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372A - 입체 주륜설비 - Google Patents
입체 주륜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4372A KR20120024372A KR1020110071512A KR20110071512A KR20120024372A KR 20120024372 A KR20120024372 A KR 20120024372A KR 1020110071512 A KR1020110071512 A KR 1020110071512A KR 20110071512 A KR20110071512 A KR 20110071512A KR 20120024372 A KR20120024372 A KR 201200243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wheel
- wheel
- path
- main
- whee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endless conveyor chains having load-carrying parts moving vertically, e.g. paternoster lifts also similar transport in which cells are continuously mechanically link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수직면을 따르는 각형 순환경로를 무단 형상 구동색에 의해서 회동하는 주륜대를 구비한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 각형 순환경로의 각부를 주륜대가 회동 통과할 때의 안전성을, 설비 비용을 억제하면서 높일 것.
[해결수단] 주륜대(1)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연결된 무단 형상 구동색(8)을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팽팽하게 거는 안내륜(6a?7c)중, 무단 형상 구동색(8)을 적어도 직각으로 전향시키는 모든 특정 안내륜(6a,7a)의 주위를 주륜대(1)가 동시에 회동하도록, 주륜대(1)의 간격과 특정 안내륜(6a,7a) 사이의 경로 길이를 설정해 두고,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를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A)로 호출할 때, 특정 안내륜(6a,7a)의 주위를 회동 통과하는 주륜대(1)의 속도 MS가, 그 전후의 위치에서의 이동속도 HS보다 저속으로 되도록, 무단 형상 구동색(8)을 구동 제어한다.
[해결수단] 주륜대(1)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연결된 무단 형상 구동색(8)을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팽팽하게 거는 안내륜(6a?7c)중, 무단 형상 구동색(8)을 적어도 직각으로 전향시키는 모든 특정 안내륜(6a,7a)의 주위를 주륜대(1)가 동시에 회동하도록, 주륜대(1)의 간격과 특정 안내륜(6a,7a) 사이의 경로 길이를 설정해 두고,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를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A)로 호출할 때, 특정 안내륜(6a,7a)의 주위를 회동 통과하는 주륜대(1)의 속도 MS가, 그 전후의 위치에서의 이동속도 HS보다 저속으로 되도록, 무단 형상 구동색(8)을 구동 제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면을 따르는 무단(無端) 형상 각형(角型) 순환경로를 주륜대(駐輪臺)가 회동(回動)하는 타입의 입체 주륜설비에 관한 것이다.
주륜대가 무단 형상 각형 순환경로를 회동하는 타입의 입체 주륜설비로서는,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상하의 수평 경로부와 양단(兩端)의 상하방향 경로부로 이루어지는 각형 순환경로와, 이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 회동하는 무단 형상 구동색(驅動索)과, 이 무단 형상 구동색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주륜대와, 상기 각형 순환경로의 적어도 1개의 각부(角部)에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가 설정된 입체 주륜설비가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입체 주륜설비에서는, 무단 형상 순환경로를 따라 회동하는 무단 형상 구동색에 주륜대가 전후 요동 가능하게 매달린다. 그리하여, 무단 형상 순환경로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1개의 큰 직경의 안내륜(案內輪)의 180도 원호 부분으로 형성되는 반원호형으로 되어 있는 무단 형상 순환경로를 주륜대가 회동하는 타입의 입체 주륜설비이면, 주륜대가 안내륜의 주위를 회동하여 방향을 바꾸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 비해, 상기와 같은 각형 순환경로의 경우, 그 상하의 수평 경로부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와의 사이의 각부에 작은 직경의 안내륜이 축 지지되므로, 주륜대가 안내륜의 주위를 회동하고 방향을 바꾸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이 매우 짧아진다. 따라서, 주륜대의 중량이나 이동속도가 동일하다고 한다면, 큰 직경의 안내륜의 주위를 회동할 때 주륜대에 작용하는 원심력보다, 작은 직경의 안내륜의 주위를 회동할 때 주륜대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커진다. 이 때문에, 각형 순환경로를 구비한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 양단 반원호형 순환경로를 구비한 입체 주륜설비에서의 주륜대의 이동속도와 동일 속도로 주륜대를 구동하면, 소경(小徑) 안내륜이 축 지지된 4개의 각부를 주륜대가 회동할 때, 주륜대가 앞뒤로 크게 흔들리게 되어, 만약 주륜대의 흔들림방지 기구를 조립하여 주륜대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었다고 해도, 주륜대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는 탑재된 자전거가 상기 원심력을 받아 주륜대로부터 튀어나오는 탈락 사고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 물론, 상기 원심력이 허용 범위내에 억제되도록, 주륜대의 이동속도를 저속으로 떨어뜨리는 것도 해결책의 하나이지만, 이것으로는,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를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에 호출하기 위한 소요 시간이 길어져, 운용 효율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입체 주륜설비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한 입체 주륜설비는, 후술하는 실시예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한 참조 부호를 괄호에 넣어 나타내면,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로 이루어지는 각형 순환경로와, 이 각형 순환경로의 각 각부(角部)에 축 지지된 안내륜(6a?7c)에 팽팽하게 걸어져 당해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 회동하는 무단 형상 구동색(8)과, 이 무단 형상 구동색(8)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주륜대(1)를 구비하고, 상기 각형 순환경로의 적어도 1개의 각부에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가 설정된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6a?7c)중, 무단 형상 구동색(8)을 직각으로 전향(轉向)시키는 직각 전향용 안내륜(6a,7a)의 주위를 주륜대(1)가 동시에 회동하도록, 주륜대(1)의 간격과 상기 직각 전향용 안내륜(6a,7a) 사이의 경로 길이를 설정해 두고,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를 상기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 호출할 때, 상기 직각 전향용 안내륜(6a,7a)의 주위를 회동 통과하는 주륜대(1)의 속도(MS)가, 그 전후의 위치에서의 이동속도(HS)보다 저속으로 되도록, 무단 형상 구동색(8)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장치(45)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형 순환경로에 있어서의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가, 1개의 수직 경로부(4a,5a)와 비스듬히 내측으로 경사진 1개의 경사 경로부(4b,5b)로 구성된, 서로 점대칭형의 것인 경우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수직 경로부(4a,5a)와의 사이의 각부(角部)에 축 지지된 2개의 안내륜이, 무단 형상 구동색(8)을 직각으로 전향시키는 직각 전향용 안내륜(6a,7a)으로 되고, 이 2개의 직각 전향용 안내륜 (6a,7a)의 주위를 회동 통과하는 주륜대(1)가 감속되게 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전체 길이를 주륜대(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하면,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경사 경로부(4b,5b)와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와의 사이의 각부에 축 지지된 안내륜(6c,7c)은 직각 전향용 안내륜과는 다르지만, 이들 안내륜(6c,7c)의 주위를 회동 통과하는 주륜대(1)의 이동속도도 감속되게 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각형 