 상기 데이터 배선(DL) 및 상기 전원 배선(VL)과 중첩된 제2 줄기부(E21)와 상기 제2 줄기부(E21)로부터 약 45도(또는 약 -45도)로 화소 영역 측으로 뻗은 제2 가지부(E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지부(E11)와 상기 제2 가지부(E21)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상기 화소(P)가 정의된 화소 영역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지부들(E11, E21)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서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제1 서브 영역(A1)의 상기 제1 및 제2 가지부들(E11, E21) 간은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d1)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서브 영역(A2)의 상기 제1 및 제2 가지부들(E11, E21) 간은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d2)로 배치된다. 상기 제1 서브 영역(A1)의 면적은 상기 제2 서브 영역(A2) 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PE1, PE2)은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상기 전원 배선(VL)을 통해 서로 다른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지부들(E11, E21)간의 이격 거리에 의해 상기 제1 서브 영역(A1)과 상기 제2 서브 영역(A2)에서 서로 다른 수평 전기장의 세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액정 분자들이 서로 다르게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좁은 간격(d1)로 배치된 상기 제1 서브 영역(A1)의 상기 제1 및 제2 가지부들(E11, E21)에 의해 제1 액정 커패시터(CLCH)가 형성되고, 상기 넓은 간격(d2)로 배치된 상기 제1 서브 영역(A2)의 상기 제1 및 제2 가지부들(E11, E21)에 의해 제2 액정 커패시터(CLCL)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화소(P)는 복수의 도메인을 가지므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PE1, PE2)은 투명한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에 따른 시인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에 따른 V-T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c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에 따른 라이징 타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서브 영역(A1)의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PE1, PE2), 즉 제1 및 제2 가지부들(E11, E21)의 좁은 간격(d1)가 3㎛, 6㎛ 및 9㎛ 인 경우, 상기 제2 서브 영역(A2)의 상기 제1 및 제2 가지부들(E11, E21)의 넓은 간격(d2)의 변화에 대한 우측 시인성 지수를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상기 좁은 간격(d1)이 3㎛, 6㎛ 및 9㎛ 각각의 경우, 상기 넓은 간격(d2)이 9㎛ 이상에서 우측 시인성 지수가 약 0.24 이하로 측정되었다. 즉, 상기 넓은 간격(d2)이 넓어질수록 우측 시인성 지수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은 도 5b에 도시된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에 대한 V-T 곡선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 비해 넓은 경우가 저 전압과 고 전압에서 휘도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이 3㎛ 인 경우, 6V에서의 투과율에 대응하는 측정치는 약 200 이고, 18V에서의 투과율에 대응하는 측정치는 약 550 정도이었다. 반면,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이 21 ㎛ 인 경우, 6V에서의 투과율에 대응하는 측정치는 0 에 근접하고, 18V에서의 투과율에 대응하는 측정치는 약 540 정도이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저 전압과 고 전압에서의 휘도 차이가 분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이 넓어질수록 시인성 개선에 기인함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은 액정의 라이징 타임(Rising time)에도 영향을 미친다. 도 5c를 참조하면, 다양한 액정들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별 라이징 타임을 측정하였다.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간격이 11㎛ 이하에서 라이징 타임이 6ms 이하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480 Hz 의 프레임 주파수를 갖는 액정 표시 패널에 대응하기 위해 액정의 빠른 응답 속도가 필수적이며, 이에 대해 라이징 타임은 약 4ms, 폴링 타임(falling time)은 약 2ms 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넓은 간격(d2)은 약 11 ㎛ 이하가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좁은 간격(d1)은 제조 공정 조건을 고려할 때 약 5 ㎛ 이상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좁은 간격(d1)은 약 11 ㎛ 이하,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넓은 간격(d2)은 약 5 ㎛ 이상일 때, 시인성 및 라이징 타임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른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가 480 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드 결정부(210)는 수신된 동기 신호, 모드 정보 신호 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영상 모드를 3차원 영상 모드로 결정한다. 상기 모드 결정부(210)의 모드 결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 타이밍 제어부(250) 및 데이터 생성부(270)는 동작된다.