순환경로에 있어서의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2,3)와의 사이의 4개소의 각부에 축 지지된 모든 안내륜(6a,6c,7a,7c)이 직각 전향용 안내륜으로 되어, 이러한 모든 직각 전향용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회동 통과하는 주륜대(1)의 이동속도가 감속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무단 형상 구동색을 팽팽하게 거는 안내륜이 소경(小徑)으로 되는 각형의 무단 형상 순환경로를 주륜대가 이동하는 타입의 입체 주륜설비임에도 불구하고, 무단 형상 구동색의 이동 방향을 거의 직각으로 전향시키는 직각 전향용 안내륜의 주위를 주륜대가 회동할 때만, 당해 주륜대의 이동속도가 저속으로 감속되므로, 당해 직각 전향용 안내륜의 주위를 회동할 때 주륜대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작게 하여, 주륜대의 흔들림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주륜대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주륜대의 흔들림에 수반하는 악영향, 예를 들면 탑재된 자전거의 탈락 사고로 이어질 우려 등도 해소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만일 주륜대의 흔들림 방지 기구를 병용한다고 해도, 흔들림 방지 기구에 걸리는 부하는 작고, 당해 흔들림 방지 기구를 소형이면서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주륜대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직각 전향용 안내륜의 주위 이외의 경로 부분을 주륜대가 이동할 때에는, 당해 주륜대를 본래의 속도로 고속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를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에 호출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이 너무 걸리는 사태로는 되지 않아, 운용 효율의 대폭적인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형 순환경로에 있어서의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가, 1개의 수직 경로부와 비스듬히 내측으로 경사진 1개의 경사 경로부로 구성된, 서로 점대칭형의 것인 경우, 상하방향 경로부의 수직 경로부와 경사 경로부와의 사이의 절곡 각부나 경사 경로부와 수평 경로부 사이의 절곡 각부에서는, 무단 형상 구동색의 전향 각도는 90도 이하인, 예를 들면 45도 등으로 설정되므로, 당해 절곡 각부에 축 지지되는 안내륜의 주위를 주륜대가 회동 통과할 때에 상기 주륜대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작고, 그다지 영향은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직각 전향용 안내륜이 있는 위치를 주륜대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하는 것이 요지로서, 필요하면, 그 이외의 안내륜이 있는 위치도 주륜대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리하여,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가, 1개의 수직 경로부와 비스듬히 내측으로 경사진 1개의 경사 경로부로 구성된, 서로 점대칭형의 것인 경우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방향 경로부의 수직 경로부와 수평 경로부 사이의 각부에 축 지지되어 무단 형상 구동색을 직각으로 전향시키는 2개의 직각 전향용 안내륜의 위치를 주륜대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하면 좋지만,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의 전체 길이를, 주륜대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면, 당해 상하방향 경로부의 경사 경로부와 상하의 수평 경로부 사이의 각부에 축 지지된 안내륜의 위치도, 주륜대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할 수 있어, 한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물론,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각형 순환경로의 경우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든 절곡 각부의 안내륜이 직각 전향용 안내륜으로 되므로, 모든 절곡 각부의 안내륜의 위치가 주륜대의 감속통과 포인트로 되어, 감속되지 않은 채로 안내륜의 주위를 주륜대가 회동 통과하는 개소가 없어져, 소기의 효과를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가로로 긴 입체 주륜설비의 구성을 설명하는 중간 생략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주륜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주륜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설비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주륜대상의 하위 지지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주륜대상의 상위 지지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가로로 긴 입체 주륜설비의 구성을 설명하는 중간 생략의 측면도이다.
도 8은 A도는 제1 실시예의 가로로 긴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의 속도 제어 내용을, 측면에서 보고 설명하는 도면이고, B도는 회동하는 주륜대의 시간 축에서의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의 가로로 긴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의 속도 제어 내용을, 측면에서 보고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어계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 선도이다.
도 2는 주륜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주륜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설비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주륜대상의 하위 지지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주륜대상의 상위 지지대를 나타내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의한 가로로 긴 입체 주륜설비의 구성을 설명하는 중간 생략의 측면도이다.
도 8은 A도는 제1 실시예의 가로로 긴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의 속도 제어 내용을, 측면에서 보고 설명하는 도면이고, B도는 회동하는 주륜대의 시간 축에서의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의 가로로 긴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의 속도 제어 내용을, 측면에서 보고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어계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 선도이다.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에 있어서, 주륜대(1)가 순환 이동하는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는, 전후 수평방향의 하측 수평 경로부(2), 전후 수평방향의 상측 수평 경로부(3), 및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는, 점대칭형의 것으로, 일방의 상하방향 경로부(4)는, 하측 수평 경로부(2)의 일단으로부터 직각 상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수직 경로부 (4a)와, 이 하측 수직 경로부(4a)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45도의 각도로 연장하여 상측 수평 경로부(3)의 일단에 연결되는 상측 경사 경로부(4b)로 형성되고, 타방의 상하방향 경로부(5)는, 상측 수평 경로부(3)의 타단으로부터 직각 하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수직 경로부(5a)와, 이 상측 수직 경로부(5a)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45도의 각도로 연장되어 하측 수평 경로부(2)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측 경사 경로부(5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에는, 그 각 각부(角部)에 동심(同心) 형상으로 좌우 한 쌍 축 지지된 안내륜(6a?6c 및 7a?7c)을 통해 당해 순환경로를 따르도록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이 팽팽하게 걸어져 있다. 일방의 상하방향 경로부(4)의 상단(上端) 각부에 축 지지된 좌우 한 쌍의 안내륜(6c)은,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의 외측에 지지된 좌우 수평방향의 구동축(9)의 양단부와 각각 체인 전동수단(10)을 통해 연동 연결되고, 이 구동축(9)을 정역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11)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으로서는, 체인이나 와이어 로프 등이 이용되고, 안내륜(6a?7c)으로서는, 사용하는 무단 형상 구동색(8)에 따라 스프로킷 휠이나 풀리 등이 이용된다.
주륜대(1)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측틀(12)의 하단부 간에 좌우 수평방향의 지지부재(13)를 전후 한 쌍 가설(架設)한, 정면 형상이 각진 U자형의 것으로, 지지부재(13)상에, 전후방향으로 자전거(C)를 거의 수평 자세로 지지하는 하위 지지대(14)와, 전후방향으로 자전거(C)를 전방상향 경사 자세로 지지하는 상위 지지대(15)가 좌우방향 교대로, 또한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하위 지지대(14)와 상위 지지대(15)란, 동일 구조의 지지용 레일부재 (16)를 지지부재(13)상에 장착부재(18)를 통해 설치한 것이다. 지지용 레일부재 (16)는, 자전거(C)의 차륜를 끼워맞추어 전동 이동시킬 수 있는 홈형 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전단(前端)측으로부터 전륜(前輪) 지지부(16a), 중앙 산형(山形)부 (16b), 및 후륜(後輪) 지지부(16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륜 지지부(16a)에는, 전륜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워 수직 자세로 유지하는 동시에 당해 전륜을 중앙 산형부(16b)와의 사이에 끼워 전후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평면 형상이 U자형인 전륜 가이드틀(16d)이 장착되어 있다.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측틀(12)에는, 각각의 하측변의 전후 양단 외측에, 지지용 차륜(20a,20b)이 좌우 수평 지축에 의해 축 지지되는 동시에, 각각의 상단 부근의 중앙 위치 외측에,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좌우 수평 지축에 의해 축 지지되며, 또한, 각각의 상단 중앙 위치의 외측에, 수평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결축(22)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 측틀(12)의 지지용 차륜(20a,20b), 흔들림 방지용 롤러(21), 및 연결축(22)은, 서로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의 지지용 차륜(20a,20b)의 위치보다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위치가 외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이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위치보다 연결축(22)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주륜대(1)는,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좌우 한 쌍의 연결축(22)을 이용하여 무단 형상 구동색(8)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단 형상 구동색(8)으로서 롤러 체인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당해 롤러 체인의 링크 핀(롤러 지지핀)중, 주륜대 장착 위치의 링크 핀으로서, 내측으로 소요 길이로 돌출하는 길이가 긴 핀을 사용하고, 주륜대(1)측의 연결축(22)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동심 형상으로 핀 삽입공을 형성해 두고, 주륜대 (1)측의 좌우 한 쌍의 연결축(22)의 핀 삽입공에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 (8)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길이가 긴 핀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넣음으로써, 당해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 사이에 주륜대(1)를, 좌우 한 쌍의 연결축 (22)을 통해 당해 연결축(22)의 둘레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에는, 도 1, 도 3, 및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각 수평 경로부(2,3)에 있어서 각 주륜대(1)를, 그 하단의 지지용 차륜(20a,20b)을 통해 당해 수평 경로부(2,3)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이 가설되어 있다. 그리하여,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의 회동에 의해, 당해 무단 형상 구동색(8)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된 각 주륜대(1)가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를 따라서 회동하게 되지만, 수평 경로부(2,3)를 이동하는 각 주륜대(1)는, 그 지지용 차륜(20a,20b)을 통해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에 지지된 상태로 전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무단 형상 구동색(8)에는 주륜대(1)의 하중이 하향으로 작용하지 않고, 무단 형상 구동색(8)이 각 주륜대(1)를 견인 구동하는 상태이다.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를 승강 이동하는 주륜대(1)는,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의해서 매달린 상태로 승강 이동한다. 따라서, 이 상하방향 경로부(4,5)에서는,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주륜대(1)의 하중이 직접 하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길이는, 주륜대(1)의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로 하여, 상하방향 경로부(4,5)에는 항상 1대의 주륜대(1)만이 재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수평 경로부(2){또는 상측 수평 경로부(3)}와 상하방향 경로부(4){또는 상하방향 경로부(5)}와의 사이의 안내륜(6a){또는 안내륜(7a)}의 축심의 바로 아래 위치에 1대의 주륜대(1)의 연결축(22)이 위치할 때, 당해 주륜대(1)보다, 상측 수평 경로부(3){또는 하측 수평 경로부(2)}가 있는 측에 이웃하는 주륜대(1)의 연결축(22)이, 상측 수평 경로부(3){또는 하측 수평 경로부(2)}와 상하방향 경로부(4){또는 상하방향 경로부(5)}와의 사이의 안내륜 (6c){또는 안내륜(7c)}의 축심의 바로 위의 위치로부터 상하방향 경로부(4)측{또는 상하방향 경로부(5)측}이 있는 측에 안내륜 주위의 90도 원호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 분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든 안내륜(6a?7c)은 동일 직경의 것이고, 상하 각 수평 경로부(2,3)의 전체 길이도, 주륜대(1)의 간격의 정수배의 길이로 되어 있으며,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상하 양단에 축 지지되어 있는 안내륜(6a,6c 및 7a,7c)의 주위를 주륜대(1)가 동시에 통과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수평 경로부(3)에 가설된 좌우 한 쌍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의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에 접속하는 개소에는, 승강 이동하는 주륜대(1)의 지지용 차륜(20a,20b)이나 연결축(22)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이 부분적으로 절취된 차륜통과용 개구부 (25a,25b)가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의 양 단부를 상기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에 지지되어 수평으로 이동하는 주륜대(1)의 지지용 차륜(20a) 또는 지지용 차륜(20b)이 상기 차륜통과용 개구부(25a,25b)에 떨어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이용하여 주륜대(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27)이 상측 수평 경로부(3)의 양 단부에 가설되어 있다.