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는 상기 3차원 영상 모드에 따라서,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좌안 데이터와 우안 데이터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안 데이터와 우안 데이터 각각을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의 해상도로 스케일링하여 좌안 데이터 프레임 및 우안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 이후,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는 상기 좌안 데이터 프레임을 반복하여 4개의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들(L1, L2, L3, L4)을 생성하고, 상기 우안 데이터 프레임을 반복하여 4개의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R1, R2, R3, R4)들을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는 상기 3차원 영상 모드에 따라서, 상기 좌안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우안 데이터 프레임 사이에 블랙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여 삽입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타이임 제어부(250)는 제1 좌안 데이터 프레임(L1), 제2 좌안 데이터 프레임(L2), 제3 좌안 데이터 프레임(L3), 좌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B1), 제1 우안 데이터 프레임(R1), 제2 우안 데이터 프레임(R2), 제3 우안 데이터 프레임(R3) 및 우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B2)를 차례대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상기 3차원 영상 모드에 대해 1:2로 설정된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된 8개의 데이터 프레임들 각각을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상기 제1 좌안 데이터 프레임(L1)을 상기 제2 데이터 테이블(272)을 이용하여 제1 좌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L1(Low))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2 좌안 데이터 프레임(L2)을 상기 제1 데이터 테이블(271)을 이용하여 제2 좌안 하이 데이터 프레임(L2(High))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3 좌안 데이터 프레임(L3)을 상기 제2 데이터 테이블(272)을 이용하여 제3 좌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L3(Low))으로 생성하고, 상기 좌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B1)은 그대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상기 제1 우안 데이터 프레임(R1)을 상기 제2 데이터 테이블(272)을 이용하여 제1 우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R1(Low))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2 우안 데이터 프레임(R2)을 상기 제1 데이터 테이블(271)을 이용하여 제2 우안 하이 데이터 프레임(R2(High))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3 우안 데이터 프레임(R3)을 상기 제2 데이터 테이블(272)을 이용하여 제3 우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R3(Low))으로 생성하고, 상기 우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B2)은 그대로 출력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300)는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에서 제공된 제1 좌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L1(Low)), 제2 좌안 하이 데이터 프레임(L2(High)), 제3 좌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L3(Low)), 좌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B1), 제1 우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R1(Low)), 제2 우안 하이 데이터 프레임(R2(High)), 제3 우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R3(Low)) 및 우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B2)을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에 차례대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은 화소를 복수의 서브 영역들로 공간 분할하고, 또한,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에 하이 데이터 프레임 및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시간 분할하여 표시함으로써 3차원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른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가 480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모드 결정부(210)는 수신된 동기 신호, 모드 정보 신호 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영상 모드를 2차원 영상 모드로 결정한다. 상기 모드 결정부(210)의 모드 결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 타이밍 제어부(250) 및 데이터 생성부(270)는 동작된다.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는 상기 2차원 영상 모드에 따라서, 제K 데이터 프레임(K)과 제(K+1) 데이터 프레임(K+1)을 이용하여 움직임 추정 및 보간(ME/MC)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K 데이터 프레임(K)과 상기 제(K+1) 데이터 프레임(K+1) 사이에 3개의 보간 데이터 프레임들(Ka, Kb, Kc)을 생성한다. 