또한,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에서는, 주륜대(1)는 무단 형상구동색(8)에 좌우 한 쌍의 연결축(22)을 통해 매달린 상태로 승강 이동하므로, 당해 주륜대 (1)는, 연결축(22)의 둘레로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이 승강 이동시의 주륜대(1)의 전후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하방향 경로부(4)의 전역과 상하방향 경로부(5)의 상측 수직 경로부(5a)에는,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를 통해 당해 주륜대(1)의 전후 요동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a,28b 및 29)이 배치되어 있다.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a)은, 상하방향 경로부(4)의 하측 수직 경로부(4a)를 주륜대(1)가 승강 이동할 때 당해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어 승강하는 것이고,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b)은, 상하방향 경로부(4)의 상측 경사 경로부(4b)를 주륜대(1)가 비스듬하게 승강 이동할 때 당해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어 승강하는 것이다. 또한,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9)은 상하방향 경로부(5)의 상측 수직 경로부(5a)를 주륜대(1)가 승강 이동할 때 당해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어 승강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 경로부(4)의 외측에는, 설비를 둘러싸는 수직인 벽구조체의 일부분으로 되는 문틀(32)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문틀(32)은, 특허문헌 등에 의해 종래 주지의 것으로서, 하측 수평 경로부(2)의 상하방향 경로부(4)측의 단부, 즉, 주륜대(1)의 연결축(22)이 안내륜(6a)의 축심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한 주륜대(1)에 대한 자전거 입출고구(入出庫口, 33)와, 이 자전거 입출고구(33)를, 주륜대(1)상에서 병렬하는 복수대(도시예에서는 4대)의 하위 지지대(14) 및 상위 지지대(15) 각각에 대향하는 자전거 통과영역별로 나누어 택일적으로 열리는 개폐문(3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한 주륜대(1)의 각 하위 지지대(14) 및 상위 지지대(15)와 상기 문틀(34)과의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노면판(路面板, 35)이 부설되어 있다. 또한, 이 문틀(32)은 바닥면 위에 설치되지만, 자전거 입출고구(33)의 저면(底面)과 바닥면 사이의 단차가 클 때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단차를 메우는 경사 노면판(36)을 문틀(32)의 외측에도 부설할 수 있다. 물론, 자전거 입출고구(33)의 저면과 바닥면이 거의 면 일치가 되도록, 문틀(32)의 하측 변을, 바닥면에 각설(刻設)한 홈을 메우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 자전거(C)의 입출고시에는, 그 입출고 대상 중 하나인 주륜대(1)를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 호출하기 위해, 모터(11)를 가동시키고, 구동축(9) 및 좌우 한 쌍의 체인 전동수단(10)을 통해 상하방향 경로부(4)의 상단 각부의 안내륜(6c)을 회전 구동하고, 좌우 한 쌍의 무단 형상 구동색(8)을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를 따라서 정방향 회전(시계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반시계방향 회전) 구동한다. 이때의 무단 형상 구동색(8)의 회전방향은, 입출고 대상인 주륜대(1)의 현재 정지 위치에 기초하여, 당해 입출고 대상인 주륜대(1)가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 도착할 때까지의 정방향 회전의 소요시간(또는 이동거리)과 역방향 회전의 소요시간(또는 이동거리)이 연산 비교되어, 당해 소요시간(또는 이동거리)이 짧아지는 쪽의 회동방향이 선택된다. 무단 형상 구동색(8)의 회동에 수반하여,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상에 있는 모든 주륜대(1)가 회동하게 되지만, 상하의 수평 경로부(2,3)를 이동하는 주륜대(1)는, 지지용 차륜(20a,20b)을 통해 지지용 가이드 레일(23,24)에 지지된 상태로, 연결축(22)을 통해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의해 견인 구동된다.
그리고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를 승강하는 주륜대(1)는, 연결축(22)을 통해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당해 상하방향 경로부(4,5)를 승강하지만, 이때, 상하방향 경로부(4)에서는, 그 전역에 있어서,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a,28b)에 끼워맞춤되어 승강 이동하게 되므로, 주륜대(1)가 연결축(22)의 둘레에서 앞뒤로 흔들려 움직이는 일은 없다. 또한, 상하방향 경로부(5)에서는, 그 상측 수직 경로부(5a)에 있어서, 주륜대(1)의 좌우 한 쌍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9)에 끼워맞춤되어 승강 이동하게 되므로, 상측 수직 경로부(5a)를 승강하는 주륜대(1)가 연결축(22)의 둘레에서 앞뒤로 흔들려 움직이는 일은 없다. 또한, 각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전체 길이는, 주륜대(1) 사이의 간격{연결축(22)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기 때문에, 이 상하방향 경로부(4,5)에는 항상 1대의 주륜대(1)만 재석시킬 필요는 없고, 이 상하방향 경로부(4,5)에 있어서 주륜대(1)를 매달게 되는 무단 형상 구동색(8)에 1대의 주륜대(1)에 작용하는 하중보다 큰 하향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는 없다.
상기와 같이,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상의 각 주륜대(1)를 정역의 어느 한쪽을 선택한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를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 호출하여 정지시킬 수 있다.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한 주륜대(1)는, 그 바로 위의 안내륜(6a)의 축심의 바로 아래에 연결축(22)이 위치하고 있고, 당해 주륜대(1)는, 주륜대(1)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하측 수평 경로부(2)의 일단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지지용 차륜(20a,20b)은 하측 수평 경로부(2)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3)에 지지된 상태에 있다.
그리하여,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가 호출되어 정지했다면, 자전거 입출고구(33)의 개폐문(34)을 개방 제어하여,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하는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상의 복수대의 지지대(14,15)중, 입출고 대상인 하나의 지지대에 대응하는, 자전거 입출고구(33)의 특정의 자전거 통과 영역만을 열고, 출고의 경우는, 자전거 입출고구(33)가 열린 특정의 영역을 이용하여, 당해 열린 특정의 자전거 통과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는 하위 지지대(14) 또는 상위 지지대(15)상으로부터 출고 대상의 자전거(C)를 자전거 입출고구(33)의 밖으로 인출한다. 입고의 경우는, 자전거 입출고구(33)가 열린 특정의 자전거 통과 영역을 이용하여, 당해 열린 특정의 자전거 통과 영역의 안쪽에 위치하는 하위 지지대(14) 또는 상위 지지대(15)상에 자전거(C)를 삽입 이재(移載)한다. 즉, 각 주륜대(1)는,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했을 때, 주륜대(1)상의 하위 지지대(14) 및 상위 지지대(15)가, 그 후륜 지지부(16c)가 자전거 입출고구(33)의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가 수직 경로부(4a,5a)와 경사 경로부(4b,5b)로 이루어지는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전역이 수직으로서,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가 완전히 직사각형의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하방향 경로부(4,5)의 길이는, 주륜대(1) 사이의 간격{연결축(22) 사이의 간격}과 거의 같다. 또한, 도 7에서는,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와의 사이의 각부에 위치하는 안내륜을,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의 동일 위치의 안내륜(6a,6c,7a,7c)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위치를 지지용 차륜(20a,20b)의 높이 근처까지 내리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측 수평 경로부(3)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차륜통과용 개구부(25a,25b)보다 외측의 짧은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을 생략하고,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의 전체 길이를 상기 차륜통과용 개구부(25a,25b)의 내측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하고, 주륜대(1)의 지지용 차륜(20a,20b)의 양방이 지지용 가이드 레일(24)에 지지되는 위치와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상단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상측 수평 경로부(3)의 양단부에서의 주륜대(1)의 수평 이동시에는,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연속하여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26,27)에 지지되어, 내측{상측 수평 경로부(3)의 중앙측}의 지지용 차륜(20a) 또는 지지용 차륜(20b)과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의 2개소에서 주륜대(1)가 수평 자세로 유지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앞의 제1 실시예에서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입출고구(33)가 있는 측의 상하방향 경로부(4)에는, 그 전역에 걸쳐서,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을 병설하고, 반대측의 상하방향 경로부(5)에는,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지 않지만, 이 상하방향 경로부(5)에도 상하방향 경로부(4)와 마찬가지로, 주륜대(1)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가 끼워맞춤되는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을 당해 상하방향 경로부(5)의 전역에 걸쳐서 병설하여도 좋다.
도 7에 나타내는 제2 실시예에 의한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도, 주륜대(1)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직으로 승강하는 점에서 다를 뿐이고, 제1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게 자전거의 입출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의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의한 제어의 내용을,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모터(11)에 의해서 정역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무단 형상 구동색(8)에 의해서,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주륜대,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A)는, 이동 시작 후, 설정된 고속도 HS로 이동하여, 그 주륜대(1A)가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의 직전에 설정된 감속 정지 제어의 시작 위치 P1 또는 P2에 이르렀을 때에 설정된 저속도 LS까지 감속되어,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주륜대(1)를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감속 정지시키는 감속 정지 제어는, 종래 주지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이 감속 정지 제어와는 별도로,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수직 경로부(4a,5a)와의 사이의 각부에 축 지지되어 있는 안내륜, 즉, 무단 형상 구동색(8)을 직각으로 전향시키는 직각 전향용 안내륜(6a,7a)의 위치를, 주륜대(1)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서, 이들 2개의 직각 전향용 안내륜(6a,7a)의 주위를 주륜대(1)가 회동 통과할 때, 상기 주륜대(1)의 이동속도를, 그 전후에서의 고속도 HS보다 저속인 중속도 MS까지 감속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륜대(1) 사이의 간격{연결축 (22) 사이의 간격}은,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전체 길이와 동일하고 또한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의 전체 길이의 정수분의 1의 길이이기 때문에, 상기 직각 전향용 안내륜(6a,7a) 뿐만이 아니라,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 (4,5)의 경사 경로부(4b,5b)와의 사이의 각부에 축 지지되어 있는 안내륜(6c,7c)에 대해서도 주륜대(1)가 동시에 회동 통과하게 되므로, 직각 전향용 안내륜(6a,7a) 뿐만이 아니라, 상기 안내륜(6c,7c)의 위치도 주륜대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되어, 이들 각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주륜대(1)가 회동 통과할 때 당해 주륜대 (1)의 이동속도가 고속도 HS로부터 중속도 MS에 감속되게 된다. 즉, 주륜대(1)를 고속도 HS로 구동하는 구간(HD)과 중속도 MS로 구동하는 구간(LD)을 교대로 배치하고, 그 중속도 MS로 구동하는 구간(LD)의 간격이 주륜대(1) 사이의 간격 상당 거리로 되고 또한 그 길이가 상기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주륜대(1)가 완전하게 회동 통과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환언하면, 주륜대(1)가 고속도 구동구간 (HD)과 중속도 구동구간(LD)을 교대로 이동하면서 순환경로를 회동하도록, 무단 형상 구동색(8)을 구동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당연하지만, 상하의 수평 경로부 (2,3)를 이동중의 주륜대(1)도, 주륜대(1) 간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의 이동마다 중속도 구동구간(LD)을 사이에 두게 된다.
한편, 무단 형상 구동색(8)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것인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것인지의 선택은,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로 호출해야 할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A)의 현재 정지 위치와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와의 사이의 시계방향에서의 이동거리(또는 이동시간)와 반시계방향에서의 이동거리(또는 이동시간)를 비교 연산하여, 짧은 쪽의 회전방향을 선택하면 되지만, 상기와 같이 가로로 긴 각형의 순환경로가 구성되어 있을 때는, 하측 수평 경로부(2)에서 정지하고 있는 주륜대(1)는 이 하측 수평 경로부(2)만을 경유하는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고, 상측 수평 경로부(3)에서 정지하고 있는 주륜대(1)는, 상하방향 경로부(5)와의 사이의 각부에 정지하고 있는 주륜대(1)를 제외하고, 이 상측 수평 경로부(3)와 상하방향 경로부(4)만을 경유하는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면 되게 된다. 상측 수평 경로부(3)와 상하방향 경로부(5)와의 사이의 각부에 정지하고 있는 주륜대(1)는, 어느 회전방향에서도 동일 이동거리로 되므로, 기본적으로는, 미리 어느 회전방향을 선택하는지를 설정해 두면 좋다.