상기 제K 데이터 프레임(K)과 상기 3개의 보간 데이터 프레임들(Ka, Kb, Kc) 각각을 더블링하여 8개의 데이터 프레임들(K, K, Ka, Ka, Kb, Kb, Kc, Kc)을 생성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는 상기 2차원 영상 모드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230)로부터 수신된 8개의 데이터 프레임들(K, K, Ka, Ka, Kb, Kb, Kc, Kc)을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에 그대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상기 2차원 영상 모드에 대해 1:1로 설정된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된 8개의 데이터 프레임들(K, K, Ka, Ka, Kb, Kb, Kc, Kc) 각각을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는 제K 하이 데이터 프레임(K(High), 제K 로우 데이터 프레임(K(Low), 제1 보간 하이 데이터 프레임(Ka(High)), 제1 보간 로우 데이터 프레임(Ka(Low)), 제2 보간 하이 데이터 프레임(Kb(High)), 제2 보간 로우 데이터 프레임(Kb(Low)), 제3 보간 하이 데이터 프레임(Kc(High)) 및 제3 보간 로우 데이터 프레임(Kc(Low))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패널 구동부(300)는 상기 데이터 생성부(270)에서 제공된 제K 하이 데이터 프레임(K(High), 제K 로우 데이터 프레임(K(Low), 제1 보간 하이 데이터 프레임(Ka(High)), 제1 보간 로우 데이터 프레임(Ka(Low)), 제2 보간 하이 데이터 프레임(Kb(High)), 제2 보간 로우 데이터 프레임(Kb(Low)), 제3 보간 하이 데이터 프레임(Kc(High)) 및 제3 보간 로우 데이터 프레임(Kc(Low))을 순서대로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은 화소를 복수의 서브 영역들로 공간 분할하고, 또한,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에 하이 데이터 프레임 및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시간 분할하여 표시함으로써 2차원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간 분할 방식에 따른 시인성 측정
다음의 표 1은 도 3에 도시된 액정 표시 패널(400)에서 제1 서브 영역(A1)과 제2 서브 영역(A2)의 면적비에 따른 우측 시인성 지수를 측정한 데이터이다.
응답 특성을 만족하도록 상기 액정 표시 패널(400)의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은 상기 제1 서브 영역(A1)에서 5㎛의 좁은 간격(d1)을 갖고, 제2 서브 영역(A2)에서 11㎛의 넓은 간격(d2)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제1 서브 영역(A1)과 상기 제2 서브 영역(A2)의 면적 비율에 따른 우측 시인성 지수를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서브 영역(A1)에 비해 상기 제2 서브 영역(A2)의 면적 비율이 1:1 인 경우 우측 시인성 지수는 0.321 이고, 1:2 인 경우 우측 시인성 지수는 0.307 이고, 1:3 인 경우 우측 시인성 지수는 0.300 이고, 1:4 인 경우 우측 시인성 지수는 0.296 이고, 1:5 인 경우 우측 시인성 지수는 0.295 이며, 1:6 인 경우 우측 시인성 지수는 0.294 이다. 상기 제2 서브 영역(A2)이 상기 제1 서브 영역(A1) 보다 넓을수록 시인성은 점진적으로 개선되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서브 영역(A2)의 면적이 상기 제1 서브 영역(A1)의 면적 보다 클수록 시인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간 분할 방식에 따른 시인성 측정
도 8a는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른 영상의 시인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b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라 시분할 된 2차원 영상의 시인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c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에 따라 시분할 된 3차원 영상의 시인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각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응답 특성을 만족하도록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은 상기 제1 서브 영역(A1)에서 5㎛의 좁은 간격(d1)은 5㎛를 갖고, 제2 서브 영역(A2)에서 11㎛의 넓은 간격(d2)을 갖는다.
도 8a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영역들(A1, A2)의 면적 비율이 1:6 로 공간 분할된 경우, 우측 시인성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우측 시인성 지수는 약 0.294 정도 였다.
도 8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영역들(A1, A2)의 면적 비율이 1:6 으로 공간 분할되고, 시분할 방식으로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1:1 비율로 2차원 영상을 표시한 경우, 우측 시인성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우측 시인성 지수는 약 0.225 정도 였다.
도 8c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영역들(A1, A2)의 면적 비율이 1:6 으로 공간 분할되고, 시분할 방식으로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1:2 비율로 3차원 영상을 표시한 경우, 우측 시인성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우측 시인성 지수는 약 0.194 정도 였다.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공간 분할 방식만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공간 분할 방식과 시간 분할 방식을 모두 적용한 경우 우측 시인성 지수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3차원 영상을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1:2의 비율로 시분할 구동한 경우, 공간 분할 방식만 적용한 경우에 비해 우측 시인성 지수가 현저히 개선되었다.