도 7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서는,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가 그 전역에 있어서 수직인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를 뿐이고, 그 상하방향 경로부(4,5) 각각의 전체 길이도 주륜대(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각부에 축 지지된 모든 안내륜(6a,6c,7a,7c)의 위치가 주륜대(1)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되어, 무단 형상 구동색(8)에 대한 구동 제어의 내용도, 도 8B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구동 제어의 내용과 완전히 동일하게 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한 무단 형상 구동색(8){주륜대(1)}의 구동 제어에 의하면,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A)를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로 호출할 때,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 위치(A)에서 보아 그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A)가, 주륜대 2대 이상 떨어져 있을 때는, 상기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회동 통과하는 주륜대 (1)가 존재하게 되지만, 이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회동 통과하는 주륜대 (1)의 이동속도가 그 전후의 이동속도인 고속도 HS보다 저속인 중속도 MS로 감속되므로, 당해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회동 통과할 때 주륜대(1)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고속도 HS인 채로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회동 통과할 때 작용하는 원심력보다 작아진다.
즉,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회동 통과할 때 주륜대(1)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큰 경우는, 당해 주륜대(1)를 무단 형상 구동색(8)과의 연결점인 연결축(22)의 둘레에 원심력의 방향으로 당해 주륜대(1)가 크게 요동하게 된다. 이때의 주륜대(1)의 요동 방향이,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하위 지지대(14) 및 상위 지지대(15)에 대한 자전거(C)의 진입 방향 F와는 반대인 후퇴방향 R일 때는, 주륜대(1)의 흔들림에 의해서 하위 지지대(14) 및 상위 지지대(15)에 지지되어 있는 자전거(C)가 후퇴방향 R로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물론,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 모두에 있어서도, 주륜대(1)측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21)와 경로측의 흔들림 방지용 가이드 레일(28,28a,28b,29)로 이루어지는 흔들림 방지 수단이 병설되어 있으므로, 당해 흔들림 방지 수단에 의해서 주륜대(1)가 원심력에 의해서 요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개소에서는, 주륜대(1)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지만, 주륜대(1)상에 지지되어 자전거(C)가 그 원심력을 받게 되므로, 지지되어 있는 자전거(C)가 주륜대(1)에 대해서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주륜대(1)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되어 있는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주륜대(1)가 회동 통과할 때, 그 속도를 감속함으로써, 주륜대(1)나 그 위의 자전거(C)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작게 하고, 이로써, 지지되어 있는 자전거(C)가 튀어나오는 것과 같은 위험한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무단 형상 구동색(8)을 회동시키는 모터(11)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모터(11)에는, 이 모터(11)의 기동/정지,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의 각 제어를 행하는 모터 컨트롤러(40)가 접속되고, 이 모터 컨트롤러(40) 에, 회전방향 지령신호(41), 기동(起動)신호(42), 회전속도 제어신호(43), 및 정지신호(44)를 보내기 위한 제어장치(45)가 접속된다.이 제어장치(45)는, 입력되는 각 주륜대(1)의 현재 위치정보(46) 및 호출 주륜대 정보(47)와 미리 설정된 고속도 HS, 중속도 MS, 및 저속도 LS에 의거하여 실행되는 모터 제어 프로그램이 설정된 것으로, 이 모터 제어 프로그램은, 회전방향 결정 프로그램, 가속 프로그램, 중속도 구동구간(LD)의 실행 프로그램, 및 감속 정지 제어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다. 각 주륜대(1)의 현재 위치정보(46)는, 각 주륜대(1)에 설정되어 있는 식별 번호별 현재의 위치정보(각 주륜대 정지 위치나 이동중의 현재 위치의 정보)이며, 호출 주륜대 정보(47)는, 각 주륜대(1)에 설정되어 있는 식별번호에 상당한다. 각 주륜대(1)의 현재 위치정보(46)로서의 정지위치정보는, 일정 불변의 주륜대 정지위치별로 설정된 절대 번지의 정보로 하고, 현재 위치정보는,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A)로부터 각 주륜대까지의 거리 정보로 할 수 있다.
입력된 호출 주륜대 정보(47)로부터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가 특정되어, 당해 입출고 대상인 주륜대(1)의 현재 정지위치가, 각 주륜대(1)의 현재 위치정보(46)(현재 정지위치정보)의 검색에 의해서 판명되면, 회전방향 결정 프로그램이 먼저 설명한 것과 같은 조건에 의거하여 무단 형상 구동색(8)의 회동방향{모터(11)의 회전방향}을 연산 결정하여 회전방향 지령신호(41)로서 모터 컨트롤러(40)로 출력된다. 그리하여, 운전 시작의 조건이 전부 구비된 시점에서 기동신호(42)가 모터 컨트롤러(40)에 출력됨으로써,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단 형상 구동색(8)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고, 설정된 가속 프로그램에 따라서, 일정 시간의 저속도 LS에서의 구동구간을 거쳐 고속도 HS로까지 가속되어, 고속도 HS에서의 주륜대(1)의 회동이 시작된다. 또한, 주륜대(1)의 기동시의 저속도 LS에서의 구동구간은 생략하고, 직접 고속도 HS까지 가속하도록 해도 좋다.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A)에 대한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의 현재 위치정보{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A)와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와의 사이의 거리정보}는, 예를 들면 모터(11)로 구동되는 무단 형상 구동색(8)의 구동축(9) 등, 무단 형상 구동색(8)의 회동과 연동하는 적당한 회전축과 연동하는 펄스 인코더로부터의 발신 펄스의 적산치(積算値)(회전방향에 따라서 가산 감산되는 수치)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는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의 현재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중속도 구동구간(LD)의 실행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중속도 MS로 이동시키는 구동구간(LD)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가 연산 검출되어, 주륜대(1)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되어 있는 각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각 주륜대(1)가 중속도 MS로 회동 통과하도록, 고속도 HS로부터 중속도 MS로 감속하는 회전속도 제어신호(43)와, 중속도 MS로부터 고속도 HS로 가속하는 회전속도 제어신호(43)가 모터 컨트롤러(40)에 출력되어, 무단 형상 구동색(8)의 회동 속도가 자동 제어된다. 이 결과, 각 주륜대(1)는, 각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중속도 MS로 회동 통과하는 중속도 구동구간(LD)과, 그보다 고속인 고속도 HS로 구동되는 고속도 구동구간(HD)을 교대로 이동하면서, 순환경로를 회동하게 된다.