다음의 표 2는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좁은 간격과 넓은 간격이 4 ㎛ 와 12 ㎛ 이고 액정 회전 점도가 82인 조건에서, 계조 간 응답 속도를 측정한 데이터이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고계조에서 저계조로 떨어지는 폴링 타임(FALLING TIME)은 고계조에서 블랙 계조로 이동하는 경우에 비해 저계조에서 블랙 계조로 이동하는 경우에 좀 더 양호함을 볼 수 있다. 즉, 폴링 타임은 31 계조(START)에서 0 계조(END)로 이동할 때 1.52 ms 이고, 63 계조(START)에서 0 계조(END)로 이동할 때 1.21 ms 이고, 95 계조(START)에서 0 계조(END)로 이동할 때 1.23 ms 이고, 127 계조(START)에서 0 계조(END)로 이동할 때 1.31 ms 이다. 이에 비교하여, 고계조 즉, 255 계조(START)에서 0 계조(END)로 이동할 때는 2.37 ms 이다.
한편, 저계조에서 고계조로 올라가는 라이징 타임(RISING TIME)은 블랙 계조에서 고계조로 이동하는 경우에 비해 블랙 계조에서 저계조로 이동하는 경우에 좀더 양호함을 볼 수 있다. 즉, 라이징 타임은 0 계조(START)에서 31 계조(END)로 이동할 때 3.80 ms 이고, 0 계조(START)에서 63 계조(END)로 이동할 때 2.81 ms 이고, 0 계조(START)에서 95 계조(END)로 이동할 때 2.03 ms 이고, 0 계조(START)에서 127 계조(END)로 이동할 때 2.19 ms 이다. 이에 비교하여 0 계조(START)에서 255 계조(END)로 이동할 때는 4.58 ms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영상 모드에서 블랙 데이터 프레임이 좌안 데이터 프레임과 우안 데이터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3차원 영상 모드에서 시분할 방식을 적용할 때, 블랙 데이터 프레임의 전, 후에 로우 데이터 프레임이 위치하는 것이 응답 속도 측면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좌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B1)이 표시되기 전에 제3 좌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L3(Low))을 표시하고, 좌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B1)을 표시한 후에 제1 우안 로우 데이터 프레임(R1(Low))을 표시함으로써 응답 특성을 좀 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주파의 프레임 주파수로 3차원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대한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소를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의 이격 거리가 다른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으로 공간 분할하고, 상기 화소에 하이 데이터와 로우 데이터를 시간 분할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0 : 모드 결정부 230 :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
250 : 타이밍 제어부 270 : 데이터 생성부
300 : 패널 구동부 310 : 데이터 구동부
330 : 게이트 구동부 400 : 액정 표시 패널

Claims (20)

  1.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로 생성하는 단계; 및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과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들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들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 사이에 블랙 데이터 프레임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하이 또는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들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들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는,
    좌안용 하이 데이터 프레임 및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좌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우안용 하이 데이터 프레임 및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우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데이터 프레임의 전, 후에는 상기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움직임 추정 및 보간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간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보간 데이터 프레임 각각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하이 또는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더블링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보간 데이터 프레임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9.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로 생성하는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하이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표시하는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는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과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들로 생성하고, 상기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을 복수의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들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 사이에 블랙 데이터 프레임을 삽입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좌안용 데이터 프레임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고, 상기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우안용 데이터 프레임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좌안용 하이 데이터 프레임 및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표시한 후, 좌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을 표시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우안용 하이 데이터 프레임 및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표시한 후, 우안용 블랙 데이터 프레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상기 블랙 데이터 프레임이 표시되기 전 및 표시된 후에 상기 로우 데이터 프레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제어부는
    움직임 추정 및 보간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간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보간 데이터 프레임 각각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시분할 비율에 따라서 더블링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과 상기 보간 데이터 프레임 각각을 고휘도의 하이 데이터 프레임 또는 저휘도의 로우 데이터 프레임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각 화소는
    게이트 배선 및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는 데이터 배선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한 전원 배선에 연결된 제2 스위칭 소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연결된 제1 화소 전극; 및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연결된 제2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이 제1 간격으로 이격된 제1 서브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이 상기 제1 간격 보다 넓은 제2 간격으로 이격된 제2 서브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2 서브 영역의 면적 과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배선에 프레임 단위로 기준 전압 대비 반전된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00087415A 2010-09-07 2010-09-07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 Abandoned KR20120025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415A KR20120025187A (ko) 2010-09-07 2010-09-07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3/029,077 US8842103B2 (en) 2010-09-07 2011-02-16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415A KR20120025187A (ko) 2010-09-07 2010-09-07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187A true KR20120025187A (ko) 2012-03-15