순환경로를 상기와 같이 속도 제어되면서 회동하는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가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A)의 직전에 가까워지면, 감속 정지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감속 정지 제어의 시작 위치 P1 또는 P2에 도달한 시점이 당해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의 현재 위치정보로부터 연산 검출되므로, 이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저속도 LS로의 감속을 위한 회전속도 제어신호(43)와 정지신호(44)가 순차로 모터 컨트롤러(40)로 출력되어,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가 고속도 HS로부터 일단 저속도 LS까지 감속된 후,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A)에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또한, 주륜대(1)를 직각 전향용 안내륜(6a)의 축심의 바로 아래의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A)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감속 정지 제어의 시작 위치 P1, P2는, 도 8A,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안내륜(6a)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중속도 MS에 의한 구동구간(LD)의 중심 위치로부터 하측 수평 경로부(2)가 있는 측으로 조금 어긋나게 되지만, 실제의 제어에 악영향이 없으면,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A)에 대한 감속 정지 제어의 시작 위치 P1, P2가, 안내륜(6a)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중속도 구동구간(LD)의 양단 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하여 제어하여도 좋다. 또한, 감속 정지 제어에 있어서의 저속도 LS는, 도 8B에서는, 안내륜(6a,6c,7a,7c)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중속도 구동구간(LD)에서의 주륜대(1)의 속도(중속도 MS)보다 저속인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중속도 구동구간(LD)에서의 주륜대(1)의 속도(중속도 MS)와 감속 정지 제어에 있어서의 저속도 LS를 동일하게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제어장치(45)에 의해서,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A)와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 사이의 거리정보, 즉,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1)의 현재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각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주륜대(1)가 회동 통과할 때, 주륜대(1)의 이동속도(무단 형상 구동색(8)의 회동속도)를 중속도 MS로 감속시키도록 연산 제어를 행하도록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주륜대 이동경로 가장자리에, 주륜대 이동방향 전후 한 쌍의 센서를 배치하고, 각 주륜대(1)에는, 주륜대(1)가 각 안내륜(6a,6c,7a,7c)의 주위를 회동 통과할 때의 전후에 상기 양 센서에 의해서 순차로 검출되는 1개의 피검출판을 부착해 두어, 양 센서 중 하나가 주륜대(1)측의 피검출판을 검출했을 때, 고속도 HS로부터 중속도 MS로 감속하는 회전속도 제어신호(43)를 출력시키고, 이어서 다른 센서가 주륜대(1)측의 피검출판을 검출했을 때, 중속도 MS로부터 고속도 HS로 가속시키는 회전속도 제어신호(43)를 출력시켜, 동일한 제어를 실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주륜대 이동경로 가장자리에는 1개의 센서를 배치하고, 각 주륜대(1)측에는 주륜대 이동방향으로 전후 한 쌍의 피검출판을 장착하여, 동일한 제어를 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의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전체 길이를 주륜대(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하고 있으므로, 상하방향 경로부(4,5)의 경사 경로부(4b,5b)와 수평 경로부(2,3) 사이의 각부에 축 지지되는 안내륜(6c,7c)의 위치도, 주륜대(1)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되지만, 대각(對角) 위치에 있는 2개의 직각 전향용 안내륜(6a,7a) 사이의 상하 양 경로길이를 주륜대(1) 사이의 간격의 정수배로 하면,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전체 길이는 주륜대(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안내륜(6c,7c)의 위치는 주륜대(1)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되지 않지만, 당해 안내륜(6c,7c)은, 무단 형상 구동색(8)을 90도 이하의, 예를 들면 45도의 각도로 전향시키는 것뿐이므로, 실용상 문제는 없다. 그렇지만,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수직 경로부(4a,5a)와 경사 경로부(4b,5b) 사이의 각부와 달리, 원심력의 영향을 받기 쉬운 수평경로와의 사이의 절곡 각부이기 때문에, 당해 절곡 각부에 축 지지되는 안내륜(6c,7c)의 위치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주륜대(1)의 감속 통과 포인트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길이를, 무단 형상 구동색(8)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된 주륜대(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했지만,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의 길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주륜대(1) 사이의 간격의 정수배로 해도 좋다. 또한, 반대로,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4,5)의 길이를, 무단 형상 구동색(8)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된 주륜대(1) 사이의 간격의 정수배로 하고, 상하의 수평 경로부(2,3)의 길이를, 상기 주륜대(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하여, 세로로 긴 각형 무단 형상 순환경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체 주륜설비는, 주륜대를 수직면을 따르는 각형무단 형상의 순환경로에서 회동시키는 타입의 입체 주륜설비로서 활용할 수 있다.