Family

ID=4577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415A Abandoned KR20120025187A (ko) 2010-09-07 2010-09-07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42103B2 (ko)
KR (1) KR201200251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53A (ko) * 2014-09-25 2016-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865203B2 (en) 2015-02-05 2018-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119B1 (ko) * 2011-09-08 2018-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9258554B2 (en) * 2012-03-06 2016-02-09 JVC Kenwood Corporation Stereo video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tereo video image display method
CN102646404A (zh) * 2012-05-17 2012-08-2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刷新方法、液晶显示器和液晶电视机
KR101945867B1 (ko) * 2012-06-29 2019-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03439798B (zh) * 2013-08-30 2016-04-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驱动方法及设备、立体显示装置及立体眼镜
KR102391238B1 (ko) * 2015-07-23 2022-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537993B1 (ko) * 2017-10-31 2023-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블랙 데이터 설정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JP7263345B2 (ja) 2017-11-16 2023-04-24 シナプ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ィスプレイドライバ、方法、及び、表示装置
KR102701957B1 (ko) 2019-12-31 2024-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192451B (zh) * 2021-04-28 2024-04-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补偿控制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9507A (en) * 1985-04-26 1988-01-12 Tektronix, Inc. Stereoscopic imaging system with passive viewing apparatus
US6448952B1 (en) * 1999-01-26 2002-09-10 Denso Corporatio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2000284224A (ja) 1999-03-30 2000-10-13 Idemitsu Kosan Co Ltd 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CA2380105A1 (en) * 2002-04-09 2003-10-09 Nicholas Routhier Proces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playback of stereoscopic video sequences
KR100728158B1 (ko) 2002-05-13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4390483B2 (ja) * 2003-06-19 2009-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中間調表示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0623726B1 (ko) 2005-02-22 2006-09-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드순차 구동방식의 입체영상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7868879B2 (en) * 2006-05-12 2011-01-11 Doremi Lab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ng audiovisual content
KR100856414B1 (ko) * 2006-12-18 200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4561794B2 (ja) 2007-08-2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空間像表示装置
JP4792054B2 (ja) * 2008-03-24 2011-10-12 株式会社東芝 立体映像表示装置、立体映像表示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JP2011019202A (ja) * 2009-07-10 2011-01-27 Sony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
KR101301322B1 (ko) * 2009-07-22 2013-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10015929A (ko) * 2009-08-10 2011-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340083B2 (ja) * 2009-08-28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輝度制御方法
JP2011081453A (ja) * 2009-10-02 2011-04-21 Toshiba Corp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KR101626900B1 (ko) * 2009-12-21 2016-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직 배향막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753A (ko) * 2014-09-25 2016-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865203B2 (en) 2015-02-05 2018-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2103B2 (en) 2014-09-23
US20120056856A1 (en)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5187A (ko)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45867B1 (ko)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9330617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8654159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6081698B2 (ja)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それを実行する表示装置
US9116360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675795B2 (ja) 液晶表示装置
US8842171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89634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2006001259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drive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120053159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KR20120013734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WO2011126090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システム
US9787975B2 (en) Method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30009312A (ko) 영상표시장치
CN101506866B (zh) 液晶显示装置
KR101279657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8854440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2654994B (zh) 双视显示器显示方法和双视显示器
US9123305B2 (en)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nics device
KR101328846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03531164B (zh) 立体显示器与驱动方法
JP5309117B2 (ja) 立体表示装置
KR20150080354A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JP5465759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7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9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1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