A :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
C : 자전거
1 : 주륜대
2 : 하측 수평 경로부
3 : 상측 수평 경로부
4, 5 : 상하방향 경로부
4a, 5a : 수직 경로부
4b, 5b : 경사 경로부
6a?6c 및 7a?7c : 안내륜
8 : 무단 형상 구동색
9 : 구동축
10 : 체인 전동수단
11 : 모터
12 : 측틀
13 : 지지부재
14 : 하위 지지대
15 : 상위 지지대
16 : 지지용 레일부재
16d : 전륜 가이드틀
20a, 20b : 지지용 차륜
21 : 흔들림 방지용 롤러
22 : 연결축
23, 24 : 지지용 가이드 레일
25a, 25b : 차륜 통과용 개구부
26, 27 :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
32 : 문틀
33 : 자전거 입출고구
34 : 개폐문
35, 36 : 노면판
40 : 모터 컨트롤러
41 : 회전방향 지령신호
42 : 기동신호
43 : 회전속도 제어신호
44 : 정지신호
45 : 제어장치
46 : 각 주륜대(1)의 현재 위치정보
47 : 호출 주륜대 정보
HD : 주륜대를 고속도 HS로 구동하는 구간
LD : 주륜대를 중속도 MS로 구동하는 구간
C : 자전거
1 : 주륜대
2 : 하측 수평 경로부
3 : 상측 수평 경로부
4, 5 : 상하방향 경로부
4a, 5a : 수직 경로부
4b, 5b : 경사 경로부
6a?6c 및 7a?7c : 안내륜
8 : 무단 형상 구동색
9 : 구동축
10 : 체인 전동수단
11 : 모터
12 : 측틀
13 : 지지부재
14 : 하위 지지대
15 : 상위 지지대
16 : 지지용 레일부재
16d : 전륜 가이드틀
20a, 20b : 지지용 차륜
21 : 흔들림 방지용 롤러
22 : 연결축
23, 24 : 지지용 가이드 레일
25a, 25b : 차륜 통과용 개구부
26, 27 : 지지용 보조 가이드 레일
32 : 문틀
33 : 자전거 입출고구
34 : 개폐문
35, 36 : 노면판
40 : 모터 컨트롤러
41 : 회전방향 지령신호
42 : 기동신호
43 : 회전속도 제어신호
44 : 정지신호
45 : 제어장치
46 : 각 주륜대(1)의 현재 위치정보
47 : 호출 주륜대 정보
HD : 주륜대를 고속도 HS로 구동하는 구간
LD : 주륜대를 중속도 MS로 구동하는 구간
Claims (4)
- 상하의 수평 경로부와 양단(兩端)의 상하방향 경로부로 이루어지는 각형(角型) 순환경로와, 이 각형 순환경로의 각 각부(角部)에 축 지지된 안내륜(案內輪)에 팽팽하게 걸어져서 당해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회동(回動)하는 무단(無端) 형상 구동색(驅動索)과, 이 무단 형상 구동색에 등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상기 각형 순환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주륜대(駐輪臺)를 구비하고, 상기 각형 순환경로의 적어도 1개의 각부에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가 설정된 입체 주륜설비에 있어서, 상기 안내륜중, 무단 형상 구동색을 직각으로 전향시키는 직각 전향용 안내륜의 주위를 주륜대가 동시에 회동하도록, 주륜대의 간격과 상기 직각 전향용 안내륜 사이의 경로 길이가 설정되어, 입출고 대상의 주륜대를 상기 자전거 입출고용 정지위치로 호출할 때, 상기 직각 전향용 안내륜의 주위를 회동 통과하는 주륜대의 속도가, 그 전후의 위치에서의 이동속도보다 저속으로 되도록, 무단 형상 구동색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입체 주륜설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가, 1개의 수직 경로부와 비스듬히 내측으로 경사진 1개의 경사 경로부로 이루어지는, 서로 점대칭형으로 구성되고, 상하의 수평 경로부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의 수직 경로부와의 사이의 각부에 축 지지되어 무단 형상 구동색을 직각으로 전향(轉向)시키는 2개의 직각 전향용 안내륜을 구비하고 있는 입체 주륜설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의 전체 길이가, 주륜대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의 경사 경로부와 상하의 수평 경로부와의 사이의 각부에 축 지지된 안내륜의 주위를 회동 통과하는 주륜대의 이동속도도 감속되도록 구성된 입체 주륜설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가,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직으로 구성되고, 상하의 수평 경로부와 양단의 상하방향 경로부와의 사이의 4개소의 각부에, 무단 형상 구동색을 직각으로 전향시키는 직각 전향용 안내륜이 축 지지되어 있는 입체 주륜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85900 | 2010-08-23 | ||
JP2010185900A JP5483199B2 (ja) | 2010-08-23 | 2010-08-23 | 立体駐輪設備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4372A true KR20120024372A (ko) | 2012-03-14 |
Family
ID=4589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1512A Withdrawn KR20120024372A (ko) | 2010-08-23 | 2011-07-19 | 입체 주륜설비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483199B2 (ko) |
KR (1) | KR2012002437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03107B (zh) * | 2015-06-03 | 2017-12-12 | 涂翼民 | 一种曳引式立体车库 |
CN111119530B (zh) * | 2020-01-18 | 2021-04-30 | 温州市鹿城区渊龙电器科技有限公司 | 一种家用自行车停车场 |
-
2010
- 2010-08-23 JP JP2010185900A patent/JP548319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7-19 KR KR1020110071512A patent/KR20120024372A/ko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041785A (ja) | 2012-03-01 |
JP5483199B2 (ja) | 2014-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6910B1 (ko) | 머신룸이 없는 엘리베이터 | |
JP5240687B2 (ja) |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 |
JP4699508B2 (ja) | タイヤ式門型クレーン及びタイヤ式門型クレーンシステム | |
JP4870482B2 (ja) | 交走式索道の速度制御装置 | |
US20160318734A1 (en) | Elevator with an absolute positioning system for a double-decker car | |
KR20120024372A (ko) | 입체 주륜설비 | |
JP2572724B2 (ja) | コンテナクレーンの荷振れ時の旋回動作防止装置 | |
CN104176609B (zh) | 自动扶梯 | |
JP2008063018A (ja) |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 |
JP6699565B2 (ja) |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 |
JP5031241B2 (ja) | エレベータの制振装置 | |
JP4839094B2 (ja) | エレベータ制御装置 | |
CN108349693B (zh) | 电梯及电梯的运转方法 | |
JP2011241060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4358085B2 (ja) | 機械式駐車装置の安全装置 | |
JP2006290575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20120024371A (ko) | 입체 주륜설비 | |
JP2012041786A (ja) | 立体駐輪設備 | |
JPH0363339A (ja) | 開閉ドームの走行装置 | |
KR102573505B1 (ko) |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4376668B2 (ja) | 垂直循環式駐車装置およびそのケージ | |
JP2007022673A (ja) |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 |
JP7205991B2 (ja) | 機械式駐車設備 | |
JPH0387473A (ja) | エレベータスライド式駐車装置 | |
JPH1046858A (ja) | 駐車装置のターンテーブル旋回駆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